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의 정체성 물음에 대한 전기 하이데거의 대답 - 관계개념을 중심으로

        조홍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and to suggest ways to overcome it.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the humanities. As a study of human beings, the humanities are historically linked to the concept of human freedom. However, in the context of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of freedom, the humanities have resulted in the reduction and self-destruction of themselv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over time and analyzed how it formed and led to the current crisis. From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humanities mean human freedom. The problem is that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has been understood only in a human-centered and empirical way, which led to a crisis. This calls for a new perspective on freedom as the main body of the humanities. Therefore, I believe that freedom is a relation and I insist on bringing it to the agenda of the humanities. This concept of relation is derived and established from Heidegger's original concept of existence. This argument can be said to have originality, compared to the fact that research in Korea has only analyzed realistic measures to deal with the causes of the crisis.

      • KCI등재

        구전서사에 형상화된 비인간의 행위성에 관한 탐색 - 벌목저항전승의 포스트휴머니즘적 해석을 중심으로

        박광은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6

        This study analyzes the non-human agency represented in oral-narratives. Based on posthuman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 “Trees against Logging”, which represents the most hostile case of a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and humans. In “Trees against Logging”, trees “resist” the logging by humans. Particularly in the “Trees against Logging” documented in the premodern era, the trees are represented as anthropomorphic figures, which have agency and will. Her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curse[殃禍] that the trees put on the logging human as an act of “resistance” is suggested. On the other hand, in those investigated in the modern era, the trees’ agency is represented negatively, or the agency itself is denied. This is because the modern worldview, based on Western thoughts, conceals and dismantles the network between non-humans and humans, all “persons”. Here, the trees’ perspective, intention, and agency are also concealed. Therefore, the curse is not represented as a “resistance” by the trees, but as a thing of incomprehensible fear to be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persons” constitute the world, “hybrids” of non-human agency in the modern world can inevitably be imagined. “Hybrids” are not just in the “informal” area but also the “official” area of the state, exhibiting the agency. “Hybrids” overpass and disturb the division line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non-humans and humans. Posthumanism attempts to reveal the form of the world connected and intertwined with relationships between all “persons” and the non-human agency that emerges from such relationships. Considering posthumanism,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on-humans who act like humans, that is, anthropomorphic non-humans represented in oral-narratives.

      • KCI등재

        ‘인간의 인간다움’ : ‘교양교육’의 지향점-휴머니즘에 대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중심으로-

        문동규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7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the aim to pursue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teach and cultivate the humanity of human. In fact, the Latin word ‘humanitas’ which means ‘humanity’, is a translation of the Greek word ‘παιδεία(paideia)’ which means ‘culture(liberal arts)’. However, ‘Humanitas’ is a peideia inherited from later Greeks and is a concept that is opposed to the barbarous human. So, the humanism that pursues humanity comes from the romanian humanitas. And the humanism is centered on elevating reasoning ability by defining human as a rational animal. Then, we can call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humanity of human’ education, ‘humanism' education. However, the humanity of human is the ‘way of Being' of the human who keeps ‘original dignity of human’. In fact, according to Heidegger’s thinking, the humanity of human is a ‘Ek-sistenz’ in which the humanity of human is more than a rational animals predicated on traditional Humanism. It is to care about Being as being in the truth of Being coming to man. That is, It is to care all that is revealed by the truth of being. In other words, the human who is in the truth of Being is to keep and be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being revealed in the ‘Da' of Dasein. Therefore, it is not the humanity of humanism based on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thinking but to teach and nurture the humanity of human revealed in the ‘Da' of Dasein that the liberal education should aim and pursue. 이 글의 목적은 교양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지향점이 인간의 인간다움을 가르치고 기르는 것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인간의 ‘인간다움’을 뜻하는 라틴어 ‘후마니타스(humanitas)’는 ‘교양’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파이데이아(παιδεία)’의 번역어이다. 그러나 이 후마니타스는 후기 그리스인들로부터 물려받은 파이데이아(교양)이며, 야만적인 인간의 야만성과 대립된 개념이다. 그래서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휴머니즘은 로마인의 후마니타스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휴머니즘은 인간을 이성적 동물이라고 규정하면서 이성 능력을 고양하는 데에 중심을 둔다. 그렇다면 우리는 교양교육을 이러한 ‘인간의 인간다움’ 교육, ‘휴머니즘’ 교육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인간다움은 그러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래적 존엄성’을 품고 있는 인간의 ‘존재방식’이다. 사실 하이데거의 사유를 따를 때, 인간다움은 전통적인 휴머니즘에서 전제하고 있는 인간이 이성적 동물 이상인 ‘탈-존’이다. 이것은 인간에게 다가오는 존재의 진리 내지는 존재의 훤한 밝힘 안에 내존해 있는 것으로서 존재에 대해 마음 씀, 말하자면 존재의 진리에 의해 훤히 밝혀지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고려하고 배려하고 염려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존재의 진리에 내존해 있는 인간이 현존재의 ‘현’에서 드러나는 존재자를 참답게 간직하고 그것과 친밀하게 지내는 것이다. 그래서 교양교육이 지향하고 추구해야하는 것은 전통형이상학적인 사유에 근거를 두고 있는 휴머니즘의 인간성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인간의 인간다움을 가르치고 기르는 것이다.

      • 인권과 옥시덴탈리즘

        강희원(Hee-Won Kang)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9 人道法論叢 Vol.- No.29

        인권이 인간이면 누구나에게 보장되고 또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라고 한다면, 그것은 국가라는 울타리를 넘어 보편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위적 요청이다. 적어도 현상황에서 규범적으로는 이것을 긍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특정국가에 있어서 인권의 실현은 그것을 당해국가에만 맡기는 것은 인권보장의 근본적인 요청에 반한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에서 절대적인 리바이던(Leviathan)이 없는 국제사회의 현실을 감안할 때, 인권보장의 근본적 요청은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지렛대로 작용한다. 강대국이 약소국내의 인권실현을 위해 정치적으로만 개입할 것이 아니라, 그 여건이 실현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도 인권의 보편성에서 요구되는 규범적 요청이다. 강대국은 개인의 인권보장을 위한 도움을 빙자한 정치적 개입을 하려고 하였을 뿐이지, 진정한 의미에 있어서 도움을 주려고 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사실, 현대국제법은 이러한 국내개입의 문제를 방지하면서 국가 간의 평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내불간섭의 원칙은 오늘날 국제사회에 확립된 기본적인 원칙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을 단순히 인권보장이라는 깃발 아래 부정하는 것은 강대국의 자의적 행동에 대한 저지를 천신만고 끝에 이룩해놓은 국제사회의 노력을 일방적으로 무너뜨리는 결과이므로 이를 용이하게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실제로 개별국가의 주권을 어느 정도 제약해서라도 인권보장의 보편적 실현을 기도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일의적으로 답할 수 없다. 특히 오늘날 누구나 한 인간으로서 당연히 존중되어야 한다는 인권의 이념이 지구적인 규모로 침투하여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다른 한편, 현대국제사회에는 각국이 정치적 이념, 군사력 및 이익이 뒤엉켜서 각축하고 있어 각론 차원에서까지 인권문제를 획일적으로 처리할 수 없을 것이다. 이유야 어떠하든 간에 인권이 현재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보편화」라는 문제와 현재의 「보편적」으로 되어 있는 인권관이 앞으로도 그대로 확대되어 가는가, 그리고 그것이 그대로 확대되어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독립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만약 현재의 인권관념에 있어서 「보편성」이 어떠한 힘이나 선입관 및 편견에 기초하고 있는 의심스러운 또는 의사적인 보편성이라고 한다면, 현재의 보편적인 인권관(人權觀) 그 자체를 상대화하는 형식으로 장래 지구적인 규모로 보편화해야 할 보편성이란 무엇인가를 고찰해야 할 것이다. 인권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그것이 구현되도록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겠지만, 인권에 있어서도 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규범적 보편성」과 「사실적 보편성」은 엄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래서 적어도 현상황에서 국제인권법은, 여러 국가들이 처해있는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세계통일국가가 구성되어 각 지역에 그것에 상응하는 균등한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 여건이 조성할 때까지는, 물론 일반국제법에도 유로아메리카중심주의가 지배하고 있지만, 그래도 개별국가의 구체적인 특수상황을 어느 정도로 부각시킬 수 있는 일반국제법의 기본원칙을 토대로 해서만 기능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쩌면 국제인권법이 아직 현실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지 아니한 현단계에 있어서는 국제인권법의 적용에는 문명권(文明圈) 또는 문화권(文化圈) 간에 그 상충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이를테면 「문제법(文際法, intercivilizational law)」이 필요할 지도 모른다. 그리고 우리 자신 속에 “자기화(自己化)된 타자(他者)로서 옥시덴탈리즘”이 살아 숨쉬고 있지는 않은지 세심하게 의식하면서 오늘날의 국제인권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treating serveral problems of the global universalization of the euro-americano-centralized contents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are Commonly defined, are the rights that belong to an individual or group of individuals as a consequence of being human. Although they refer to a wide continuum of values to be universal in character, in some sense equally claimed for all human being, it has raised a question, what kind of concrete contents they have in the individual case relating to a human-Rights violation. Answering to this question can become a matter of controversy. So far,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have been understood in the european concepts. We are trying to endorse every euro-americano-centralized value judgments on the ground(s) that Human Rights have been already universalized through out whole world. I would argue to call Noneuropean's way of thinking in the developing countries a "accidentalism" in a similar context of Edward Said's Orientalism.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can be however differently commentated, especially according to a civilization sphere. It is not yet compromised, by whom, in which judicature, according to which procedure, with what kind of criteria etc. the Human Rights can be guaranteed in global level. In present situation it might be needed to interpret the Human Rights realistically. It can be call an intercivilizational law of Human Rights.

      • KCI등재

        인문학 위기 담론과 대안에 관한 지형 연구 -학문적 차원과 산업적 차원을 중심으로-

        이미정 ( Lee Mi-jung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1

        This work aims at the study on a discourse topographical map of the humanities crisis and the suggestion of the solution dividing theoretically and industrially. First, we explored theoretically the cause of humanities crisis divid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industrially the cause of it through the condition of the job market are employed the college graduates who studied humanitie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humanities crisis are the humanities’ subjectivity, the humanities scholar’s responsibility, the response of the humanities academy circle, and the humanities’ lectures and its academic program. The external factors are the change of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in operation and our sense of values and humanistic environment. Second, for we explored the condition of the job market are employed the college graduates who studied humanities. The result show a ratio of the lowest in wage,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e percentage of regular job, an annual revenue, and the relation of the major. Second, we explored he suggestion of the solution dividing theoretical and industrial. Theoretically, we categorized the suggestions. There are the finding of humanities’ subjectivity, the suggestion of education direction, the discussion of representation humanities, making humanities contents, the supprort of policies in government, building a new paradigm through cross-studies, the conversion of Culture Science, and the advent of ecology humanities. Industrially, we categorized the suggestions of humanities’ crisis. The suggestion is developing a new job-creation.

      • KCI등재

        사이드의 휴머니즘론과 이의 한국적 전유

        고부응(Boo Eung K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11 비평과이론 Vol.16 No.1

        ‘Human beings’ seem to have disappeared in today’s literary and cultual theories. This is partly because the concept of man or human being is too broad and ambiguous to be included in theoretical discourses. However, the more serious causes of the disappearance can be found in the trend of anti-humanism in recent theories. Human agency is being excluded in the structuralist and post-structuralist understanding of society and history.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abuse of humanism is another cause of the disappearance. We see such examples in the Nazi’s genocidal violence on Jews and the American invasion into another countries in the name of humanism. In spite of anti-humanistic theories and historical abuses of humanism. the value of human beings cannot be discarded in the study of the human history and society. Edward Said’s Humanism and Democratic Criticism is an attempt to construct a new humanism in which traditional Euro-centric inhumane humanism can be overcome. He says the new humanism’s project is “to be critical of humanism in the name of humanism.” For this, he revives the philological tradition of language studies, and thereby the tradition of humanities. As far as the humanities is the study of human achievements in history, it is the stakeholder of humanism. Consequently, the humanities and humanism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Said, the new humanism is receptive in that it reserves the tradition of philology and is resistant in that humanists should be critical of today’s inhumane violences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In order for any imported theory or thesis to be relevant in a given society, it needs to be properly appropriated to the society. A relevant appropriation of Saidian humanism in the Korean society would be to disclose the treacherous humanism of powers, especially transnational capitalistic powers. Today’s Korean society is in need of humanist scholars’ intervention into the widespread political and economic violation of human values.

      • KCI등재

        교양교육을 위한 클레멘트 스쿨 교육과정 구성

        명지원(Myung, Ji-Won)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교양교육의 내용으로서 인문학의 필요성을 밝히고, 클레멘트 코스 운영안과 ‘교육’ 강의스쿨 강의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리 교육의 현실에서는 대학 교육이 더 이상 상아탑의 경험이 아닌 취업지도와 기업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한 대학의 교양교육은 취업에 유리한 과목들로 채워지고, 대학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교양교육과정의 변질은 최근 대학의 딜레마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인문학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인문학은 인간과 인간 존재의 삶 자체를 성찰하기 때문에 실천과 불가분의 관계이다. 인문학은 교육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 가치창조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때, 대상에 대한 단순한 인식에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대상을 비판하고 성찰을 모색한다. 이 논문은 가난한 이들을 대상으로 인문학 강의를 하여 ‘자기성찰적 삶’과 ‘자율성’, ‘비판적 사고’를 길러주어 자기와 외부 환경을 통찰하고 책임 있는 시민을 만드는 일로 전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클레멘트 코스를 지역민만이 아니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만들어 대학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1차적으로 ‘대학생을 위한 클레멘트스쿨’과 동시에 지역민을 위한 과정을 만들어 제시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necessity of humanities as the method of general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Clemente School management plan and curriculum as an educational method of humanities. Questions on nature of education regarding the human image that college education produces are at the center of debates these days. This leads to the reform and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which aims at raising “a genuine human”. However, in the reality of over 80% of students entering college in today s society, college education is no longer only the experience of ivory tower, but it also has to give students vocational guidance and consider the positions of corporations. As a resul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filled with the ones easy for employment.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contains the identity of the college is a dilemma. It is the deep agony about whether the humans the college education produces are the humans fit for what education intends for. In such a reality, th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humanities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is increasing. Since humanities reflects humans and the their lives, it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practice. This study will focus on studying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in general education, name a course “the Clemente School” after the “Clemente Course”, which is a humanities lecture for the homeless/the poor by Earl Shoris, and present a tentative plan of a practical humanities lecture. The Clemente Course is creating a sensation worldwide and has been widely known as an effective program that helps the homeless develop thoughts on “self-reflective life”,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us have an insigh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orm a sense as a responsible citizen. Therefore in this study are introduced the two courses of the Clemente School curriculum, one humanities course, applying the Clemente course in the college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to prepare them as global leaders with good character and one for the local residents of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4차산업혁명과 형법의 인간상

        김한균 ( Kim Han-kyun ) 안암법학회 2018 안암 법학 Vol.0 No.55

        4차산업혁명의 과학기술, 특히 지능정보기술은 초지능화를 실현하며, 인간과 기계, 사물의 각 경계를 뛰어넘어 인간 사고와 상호작용에 인공기계와 사물을 연결하여 새로운 차원의 지능으로 진화한다. 사회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상과 윤리에 대한 논의는 언제나 법학의 주요과제이기도 하다. 4차산업혁명론이 전망하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 인간신체와 정신을 능가하는 인공존재 등장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인간됨에 대한 이해변화까지 이어지게 될 것이다. 그런데 4차산업혁명이 전망하는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인간의 육체와 정신이 기계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증강되면서 새로운 인간존재가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주조한 인공신체와 인공정신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유사인간존재도 나타날 수 있다. 새로운 인간존재와 유사인간존재가 종래 인간상의 경계를 흔들리게 할 때 법의 인간상의 핵심내용과 형법상 실천적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진화할까? 결국 형법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인간상 수용여부 논의는 범죄론과 형벌론으로 전개될 것인데, 예컨대 행위능력, 책임능력, 수형능력, (소송)당사자능력, 소송능력의 각 문제마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4차산업혁명 대응과 포스트휴먼 전망 과정에서 열릴 수 있다. 4차산업혁명시대 과학기술은 생명과 신체뿐만 아니라 인격권과 재산권, 그리고 새로운 재산권인 정보의 내용과 범위를 서로 다른 체(體)와 격(格)과 소유와 정보를 가진 포스트휴먼의 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체와 격과 정보를 엄격한 제한원칙과 절차에 따라 박탈하거나 제한하는 최후수단으로서의 형법만큼은, 그 기능은 변화할지라도 고유의 법영역으로서 그 의미를 유지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혁명적 과학기술 변화발전을 선용하려면, 인간을 완성시키거나 초월적 인간으로 나아가는 일보다,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가 다같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계를 만드는 방향이어야 마땅할 것이다. 4차산업혁명시대 형법은 미래 기술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마당과 책임 있는 결정이 이행될 수 있는 사회질서의 일부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essay deals with possible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in criminal law, expected to be realized in the era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ies, such as super-computing, intelligent robots, self-driving cars, neuro-technological brain enhancements, or genetic editing that are fusing the physical, digital and biological worlds, impacting economies and industries, and even challenging ideas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Imago homini in jurisprudence will be reexamined and be newly understand in the context of the new social order created by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s for modern criminal law, human has been understood as the totality of body, mind, consciousness and spirit. Such understanding also has been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or animal. If human can be changed or augmented by other beings of machine and animal, or any artificial things, will there be any new jurisprudence on the nature of human? What will be the responsibility of any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or super intelligence, when it act against human and violates other beings? Will artificial being made for human can be disposable for human? When the network of human and things be extended to artificial agents, will rights and responsibility be transformed? Accepting the new understanding of human will be discussed under the post-human criminal law.

      • KCI등재

        휴먼인가?포스트휴먼인가?

        박삼열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various definitions of posthumans, to look at the problems of human existence caused by technology-driven human improvement projects, and to look at the human posture of preparing posthumans.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are to investigate the core concepts of N. Bostrom, and R. Kurzweil who idealize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and affirm Post-human, and issues of Post-human through the argument of F. Fukuyama and H. Jonas who don't deny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but pay attention to ethical problems coinciding with them.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reflection of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is human?’, ‘What is Post-human?’ and ‘Is human ability improved or Is this human dignity?’” will be revealed. On the basis of advance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Post-human that would improve human ability, remodel human conditions, and change human life promises to treat disease, to prevent aging, and to overcome death to human beings. The advent of Post-human seems to be inevitable. By science and technology infiltrated deeply into human life, when a human being of the future will be here soon that will change human nature and enhance human ability, along with resul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 can presuppose encounter with ‘a human being after the present human being’ and ‘the present human’, and take a view of his or her future.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포스트휴먼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기술에 의한 인간향상 프로젝트가 야기하는 인간 실존의 문제들을 고찰하며 포스트휴먼을 준비하는 인간의 자세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및 내용은 기술적 변화를 이상화하며 포스트 휴먼을 긍정하는 닉 보스트롬, 레이 커즈와일의 사상을 살펴보고, 기술적 변화를 부인하지는 않지만 기술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주목하고 있는 프란시스 후쿠야마, 한스 요나스의 주장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쟁점들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는 ‘인간은 무엇인가?’, ‘포스트휴먼은 무엇인가?’, ‘인간 능력의 향상’인가 아니면 ‘인간의 존엄성’인가?와 같은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성찰이 드러날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인간 능력의 향상을 이루고, 인간의 조건을 개조하고, 인간 삶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포스트휴먼은 질병의 치료, 노화방지, 죽음의 극복을 약속하고 있다. 포스트휴먼의 도래는 필연적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현재 인간 삶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학과 기술에 의해 인간이 지금 가지고 있는 본성이 변하고 능력이 향상되는 미래 인간이 도래할 때 ‘현재 인간 이후의 인간’과 ‘현재 인간’의 조우를 예측하고 미래의 모습을 조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인간론에 비추어 본 인간의 속성”

        강대훈 한국교회법학회 2024 교회와 법 Vol.11 No.1

        “요한계시록의 인간론에 비추어 본 인간의 속성” 본 논문은 소수의 사치를 위해 다른 인간을 철저히 수단시한 모습을 반영하는 요한계시록의 인간론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을 경제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주체의 부정적인 측면을 예측하고 어떤 윤리적 지침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인간의 속성에 대한 해석에서 지혜를 얻고자 한다. 첫째, 요한계시록에서 인간을 지칭하는 용어인 ‘프쉬케’가 사용된 본문은 인간의 여러 모습을 묘사한다. 계시록 6:9과 20:4에서 “영혼들”은 신실한 믿음 때문에 죽은 신자들로서 새 하늘과 새 땅을 기다리면서 하늘에 있다. 이들은 땅의 관점에서는 효용성이 없고 가치 없는 존재로 죽임을 당했으나 하나님의 시각에서는 참으로 존귀하다. 하나님께 가까이 있으며(6:9-11) 천 년 동안 하늘에서 통치하는 지위를 얻었다(20:4). 바벨론이 상징하는 로마는 탐욕을 채우는 수단으로 인간을 노예로 매매했다(18:12-13). 그러나 인간은 당시에 노예를 지칭한 “몸들”이 아니라 “인간의 영혼들”, 즉 사람의 생명이다. 인간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고 다른 인간을 착취하는 잔혹성과 비정함을 보인다. 둘째, 짐승과 거짓 선지자의 멸망을 묘사하는 요한계시록 19:19-21에서 짐승은 인간이다. 본문은 부와 권력을 가진 인간이 목적이 되는 위험성을 지적한다. 셋째, 계시록에 나타난 재앙의 장면은 인간을 재앙의 원인으로 묘사한다(6:1-8; 9장). 재앙에 등장하는 혼합체(하이브리드)는 기괴한 생김새와 인간의 모습을 갖고 있는데, 이는 악이 모습을 취하고 있음과 악을 행하는 인간이 짐승의 특징을 드러냄을 의미한다. 넷째, 지상의 인간은 일반적으로는 짐승의 권위에 복종하지만 모두 어린 양의 피를 통해 속량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다(예, 11:11-13; 15:4; 21:3). 결론적으로 인간이 목적이 되거나 수단이 되는 것은 재앙이며, 인간은 어린 양이 피를 흘려 속량하고자 하는 가치 있는 존재다. Human Nature in Light of Anthropology in the Book of Revelation Kang, Daehoo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uman nature in light of the anthropology in the Book of Revela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thical concerns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the term “psyche” (ψυχή) used in Revelation to refer to the lives of humans depicts various aspects of humanity. In Revelation 6:9 and 20:4, the souls are the faithful believers who were killed for their faithful testimony on earth and are in heaven.* Professor of Chongshin University & Seminary, Pastor. From an earthly perspective, they were treated poorly as seemingly useless and worthless, but from the heavenly perspective they are truly precious. They are close to God (6:9-11) and have been given the authority to reign in heaven for a thousand years (20:4). In addition, Babylon, symbolizing Rome, traded humans as slaves (“bodies”) to satisfy her greed (18:12-13), but humans are not the “bodies”but “the souls of humans,”i.e., human lives. It is a tragedy as it is humans who exploit other humans to pursue their desires. Second, in Revelation 19:19-21, which shows the destruction of the beast and the false prophet (=the second beast), the beast represents a human being as this image symbolizes the Roman emperor or the imperial power. Third, the plagues in Revelation depict humans as the cause of disasters (6:1-8; chap. 9). The hybrids appearing in these plagues have bizarre appearances and human features, indicating that evil operates significantly in the form of humans. Fourth, those who are on earth and the nations are tended to submit to the authority of the beast but are expected to be redeemed by the blood of the Lamb (e.g., 11:11-13; 15:4; 21:3). The concept of humans in Revel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employers who use AI for economic profits. The seer John shows that a human being should neither be the purpose nor the means of other humans. Humans are also presented as valuable beings whom the Lamb seeks to redeem with his bl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