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지펀드의 지배구조에 관한 고찰

        노미리(Noh Mie Ree) 한국부패학회 2016 한국부패학회보 Vol.21 No.1

        2015년 7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하면서 주주행동주의가 재조명받게 되었는데, 헤지펀드는 대상 기업의 지배구조가 아닌 자신의 구조와 운영을 개선하라는 압력에도 직면하고 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은 2015년 7월 24일 개정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금융투자업자는 인가를 받아야했으나 개정된 자본시장법에 의하면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는 인가가 아닌 등록만으로 업무가 가능해졌다. 즉, 헤지펀드 진입에 대한 규제가 크게 완화되었다. 이러한 헤지펀드의 규제 방향은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헤지펀드의 지배구조에 있어서 수익자총회, 주주총회 관련 규정의 적용이 배제되므로 이사, 감사, 감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케이만군도, 아일랜드는 이사,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있고, 한국(자본시장법) 역시 이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의 헤지펀드에 관한 규제는 위 국가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헤지펀드의 경우 역외펀드가 많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법령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 보면 한국에서 헤지펀드에 관한 규제가 특히 심하지는 않다. 그러나 헤지펀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불필요한 규제는 없앨 필요가 있다. 헤지펀드와 관련하여 다른 나라에서 폐지하거나 새로 시행하는 법령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In July 2015, shareholder activism was in the spotlight because the U.S.-based hedge fund Elliott opposed to the merger of Samsung Corporation and Cheil Industries. However hedge funds are also facing pressure to improve their structure and operatio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hereinafter ‘FISCMA’) was amended on July 24th 2015. Previously, no one engage in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excluding investment advisory business and discretionary investment business) without authorization for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But after the enforcement of amended FISCMA,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concerning privately placed fund for qualified investors only doesn’t need to get authorization. It shall register with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other words, restrictions on the entry of hedge funds was greatly relieved. Regulatory direction on these hedge funds seems to meet the global trend. In the governance of hedge funds, the role of directors, an auditor and the audit committee is important. So many countries such as Cayman Islands, Ireland are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s of directors, non-executive directors. FISCMA is also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 of directors. So regulation of hedge funds in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ROK’) is similar to those countries. In the case of hedge funds, there are so many offshore funds, so it is important to compare and review the statutes of other countries. Above mentioned, Comparing with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e hedge funds in ROK is not highly regula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unnecessary regulations in order to activate the hedge funds. Legislation which is enforced or repealed concerning hedge funds in other countries is noteworthy.

      • KCI등재

        사모펀드 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안경봉,손영철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In recent years, the size of private equity investment organiz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vate equity funds”) under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reason why private equity funds are activated is that private autonomy is widely recognized unlike the public offering funds under the regulatory law, and as with corporate system, the anonymity of the investor is guaranteed, but it also bears limited liability, not paying corporate tax. The principle of diversified investment, the principle of mark to market, or the principle of buying back from time to time are not appli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which are sold for a small number of wealthy person, unlike public offering funds sol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small investors. Private equity funds need to be differentiated in taxation as they differ in nature from public offering funds. Moreover, the private equity funds are more likely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economic substance of any transaction or activity is the same, they can select a legal transaction or activity with minimal tax burden (the likelihood of tax avoidance). The need to design a tax law so that the private equity funds take the same tax burden in any legal form is greater than the public offering funds. However, according to the current tax regim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re taxed in the same way without discrimination from the public offering funds, if it falls under the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 under the Income Tax Law and the Corporate Tax Law. Since the private equity fund sto have legal personality, are taxed as a legal entity, otherwise being taxed differ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eviat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of handling the same taxation in the same economic function. In the taxation of private equity funds, there is no reason to apply the logic of tax equilibrium with direct investment applied to public offering funds,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taxation system according to its own taxation logic. Therefore, I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regarding the taxation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irst, private equity fund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s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and corporate tax law. Second, trust-type and non-corporate private equity funds without legal personality, by being assumed to be a corporation and that equity to be assumed to be stock under the tax law, should be taxed in the same manner as private equity funds with legal personality. Third, the dual tax adjustment method of private equity funds is to be taxed by selecting the pay-through method in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nd the revised pass-through method in the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or a management participation private equity funds, it is not appropriate to separately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interest income from the income allocat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and impose a withholding obligation on that part. In addition, if the private equity funds does not choose to apply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it i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dividend deduction provisions.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ax evasion using passive business partner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vision of the private equity funds in the direction of withholding and paying for each income. 최근 자본시장법상 사모집합투자기구(이하 ‘사모펀드’라 한다)의 설정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모펀드가 활성화되는 이유에는, 규제법상 공모펀드와 달리 사적자치가 폭넓게 인정되고, 법인제도와 같이 투자자의 익명성이 보장되면서도 유한책임을 부담하며, 법인세 부담도 지지 않는 등 조세편익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소수의 재산가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사모펀드는 불특정 다수의 소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공모펀드와 달리 분산투자의 원칙, 시가평가의 원칙, 수시환매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 그 성격이 다른 만큼 과세에 있어서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 사모펀드는 어떤 거래나 행위의 경제적 실질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조세부담이 최소인 법적 거래나 행위를 선택할 가능성(조세회피 행위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모펀드가 어떤 법적 형태를 취하든 동일한 과세부담을 지도록 세법을 설계할 필요성은 공모펀드보다 크다. 그러나 현행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제도는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면 공모펀드와 차별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과세하고 있고, 사모펀드의 법적 형태가 법인격이 있는 경우에는 법인으로 과세되고, 법인격이 없는 경우에는 달리 과세되고 있어서, 동일한 경제적 기능에 동일한 과세상 취급이라는 논리구조와 괴리되어 문제가 있다. 사모펀드의 과세에 있어서는 공모펀드에 적용되는 직접투자와의 과세형평이라는 논리를 적용할 이유가 없으며 그 나름의 과세논리에 따라 과세제도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에 연구자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행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의 범위에서 사모펀드를 제외한다. 둘째, 법인격 없는 신탁형․조합형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세법상 법인으로 의제하고 그 지분권도 주식으로 의제하여 법인격 있는 사모펀드와 동일하게 과세한다. 셋째, 사모펀드의 이중과세 조정방법은 사모펀드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pay-through method를,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현행과 같이 수정된 pass-through method를 선택하여 과세한다.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에 관해서는 PEF에 배분된 소득 중 이자소득에 해당하는 금액을 별도로 산출하여 해당 부분에 대해 원천징수의무를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지급배당공제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선택한 경우 수동적동업자 규정을 이용한 조세회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PEF의 경우에도 각 소득별로 원천징수하여 납부하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헤지펀드와 관련된 불공정거래행위에 관한 고찰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승영 한국증권법학회 2011 증권법연구 Vol.12 No.3

        미국의 금융시장에서 헤지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약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헤지펀드와 관련된 불공정거래행위들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헤지펀드 자문업자에 대한 SEC의 제재조치가 100건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사건들의 상당수가 내부자거래와 관련된 사건들이다. 월 스트리트로부터 헤지펀드로의 정보유출 가능성은 SEC와 검찰이 항상 주목하고 있는 조사항목 중 일순위이다. 최근에 금융거래 규제기관들이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부분은 이른바 헤지펀드의 ‘정보컨설턴트’(Information Consultants)가 기업의 자금을 빌려 주는 입장에서 기업정보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PIPE’(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 거래에서 취득하게 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등이다. 위와 같은 부정행위의 증가로 인하여 SEC는 꾸준히 헤지펀드의 등록 강제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헤지펀드의 부정행위를 억제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Goldstein 판결 이후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결국은 도드-프랭크 법안의 통과로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우리 정부는 최근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통해서 이른바 한국형 헤지펀드를 도입하였다. 헤지펀드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도 큰 반면에 그 성격상 잘못 운용될 경우에 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매우 크다. 그러므로 헤지펀드의 역기능을 줄이고 그 순기능을 한국 금융시장에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헤지펀드의 역사가 긴 미국의 헤지펀드와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와 사례 등을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가장 적합한 헤지펀드의 규제방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우리나라는 적어도 헤지펀드의 도입 초기에는 운용자의 등록의무를 강제하고 정보차단장치와 준법감시제도를 더욱 강화하며 자율규제기관인 거래소의 역할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헤지펀드와 관련한 불공정거래 행위를 규제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recent passage of the Dodd-Frank Act introduced a new regulatory regime for hedge funds and their managers. The Act requires more hedge fund managers to register as investment advisers and implements a significantly enhanced set of disclosure and reporting requirements. The Act also empowers the SEC to define the depth and breadth of this new regulatory regime through future rule-making. When discuss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hedge funds into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began, there was an intense dispute concerning whether hedge funds will impose risk to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While hedge funds have helped make Korean financial markets more efficient, they may hurt investors and the financial markets through investor fraud and market manipulation, such as insider trading, late trading and market timing. Recently, such practices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as the industry expands rapidly due to the market competi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FISCMA), Korea will introduce hedge funds to its financial market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securities law violations by hedge funds, one reasonable approach is to modify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private equity fund regulations as appropriate to hedge funds. Korean hedge fund advisers should not be exempt from the basic regulation applicable to other private equity fund advisers. It should be clear that Korean hedge fund managers should be registered with the government regulators under a robust investment adviser regulatory regime. The government regulators should also strengthen the new "Chinese Walls" regulation to reduce hedge fund fraud. Chinese Walls are operational protocols established by hedge funds to prevent cross-leakag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between various traders working with different investment or securities. Furthermore, establishing a self-regulatory organization can eliminate the need for investors to conduct extensive due diligence on hedge funds. Korean hedge fund investors will likely unsophisiticate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vesting in U.S. hedge fund. Therefore, without such protection, Korean hedge fund investors,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investing expertise, will remain "naked" with the introduction of hedge funds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 KCI등재

        SRI펀드와 일반주식형펀드의 투자성과 비교

        박정윤 ( Jung Yoon Park ),손성훈 ( Seung Hoon So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vestment performance comparatively between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in Korea. To find the difference of investment performance, using Sharpe Ratio, Jensen`s ratio, Treynor ratio,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ed the excess return index. In addition, differences in investment performance are generally known to affect fund performance of the fund age, fund size, risk, and the number of sales companies, the information ratio even when controlling for the variables appe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ducted t-test. Specifically, based on actual data of domestic stock fund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overall , SRI funds and matching i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General Stock Funds outperformed the SRI funds during the study period through t-test. To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of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t-test was performed using Sharpe ratio, Jensen`s ratio, Treynor ratio. SRI funds and the General Stock Funds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t-tests were conducted. One of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targeting the entire sample test was conducted, and one of the SRI funds and 1:1 matching General Stock Funds was conducted t-test. In this case, 1:1 matching General Stock funds sample were same type of management companies with SRI funds and a similar sized sample were selected. T-test results, negative for t-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wo test. This is likely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e performance of General Stock Funds than SRI funds. Second, General Stock Funds outperfo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ven after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age of fund, size of fund, risk of fund, numbers of sales firms, and information ratio of fund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investment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even after controlling the fund`s investment performance is expected to affect the fund`s age, fund size, risk, numbers of sales, and information ratios, SRI Fund dummy variable statistical as negative (-), respectively. Analysis period, the General Stock Funds performa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SRI fund. Third, IR variable across the whole period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which implies that active investment activities of fund managers and fund management capabilities might influence the rate of return.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what we expect since there are many evidences for outperformance of SRI. It seems that fund managers tend to have more aggressive investment activities in General Stock Funds than SRI funds because General Stock Funds included lots of large firms` stocks. IR variable in all three periods appeared to be significant positive t-values suggesting active investment activities of fund managers and operational capacity to affect significantly the performance. And the average comparison of the result in IR variable of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the IR levels of General Stock Fu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suggesting fund managers the General Stock Funds than SRI to more aggressive invest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skills. This is the nature of the Funds in the case of SRI funds, including a lot of big blue-chip stock or major firm because it tends to neglect. Therefore, In the case of share price drop period, SRI funds had a lower rate of return than the General Stock Funds that was sensitively investment activ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y. In addition,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variable, the difference between returns of SRI funds and General Stock Funds appears to verify that the added value of the dummy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In other words,, it is show that the General Stock Funds return is higher than SRI funds. IR variable throughout the life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appeared suggesting the fund manager`s active investment management activities and operational capability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d`s returns can be interpreted.

      • KCI등재

        논문 : 변동성타이밍과 펀드 현금흐름 타이밍의 관계

        김상배 ( Sang Bae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5 금융지식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식형펀드의 변동성 타이밍과 펀드 현금흐름 타이밍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본기간(2001년 1월 - 2013년 5월) 동안 510개의 펀드를 대상으로 오류발견율(FDR)접근법을 활용하여, 먼저 양(+), 음(-) 그리고 제로 변동성 타이밍 전략을 가진 펀드로 구분한다. 변동성 타이밍 전략에 따른 세 가지 그룹의 펀드들을 횡단면 분석을 통해 변동성 타이밍과 펀드 현금흐름 타이밍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 음(-)의 변동성 타이밍 전략을 가진 펀드에서 변동성 타이밍과 펀드 현금흐름 타이밍이 서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장 변동성이 증가할 때 펀드의 베타를 감소시킴으로서 시장 위험을 헤지하는 펀드의 경우 펀드로의 자금유입이 증가하거나 자금유출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규모, 가치, 모멘텀요인 계수들과 변동성 타이밍 계수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공격적 펀드일수록 시장 변동성이 증가할 때, 펀드의 베타를 줄이거나 다른 펀드보다 베타를 증가시키는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펀드의 평균 순자산총액(TNA)과 변동성 타이밍 계수의 관계는 모든 경우에서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가지고 있어, 국내 주식형펀드의 변동성 타이밍 능력은 펀드의 규모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timing and fund flow timing in Korean equity funds. We use 510 funds including live and defunct funds, which exist during sample period (January 2001 to May 2013). After dividing our sample funds into three groups (positive, negative and zero volatility timing funds) using the false discovery rate approach,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timing and fund flow timing in three groups by utilizing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approach.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unds with negative volatility timing have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volatility timing and fund flow timing, suggesting that these funds, which already hedge market risk by reducing the fund’s beta in response to higher market volatility, encounter higher cash inflow into or lower cash outflow from funds. Whe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timing coefficients and factor loadings (SMB, HML, UMD), we found that in case of higher market volatility, more aggressive funds tend to reduce their betas more than the other funds. Finally, we foun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funds and volatility timing coefficients is not significant, implying that volatility timing is not related to the fund size in Korean equity funds.

      • KCI등재

        사모펀드 규제의 한계와 투자자 보호 개선 방안

        원승연 한국금융학회 2024 금융연구 Vol.38 No.2

        이 논문은 자산운용사의 대리인 문제나 신인의무 위반이 사모펀드 투자자 피해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는 인식하에서, 사모펀드 투자자 보호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로 구분한 펀드 제도는 개인투자자의 위험감수 능력 및 투자 판단 능력에서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개인의 투자 범위를 제한하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제도이다. 둘째, 시장의 감시 기능이 제도적으로 활용될 수 없는 사모펀드에 대한 정부의 규제와 감독은 근본적으로 투자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이러한 사모펀드 투자자 보호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사적 자치를 강조한 규제 완화와 개인투자자의 사모펀드 투자 범위 확대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개인의 사모펀드 투자 피해의 주요한 원인을 제공했다. 넷째, 사모펀드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해서는 적격투자자 요건을 폐지하는 등 개인의 사모펀드 투자를 보다 제한해야 하고 자산운용사의 신인의무 위반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규제 체계를 보완해야 한다. 다섯째, 정부의 자산운용시장에 대한 정책은 성장 중심의 산업정책이 아닌 투자자의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는 환경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도록 근본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protect individual private fund investors,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problem of an asset manager's agent or violation of fiduciary duty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damage to private fund investor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fund system divided into public funds and private funds is the one which limits the scope of each individual investor’ fund investment, with acknowledg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individual investor' ability to judge investments and take investment risks. Second, the government's regulation and supervision on private funds, where the market monitoring function cannot be systematically utilized, has the limitation to function for investors protection. Third, the financial authorities provided a major cause of individual investors’ damage by simultaneously easing regulations for private funds and expanding the scope of qualified individual investors to invest in private funds. Fourth, the regulation change on the private funds system in 2021 was insufficient to supervise the compliance of asset management companies with fiduciary duties though the government emphasized on strengthening regulations for individual investors’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made a mistake maintaining qualified individual investors who are permitted in investing in private funds by only the criteria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It leaves the room for individuals who lack the ability to take the risk of private funds to suffer damage from private fund investment. Fifth,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private fund investors, it should be prioritized to abolish the provisions which the qualified individual investors can invest in private funds. Also the regulation should be supplemented for advancing investor protection against the breach of fiduciary duty by the asset management companies. Sixth, ultimately, the financial authorities should shift its policy direction from prioritizing quantitative market growth to enhancing the market integrity in fund markets.

      • KCI등재

        ETF 도입 후의 인덱스펀드의 변화

        최형석,이운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3

        In this paper, we indirectly examine the changes in the investment strategy of index fund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passive investment products, around the introduction of the Exchange Traded Fund (ETF) in Korean stock marke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index funds, they have focused on the demand in the market from the fund investor’s point of view rather than the supply which is the fund manager given the structure of index funds which would not allow the fund manager to adjust the portfolio in an active way. Since KOSPI200 was introduced in the Korean stock market in 1990, a great number of investment products following the index have been launched. Out of these products, we examine the index funds and KODEX200, both of which follow the KOSPI200 as a benchmark. The sample period is from January, 1990 to June, 2010 and 175 index funds following KOSPI200 have been examined in this study. We note that the average correlation between daily KOSPI200 return and daily index fund return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87 during the first half year of 1996 to 0.99 during the first half year of 2010. This increased correlation motivates u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index funds returns and the KOSPI200 returns. We find that the sensitivity of index fund returns to the KOSPI200 return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ETF. This increased sensitivity remains significantly after controlling the fund size, fees, and other variables that are reported to have explanatory power for the fund return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is, the index fund manager adjust her investment strategy to attract investors as the strong competitor (ETF) appears to the market. The empirical analysis with the correlations and tracking errors presents the similar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DEX200 return and the KOSPI200 return is close to 1 over the sample period and the sensitivity of the KODEX200 return on the KOSPI200 return is close to 1 with very small tracking error. We observe that the tracking error of index fund has decreased since the ETF introduced to the Korean stock market. We categorize the whole sample into two groups-equity index funds and enhanced index funds. In both groups, we find the sensitivity of index funds returns to KOSPI200 return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TF was introduced. In general, the enhanced index funds are more sensitive to KOSPI200 returns than the equity index funds are. I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for KOSPI200 returns with enhanced index funds is 0.981 but the coefficient with equity index funds is 0.861 over the whole sample period. However, when we add the interaction term with the KOSPI200 return and the dummy variable for the ETF introduc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mergence of the competitor, the sensitivity increased from 0.921 to 0.984 with enhanced index funds but the sensitivity increased from 0.798 to 0.893 with equity index funds. Thus, equity index fund manager reactive more sensitively to ETF introduction than enhanced index funds manager. From this, we suggest that index fund investor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apparent factors such as trading fees but also the implicit factors such as the fund manager’s ability. Since the actual portfolio information for the index funds is not available to the author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cannot be interpreted as a direct evidence for the index fund managers behavior. However, this could be resolved as the actual portfolio composition for the individual index fund is examined. We leave it to future research to explore these effects fully. 본 연구는 소극적 투자의 대표적인 상품인 인덱스펀드(Index Fund)의 펀드매니저가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ETF)의 도입에 대응하여 변화된 투자전략을 간접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인덱스펀드나 ETF의 수요자인 투자자의 입장에서 많은 분석이 시행된 반면, 구조적으로 운용의 폭이 클 수 없는 인덱스펀드의 펀드매니저 입장에서의 분석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1990년 1월 3일 KOSPI200지수가 탄생함에 따라 지금까지 KOSPI200을 추종하는 여러 상품이 시장에 선을 보이게 되었는데, ETF와 인덱스펀드의 공통요소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러한 KOSPI200지수를 표적지수로 삼는 인덱스 펀드와 ETF 상품인 KODEX200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199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10년 6개월간이었으며, 추출된 KOSPI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의 수는 175개이다. 실증분석 결과, 인덱스 드는 ETF 도입 이후에 벤치마크 지수를 더욱 강하게 추종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설명서 유무, 펀드판매 회사의 수, 펀드의 설정기간 및 수수료, 그리고 펀드의 설정액 규모를 통제한 이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ETF 도입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점을 보유하고 있었던 인덱스 펀드라는 상품이 단점을 개선하고자 인덱스펀드 상품 본연의 목적에 최선을 다하는 구조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변화는 상관계수 분석, 회귀분석 및 추적오차 분석 등을 통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소극적 투자 상품인 인덱스펀드의 선택에 있어서도 수수료 등의 표면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펀드매니저의 능력 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할 수 있는 자료의 한계로 인해 인덱스 펀드의 구성 종목주식 개개의 수익률을 분석하지 못하고 인덱스펀드 자체의 일별수익률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간접적인 분석으로 인해 그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개별 인덱스펀드의 구성 종목의 일별 수익률과 구성 비율 등의 자료가 주어지면 해결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공모펀드와 연기금 위탁펀드의 성과, 운용스타일 및 성과지속성에 관한 비교 연구

        정문경,성현모,김현수 한국재무관리학회 2015 財務管理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formance, style, and performance persistence between the public equity funds and the fiduciary pension funds and the results are in the following. First, our analysis shows that the fiduciary pension funds have higher surplus profitability rate against benchmark, after expense deductions, than the public equity funds. However, this superior performance of the fiduciary pension funds is mainly due to their lower expenses than those of the public equity funds. Second, our analysis shows that the fiduciary pension funds invest more in value stocks than the public equity funds while the public equity funds focus more on the short-term and momentum based investment than the fiduciary pension funds. Third, our analysis shows that the poor performance of the bottom performing public equity funds lasts in 3 month period, but it does not last over 3 month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top performing fiduciary pension funds lasts in 3 and 6 month periods, but it disappears in 12 month period. However, these results are valid only with some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and we cannot conclude that there is a performance persistence in either of the public equity funds and the fiduciary pension funds. 연기금의 입장에서 외부위탁운용의 목적은 투자의사결정의 분권화를 통하여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의 완화 및 위험 분산을 이루고, 직접운용을 보완하며 외부 전문성을 활용하여 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금 전체의 수익률을 향상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연기금 위탁펀드와 공모펀드의 성과, 운용스타일 및 성과지속성을 비교 분석하여 연기금 펀드운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비교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기금 위탁펀드와 공모펀드의 성과를 비교해보면, 비용차감 전의 경우 공모펀드가 연기금 위탁펀드에 비해 BM(벤치마크) 초과수익률이 다소 높지만, 비용차감 후의 경우에는 연기금 위탁펀드가 공모펀드에 비해 높은 BM 초과수익률을 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당부분 연기금 위탁펀드의 비용이 공모펀드의 비용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용스타일 차이를 비교해보면, 연기금 위탁펀드는 공모펀드에 비해 가치주 중심의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모펀드는 연기금 위탁펀드에 비해 단기적인 운용과 모멘텀 위주의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성과지속성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공모펀드의 경우 성과의 지속성이 하위펀드의 경우 3개월 기간에서 어느 정도 존재하였지만, 그 이상의 기간에서는 성과지속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에 연기금 위탁펀드의 특징은 과거 수익률이 높은 상위펀드들에게서 3개월과 6개월의 측정기간에서 성과지속성이 나타났으며, 12개월의 측정기간에서는 성과지속성이 사라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들은 모두 다 제한된 지표들에서만 나타나며 공모펀드나 연기금 위탁펀드의 경우 모두 다 확실하게 성과의 지속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헤지펀드와 관련된 불공정거래행위에 관한 고찰

        윤승영(Yoon, Seung Young) 한국증권법학회 2012 증권법연구 Vol.12 No.3

        미국의 금융시장에서 헤지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약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헤지펀드와 관련된 불공정거래행위들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헤지펀드 자문업자에 대한 SEC의 제재조치가 100건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사건들의 상당수가 내부자거래와 관련된 사건들이다. 월 스트리트로부터 헤지펀드로의 정보유출 가능성은 SEC와 검찰이 항상 주목하고 있는 조사항목 중 일순위이다. 최근에 금융거래 규제기관들이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부분은 이른바 헤지펀드의 ‘정보컨설턴트’(Information Consultants)가 기업의 자금을 빌려 주는 입장에서 기업정보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PIPE’(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 거래에서 취득하게 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등이다. 위와 같은 부정행위의 증가로 인하여 SEC는 꾸준히 헤지펀드의 등록 강제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헤지펀드의 부정행위를 억제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Goldstein 판결 이후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결국은 도드-프랭크 법안의 통과로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우리 정부는 최근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통해서 이른바 한국형 헤지펀드를 도입하였다. 헤지펀드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도 큰 반면에 그 성격상 잘못 운용될 경우에 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매우 크다. 그러므로 헤지펀드의 역기능을 줄이고 그 순기능을 한국 금융시장에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헤지펀드의 역사가 긴 미국의 헤지펀드와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와 사례 등을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가장 적합한 헤지펀드의 규제방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우리나라는 적어도 헤지펀드의 도입 초기에는 운용자의 등록의무를 강제하고 정보차단장치와 준법감시제도를 더욱 강화하며 자율규제기관인 거래소의 역할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헤지펀드와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recent passage of the Dodd-Frank Act introduced a new regulatory regime for hedge funds and their managers. The Act requires more hedge fund managers to register as investment advisers and implements a significantly enhanced set of disclosure and reporting requirements. The Act also empowers the SEC to define the depth and breadth of this new regulatory regime through future rule-making. When discuss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hedge funds into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began, there was an intense dispute concerning whether hedge funds will impose risk to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While hedge funds have helped make Korean financial markets more efficient, they may hurt investors and the financial markets through investor fraud and market manipulation, such as insider trading, late trading and market timing. Recently, such practices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as the industry expands rapidly due to the market competi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FISCMA), Korea will introduce hedge funds to its financial market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securities law violations by hedge funds, one reasonable approach is to modify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private equity fund regulations as appropriate to hedge funds. Korean hedge fund advisers should not be exempt from the basic regulation applicable to other private equity fund advisers. It should be clear that Korean hedge fund managers should be registered with the government regulators under a robust investment adviser regulatory regime. The government regulators should also strengthen the new "Chinese Walls" regulation to reduce hedge fund fraud. Chinese Walls are operational protocols established by hedge funds to prevent cross-leakag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between various traders working with different investment or securities. Furthermore, establishing a self-regulatory organization can eliminate the need for investors to conduct extensive due diligence on hedge funds. Korean hedge fund investors will likely unsophisiticate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vesting in U.S. hedge fund. Therefore, without such protection, Korean hedge fund investors,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investing expertise, will remain "naked" with the introduction of hedge funds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 국부펀드의 효율적 자산배분 - 상품펀드를 중심으로

        박용덕 ( Park Yong Duk ) 한국STATA학회 2022 The Korean Journal of STATA Vol.7 No.1

        국부펀드는 그 재원을 기준으로 상품펀드(Commodity Funds)와 비상품펀드(Non-commodity Funds)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품펀드는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원유 등 자원의 매각대금 또는 이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이하 배경자산)을 재원으로 한다. 자산배분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품펀드의 자산배분 시 동 배경자산으로 부터 발생하는 위험을 고려하여야 하나, 2009년 이후 상품펀드와 비상품펀드의 채권에 대한 자산배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자산배분과 관련하여 첫째, 상품펀드의 경우 투자만기가 비상품펀드에 비하여 장기이어서 나타나는 위험자산의 증가효과(또는 채권의 감소효과)가, 둘째, 상품펀드의 배경자산인 석유와 주식시장과의 상관관계가 2009년 이후 양(positive)으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위험자산의 감소효과(또는 채권의 증가효과)가 상쇄되어 나타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향후 석유와 주식과의 상관관계 변화시 금융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예측하는데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WF can be distinguished from commodity funds and non-commodity funds in accordance with its sources. Among these, commodity funds are sourced from oil and, or oil related ones, which are called background assets. Even though the background assets shall be considered in an asset allocation process, we may not find any meaningful discrepancy between the one of commodity funds and the one of non-commodity funds. Based on my research, it can be explained as below. Firstly, the investment horizon of the commodity funds is longer than the one of non-commodity funds.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oil and stock market has been positive since 2009. These points illustrate that there will a need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oil and stock market in a periodic manner and review whether there will be any impact on the stock market considering AUM of SW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