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안굿 전승자 학습 변화의 의미

        정연락 ( Jung Youn-ra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동해안굿은 대한민국의 동해안 일대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고성 일대에서 부터 부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어촌마을에서 행해지는 굿이다. 동해안굿은 거의 세습무를 중심으로 연행되는데, 이 논문은 동해안굿의 세습무 집단 중 김석출 무계의 학습 양상을 세습무와 학습무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변화하고 있는 동해안굿 학습 양상이 가진 의미를 규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세습무는 집이 곧 교육 현장이었다. 어릴 때부터 굿판에 따라다니며 소리며 춤을 연행하게 해보아 실전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를 이어 무업을 계승해오던 세습무 가계에서 더 이상 자손들이 무업을 이어받지 않게 되면서 무업의 계승과 학습 방식에 변화가 발생했다. 1980년대 이후부터 굿이 가, 무, 악이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인정받아 국가 및 각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고, 예술대학 등에서 전공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무속을 전공한 새로운 학습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 학습무는 대학, 동해안별신굿보존회, 굿이 진행되는 현장 등에서 동해안별신굿의 연희 능력을 체계적으로 전승받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세습무가 학습무들을 받아들여 무업을 계승해나가며 굿의 연행 집단과 굿을 수용하는 마을 사람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와 달리 굿이 한국전통예술의 원형으로 가무악 총체적 학습의 산물로 인정받으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을 받게 됨으로써 무당의 사회적 지위와 개인적 자존감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과거 천시 당하던 무당이 아닌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전통예술인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굿 현장이나 마을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그 지위나 대우가 많이 달라졌다. 마을 구성원들도 무집단의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 과거와 달리 새로운 학습적인 요소들이 첨가된 것에 대해 인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마을단위에서도 전통적인 굿의 형식이나 제의만을 주장하기보다 마을 주민 모두가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 형식이나 다양한 굿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다. 변화하는 굿의 흐름과 신진 세대의 적응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는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굿판이 점점 축소되는 현실 속에서 동해안굿은 다른 지역 굿에 비해 아직까지는 활발히 연행되고 있다. 힘겹게 동해안굿을 보존해 온 세습무의 뒤를 이어 학습무들이 활발히 유입되고, 연행 집단이 굿의 전통을 보존하는 한편, 굿을 예술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 애쓰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무들은 세습무로부터 배워 온 무속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대에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전승하고자 준비하고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동해안굿은 마지막 세습무의 대를 이어 학습무들이 전통을 계승하고 시대에 맞춰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East Coast Gut, Korean shamanism ritual on its east coastal area, is a Gut held in fishing villages alongside Korean east coastal area from Goseong area in Gangwon-Do to Busan area. East Coast Gut is performed in a series mainly by a successor shaman, Korean shaman, who hasn't received any spiritual power from a Go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thesis lie in that we look over the learning aspects of Seokchool Kim shaman group among other East Coast Gut successor shaman groups after dividing it into 2 categories, successor shaman and learner shaman and based upon this, we reveal the meaning of the learning aspects of East Coast Gut. For successor shamans, home means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they are little, they chased Gut events performing dance in a series to accumulate onsite experiences. However, in the families of successor shamans that have passed their shaman work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descendents didn't inherit shaman work any longer, which changed the way of succession and learning of shaman work. Since 1980's, Gut has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as a kind of general art embracing songs, dance and music and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of the state and each city and province, and at art universities, it was adopted as a required course for its related major, which caused new learner shamans who majored in shamanism to emerge. These learner shamans are taking systematical succession lessons on the performance skills of East Coast Byeolshin Gut at universities, East Coast Byeolshin Gut preservation community, any places where Guts are held and etc.. As changes along time, the successor shamans accepted the learner shamans to pass shaman work down and changes appeared in the notion of towners who accept the performer groups of Gut and Gut itself. Unlike the past, as Gu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as the product of compresensive learning on songs, dance and music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shaman's social status and personal pride and dignity has become very high. As shaman has become positioned as the traditional artist getting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unlike its past image of getting despised, at the site of Gut event or even in the relation with towners, their status and the treatment they get became far different. Even towners, along with shift in shaman groups' generation, take position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addition of new learning elements unlike the past. Even in every town, rather than just insisting on the type or the event purpose of traditional Gut, they think over on the type of festival and the main direction of a variety of Guts with which all of towners can mingle with each other. They are trying to find new meanings in the trend of changing Gut and the adaptation of new generation to this. In our reality of Gut events getting minimalized along with rapid change of times, East Coast Gut is still very actively performed in a series until now compared to Guts in other regions. This is because following the successor shamans who have struggled to preserve the East Coast Gut, the learner shamans are actively inflowing and the series performance groups preserve the origin of Gut and try hard to use Gut as art contents. Besides, the learner shamans systematically organize what they learned on shamanism from the successor shamans and get prepared and try to hand it down to descendents in the closest possible way to preserve its origin. In the future, East Coast Gut will be succeeded by the learner shamans from the last successor shamans to inherit its tradition and develop it to adapt to the times.

      • KCI등재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특징 연구 ‒ 안대 별신굿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형근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7

        This article is mainly about the oicotype. The Gut that is perform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Gangwon-do to Busan, Gyeongsangnam-do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ast Coast-Gut’. Among the Guts of that region, a village Gut named ByeolsinGut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However, East Coast-Gut differs by reg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The place where it is more particularly differentiated is the southern area of the east coast like Ulsan and Busan. The east coast shamans often call it as ‘Namdae (南帶, south area)’. With the replacement of transmitters, however,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so far. Yet, the Gutgeori of ByeolsinGut has not been changed but is being conducted as it was, and the aspects of i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the northern or central area of the east coast.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has two great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northern-central area. First, it secures a lot of Gutgeori which the northern-central area does not have. It includes GamangGut, JeseokGut,BuinGut, HwangjeGut, DaewangGut, DaesinGut, or SeonsaengGut. Because advanced researches only focused on the northern-central area and hardly explored the meaning of those Gut, this article looks into the meaning of Gutgeori which only Namdae ByeolsinGut ha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can be found in the structuralization of Gut. It consists of GyeopGut (double Gut)including NaedangGut and OedangGut.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riteria to distinguish Naedang from Oedang and also the aspects of how any Gut is classified into each of those. 본고는 동해안 남대 지역, 즉 울산, 부산 지역 별신굿의 특징을 밝히는 글이다. 강원도고성에서 경상남도 부산까지의 동해안에서 행해지는 굿을 통칭 ‘동해안굿’이라 부른다. 그런데 동해안굿도 그 세부 지역에 따라 지역적 차별화가 있다. 특히 가장 차별화 되던 곳이동해안 남부인 울산과 부산이었다. 이곳을 흔히 동해안 무당들은 ‘남대’라고 부른다. 하지만전승자들의 교체로 인하여 여러 변화들이 있어왔다. 그럼에도 별신굿의 굿거리들은 변하지않고 그대로 행해지고 있고, 그 양상이 동해안 북부나 중부와 차별화되어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은 굿거리와 굿의 구조화 차원에서 중북부와 큰 차이를 보인다. 첫번째 굿거리의 특징으로 중북부에 없는 굿거리들이 많다. 가망굿, 제석굿, 부인굿, 황제굿,대왕굿, 대신굿, 선생굿 등이 그것이다. 그간의 선행 연구들이 중북부에 집중되면서 남대에해당되는 지역의 무가에 대한 채록 및 연구들이 부족했다. 그러면서 이들 굿의 의미가 제대로 탐색되지 않아 본고에서는 남대 별신굿만의 굿거리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두 번째 특징은 굿의 구조화 특징이다. 안대에서는 없는 안굿과밖굿 개념이 남대에는 존재한다. 전체의 굿을 내당굿과 외당굿으로 나누어 겹굿으로 구성한다. 무엇을 기준으로 내당과 외당으로 나누는지, 각각에 어떤 굿들이 배당되는지 그 양상을 살피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동해안 별신굿 푸너리춤

        장유경 ( Chang Yoo Kyung ),이종희 ( Lee Jong Hee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0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xamine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east-coast Byulshin-Gut and the dances and rhythms performed by the east-coast Byulshin-Gut to understand the dances and rhythms used for each geori of the east-coast Byulshin-Gut, and to realize and restor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various dances through the study on the Puneori-Chum, the representative dance of the east-coast Byulshin-Gut. Puneori-Chum is the dance performed wearing queja with normal attire (skirt, jeogori) and using fan and cloth as the mugu (shamanic tools), performed first when the gut begins, and is the most representative dance of the east-coast Byulshin-Gut performed at almost every geori. This dance is composed of 3-fold structure of cheongshin, oh-shin, and songshin, and each step serves to connect and close the 3-fold structure of each geori. As for dance moves, there are galmae-mugwan, gyeodeurang-mugwan, dolmori-mugwan (dolmeori-mugwan), yang-sawichigi-mugwan (yang-sawuchigi-mugwan), doriggae-mugwan, buchae-sawi, unjeun-sawi, anyou-jjagi, ggachi-ditgi, lifting one foot, jumping off one foot (ggaggeum-jil), and jumping on both feet (ddeuim-ddeuigi), and the movement is composed of the upper motion beginning from head and shoulder and made up with the movement of the arms and the hand holding the mugu, and the lower motion made with the knee, ankle, step, and foot movement. The upper/lower motions form the most common movements in the form of gut dance, which is cross-shaped flow, vertical leap, and the flow alternating between rotation, advance, and retreat, and moreover, form a dance performed at the geori, and the Puneori-Chum of each geori. From this perspective, the Puneori-Chum is the most standardized Korean dance and at the same time, possess the musical and improvisational qualities to serve as the elementary resource for studying Korean shamanic dance. Therefore, this study on Puneori-Chum is believed to initiate resource development regarding Puneori-Chum, progress the resource development of various mumu (shamanic dances) in the east-coast Byulshin-Gut and the restoration of each dance, and more over, establishment of dance moves of Korean shamanic dances and development of dance moves among the creative process of Korean dance for which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ource.

      • KCI등재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홍태한 한국무속학회 2019 한국무속학 Vol.0 No.39

        이 글은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무당굿춤은 지역별, 개인별, 계보별로 편차가 있어 특정 지역 굿의 전형을 도출하기는 쉽지 않다. 무당은 장단에 맞춰 몸짓으로 의미를 표현한다. 그리고 그 의미는 신령과 인간의 소통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무당굿춤은 장단과 필수적으로 연계되며 그에 따른 몸짓이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몸짓의 규정은 대단히 가변적이어서 용인의 범주가 점점 커지고 있다. 과거에 존재하던 춤의 방향, 동작의 숫자 제한은 사라지게 되고 이제는 단순하게 동작만 부합하면 인정하는 것이다. 신령과 인간을 매개하던 무당의 연행은 굿 연행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신령의 표현으로 존재하는 춤은 인정되지만 신령과 인간을 매개하는 춤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장 중요한 것은 무당굿춤의 명칭이다. 무당굿춤의 전형은 무당굿의 연행 양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무당굿춤은 현재 굿 연행에서 사라지고 있어 이는 무당굿춤의 전형이라 할 수 없다. 무당굿춤은 개인의 즉흥적인 변개와 고정된 전승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제의로서의 굿춤과 놀이로서의 굿춤으로 존재한다. 이중 전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변개가 쉽지 않은 제의로서의 굿춤과 고정된 전승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 아래에 서울굿, 황해도굿, 경기도당굿, 호남굿, 남해안별신굿, 동해안별신굿의 굿춤 양상을 살핀 후 각 지역별로 무당굿춤의 전형 몇 가지를 제시했다. 이러한 굿춤 전형의 확립은 무형문화재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유한 무당굿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일임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is on taking a look at the implication of the name in Gut-Chum as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Shaman-Exorcism- Dance). The Mudang-Gut-Chum has certain deviation for each region, for each individual and for each pedigree that it is not easy to formulate the model of Gut in specific regions. A mudang (shaman) expresses the implication with bodily motion with the rhythm. And, the implication is presupposed with the communication of deity and human. The Mudang-Gut-Chum is essentially connected with the rhythm, and the bodily gesture thereof is defined accordingly. However, definition of the bodily gesture is extremely variable that the category of its acceptance has been expanding. Any restriction of dance direction and number of motions existed in the part would disappear, and it is acknowledged if the simple motion is conforming. The performance of shaman that mediates deity and human would recognize the dance existing with the expression of deity due to shortening of the performance time of the gut (exorcism), but the dance to mediate deity and human is gradually disappeare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name of the Mudang-Gut-Chum.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trend of Mudang-Gut. Any Mudang-Gut-Chum not granted with implication has been disappeared now that it cannot be classified as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The Mudang-Gut-Chum is based on the impromptu mediation and fixed succession of individual and it exists as the Gut-Chum as the ritual ceremony and Gut-Chum as play. From the foregoing, the one that can be classified as the model would be the ritual ceremony not so easily mediate on the basis of the Gut-Chum and fixed succession. Under such perception, the tendency of Gut-Chum of Seoul-Gut, Hwanghaedo-Gut, Gyeonggido-Danggut, Honam-Gut, South Coast Byeolsin-Gut, and East Coast Byeolsin-Gut is taken a look, and then a few models of the Mudang-Gut-Chums for each region are presented. Establishment of such Gut-Chum model is presented as a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of the polic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nhance the unique value Mudang-Gut.

      • KCI등재

        진도 씻김굿 무구의 공연예술성

        이경엽 ( Kyung-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2 No.-

        씻김굿 연행의 중심에 무구(巫具)가 있다. 씻김굿이란 이름 자체가 무구 연행과 관련이 있고 < 넋올리기 >, < 고풀이 >, < 길닦음 > 등의 주요 절차들도 무구 이름에서 비롯된것이다. 이런 점을 주목해서 진도 씻김굿의 남다른 점을 밝히고자 했다. 진도 씻김굿은 굿청 장식 무구가 소박하다. 또한 의례용으로만 사용하는 도구는 별로 없고 한지나 대나무를 이용해 현장에서 만들거나 일상용품을 전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상 용구의 의례적 전용을 통한 상징의 생산, 이것이 씻김굿 무구의 독특함이다. 씻김굿을 하는 무녀는 연행 무구를 통해 ‘절연’, ‘풀이’, ‘씻김’, ‘닦음’ 등의 핵심적인상징을 연출한다. 넋올리기는 절연의 가시적 표지이며, 고와 고풀이는 한풀이를 통해이승과의 단절을 형상화한 것이며, 씻김은 물의 정화력을 이용해서 펼치는 인격전환의 정화의례다. 그리고 길베와 길닦음은 저승길과 저승 천도를 상징한다. 씻김굿의 특징이 무구를 활용한 연극적 진행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습무가 활동하는 동해안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진도 씻김굿 무구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동해안 오구굿은 굿청 장식 무구가 대단히 화려한데 비해 진도는 소략한 편이다. 의례용 무구를 보면 두 지역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많다. 동해안 오구굿은 무구 사용이 활발하지는 않다. 이에 비해 진도 씻김굿은 무구를 활용한상징적 연행이 집중화돼 있다. 그리고 서로 긴밀하게 연결돼 있고 맥락화돼 있다. 진도 씻김굿 무구는 예술성 높은 무가 가창, 음악 연주와 결합돼 공연예술성을 강화시켜주는 특징이 있다. Sitgim Gut is, by its name, related to shaman apparatus. Its procedures such as < Nukoligi >, < Gopuli >, < Gildakeum >, and etc. originated from the names of shaman equipment. In the center of gut performance, there is the shaman equipment. Focusing on this,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los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Jindo Sitgim Gut. Jindo Sitgim Gut has rather simple decoration equipment for gut center. For ritual shaman equipment, exclusive equipment is rather rare. The equipment is made from Korean paper or bamboo tree at the scene or ordinary items are used for rituals. The reproduction of symbol through the ritual diversion of ordinary items is the distinctive feature of Sitgim Gut shaman equipment.Shaman expresses the core symbols such as ‘Julyeon’, ‘Puli’, ‘Sitgim’, ‘Dakeum’, and etc through the performance equipment. Nukoligi is a visualized mark of Julyeon; Goe and Gopuli illustrate the severance between this life and the deceased; and Sitgim is a purification ritual of personality through the religious purifying power. In addition, Jilbe and Gildakeum symbolize the road to Hades and transfer to the underworld. The features of Sitgim Gut is in performing feature through utilizing shaman equipment. This article attempted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Jindo Sitgim Gut shaman equipment from multi-level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East Coast areas. Jindo’s decoration equipment for gut center is quite simple while that ofOdu Gut in the East Coast is very splendid.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as in terms of ritual equipment. Odu Gut of the East Coast shows less usage of shaman apparatus. On the other hand, Jindo Sitgim Gut shows symbolic performance through the high usage of shaman equipment. They are closely intertwined and contextualized. The shaman equipment of Jindo Sitgim Gut strengthens performance in artistic aspect by combining highly artistic shaman songs with the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후보

        어촌의 공유자원과 마을굿의 함수관계

        조정현(Cho, Jung-hy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2 民俗硏究 Vol.0 No.25

        마을굿과 공유자원의 전통은 전근대, 일제강점기와 근대화, 현대자본주의 등을 거치면서 다종다양한 양태들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왜곡되고 비틀어져 단순논리로 설명되기 힘든 양상을 띠고 있다. 이 글에서는 마을공동체 제의 관련 유형 공유자원으로서 위토, 지선어장, 짬 등과 무형 공유자원으로서 부조권, 후원자, 주재집단(당주, 노반계, 서낭계 등) 등이 자본주의화의 물결 속에서 어떻게 왜곡되고 변질되어 왔는지를 살핌으로써 마을 공유자원의 문제와 사회자본의 의제가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도록 한다. 어촌에서는 공식적인 생업조직으로서 어촌계와 함께 마을굿의 전승주체이자 지역사회의 자치 집단으로서 행세하는 노반계가 자리잡고 있다. 특히 후포 노반계의 경우 어시장과 등기산 공원을 기반으로 한 막대한 수익과 자산을 기반으로 조직의 유지와 강화를 견인하고 있다. 하지만 마을공유자원의 운용을 통해 조성된 잉여재화를 자연스럽게 마을굿을 통해 재분배하던 전통이 흔들리게 됨으로써 지역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결국 후포의 노반계는 공동체신앙의 전승집단으로서 순기능과 함께 마을 내 배타적인 이익집단으로서 역기능을 동시에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전통사회로부터 전승되어온 사회조직으로서 미풍양속의 모범이 되어야 하겠지만, 현실세계에서는 자본주의 정신으로 무장한 소수 개인들의 이익집단으로서 양태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어촌공동체의 공유자원이 물질문화 혹은 경제적 변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조의 변화를 견인하고 사회자본의 흐름 자체를 강제해온 중요한 기반이 되어 왔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후포마을 공동체의 제의는 변형된 공유자원과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형성하면서 역류적인 변화가 마을굿의 변화와 동시에 이루어져 왔음을 밝히고자 한다. The self-governing group of the local society has depending on the exclusive possession of village-shared resources. For example, Nobangye is a self-governing organization of east-coast villages, keeping its name as the group for transmission of community faith at the backwaters of a once-glorious history. Especially for Hupo Nobangye, unlike other villages whose Nobangye has disappeared or barely surviving, it is still the subject of the transmission of the maeul(village) gut to this day, and is acting as the self-governing group of the local society. The background which allows for this is the exclusive possession of village-shared resources of Hupo Nobangye. The enormous profits and assets based on the fish market and Deunggi-san park are driving the sustent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rganization. At the same time, the exclusivity has also intensified which led to frequent failures of communication with ouchongye(漁村契, group of fishermen) or villagers, resulting in troubled relationships. Such conflicts are now becoming a bad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 of byulshin-gut and dongje which are the central axis of the identity of the fishing village. The tradition of natural redistribution through maeul gut for residual goods formed through operation of village-shared resources is now endangered. The redistribution of shared resources i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mmunity that must stand strong in any area and any era, but it failed to be exercised smoothly, and the conflict was only growing greater. After all, Hupo Nobangye can said to have the proper functions as a transmission group of community faith and also the adverse effects as an exclusive interest group within the village. As a social organization transferred down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it should have been a exemplary model for beautiful and fine customs, but in reality, it shows the aspects of an interest group of a few individuals armed with capitalistic spirit. In a fishing village which is often considered to have a community spirit different from the city and also with beautiful customs and thus be slow to be capitalized, in a way, one can observe the most capitalistic thinking and actions taking place. The aspects of Hupo Nobangye and maeul gut are explicit mirrors of Korean society reflecting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its side effects.

      • KCI등재

        동해안 마을굿의 전승주체로서 ‘노반계’와 마을공유자원의 활용 문제

        조정현(Cho Junghyun)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4

        노반계는 동해안 마을의 자치조직으로서 화려했던 역사의 뒤안길에서 공동체신앙의 전승집단으로서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특히 후포 노반계의 경우 대부분의 다른 마을 노반계가 사라지거나 명맥만 유지하는 것과 달리 현재까지도 마을굿의 전승주체이자 지역사회의 자치 집단으로서 행세하고 있다. 이러한 일이 가능할 수 있는 배경에 후포 노반계의 마을공유자원의 전유가 자리잡고 있다. 어시장과 등기산 공원을 기반으로 한 막대한 수익과 자산은 조직의 유지와 강화를 견인하고 있다. 동시에 폐쇄성이 강화됨으로써 어촌계나 마을주민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반목하는 일이 잦아지게 되었고, 이러한 갈등은 결국 어촌 정체성의 중심축인 동제와 별신굿의 전승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마을공유자원의 운용을 통해 조성된 잉여재화가 자연스럽게 마을굿을 통해 재분배되던 전통이 흔들리게 된 것이다. 공유자원의 재분배는 어떤 지역, 어떤 시대에도 관철되어야 할 공동체의 운영원리임에도 이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자 더욱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결국 후포의 노반계는 공동체신앙의 전승집단으로서 순기능과 함께 마을 내 배타적인 이익집단으로서 역기능을 동시에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전통사회로부터 전승되어온 사회조직으로서 미풍양속의 모범이 되어야 하겠지만, 현실세계에서는 자본주의 정신으로 무장한 소수 개인들의 이익집단으로서 양태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와는 다른 공동체 정신과 미풍양속이 자리잡고 있으면서 가장 느리게 자본주의화될 것 같다고 여기는 한 어촌에서, 어쩌면 가장 최첨단의 자본주의적 사고와 행동이 벌어지고 있음을 목격하게 된다. 후포 노반계와 마을굿의 양상은 우리 사회의 급박했던 변화양상과 그 부작용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비춰주는 우리 사회의 거울인 셈이다. Nobangye is a self-governing organization of east-coast villages, keeping its name as the group for transmission of community faith at the backwaters of a once-glorious history. Especially for Hupo Nobangye, unlike other villages whose Nobangye has disappeared or barely surviving, it is still the subject of the transmission of the maeul(village) gut to this day, and is acting as the self-governing group of the local society. The background which allows for this is the exclusive possession of village-shared resources of Hupo Nobangye. The enormous profits and assets based on the fish market and Deunggi-san park are driving the sustent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the exclusivity has also intensified which led to frequent failures of communication with ouchongye(漁村契, group of fishermen) or villagers, resulting in troubled relationships. Such conflicts are now becoming a bad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 of byulshin-gut and dongje which are the central axis of the identity of the fishing village. The tradition of natural redistribution through maeul gut for residual goods formed through operation of village-shared resources is now endangered. The redistribution of shared resources i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mmunity that must stand strong in any area and any era, but it failed to be exercised smoothly, and the conflict was only growing greater. After all, Hupo Nobangye can said to have the proper functions as a transmission group of community faith and also the adverse effects as an exclusive interest group within the village. As a social organization transferred down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it should have been a exemplary model for beautiful and fine customs, but in reality, it shows the aspects of an interest group of a few individuals armed with capitalistic spirit. In a fishing village which is often considered to have a community spirit different from the city and also with beautiful customs and thus be slow to be capitalized, in a way, one can observe the most capitalistic thinking and actions taking place. The aspects of Hupo Nobangye and maeul gut are explicit mirrors of Korean society reflecting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its side effects.

      • KCI등재

        한국춤의 오브제 활용연구- 「동해안 별신굿」과 「Soul,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

        김민조,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2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로 표현하는 예술이며, 그 표현의 극대화를 위해 본질요소 외의 다양한 요소와 장르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여러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20세기 이후 ‘오브제(object)’ 는 표현 요소로 부각되었고, 예술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로 발전하였다. 즉, 오브제 는 장르간의 다양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삶과 예술의 간격을 허물어 총체적 예술작품의 촉매 제 역할을 한 것이다. 오브제의 역할과 기능은 춤에서 상징적 오브제와 기능적 오브제로 나눌 수 있다. 상징적 오브 제는 작품의 주제, 줄거리를 전달하는 의미전달자의 역할을 말한다. 기능적 오브제는 미학적 도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오브제를 통하여 창출된 공간에 장소성과 의미를 부여하여 작품의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시각화로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한국춤에서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그 기능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한국 전통춤이자 전통 민중예술인 「동해안 별신굿」은 각 굿거리마다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하면 서 그 오브제가 지닌 상징성을 통해 거리 내용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의미전달자로서 의 ‘상징적 오브제’로 활용되어졌다. 또한 상징적인 역할과 함께 신을 기쁘게 하는 목적으로 화 려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미적인 도구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시각적 활용도 파악 할 수 있 다. 한국 창작춤이자 공연예술인 「Soul, 해바라기」의 오브제는 굿의 무구(巫具)와 전통춤의 무구( 舞具)를 활용함으로서 작품에서 한국적 색채와 정서를 뚜렷하게 전달하고 있다. 굿에서 부정을 막고 정화하려는 것,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 망자를 평안히 보내는 의도를 상징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적 오브제’는 전통적 의미를 더욱 제고시켜준다. ‘설치미술’이라는 타장르를 통해 공간을 나누어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공간창출과 평면무대를 입체적으로 시 각화하는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을하였다. 「Soul, 해바라기」는 전통적 주제를 한국 춤사위와 현대적 감각 그리고 굿의 오브제를 적극 활용시킴으로서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거듭난다. 두 작품은 ‘굿’이라는 하나의 소재로 전통춤과 창작춤이라는 한국춤의 두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통춤의 오브제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민중적 의미를 담고 있어 ‘상징적 오브제’로서의 기능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전통적 오브제가 창작화․현대화됨에 따라 그 전통을 기반으로 변용이 가미 되어 공연발달의 진보를 이룬다. 이를 통해 창작춤에서의 오브제는 작품의 주제와 줄거리의 암 시, 분위기 연출 등의 기능을 하는 ‘상징적 오브제’의 역할과 함께 설치미술, 영상, 조명 등의 오 브제를 통한 시각적이고 장치적인 효과를 주어 새로운 공간 창출과 무용수들의 움직임에도 영 향을 주는 요소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로서의 활용이 되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의 오브제는 표현 언어의 하나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 주고, 작품의 의 미전달자의 역할과 함께 표현의 확장을 가능케 하여 새롭고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공연에 서의 오브제는 일상적 대상의 가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그로 인해 관객은 풍 부한 상상력의 세계로 유도 된다. Dancing is a type of art expressed by the human body which has attempted to combine various ingredients and genres in order to maximize its expression. As many kinds of technologies have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objects have stood out as elements of expression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delivering an artist’s purpose. In other words, the objec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ccelerator of works of art in general, enabling diverse communication among genres. The role and function of objects can be divided into the ‘symbolic object’ and the ‘functional object’ in works of art. The ‘symbolic object’ plays a role as a messenger, delivering a theme and synopsis of artwork. The ‘functional object’ indicates a visualization function as one of the elements of work, creating new meanings and spaces in the ar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objects by examining their function and nature through practical use of object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East coast Byulshin Gut”,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popular art, shows its themes and purpose with the symbolism of a variety of objects in each Gutgeori. These objects are, so to speak, used symbolically and as messengers for delivering the meaning of dance. They are also used visually as functional objects which are aesthetical tools to show beauty with a purpose of pleasing God. The objects in “Soul, Sunflower”, a Korean creative dance and performing art, demonstrate Korean color and sentiment by the using tools of Gut and instruments of the traditional dance. It stands for three intentions; purification and preventing misfortune, pleasing God and finally, releasing the dead in peace. These ‘symbolic objects’ enhance the traditional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with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genre called ‘installation art’ in the artworks, the ‘functional object’ plays a role by dividing space, which creates new spatial formations and a three-dimensional space on stage which has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it. “Soul, Sunflower” has actively made the best use of traditional themes within Korean dance, in the modern sense and using objects of Gut, and develop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cultural product. These two works represent two types of Korean dance using Gut; traditional dance and creative dance. The objects of traditional dance mainly imply common meanings as ‘symbolic objects’. As these traditional objects have been created and modernized, development of performance progressed with alongside this transformation of tradition. Thus, the objects in Korean creative dance have a role as ‘symbolic objects’ in a functional way, suggesting themes and synopsis and directing the atmosphere. They also act as ‘functional objects’ that are constituents influencing the movement of dancers and creating new space. They have visual and instrumental effects through objects of installation art, image and stage lighting. In conclusion, the object in Korean dance imparts symbolic meaning to performance through expressive language and shows various new images, enabling expansion of expression and conveying meaning in a work of art. The objects in performance provide new experience which deviates from common values of the objects in question and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the audience.

      • KCI등재

        동해안 〈세존풀이〉에 함의된 무불 관계와무속의 자기 인식

        조보윤(Cho, Bo-yoon)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본고는 무불의 만남과 갈등, 그 포용과 동화의 역사적 지층이 녹아 있는 동해안 <세존풀이>를 통해 무속이 불교와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자각하게 되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세존풀이>에서 ‘세존’은 다른 지역본의 동일 인물형에 비하여 불교적 성격을 전면에 표방하고 있었다. 그리고 ‘당금애기’는 불교적 세존 신격에 응대하는 존재로서 구체적으로 무속신의 성격을 표상하고 있었다. 동해안 <세존풀이>에는 당금애기의 독특한 2차적 좌정 과정이 등장하는데, 이 과정을 무불의 갈등과 화해라는 역사적 사실의 무속적 재현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무불 갈등과 화해의 서사 구조는 작품 전반을 통해 중층적으로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 작품에 나타나는 무속의 자기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巫道)가 불도(佛道)보다 높다는 자기 우월의식, 둘째, 무불이 상호 호혜성을 기반으로 동반 성장한다는 관념, 셋째, 무불이 공존하지만 서로의 뿌리가 엄연히 다르다는 자각이다. 이러한 설정은 불교에 결코 뒤처지지 않는 도를 갖고 있는 무속의 자신감이자, 무속이 불교를 완성시키는 능력자라는 인식이다. 이로써 지금까지 불교 본위에서 해석된 『삼국유사』 내의 무불 관계 설정은 무속신화로 돌아왔을 때, 똑같이 적용될 수 없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how the shamanism sees relations with Buddhism and how he became aware of himself in the process through <Sejonpuri> on the east coast. In <Sejonpuri>, ‘Sejon’ was advocating Buddhist character in the front, Compared to other local versions. And ‘Danggeumaegi’ represented the character of shamanism as a being responding to Buddhist God. The East Coast <Sejongut-puri> has a unique secondary strait process of Danggeumaegi. This study judged this process as a shamanistic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fact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shamanism and Buddhis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conflict and reconciliation is repeated in a multi-layered manner through the whole work. On the other hand, the self-awareness of shamanism in this work is as follows. First, it is self-superiority that shamanism is higher than Buddhism. Second, shamanism and Buddhism grow together based on mutual reciprocity. Third, shamanism and Buddhism coexist, but their roots are distinctly different. This setting is the confidence of shamanism that has a Tao that is never behind Buddhism, and the perception that shamanism is a power to complete Buddhism.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anism and Buddhism in the 『Samguk-Yusa』, When it returned to the shamanism myth,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not be applied equally.

      • KCI등재

        동해안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terdependent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hamans, patients, and ghosts who participate in the Gawangingut, which was one of several disease exorcisms. Assuming that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mechanism of mental illness through formal procedures or functions such as Gwangingut, I would like to examine how care and healing are performed in Gwangingut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Gwangingut and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a shift in perspective centered on care can give a new meaning to good research. In Gwangingut, an ontological transition between shaman and patient, shaman and ghost, and ghost and patient is possible, which presupposes the narrative of shaman, the narrative of the sick and expands the syntactic chain to the past or the future, activating a kind of “imagination of care”. This is different from simply sympathy for the patient or consideration for the weak because it is based on the potential identity of the self and the other. Therefore, the fact that the sick ghost is not the object of hate and ouster but of duty and consideration is regarded as a special point of this exorcism. The homologous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Gwangingut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all human beings with bodies that can get sick-that is, it stems from human vulnerability. This discussion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in the gut as a reciprocal relationship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ontologically. This reveals the dynamic and inevitable dependence between each subject, which is difficult to grasp when reflecting on the physical procedure or shaman-centered function of the gut. It can be said that Gwangingut embodies the fact that humans are all vulnerable beings, and, therefore, they are not permanently fixed as caregivers and caregivers. 이 논문은 치병굿 가운데 〈광인굿〉을 중심으로 이 굿에 참여하는 주체인 무당, 환자, (귀)신들 사이의 상호의존적이며 역동적 관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광인굿〉과 같은 치병굿에서 치병의 메커니즘은 형식적 절차나 기능을 통해 남김없이설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각 주체들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광인굿〉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그것을 통해 돌봄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의 전환이 굿 연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수적으로 타진하고자 한다. 〈광인굿〉에서는 무당과 환자, 무당과 귀신, 귀신과 환자 사이에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한데, 이러한 전환은 무당의 서사, 병자의 서사, 잡신의 서사를 전제하며 그 통사적 연쇄를 과거나 미래로 확장하면서 일종의 돌봄의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이는 단순히 환자에 대한 동정이나 약자에 대한 배려와는 다른데, 자아와 타자의 잠재적 동일성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인인 귀신이 미움과 축출의 대상이 아니라 위무와 배려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이 굿의 특수한 지점으로본다. 〈광인굿〉 제 주체들의 상동적 관계는 이들이 모두 병에 걸릴 수 있는 육체를 가진 인간이라는 점, 즉 인간의 취약함에서 비롯된다. 본 논의는 굿 안에서 이루어지는 제 주체들의 관계를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호적인 것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굿의 물리적 절차나 무당 중심의 기능을 성찰할 때에는 파악하기 어려운, 각 주체 간의 역동적이면서도 필연적인 의존성을 드러내준다.〈광인굿〉은 인간이 모두 취약한 존재이기 때문에 돌보는 자와 돌봄을 받는 자로영원히 고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치료의 메커니즘으로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