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무용학분야 연구동향 및 지원성과 연구

        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롭게 융․복합 연구 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무용학이 실용학문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연구지원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 5년간 각 대학교 무용학박사학위 논제 및 한국연구재단의 무용학분야 과제 신청수와 선정률을 대상으로 연구동향과 지원성과를 비교분석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교육, 무용사회학 관련 박사학위 논제가 2000년도 이후 계속 부각되는 것은 학계의 일반적인 흐름으로 실용 학문에 대한 사회적요구로 사료되었다. 둘째, 21세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은 한국연구재단 무용학분야 무용교육관련 논제의 선정률과 선정액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무용학분야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 방향이 현 산업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소스로 활용될 수 있는 무용학논제로 향하고 있지만 2007년 이후 현재까지도 현존하는 연구 인력조차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융합 연구환경은 조성하지 못했다고 사료된다. 넷째, 한국연구재단 무용분야 선정현황을 통해서 볼 때 각 사업별 지원목적과 선정된 연구과제 내용, 지원규모 등에서 현실적일 필요가 있다. 2011년도 학문후속세대 시간강사지원의 경우, 현대사회적 요구와 더불어 기초와 응용학문분야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융합형 강의지원제도의 개발’사업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구지원과 동시에 학문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서 성과관리뿐만 아니라 사후관리제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과 관련된 사업에 50대 이상 의 교수나 교수급 들의 풍부한 현장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연구지원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장기간 연구에만 몰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무용학 연구기반의 조성을 위해서는 무용학 석․박사학위소지자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급 연구 인력까지도 수용할 수 있는 대학부설 연구소의 활성화와 기존 학회와 연구소의 공동 프로젝트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data to form effective environments for research support in order that the practical study of dance,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 new field of convergent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society. For this goal, it analyzed research currents and results of support, based on the theme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dance submitted for recent five years,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 for assignments and the selection rate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t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t was found that such dissertation themes as dance education and dance sociology, which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00, are related to social demands for practical study. Second, an increased interest in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s demonstrated in the selection rate and amounts of themes about dance education, shown in the field of dance in NRF. Yet there is, in general, a limitation in effective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research capability in the field of dance. Third, the direction of NRF’s support for basic research moves to dance-related themes that can be used as a source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needed in present industrial society. Yet it is unlikely that a systematic environment for convergent studies, which can fully utilize the extant researchers, have been formed up to date since 2007. Fourth, in 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dance field in NRF, the purpose of support for each project, the content of selected research themes, and the scale of support need to be realistic. In case of support for part-time lecturers in 2011 Fostering Next Generation Researchers program, it is desirable to be carried out, alongside the demands of contemporary society,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a support system for convergent lectures” in which researchers in basic and applied studies participated together. Not only is research support needed, but i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a performance management and a post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ies. Fifth, there has not been any support policy that can apply the abundant field experience and accumulated knowledge of professors or professionals at the professor level to projects that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demanded in contemporary aging society. In consequenc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ily to accomplish the activation of university-based institutes that can hold the existing advanced researchers as well as master and doctors in da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joint projects of academic associ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research foundation for dance, which enables full devotion to a long term of research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충남지역 춤 연구 -무용가 이미라를 중심으로-

        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3

        최근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세계 각국이 자국의 무형문화유산을 경 쟁적으로 등재시키고자 노력하면서 각 지역별 민속예술에 대한 관심이 또다시 증폭되 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힘입어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전국민속예술 경연대회에 참가한 충남지역의 작품 중에서 무용가 이미라가 총연출했던 작품을 중심 으로 충남지역 춤의 형성 과정과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는 충남지역 춤의 원형 복원과 계승 작업을 본격화시키는 단초가 되었다. 둘째. 충남지역의 대표적인 민속예술인 「은산별신 단굿 놀이」, 「거북 놀이」, 「아산줄다 리기」, 「횃불쌈 놀이」, 「등바루」와 농요인 「산유화가」 등은 이미라가 총연출 및 발굴한 작품이다. 그녀는 민속학자들의 대본에 의거하여 작품을 구성하였고, 충효사상을 바탕 으로 하여 풍년과 무병장수, 지역민의 협동심 강화 등 각 작품의 의도가 지역성과 부합 하도록 민속예술을 재현하였다. 셋째, 현장성이나 즉흥성이 강한 무형문화유산의 원형 구현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충 남지역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에 대한 이미라의 열정은 충청도 민속예술의 발굴 및 계승 발전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With recent global countries’ efforts competitively trying to inscribe thei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to UNESCO’s representing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interest of folklore arts in each region is amplified again. Encouraged by these social stream,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ormativ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dances in Chungnam province, centered on the entries for the competition of National Folk Arts Contest totally produced by Lee Mi R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National Folk Arts Contest offered a beginning to step up restoring original dances in Chungnam province and its succeeding work. Second, ‘Eunsan Byeolshin Dangut nori’, ‘Geobuk nori’, ‘Asan Tug-of-War Play’, ‘Hoetbul Sam nori’, ‘Deungbaru nori’, A farmer’s song ‘Sanyuhwaga’, etc. which are the representing folklore arts of Chungcheong province, were totally directed and disinterred by Lee, Mi-Ra. She represented them considering the locality in order for each play to correspond to its intention such as wishing a good harvest year and long life as well as good health, reinforcing the spirit of teamwork between community residents in the basis of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accordance with folklorists’ playscript. Third, even if there was a limit in embodying origi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which characteristics of a scene or improvisation is strong, Lee, Mi-Ra’s enthusiasm to preserve and inher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Chungnam province laid a cornerstone for disinterring, inheriting and developing folklore arts of Chungcheong province.

      • KCI등재

        고령화시대 무용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무용학과 교육현황과 무용평가제도의 문제 고찰 : 무용학과 입시 전형과 관련 무용 경연 대회를 중심으로

        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2

        고령화시대 대학무용과가 양성해야 할 인재상과 그를 위한 평가방법을 모색하고자 서울소재 각대학교 무용과의 교육목적과 교육과정, 몇몇 대학교 주최 무용경연대회의 목적과 평가 방법 등을 조사해서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고령화시대 급속한 사회적 변화로 대학교차원에서 수시중심의 입시방안이 가시화되었고 2016년도에는 대부분의 무용과에서 수시를 새로운 입시유형으로 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렇듯 2016학년도부터 시행되는 무용인재의 새로운 평가방법의 적합성 유무가 사전에 철저한 검증으로 비롯되었는가는 관련자료를 통해서 볼 때 의문이다. 따라서 이미 정착된 공연중심의 대학교육, 그에 따른 천편일률적인 실기 중심 입시제도와 교육과정을 새로운 평가제도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 즉 멀티형 무용인재 선발방법과 그 인재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등을 마련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자동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무용평가제도관련 IT융합연구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종합예술인 무용이 지닌 풍부한 현장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삶의 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대학무용교육으로 거듭 나야 한다. To find the concept of talented people that the danc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should train and the assessment method for it in an aging era,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dance department located in Seoul and the purpose and assessment method of dance contests hosted by a few universities are investigated,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by the rapid social change in an aging era, the admission plan of nonscheduled admission centered in an university level has been visualized and the most dance departments chose nonscheduled admission as a new admission type in 2016. However, it is doubtful that whether the suitability of the new assessment method for talented people in dance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2016 has been started with thorough verification in advance. Therefore, it is urgent to find the way to overcome already settled performance centered university education and its monotony practice centered admission system an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a new assessment system. In other words, suggest to prepare the selection method of multi type dance talented people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to educate its talented people and IT convergence research project related to dance assessment system which automatically analyze and manage educational outcome. Based on the rich field experience that dance has as a composite art and accumulated knowledge, university dance education needs to be reformed that can maximiz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1970년대 한국무용교육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접근

        김운미 韓國舞踊敎育學會 200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1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the sociology of art investigation into Korean dance education of the 1970s would be significant for both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dance community. An attempt was made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The first problem was concerning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and the trends of ar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1970s were the period of time that the Revitalizing Reforms(Yushin) system adopted strong nationalism as the moving force for national integration by implementing the cultural policy of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mobilization of the mass media and are meaningful in that it fostered the climate of attempting the zest proper to Korea. The second problem was concerning the trends of education. The phenomenon of overheated education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1970s resulted in the loss of the original function of education, which in turn led education to fall into the means for manpower supply necessary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third problem wa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social consciousness, and mass cultures and arts. All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tended to join in the painstaking spiritual life of the masses though different in form which became the opportunity for the masses-centered cultures and arts to emrge on a full scale. The fourth problem was concerning the role played by the dance-art community and the dance-education community. the sharing of the role played by the dance-art community and the dance-education circles became unclear in the process that the center of the dance circles moved from the group of dancers to the group of dance professors. For this reason, the conflict between them became deepened, which became the impedimental element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dance circles. And though dance criticism was active, there was the deepened conflict between dancers and critics surrounding dance criticism in proportion to it. The fifth problem was concerning the reform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dition for dance education. Though dance education in the levels of schools might appear to be specialized to an extent that creative dance was listed on the contents of instruction due to the reformation the curriculum, its object was limited to girl students at middle and high schools. Even the number of school hours assigned do dance education was appropriated for physical educ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hysical fitness promotion system in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college, which resulted in the considerable diminution of dance education. It has brought about the dubious result in terms of its effect to simply set the subject of creative dance alone in the situation that the number of dance teachers specializing in dance, the most condition for dance education, are absolutely lacking. The sixth problem is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all kinds of dance events and dance education in sociology-of-art terms. Even though all sort of dance events might actively be held, there were a very few dance performance activities that joined in the difficult life of the masses in the 1970s except several dance works in the dance field, unlike other artistic fields. Owing to various limitations of the dance circles, the increasing opening of the dance department did not lead to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nd further even the dance contest that should have become the arena for testing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 fell into the vehicle for admission into the school of higher grades.

      • KCI등재

        가상 3D무용수를 활용한 안무를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김운미,변승환,조석봉 한국체육철학회 199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6 No.2

        Compared to existing methodology, this study is upstaged by a method to have virtual 3D dancers perform the existing dancing motions and construct a series of its own movements. We first designed a virtual dancer using 3D Studio, and stored all of its movements in motion vectors to organize database with those data. Moreover execution tools for drawing dance composition is implemented to easily generate its movements. To generate dance motion, several computing functions are defined such as body movements, rotating movements and degrees of joint regions, and calculating vectors in rotating axises. Since the movements and motions are stored into database, it is feasible to effectively show motions and movements, to students and even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it, as well as reconstruct some new dancing motions to create an appropriate arrangements for da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시대 우리춤 대중화 방안 연구 -감성기반의 3D 아바타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김운미,천주은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7 No.2

        문명의 발달로 인한 소득증대, 여가시간의 증가는 인간적인 가치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이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즉 연극, 음악, 무용 등 공연예술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문화소비계층이 점차 늘어나고 대중예술의 관심이 증폭되어 가는 현시점에서도 한국문화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시선은 갈수록 후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무용의 대중화를 위한 연구사례들은 대체적으로 학문적 고찰을 통한 대중화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노력과 대중들의 인식 실태 및 현황을 통해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존의 문헌연구와 함께 정책적 방향에서 문제점과 대안점을 제시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으나, 모든 부분에서 그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심층분석과 사회 흐름과 동향에 맞춘 실질적인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문화콘텐츠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한국문화의 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독창적인 콘텐츠와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기반의 3D 아바타 시뮬레이션’을 통한 우리춤의 대중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기계적인 딱딱한 모습의 아바타가 아닌 인간의 모습과 흡사한 표정과 감정이 담겨 있는 아바타를 3D 시뮬레이션에 접목하여 우리춤을 구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독창적인 콘텐츠 개발과 3D 시장이 열세를 보이고 있는 IT 시장에서 ‘감성인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3D 아바타 시뮬레이션’은 한국춤을 소재로 한 2D,3D 콘텐츠 개발이 전무하고, 융복합 교육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우리춤의 대중화와 함께 무용교육과 무용교구 그리고 3D게임, 3D 공연, 학제간 융복합 연구 등 여러 방면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crease in income and leisure time, caused by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triggered people’s desire for improving human value and their qualify of life. Such a trend has led people to draw attention on culture and arts, and thus to the growth of demands on performance arts such as plays, music, and dances. But, in the current environment where cultural consumers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more attention has remarkably paid on pop-arts, the Korean public has more turned their face away from the Korean culture. Up to no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opularization of dances have sought to propose theoretical frames of popularization mostly through their academic considerations and have found ways of popularizing the dances through research on the public recognition and status. The studies tried to propose issues and alternatives through policy directions along with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but more specific analysis in depth and actual alternatives suitable for social flow and trend have been required in every part of the studies. As the cultural contents market has largely been grown, the development of unique contents and technologies has been required to make the Korean culture competitive and known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for coming up with ways of popularizing Korean traditional dances through ‘emotion-based 3D avatar simulation’. Unlike the existing mechanical avatars, the avatar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has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similar to human beings, is put into a 3D simulation to implement our traditional dances. Currently, our IT market is inferior in the development of unique contents and the 3D market, and we face the environment where any 2D or 3D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dances have not been developed, and where harmonized and mix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is respect, ‘3D avatar simulation based on an emotion recognition system’ is considered to be highly utilized in various ways, such as popularization of our traditional dances, dance education, and a tool of dance education, 3D games, 3D performances, harmonized and mixed interdisciplinary reserach.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김운미,안지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1

        지식기반을 토대로 창의성이 중심이 되는 문화의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이해와 체험을 통한 창발적인 인간을 양성하고 사회적 소통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무용 역시 시대가 요구하는 환경에 따라 변화하며 창발적인 문화예술교육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한다. 각종 미디어가 발달하고 있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습득에 대한 교육방법들이 다양화 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통한 현장교육과의 상호작용은 무용교육에 활기를 불어 넣어 줄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써 무용이 일반인들에게 좀 더 흥미롭고 즐겁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으며,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천자료 수집을 통한 무용원형 분류 및 무용유형의 체계화이다. 이것은 무용교육콘텐츠의 정체성을 심어주고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부여하여 무용교육 콘텐츠가 일반인 및 무용전공자들에게 좀 더 주체성 있게 다가갈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이것은 원천소재를 스토리로 개발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라이즈화이다.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 베이스를 구축하고 저장하는 것은 피교육자들이 능동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정보를 습득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자료화 되어진 디지털 베이스는 무용전문가, 스토리텔링전문가, CT/3D 전문가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재구성되어 일반인들이 무용콘텐츠에 좀 더 쉽고 재밌게 접근하고 몰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이다.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안은 무용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인물 캐릭터 및 소도구 아이템 스토리텔링구성, 무용 사건-시대 및 배경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주제 및 유형스토리텔링 구성, 무용동작 스토리텔링구성, 피교육자의 연령-계층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무용교육현장과의 상호작용은 일회적인 흥밋거리가 아닌 피교육자들과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이어나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본다. 빠르게 흘러가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무용교육이 하나의 교육콘텐츠로써 지속적으로 개발된다는 것은 무용이 가진 교육, 사회적 가치를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 열린 사고와 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개발하는 것이 무용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가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진행을 위한 기초 연구에의 효율적인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the age of culture where creativity plays a pivotal role with knowledge based learning. The stud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ntended to nurture emergent humans and develop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us, dance including various capabilitie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demanded by the age of the participants and be developed as an emergent conten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n interaction with teaching field from this would revitalize dance education considering that many types of media have been developing and teach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ying in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an edutainment storytelling approach, giving interesting and pleasant meanings to dance that is more approachable to the general public. The pla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ystematize the type of dance and classify the original form of dance by collecting the raw data. It would be a foundation for Dance Education Contents to be able to access dance 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instilling the identificatio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ssigning value and new life. Moreover, it would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to transform raw data into stories. Second, digitize the data of Dance Education Contents. Building digital databases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saving them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student to interact actively and acquire information. The processed digital base would be reorganized by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experts, storytelling professionals, and CT/3D experts and provide a chance for the ordinary people to be able to approach dance contents with increased ease and delight. Third, develop Dance Education Contents by using edutainment storytelling. The pla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edutainment storytelling is comprised of dance space, character of the dancer, storytelling props and other visual aids, creating dance education scenarios and dance education program. The interaction of dance education fields with diversified storytelling would be powerful enough to lead education not with a passing interest but with sustainable interests and concern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educational and social value of dance education. Furthermore, developing creative possibility with an open mind and professional knowledge would be a rising concern in danc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be an effective plan in basic research for various following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김운미,박영애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경기도 도당굿 군웅거리 쌍군웅춤의 구조와 의미를 시간성과 공간성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군웅거리의 쌍군웅춤은 우리 춤에 내재된 음양의 이치뿐만 아니라 경기도 도당굿의시루말에 의한 신화성을 담고 있다. 쌍군웅춤과 신화의 연관성은 경기도 도당굿의 미지와 산이가 구현하는 서사무가에서 찾을 수 있다 . 경기도 도당굿에 있어서 쌍군웅춤의 연구가 중요한 것은 군웅거리가 신화창조의 내력을 담고 있는 구비문학 적 의의를 가지며, 굿이 갖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액을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 신과 자연, 인간이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의지의 표현으로 상징적 의미가 쌍군웅춤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쌍군웅춤의 연행구조와 의미를 연구하는 것은 경기도 도당굿에서 분화된 전통춤 연구에 대한 선행적(先行的)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군웅거리의 연행방식은 선굿의 미지-쌍군웅의 미지+산이-군웅노정기의 산이로 연행 주체가 변화하는 특이성 이 있다. 쌍군웅춤은 군웅굿 의례의 한 형식으로 그 속에 일정한 틀과 규칙이 있으며 신명이 오르는 과정에서 즉흥적 움직임이 많았다. 이것은 굿의 현장성 때문이기도 하다. 군웅거리는 경기도 도당굿의 집합체로 보이는데, 이것은 도당굿의 공간성 및 시간성과도 관계가 있다고 보인 다. 굿춤은 의례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적 현상을 신체를 통한 상징으로 표현하는것이다. 쌍군웅에 있어서 춤 의 기능은 군웅신이 오시는 길을 정화한다는 일반적 기능과 서사무가 이면에 내재된 감추어진 상징적 기능이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상징은 미지와 산이는 음양의 대대적 관계로 해석되며 대대적 관계(공간성)속에 순환성(시간성)이 있 다. 그리고 사방(시간과 공간)의 중심에는 산, 마을, 우물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7등 신과 인간이 만나는 신인합일(神人合一)의 영역으로 신성성을 지닌다. 하늘과 땅,밤과 낮, 신과 인간 등 자연의 질 서 속에 있는 이원적인 요소들이 서로 극(極)하지 않고 대대적 관계 속에 상호 보완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무속의 기본적인 사상체계(思想體系)가 쌍군웅춤 속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도당굿의 연행적 가치는 국문학적, 음악학적, 무용학적, 연극학,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연구의 가치 를 지니며 경기도 도당굿의 무속춤을 연구하는 것은 근대전통춤의 형성과 분화를 이해하고 우리 춤의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일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yeonggi-do Dodang-gutGunwunggeori SSanggunwung dance, focused on the temporality and the spatiality. SSanggunwung dance of Gunwinggeori contains not only the principles of the negative andthe positive within our dances but also the history of the Creation by Sirumal ofGyeonggi-do Dodang-gut. The association between SSanggunwung dance and the myth canbe found in Seosamuga performed by the Miji and Sani of Gyeonggi-do Dodang-gut. As for Gyeonggi-do Dodang-gut, the reason why the study on SSanggunwung dance isso important is that Gunwunggeori has the significance of oral literature that contains thehistory of the Creation and SSanggunwung dance has symbolic meaning in eliminatingmisfortune, which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a gut (exorcism), as an expression of a willfor harmonious living among god, nature and human. Studying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meaning of SSanggunwung dance is deemedto have a proactive value and significance for the study on traditional dances divided fromshamanism dances. The performance format of Gunwunggeori has its uniqueness in the change of theperformers from hereditary shaman of exorcism rite to Miji (hereditary shaman) ofSSanggunwung + Sani and then to Sani of Gunwungnojeonggi. * Hanyang University / kimunmi@hanyang.ac.kr** Completed Ph.D. Ha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Dance /adriana21@naver.com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9SSanggunwung dance was performed in a form of the Gunwung-gut ceremony. It hada certain formality and rule in it and had a lot of impromptu moves in the process ofexhilaration. This is also due to the on-the-spot nature of gut. Guwunggeori seems to be an aggregate of Gyeonggi-do Dodang-gut which might havea relation also with the spatiality and the temporality of Dodang-gut. Gut-chum is a dance to express the time and spatial phenomenon shown in ceremoniesas a symbol through a human body. In SSanggunwung, the functions of the dance includea general function to purify the road along which Gunwoong-god comes and a symbolicfunction that a Seosamu (narrative shamanism) hides in the other side. This symbol isinterpreted as the opposite relation (spatiality) of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and containsthe temporality in the opposite relation. And at the center of time and space, mountains,villages and wells have sacredness as the area of the unification of man and god where theymeet together. It was noticeable that SSanggunwung dance included a basic system ofthough from shamanism to pursue a complementary and harmonious living in an oppositerelation rather than incompatible relation that dualistic elements in nature’s order, such asheaven and earth, night and day and god and human, did not make themselvesincompatible each other. The performance of Gyeonggi-do Dodang-gut deserves its value for studies from theviewpoints of Korean literature, musicology, dance and cultural anthropology. Studying on the shamanism dance of Gyeonggi-do Dodang-gut shall be the process of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modern traditional dances andexploring the root of our d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