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기장수> 전설의 현대적 변용과 스키마

        류정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4 리터러시 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인지서사학의 방법론을 원용해서<아기장수>의 이야기 스키마를 탐구하고자 한다.그 방법으로<아기장수>의 현대적 활용 및 그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각논자들 혹은 제작자들이 원천<아기장수>와 후행 텍스트들 사이에 설정한 의도적 유사성 혹은 우연한 유사성을 확인하고,이러한 유사성이 어떤 인지적 메커니즘에서 만들어졌는지를 살핀다.이야기는 그 자체의 문법이 의미를 생산한다기보다는 사람들의인지 체계와 만나야 비로소 의미가 생성된다는 인지서사학적 관점에서,향유자들이<아기장수>에서 무엇을 핵심적 요소로 보는가 그리고 어떤 의미를 발견하는가 고구하고자 하는 것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적 활용에 나타난<아기장수>의 인지 체계를 ‘아기장수 스키마’로 보고 이를 모순의 스키마와 인과의 스키마로 명명하였다. 이 두 가지는<아기장수>를 향유하는 사람들의 인지 체계에서 발견된 것으로,<아기장수>설화의 유형과는 다른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다.아기장수의 세부 유형이 객관적으로<아기장수>서사를 구성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선별된 것이라면,이 스키마는 어떤 요소가 ‘아기장수’를 ‘아기장수답게’ 만든다고 향유자가 인지하는가를 중심으로 선별된 것이다.모순의 스키마는 ‘불구하고’라는 말이 표현하듯,자질과 결말의불일치를 통해 수용자는 이상하다거나 불합리한 것을 인지하고 그것이 정상적이거나합리적인 것에 대해 질문하게 된다.인과의 스키마에서 인간은 외부적 억압에 맞서기에 무기력한 존재로,‘어쩔 수 없는’ 일들을 경험하는 존재로 재현된다.이 두 가지 스키마가 함께 있음으로 인해<아기장수>가 소환하는 주체는 복잡해진다.<아기장수>의스키마를 가지는 한,우리는 윤리적 주체만으로도,물리적 주체만으로도 소환되지 않으며,어느 하나를 쉽게 선택할 수 없는 주체,두 가지의 기로에 있음을 계속 자각하는주체가 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ory schema of “The Agijangsu(Baby Hero)”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narratology. Based on the contemporary utilization of “The Agijangsu” and discussions thereof, the study examines intentional or coincidental similarities established by various commentators or creators between the original “The Agijangsu” and subsequent texts. It investigates the cognitive mechanisms behind such similarities. From a cognitive narratological perspective, which suggests that stories derive meaning not from their own grammar but from their intersection with people’s cognitive system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what core elements viewers perceive and what meanings they discover in “The Agijangsu.” In this regard, the study regards the cognitive system of “The Agijangsu” manifested in contemporary utilization as the “Agijangsu Schema” and names it as the schema of contradiction and the schema of causality. These two are found in the cognitive system of those who enjoy “The Agijangsu” and are established based on criteria different from the types of “The Agijangsu” tales. If the detailed types of “The Agijangsu” are selected objectively based on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narrative of “The Agijangsu,” then this schema is selected based on what elements the audience perceives as making “The Agijang-su” characteristically “The Agijangsu.” The schema of contradiction, as indicated by the expression “despite,” allows the recipient to perceive the odd or irrational and question its normalcy or rationality through the discrepancy between qualities and outcomes. In the schema of causality, humans are represented as beings who experience inevitable events, confronting external oppression as powerless entities. With these two schemas together, the subject summoned by “The Agijangsu” be-comes complex. With the schema of “The Agijangsu,” we become subjects who are constantly aware of being summoned not only as ethical beings or physical entities but also as subjects who cannot easily choose between the two, who remain at a crossroads between the two dilemmas.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 생활의 규범화 -탈규범화 관계에 대한 연구 -‘세속(세상)의 부녀자’ 담론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This paper studies on the relation of women-Confucian moralizing-demoraliz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 this purpose I study funeral odes, memorial inscriptions and texts of moral standards for women. It is found that there are a lot of expressions about "Mundane Women". They represented negatively. They were believed to violate Confucian norms. They violate the norms that they have to make cloth, to say in a modest way, to speak straightly and so on. In addition that they violate the norms that they have not to butter someone up, to be inclined to luxury,to believe in superstitions and so on. It is found that several oppositive signs, individual: group, minor: major, yesterday:today=moralizing: demoralizing, virtue: loss of virtue. The discourse requires further checkup in the cultural context. For the purpose, I compare the discourse with other discourse about chaste women. Women are tend to de-normalization in the daily life but they are tend to normalization in the particular situations, for exam, husband's sickness or unwished physical touch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are several distinctions between two discourses. To give attention this, I subdivide the components of norms, rule and practice. The discourses on 'mundane women' have strong power of rules but weak power of practice. But the discourses on chaste women have strong power of practice and weak power of rules. These different levels of norms,in addition to different tendency to normalizing, make women dynamic in the late Chosun society. 이 논문은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삶과 유교화의 관계, 즉 여성과 유교적 규범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조선후기 양반 여성을추모하는 제문, 행장, 묘지명 등과 여성을 교육하기 위한 규훈서에 나타나는,‘세속(세상)의 부녀자’라는 표현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들은 부정적으로 표현되는데, 여성 관련 규범을 지키지 않거나 이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다고 판단되기때문이다. 본 논의는 ‘세속의 부녀자’ 담론에서 미시적으로 드러나는 여성-규범의 관계와 그 규범의 실천적 위상, 그러한 위상이 드러나는 이유 등에 대해분석한다. 나아가 본고는 조선후기 여성들의 삶을 유교적 규범 혹은 도덕과의관계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세속의 부녀자’ 담론을 조선후기 문화라는 큰 틀 내에서 해석한다. 그때 ‘세속의 부녀자’ 담론을 대상으로 도출된 논의들에 좀 더 선명한 의미가 부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문, 행장, 묘지명에서는 대상 인물이 세속의 여성들과 달리 긍정적 자질을가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규훈서에서는 여성이 지향해야 할 규범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세속의 부녀자에 대해 언급한다. 여기에는 개별/집단, 부덕/실덕, 규범/탈규범의 약호들이 개입한다. 일련의 항은 서로 관련을가지는데, 소수의 대상 여성들은 규범을 따르며, 다수의 세속 여성들은 규범을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개별:집단, 소수:다수=부덕:실덕, 규범:탈규범, 부덕(婦德):부덕(不德)으로 표현 가능하다. 반(비)규범적 여성, 즉 탈규범적 여성은 여성 관련 규범을 따르지 않거나 이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인물들이다. 이들이 위반하는 규범의 내용은 언행․종교․가사 노동․경제적 차원 등으로, 일상의 영역에 걸쳐 광범하게 나타난다. 세속의 부녀자들이 일상-가사 영역에서 탈규범화 되었다는 것은 이들이 모든영역에서 탈규범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조선후기 문화에서 소통된 다른 대표적인 여성 담론인 열녀 담론을 참고하면서 논의를 진행한다. 결국 조선후기 여성-규범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할 때, 한 마디로 이들이 규범화되었다던가 탈규범화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이들은 여공을 비롯한 일상적 차원에서는 탈규범화의 경향을, 열절과 같은 성적 차원에서는 규범화의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들을 제약했던 유교적 규범의 위상에 대해서도 한 마디로언급할 수는 없다. 일상-여공 관련 규범은 규약적 차원에서는 확고하지만 실천력은 미약했으며, 성적 규범은 규약적 차원에서는 미약하지만 실천력은 확고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두 가지 상이한 차원들이 내재함으로써 여성들은 규범에 대해 역동적이면서도 다양한 태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This paper examines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fairy tale’ in Historical fairy tales written by Son Jin-tae’. I want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iry tales focusing on the strategies and effects that Son Jin-tae has taken to communicate historical information to children. To do this, I first selected the texts, which are historical fairy tales, among the stories written by Son Jin-tae and examined how they relate to the original texts. Nam-chang created historical fairy tales by borrowing realistic folk tales, fantastic folk tales and myths. As a result, not only are they realistic or real stories, but also fictional or fantastical stories. Nonetheless, his historical fairy tales do not include proper nouns, years, and war situ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original text. The new discourses in his history fairy tales are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portrayed as persons with individual qualities such as masculine/feminine gender and strength/weakness. Nam-chang uses a supplementary means to convey history in an objective way. And he assumes the children as readers who are members of a family and have intellectual curiosity.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story fairy tales of Son Jin-tae are cognitive ones that utilize communion functions to indicate history exactly. 본고에서는 손진태 역사동화에서 ‘역사’와 ‘동화’의 결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손진태가 아동에게 역사적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취한 전략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역사동화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진태가 『어린이』 잡지에 기고한 이야기들 가운데 역사동화라고 할 만한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것들이 원천 텍스트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남창은 사실적 민담과 환상적 민담, 신화를 차용하여 역사동화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여기에는 사실적이거나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이야기뿐 아니라, 허구적이거나 환상적인 이야기도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사동화에 원천 텍스트와 다른 고유명사, 연도, 전쟁 상황 등은 나오지 않는다. 그의 역사동화에서 새로 담화화된 부분은 등장인물의 개성이다. 인물들은 남성적/여성적인 젠더적 특징과 강인함/유약함 등 개인적 자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남창은 역사를 객관적으로 잘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 방안으로 가족의 구성원이자 지적 호기심을 가진 아동을 독자로 상정하였다. 이런 점에서 손진태 방식의 역사동화는 역사에 대한 정확한 지시를 위해 친교적 기능을 활용하는 인지적 역사동화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원천강본풀이>의 운명관 연구-<구복여행> 설화와 대비를 통하여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This paper studies thoughts on fate of the group which enjoyed Woncheongang(袁天綱) Bonpuri. To reveal the uniqueness of the thoughts on fate, I pay attention to different points with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Folk-tales. Both of these stories are a journey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it has the going-and-coming and problem-solving narrative structure that responds. I see Woncheongang Bonpuri’s peculiarities which differ from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Folk-tal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itinerary. The motive for Onuri to leave her parents is initial situation. The ending to become the goddess to write Wonchengan is her last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trip, she becomes a sacred women. So this paper find the ontological change of Onuri is found in the Woncheongang, the mysterious river. The river has a meaning as a place to watch time and to see fate. Finally, this paper examine the knowledge of the river was a local knowledge shared in the Jeju island by this group. This group thought on the fate that the episteme and practice was the same. They believed the inexplicable experience of life is due to the ignorance of Palzha(八字), and they can overcome the hardship of life with knowledge of Palzha. 본고는 <원천강본풀이>를 중심으로 해당 본풀이 향유집단의 ‘운명관’을 살펴보고자 하며, 그 방법으로 <구복여행> 설화와 다른 지점에 주목하였다. 이 두 이야기는 모두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여행서사로 왕로-귀로와 문제-해결이 대응을 하는 서사 구조를 가진다. 본고는 <구복여행> 설화와 다른 <원천강본풀이>의 특수한 지점이 여정의 시작과 끝에 있다고 보고, 오늘이라는 인물이 부모를 찾아서 떠나는 동기(최초 상황)와 여행의 결과 신녀가 되어 원천강을 등사하는 결말(최후 상황)에 대해 분석하면서 오늘이의 존재론적 변화의 원인을 원천강에서 찾는다. 원천강은 시간을 보는 곳, 운명을 보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원천강’에 대한 지식이 제주도 본풀이 향유집단에게 공유되던 지역적 지식이었음을 살핀다. 이를 통해 이 본풀이 향유집단에서 운명론이 인식론이자 실천론이라는 것을 읽어낸다. 여기에는 순조롭지 않은 삶의 경험이, 팔자를 모르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팔자를 앎으로써 그러한 경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생각이나 믿음이 개입한다.

      • KCI등재

        문헌 소화의 의미 작용에 관한 일고찰 :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구비문학회 2005 口碑文學硏究 Vol.0 No.20

        본고는 문헌 소화 각 편을 이야기부와 논평부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한다. 많은 문헌 소화들은 이야기부와 그에 첨부된 논평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부와 논평부가 어떤 관계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논의가 부재한 가운데 대부분의 기존 논의들은 이야기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의는, 이야기부와 논평부를 함께 고려할 때 나타나는 의미는 이야기부만을 고려할 때 생성되는 의미와는 다를 수 있음을 전제하며 시작한다. 본 논의는 문헌 소화집 가운데 이야기부와 논평부가 함께 나타나는 각편이 가장 많은 &#985172;명엽지해&#985173;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할 경우 다른 문헌 소화집을 참고한다. 이야기부와 논평부는 서로 이질적인 양식이지만 소화 텍스트 한 편 안에서 상호 관련을 가지며 의미 작용을 한다. 여기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호 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일회적으로 나타나는 상호 작용이 있을 수 있다. 상호 작용은 크게 구조적인 것과 비구조적인 것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전자를 살펴보기 위해 ‘의미 층위’라는 용어를, 후자를 살펴보기 위해 ‘인물 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구조적 의미 작용으로 본고에서는 알레고리적 관계를 다루었다. 이 관계는 이야기부에서 만들어진 의미 층위와 논평부에서 만들어진 의미 층위가 서로 다른 것이 특징이다. 이때 논평부는 이야기부와의 어떤 유사성을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해 언급한다. 대표적인 비구조적 의미 작용으로 본고에서는 대립적 인물 평가를 다루었다. 이야기부의 서술자가 긍정적(부정적)으로 평한 인물을 논평부의 논평자는 부정적(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이 관계의 특징이다. 알레고리적 관계와 대립적 관계는 의미를 생산하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이지만, 공통적인 작용을 한다. 그 공통점은 논평부가 이야기부에 미치는 역방향의 영향 속에서 언급 가능하다. 논평부는 이야기부에 영향을 미쳐 이야기부에서 일차적으로 만들어졌던 웃음의 성격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논의는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상호 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소화를 분석하는 시각이 가지는 방법론적 효용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단지 웃음의 성격 변형에 대한 논의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부와 논평부의 관계를 염두에 두는 이러한 논의는 이야기 요소의 변형을

      • <성주풀이>와 <문전본풀이>에 나타난 가정관

        류정월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29

        Sungjupuri and Munjeonbonpuri, the two representative myth of home, tell the orientation of several gods who protect home. They sit in a column, a kitchen, gates, a toilet and so on. Sungjupuri has been recited by Shamans in Gyeonggi Province, Munjeonbonpuri in Jeju island. These myths represent the experience about traditional home. The word, “home” has two levels of meanings. One means material place which comprise a house, or room, toilet, kitchen, yard so on. The other means family relationship between father(mother) and son(daughter), sister and brother, husband and wife. I refer the first level of meaning to the thought on house, the second to the thought on family. I study the interactions between two kinds of thought. For the purpose, the narrative is divided in to the following stages, or narrative schemata: contractㆍmanipulation, competence, performance, sanction. According the stage, I examinate the difference and common ground of the two myths. Finally I found defensive and useful thought on home in Munjeonbonpuri, and generative and moral thought in Sungjupuri.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thought on home, they have common ground. The stories all exclude a middle zone and a mediator. Finally this paper supposes the reason in the shaman culture where the two myths are based.

      •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정월,윤인선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0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too.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text but also context. The stage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Doggaebi gamto is one of them. It has thirteen members and they are over age 60. We choose two female tellers. Children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ir stories. They tell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every Saturday in a room which is located in the library. The room is their stag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We divided the "front" and "backstage"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Goffman. Frist, this paper studies environmental and visual signs in the stage to analyse nonverbal factors.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meta-narrations which reveal the teller-audience relations to analyse verbal factor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traditional context. And to conclude, the two teller's performance have different code. One is vertical cod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code.

      • KCI등재

        『어린이』 소재 차상찬 역사동화 연구 - 자료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Although Cha Sang-chan (1887-1946) has a Chinese-language foundation, he is considered a pioneer of modern journalism and publishing, but research on him is insufficient. By examining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s published in the Eolin-I magazine, this discussion aims to find out how he described historical fairy tales to modern (children) readers, who studi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First, this study listed all articles that Cha posted in the magazine and the historical fairy tale, and confirmed that his historical fairy tale was written around the Choseon Dynasty and the famous generals but accommodated various historical figures.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consists of a creative opening and ending and a traditional middle part. The main textbook suggests that in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the unconscious framework that dictates where the subject and creativity should be involved is the Chon[ 傳 ] mode.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was designed to keep the child’s attention, while delivering difficult and complex traditional mythos in the middle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in mind the children readers’ interests and curiosity in the opening and ending.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implicit and timeless message that such a style of opening and ending sends to children readers. 청오(靑吾) 차상찬(車相瓚, 1887-1946)은 근대 언론·출판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 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의는 『어린이』에 게재한 차상찬의 역사동 화 자료를 목록화 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문학을 토대로 공부한 그가 ‘어린 이’라는 근대 독자를 상대로 역사를 서술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차상찬이 『어린이』에 게재한 글의 전체와 역사동화의 목록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의 역사동화는 조선시대-명장을 주 대상으로 기술하면서도 다양한 역 사적 인물들을 수용하고 있다. 차상찬 역사동화는 창조적인 서두와 결말, 전통적인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본고는 차상찬 역사동화에서 주관과 창조성을 개입시 켜야 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무의식적 틀이 전통적인 전(傳) 양식이었다고 본다. 차상 찬의 역사동화는 서두와 결말에서 아동독자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호기심을 염두에 두었기에, 중간에서 어렵고도 복잡한 전통적 미토스를 거의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아동의 주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러 한 서두와 결말의 방식이 어린이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해 고구한다.

      • KCI등재

        동해안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terdependent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hamans, patients, and ghosts who participate in the Gawangingut, which was one of several disease exorcisms. Assuming that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mechanism of mental illness through formal procedures or functions such as Gwangingut, I would like to examine how care and healing are performed in Gwangingut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Gwangingut and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a shift in perspective centered on care can give a new meaning to good research. In Gwangingut, an ontological transition between shaman and patient, shaman and ghost, and ghost and patient is possible, which presupposes the narrative of shaman, the narrative of the sick and expands the syntactic chain to the past or the future, activating a kind of “imagination of care”. This is different from simply sympathy for the patient or consideration for the weak because it is based on the potential identity of the self and the other. Therefore, the fact that the sick ghost is not the object of hate and ouster but of duty and consideration is regarded as a special point of this exorcism. The homologous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Gwangingut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all human beings with bodies that can get sick-that is, it stems from human vulnerability. This discussion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in the gut as a reciprocal relationship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ontologically. This reveals the dynamic and inevitable dependence between each subject, which is difficult to grasp when reflecting on the physical procedure or shaman-centered function of the gut. It can be said that Gwangingut embodies the fact that humans are all vulnerable beings, and, therefore, they are not permanently fixed as caregivers and caregivers. 이 논문은 치병굿 가운데 〈광인굿〉을 중심으로 이 굿에 참여하는 주체인 무당, 환자, (귀)신들 사이의 상호의존적이며 역동적 관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광인굿〉과 같은 치병굿에서 치병의 메커니즘은 형식적 절차나 기능을 통해 남김없이설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광인굿〉에서 돌봄과 치유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각 주체들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광인굿〉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그것을 통해 돌봄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의 전환이 굿 연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수적으로 타진하고자 한다. 〈광인굿〉에서는 무당과 환자, 무당과 귀신, 귀신과 환자 사이에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한데, 이러한 전환은 무당의 서사, 병자의 서사, 잡신의 서사를 전제하며 그 통사적 연쇄를 과거나 미래로 확장하면서 일종의 돌봄의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이는 단순히 환자에 대한 동정이나 약자에 대한 배려와는 다른데, 자아와 타자의 잠재적 동일성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인인 귀신이 미움과 축출의 대상이 아니라 위무와 배려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이 굿의 특수한 지점으로본다. 〈광인굿〉 제 주체들의 상동적 관계는 이들이 모두 병에 걸릴 수 있는 육체를 가진 인간이라는 점, 즉 인간의 취약함에서 비롯된다. 본 논의는 굿 안에서 이루어지는 제 주체들의 관계를 존재론적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호적인 것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굿의 물리적 절차나 무당 중심의 기능을 성찰할 때에는 파악하기 어려운, 각 주체 간의 역동적이면서도 필연적인 의존성을 드러내준다.〈광인굿〉은 인간이 모두 취약한 존재이기 때문에 돌보는 자와 돌봄을 받는 자로영원히 고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치료의 메커니즘으로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있다.

      • KCI등재

        <삼두구미본>에서 외부의 내부화와 내부의 외부화

        류정월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6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ynamic cultural phenomena of monster narratives in Samdugumibon that appear in Korean shamanism. This study posits that Samdugumibon differs greatly from monster narratives, such as the story of eradicating underground national enemies. The difference is not in terms of sacredness or heroism, but in how the work fundamentally constructs the narrative about monsters and reproduces the shape of monsters. In addition, it is premis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ization of the monster Samdugumi stems from external forces and dynamics that had no choice but to tolerate such a narrative rather than an internal and technical problem. Samdugumibon is different from master plots such as the Tales of Defeating Monsters in Underworld Nation, in that the narrative of the monster in Samdugumibon exists excessively and independently, and the shape of the monster is strange and asymmetric. In Samdugumibon, the conflict between the outside/inside and anxiety/comfort does not result in a perfect victory of “inside” and “comfort.” Unlike general master plo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Samdugumibon remains a process of mutual influence that internalizes the outside and externalizes the inside. Finally, this paper asks why the outside of this text is still represented and narrated as having strong power after being eradicated and infers that it is related to Jeju Island’s straight and destructive view of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