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M을 유지관리로 활용하는 IFC 확장 및 GIS 연계 연구 - 기반시설 BIM의 교량, 터널 중심으로 -

        채재현,최현상,이지영 한국BIM학회 2022 KIBIM Magazine Vol.12 No.3

        As the technology of Smart City and Digital Twin is developing, techniques to integrate BIM data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into GIS are becoming more critical. Hence, this study aims to manage BIM data representing bridge and tunnel structures through the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standard and to develop a method to link these IFC-compliant files to the GIS standard CityGML without loss of information. We analyze the criteria for creating BIM data for bridges and tunnels by reviewing the BIM guidelines set by each client. We use these criteria to suggest methods for data management based on InfraBIM as a specific IFC class standard. Furthermore, we perform model analysis to determine the necessary design and construction field-appropriate model process and Level of Detail (LOD). From the model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classified BIM models can be used as base data to generate BIM models of bridges and tunnels for facility management.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 BIM 활용 기능도출 및 시스템 구축 -교량공사를 중심으로-

        김현승,문현석,최광열,김창학,강인석,Kim, Hyeon-Seung,Moon, Hyoun-Seok,Choi, Gwang-Yeol,Kim, Chang-Hak,Kang, Leen-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2

        최근 공공사업 발주조건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의무화되고 있고, 실무 도입을 통한 성공 사례가 증가되면서 건설 분야의 BIM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BIM 관련 연구는 대부분 설계 또는 시공단계에 한정되어 수행됨에 따라 건설프로젝트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고, 특정 업무지원 기능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유지관리단계의 생애주기 동안 단계별 BIM 적용이 가능한 통합 BIM 운영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 BIM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교량공사를 대상으로 수행단계별 정보체계를 분석하여 BIM 활용 기능과 적용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수행단계별 BIM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구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실무 적합성 검증을 위해서 사례적용과 건설 실무자의 활용성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BIM 통합 운영체계는 생애주기를 고려한 건설공사의 3차원 기반 통합정보관리체계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Recently,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ique is being considered as a critical delivery condition for the public project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est practices by practical application of BIM. However, since existing BIM studies are focused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those results are not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a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BIM operation process that enables an application of BIM for each phase of a construction project from planning to maintenance phases and develops an integrated BIM system based on the suggested methodologies. This study developed basic BIM functions and its application process by analyzing information systems in each project phase for a bridge construction project. Besides, this study performed case study and survey analysis for construction managers to verify a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BIM system is going to be utilized as a 3D-based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건축 물량산출 활용을 위한 BIM품질기준 도입 방안

        권오철,조찬원,조주원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2

        As high-rise and irregularly shaped building structures have become a trend at home and abroad, BIM technology is now being developed and accepted widely. However, the BIM data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design phase cannot be actively reutilized in the construction stage. This is because the major interests of construction companies include working process and cost estimation, while there is not usually enough BIM data created to support these activities.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we need to set up BIM modeling guides that make it possible to extract correct quantity take-off from BIM data. Quality checks are also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resulting BIM data is correct. This study suggests ways of securing BIM quality for correct quantity take-off, which is critical for BIM technology applied to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and its cost estimation.

      • KCI등재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검토항목의 룰 개발 - 국내 BIM 지침을 중심으로 -

        송종관,주기범,Song, Jong-Kwan,Ju, Ki-Beom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5

        BIM 지침을 통해 기본적인 모델링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만, BIM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는 참여자 별로 기준이 상이하고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적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BIM 적용 지침에 대한 이행여부의 평가는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하지만 지침에 따라 작성된 BIM 모델의 검토항목 및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BIM 지침의 BIM 기반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자동 품질검토 수행을 위한 룰 정의서를 제시한다. 먼저 국내 BIM 지침을 분석하여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플로우차트 및 의사코드를 활용한 구조화를 통해 룰 정의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룰 정의서를 기반으로 사례적용을 실시하여 자동 품질검토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3차원의 방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BIM 모델의 설계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향후 활용목적에 따른 BIM 지침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BIM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나 기준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the difference of criteria to apply guidelines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and to depend on the purpose of utilizing BIM models, although modeling criteria are basically provided through BIM guidelines. Therefore, it is quite important to check compliance with guidelines to raise quality of the BIM model. But Quality Checking (QC) items and method for BIM model modeled in accordance with guidelines is not provided. This study suggested QC items and Rule Specifications(RS) for automatic QC. First of all, QC it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domestic BIM guidelines and a process for structuring natural language is conducted by utilizing flowchart and pseudocode. So, by combining them, RS was suggested. Finally, RS-based case study was conducted by implementing automatic QC process with solibri model checker$^{T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and completeness of BIM model including huge data of 3 dimens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BIM guidelines according to the use case and to provide detailed process and standard for QC of BIM model.

      • KCI등재

        철도인프라 BIM기반 공사 발주를 위한 평가기준 제안 연구 : 기존 발주사업 적용 사례를 통해

        손서연(Son, Seo-Yeon),이근일(Lee, Geun-Il),정지현(Jung, Ji-Hyun),문우형(Moon, Woo-Hyoung) 한국BIM학회 2021 KIBIM Magazine Vol.11 No.4

        In the evaluation for ordering BIM-based projects (Design Build) of Korean National Railway, criteria of BIM-based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are assessed. Unlike the existing assessment criteria, performance resources and detailed assessment guidelines have been added by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qualification assessment standards according to specific guidelines when evaluating on the phase of bidding for BIM-based projects. In the study, an improved evaluation standard (draft) was arranged based on two consultation meetings and surveys of related companies, applied to existing projects with the companies that won the bid, and validated. As more specific and added criteria compared to the existing standards, it could reduce the difficulty of evaluation for BIM capability and lay the foundation for railway BIM-based project management.

      • KCI등재

        BSC를 기반으로 한 BIM프로젝트의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송미림,윤수원,진상윤,Song, Mi-Rim,Yoon, Su-Won,Chin, Sang-Y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건설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로 인해 전략적 대응방안 중 하나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등장하였다. 최근 조달청에서는 2012년부터 500억 이상의 건설 프로젝트에 BIM적용을 의무화하는 BIM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여 국내 건설 산업 전반으로 BIM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BIM기반 프로젝트 사례를 바탕으로 각종 BIM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BIM관련 연구는 BIM도입에 대한 단편적인 문제점 도출 및 BIM에 대한 기술력과 체제 구축 등의 문제점을 중점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본질적인 BIM기반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BIM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실태 파악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현재 실무자들의 시각에서의 프로젝트 내 BIM적용에 대한 중요 부문 및 취약 부문을 파악한 뒤 중점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등 효율성 면에서의 BIM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하였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BI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olutions to deal with the trend that building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large-scaled, and multiple-purposed.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increasingly adopted since the Korea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at BIM would be obligated in a construction project whose total cost is over 50 billion won from 2012. This fact has boosted BIM related research projects as well.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the solutions with technological points of view and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how much degree project stakeholders are satisfied with the BIM adoption in their projec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degree of stakeholders in a synthesized point of view in BIM-based projects in order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and weak points in the BIM adop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greatly help to improve the strategies and processes in BIM-based projects as well a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BIM utilization in a project.

      • KCI등재

        객체지향의 도로분야 BIM 표준객체분류체계 개발방안

        남정용(Jeong-Yong Nam),김민정(Min-Jeo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국토교통부는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에서 2020년까지 500억 원 이상의 도로사업에 BIM 설계 의무화를 공표하였다. 이에 따라 주요 공공 발주자들은 각 기관의 실정에 맞는 BIM을 시행하기 위해 다각적인 시도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BIM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지침과 표준분류체계 제시가 미흡하여 실무자들이 제대로 된 BIM 설계와 건설이 어렵고, 발주기관의 BIM 정보축적도 곤란해지게 된 상황이다. 도로의 특성은 선형을 따라 끊임없이 변화가 이루어지는 토공과 같은 비정형 대상과 교량, 터널등과 같이 초대형 구조물 대상 그리고 표지판, 방음벽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들이 산재해 있어 방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각적인 표준체계가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무적으로 사용가능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제표준에 부합되고 다차원의 정보체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로분야의 BIM 표준객체분류체계를 개발하여, 실무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BIM 표준정보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promulgated the mandatory design of BIM for road projects of more than 50 billion won by 2020 under the Basic Plan for the Sixth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s a result, major public clients are attempting to implement BIM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f each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construct a proper BIM and accumulate BIM information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because the technical guidelines an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perform BIM effectively have not been presented suffici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e.g., atypical objects, such as earthworks, which are constantly changing along a line; large object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and facilities, such as signs and soundproof walls. To achieve this, a multitude of standard syste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but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a BIM standar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road sector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accommodate a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a more effective BIM standard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utilized easily by practitioners.

      • KCI등재

        BIM을 활용한 현장적용 안전관리 프로세스 제안

        김태훈,이동학,배성인,홍윤기,박주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오늘날 건설 프로젝트가 갈수록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됨에 따라 프로젝트와 관련한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사용이 요구된다. 건축의 작업환경은 도면을 디지털로 구현하는 CAD의 환경에서 건축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구축하고 공유 및 활용하는 ‘건축정보모델링’ 즉,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환경으로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BIM을 활용한 시공분야 적용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BIM을 통한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연구는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장 BIM의 활용 분야에 대해 고찰하고, 현장안전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세스를 현장적용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각도의 시공부위 체크 가능, 위험요소에 대한 원활한 의사소통 제공, BIM을 통한 최적의 가설계획으로 시공 효율성 증대 및 안전관리가 용이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BIM 현장적용 프로세스는 안전관리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BIM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슬기(Lee, Seul-Ki),유정호(Yu, Jung-H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8

        Although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in agreement about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benefit of BIM in construction, it is still unclear why BIM is adopted, and what factors enhanc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BIM. Thus, the mechanism of BIM acceptance and use remains in ques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BIM in construction organizations, and analyze the effe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actor on BIM acceptance. The key factors for BIM acceptance a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TAM (Davis 1989) and related theories, and consolidated by interviews and pilot studies with professionals in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e factor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sent out to construction organizations such as contractors, architects, and engineers in Korea. Using factor analysis, key factors were grouped into five dimensions. And using multi regression analysis,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 and BIM acceptance. These findings will clarify what the highly prioritized factors are, and can also be used in an assessment tool for the performance of BIM utilization.

      • KCI등재

        비정형' 공간에 따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개념 적용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박상준(Park Sangjun),홍관선(Hong Kwans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디지털 패러다임에서 출발하는 실내공간의 비정형 형태로의 변화는 사람들이 행위 하는 공간의 형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매체의 발전 인터넷 등 각종 정보기술의 활용 건축 및 실내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의 비정형 형태로의 흐름은 현 시대의 패러다임과 관념들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실내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비정형적 공간으로의 변화는 디지털 패러다임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현대건축 디자인의 변화 디지털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하고 있다. 비정형 건축으로의 변화와 함께 실내 공간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더욱더 비정형화라는 다자이너의 상상력을 현실화 하게 한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 변화에 따른 비정형 공간개념을 인지하고 BIM의 개념과 그 효율성을 통해 실내공간의 변화에 따른 BIM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비정형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디지털패러다임과 디지털생성도구 파라메트릭 모델링 BIM의 분석을 바탕으로 실내건축에 BIM의 효율적 적용 가능성을 규명 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축의 비정형화에 의해 기하학적 공간에서 비정형 실내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정형 형태 도출에서도 기존의 2D 시스템으로는 역부족이며 3D 모델링 시스템을 통하여 형태 도출이 필요 할 것이다. 3D 모델링 시스템과 파라메트릭 모델링 BIM은 디자이너의 상상력을 더욱 현실화 할 수 있으며 BIM의 효율성으로 자유로운 공간과 더욱 다양한 비정형적 공간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아직은 BIM의 활용이 건설 건축에 국한되어 활용되고 실내건축에선 그 활용이 미비하였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있어서 BIM의 적용은 필수적인 것이며 실내공간의 변화에 따른 BIM 적용은 그 필요성과 더불어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gnize the atypical space concept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BIM application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BIM and its effectiveness. For them this study intends to prepare the fundamental frame of studying by considering precedent studies for atypicality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 applying possibility of BIM for interior archite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digital paradigm digital creating tool parametric modeling and BI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geometric space is changed to atypical interior space by architectural atypicality. For the deduction of atypical forms the existed 2D system is not sufficient and it has to be deducted by 3D modeling system. 3D modeling system parametric modeling and BIM can actualize the imagination of designer more and facilitate to create free spaces and more various atypical spaces with the effectiveness of BIM. But as the application of BIM is limited by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and in the interior architecture its application is incomplet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BIM is necessary for interior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BIM by the change of interior space will contribute more to not only its necessity but also its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