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가면의 고백』론 -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전후 일본 -

        남상욱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2 No.-

        이 글은 『가면의 고백』의 주체가 어떻게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관련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전후 일본인들의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 주체성이 어떤 식으로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면의 고백』 속에서 화폐의 질서와는 무관한 삶을 살아온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 ‘나’ 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형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첫째, 주권권력의 유 지를 위한 ‘죽음’ 대신 ‘생’ 그 자체를 전면적으로 긍정한다는 점, 둘째, 다이쇼 교양주의 영 향 속에서 ‘자기 테크놀로지’를 통한 성 정체성의 변화 가능성을 믿어왔다는 점, 그리고 마지 막으로 그것의 불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자기 통치의 제한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점에 있어서 도 그러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자유주의적 통치테크놀로지’의 주체로서의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천 황제 파시즘이라고 불리는 주권권력에서 상징천황제의 생명관리통치로의 정치권력 작동 방 식의 변화를 이어주는 존재임을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subjects in Confession of a Mask by Yukio Mishima as they relate to the concept of Homo Economicus, which ultimately reveals how the Japanese identity was formed around the concept in the post-World War II period. ‘I’ who may seem to be unrelated to the order of money in this text, is deeply related to the image of Homo Economicus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o have believed the whole ' life ' itself as entirely positive, instead of dying for the maintenance of sovereign power. Second, to have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gender identity through technology of the Self under the influence of Daisho Kyoyoshugi. Finally, to have accepted the limitations of self governance, by accepting the impossibility of perfect self-technology. Homo Economicus, the main agent of liberal governance technology, may be seen as the key connection between the way political power operates from sovereign power of fascism, known as called ‘Zettai-tennosei,’ to the bio-politic of the emperor state, which is called ‘Shocho-tennosei.’

      • KCI등재

        「필경사 바틀비」에 나타난 호모 에코노미쿠스적 삶에 대한 멜빌의 고찰

        이용화(Lee, Yong-Hwa)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29 No.-

        본고는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에서 화자가 바틀비와의 관계를 통해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존재하는 자신의 삶에 대해 자아 성찰을 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호모 에코노미쿠스, 즉 경제적 인간이란 미쉘 푸코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개인들이 인간 자본의 주체로서 형성되는 과정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차용한 용어이다. 푸고는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존재로 규정하면서 신자유주의 속에서 인간 주체는 그 체제의 시장원리와 환경을 내면화한 가운데 자신에게 배정된 역할을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수행하게 됨을 강조한다. 멜빌의 작품은 비록 19세기 중반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경제 체제가 그 구성원의 존재 양태를 규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푸코가 지적한 바와 유사한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화자는 작품에서 유일하게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규정될 수 없는 인물, 바틀비의 수동적이지만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방식으로부터 거리를 확보하고 그 존재 방식의 타당성과 의미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narrator in Herman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 engages in self-reflection on his manner of existence as a homo economicus through his interactions with Bartleby. Homo economicus, or economic man, is a term Michel Foucault appropriates in his investigation of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are constituted as subjects of human capital within the economic system of neoliberalism. Positi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omo economicus as being “eminently governable”, Foucault stresses that human subjects in neoliberalism unconsciously yet voluntarily internalize and perform roles assigned to them within the system. Although it is set in mid-nineteenth-century America, Melville"s story provides similar insights into how an economic system defines its members" manner of existence. It is only when the “eminently safe” narrator confronts the passive but powerful resistance of Bartleby, the only person in the story who cannot be regarded as homo economicus, that he distances himself from his mode of existence and questions its validity and meanings.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구성과 남성성의 변화 — 생태적 대안에 대한 모색

        박혜영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gender in the neoliberal era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asculinity as a part of it, and aims to examine the humanistic meaning of this new gender composition. First of all, this paper noticed that the human aspect of homo economicus as an important feature of neo-liberalism appeared on the front. Homo economics means a free individual pursuing a single possessive desire regardless of gender.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it is a new view of human beings that emerged after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at is, with the liberal classical economics of the 18th century.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gender composition principle of homo economicus will be introduced with the idea of Ivan Ilyich, Wendy Brown, and Maria Mies. The complementarity is a principle of gender formation in the non-industrial society before capitalism. The role of gender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ocial community, which looked after nature and coexisted, became more vulnerabl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capitalism, both men and women, as they were reduced to individual gender roles by the time of neoliberalism. In the era of neo — liberalism,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dismantling of social communities are accelerating, and the rise of humanity as homo economicus strengthens the sexual characteristic of the body. As a result, human beings have been transformed into more isolated and individualized human capital, and this type of commercialization not only increases homophobia, gender discrimination and isol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lternative gender concept based on ecology. 본 논문은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신자유주의 시대의 특징적인 젠더의 구성 원리를 살펴보고, 그 일환으로서 변화된 남성성의 특징을 고찰하여 이와 같은 새로운 젠더 구성이 갖는 인문학적인 의미를 성찰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먼저 신자유주의 시대의 중요한 특징으로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homo economicus)의 인간관이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성별과 무관하게 단일한소유욕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개인을 의미하며, 생태주의적 관점에서보자면 자본주의의 발달 이후, 즉 18세기 자유주의 고전경제학과 함께등장한 새로운 인간관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젠더 구성 원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이반 일리치, 웬디 브라운, 마리아 미즈 등의 입장에서도 드러나듯이 성별과 무관하게 단일한 욕망을 지닌 인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것은 자본주의 이전 비산업사회의 젠더 구성 원리인 상보성과는 대치되는 특징으로 오직 경제에만 매진하는 새로운 인간의등장을 의미한다. 자연을 돌보고 공존을 모색하던 사회공동체의 구성원리로서의 젠더의 역할이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러 보다 개별적인성역할로 축소되고 탈정치화되면서 남녀 공히 자본주의의 상품화에 취약해지게 된다. 나아가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단일 욕망 중심의 젠더 구성은 남녀관계에도 변화를 초래하여 남성성의 개념도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재편성된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러 자연파괴와 사회공동체해체 등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인간관의 부상은 몸의 성적 특성으로서의 섹스를 강화시키게 만든다. 그 결과 인간은더욱 고립되고 개별화된 인적자본으로 변환되었으며, 이런 식의 상품화로 인해 남녀 간의 혐오나 성차별, 고립도 심화될 뿐 아니라 남성 젠더가 역사적으로 누렸던 호모 폴리티쿠스(homo politicus)의 역할도 축소되기에 본 논문은 이에 대해 대안적 젠더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고제안한다.

      • KCI등재

        호모 에코노미쿠스 -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경제문제의 문학적 형상화

        최성욱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20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54

        이 연구는 무질의 『특성 없는 남자 Der Mann ohne Eigenschaften』를 중심으로 문학에서 경제문제가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현대사회는 돈과 경제담론이우리 일상을 지배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현대인은 ‘경제인간 Homo oeconomicus’ 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란 이기적 충동에 기초해 모든 것을 합목적적으로 계산하고경제원칙에 따라 행동하며 현대 사회에서 돈과 소유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는 인간이다. 무질은 그의 소설에서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다룬다. 그들은 하나같이 현대사회와 돈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돈의 한계와 불안전함을 인식하고 변형된 호모에코노미쿠스가 된다. 본 연구는 이런 변형된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말과 사유를 통해현대인에게 돈과 소유가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겠다.

      • KCI등재

        푸코의 ‘자기 배려’에 관한 모색 바틀비를 중심으로

        김영희 ( Kim Youn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본 논의는 만약 누군가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le,1819~1891)의 소설에 나오는 바틀비가 된다면, ‘바틀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마찬가지의 상황에서 기꺼이 바틀비의 선택을 따를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서 비롯되었다. 이 물음의 해답을 찾기 위해, 논문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전개된다. 첫 번째 부분은 근대적 통치성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주체인 호모 에코노미쿠스에 관해 정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예속화의 과정에 순응하지 않는 주체, 자기 배려 주체의 가능성을 바틀비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통치성이 국가의 존재 이유로 등장한 것은 16세기 중엽 이후의 일이며, 18세기에 이르러 근대적 통치성이 형성된다. 자유는 근대적 통치성의 중요한 통치기술이다. 자유주의 통치성은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오히려 그것과 대립적인 통제와 개입을 인정한다. 자유주의 전통의 뒤를 잇는 신자유주의 통치성도 마찬가지로 시장을 위한 조절을 수용한다. 신자유주의의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조절과 경쟁을 시장의 본질이자 원리로 받아들인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경제적 이성에 따르는 충실한 인적 자본이자 자기 자신의 경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순응하는 예속적 주체라면, 바틀비는 탈예속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삶이 저항으로 서의 삶이기 위해서는 예속화된 주체로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주체가 되어야 한다. 바틀비의 삶에 주목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바틀비는 단순히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사회에 할당된 어떤 역할도 주어지지 않는 추방자로서의 삶을 스스로 택한다. 그는 ‘자기 자신에로 돌아가기’라는 삶의 전향을 통해, 새로운 주체가 된다. 따라서 바틀비는 전향을 통해 자기 부정의 삶이 아니라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삶을 선택함으로써, ‘자기 배려’의 주체가 된다. Suppose that one of these 'anonymous' is Bartleby in the novel by Herman Melville. Would you be willing to be Bartleby? If so, what does it mean to be 'Bartleby'? To answer this question,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develops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and neoliberal governance,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Homo Economicus’ as a subject subordinated under the present governmentality. In the second part,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is to be explored through Bartleby who does not conform to the process of enslavement, a subject that takes care of himself. It is only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at governmentality appeared a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 state, and ‘modern governmentality’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Modern governmentality is an economic reason, and Freedom is the art of government. Liberalism presupposes non-freedom. In order to preserve freedom, Liberalism introduced to control and management as opposed to freedom. Neoliberal governance intervenes in the market to achieve market freedom. The purpose of neoliberal government is to regulate and govern society for the sake of the market. ‘Homo Economicus’ accepts competition as a principle of the market. He is human capital following economic reasons and his own entrepreneur managing himself. If ‘Homo Economicus’ is a subject subordinated to the neoliberal government, then Bartleby is a ‘subjectivation’. For the life of ‘Homo Economicus’ to become resistant, it must become a new subject. He must get out of life as a subordinate subject. ‘Homo Economicus’ is not a subject of rejection, so we should pay attention to Bartleby's rejection. Bartleby does not simply refuse actions or self. He refuses to be ‘Homo Economicus’ and to turn to himself. Bartleby denies the role given to him through refusal and becomes an outsider. Bartleby's choice is not a denial of the self, but a choice to set oneself free and self-care as a conversion to the self. The concept of conversion is important because Bartleby becomes the subject of self-care through conversion. Bartleby becomes a maker of his new life through conversion.

      • KCI등재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누가 오는가?: 데리다와 도래할 계산의 주체를 중심으로

        정재식 ( Jae Sik Chung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본 연구는 데리다의 “계산” 개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도래할 경제적 주체의 양태를 구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본 논문은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을 측정하기”(Measuring what makes life worthwhile)라는 미국의 호텔 최고 경영자 칩 콘리(Chip Conley)의 강연문과 “계산 불가능한 것을 계산하는 것”에 관한 데리다의 사유를 접목시켜 보면서, 주체 중심의 동일성을 잣대로 타자를 측정하고 지배하는 폭력의 행위와는 다른 방식의 계산 형식을 탐구한다. 데리다에게 계산은 수리적, 경제적 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독특성으로서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 양태와 삶의 형식을 결정하는 철학적, 존재론적 개념에 해당한다. 그의 계산 개념은 주체의 동일성을 내부에서 분화시키는 타자의 “이질적인 낯섬”(a troubling foreignness)을 핵심 범주로 삼는 “불가능성에 의한 계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해체론적 계산을 통해 우리는 경쟁과 효율을 계산의 기본 원리로 삼으면서 자본의 무한 확장과 시장 논리 그리고 기업의 조직과 운영 방식을 인간 행동의 합리성의 정점에 놓은 신자유주의적 호모에코노미쿠스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계산 불가능한 것을 계산하는 독특성의 주체 형식을 창안해야 한다. 상처와 변질의 위험 속에서도 계산 불가능한 것을 현실 제도와 다양한 실천들 속에서 지속적으로 계산하면서 타자의 목소리에 윤리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새로운 계산과 실천의 양태를 발명하는 주체, 그것이 바로 신자유주의적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 도래할 주체,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가 창안해야 할 “도래할 계산의 주체”이다. This paper proposes the new mode of the economic subject, who could come after the Neo-liberalistic Homo-economicus, by employing the Derridean notion of calculation. For this project, juxtaposing American hotel CEO, Chip Conley`s TED lecture, entitled “Measuring what makes life worthwhile” with Derrida’s thought on “calculating the incalculable,” we will attempt to invent the new mode of calculation. This fundamentally differs from that of the voracious subject-based calculation, which measures and appropriates the alterity of the other through the logic of the identity and the economic interest. For Derrida, the act of the calculation is not simply reduced to be a simply mathematical and economic concept; rather, it is an ontological concept that can determine a particular mode of life based on the methods by which one subject measures the singularity of the other. His notion of calculation can be defined as the calculation conducted by the impossibility, which takes as its core category “a troubling foreignness” that can deconstruct the solid identity of the subject within itself through traces of the other. This notion of the new calculation is designed to challenge and confront the dominant power of the Neo-liberalistic Homo-economicus method of calculation, which privileges the unlimited freedom of capital and market by placing entrepreneurial logic (in particular the logic of competition and efficiency) at the heart of current human rationality. In spite of the risk of contamination and distortion, our task is to invent “the subject of the calculation to com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nd inscribing the incalculable trace of the other at the heart of law and social and economic practices. We attempt this by creating ethical responses to the immeasurable voice of the other, and, in doing so, we can elevate the newly invented calculation into the principle of life in times to come.

      • KCI등재

        호모 에코노미쿠스 대 사회적 선호와 공평성 : 학교 경제교육 비판

        이윤호 ( Lee Yun-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2

        이 연구는 경제학의 기본 가정인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지니는 함축과 연구 패러다임으로서의 주류 경제학의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행동경제학과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호모 에코노미쿠스 공리의 특수성과 한계를 비판한다. 행동경제학의 연구 결과는 인간이 이기성과 함께 공평성 성향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확인한다. 우리나라 학교 경제교육은 주류 경제학의 이론 체계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합리성 또는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교육을 행하고 있다. 민주시민성 함양이라는 사회과교육의 목표에 학교 경제교육이 제대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교육에서 합리성과 함께 공평성이 동시에 다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homo economicus as the basic assumption of econom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instream economics as a research paradigm.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behavioral economics and neuroscience, the paper criticizes the specificity and limitations of the homo economicus axiom. The research results of behavioral economics and neuroscience confirm that humans have innate propensity for fairness along with selfishness. School economic education in Korea uncritically accepts the theoretical system of mainstream economics and provides school economic education that emphasizes only rationality or efficiency. School economic education has not properly contributed to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In school economic education, rationality and fairness must be dealt with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주체 ‘호모에코노미쿠스’ ― 우르스 비드머의 『승자들』과 존 폰 뒤펠의 『엘리트Ⅰ,1』

        정윤희 ( Joung Yoon-h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3

        논문은 우르스 비드머의 『승자들』과 존 폰 뒤펠의 『엘리트 Ⅰ,1』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주체의 모습을 고찰하고 있다. 『승자들』에서는 세계화로 인한 기업의 구조조정과 대량실업의 문제가 비중 있게 다뤄진다. 전직 최고 관리자였던 인물들을 통해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시장화된 자기통치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를 가차 없이 사회 밖으로 폐기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았다. 『엘리트 Ⅰ,1』 역시 스스로를 조직하고 통제하는 ‘자기 자신의 기업가’라는 노동주체의 형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적 상품생산체제 내에서 노동은 다만 자기 목적적인 가치증식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에너지를 끊임없이 돈(가치)으로 전환시키는 자기소모과정에 불과함을 역설한다. 이 논문에서는 노동규율의 내면화가 인간의 경제생활뿐 아니라 인간의 내면까지 식민화하는 현실을 신자유주의적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형상을 통해 밝히고 있다. Neoliberalismus hat seinen Fokus auf die Maximierung der Freiheit des Kapitals und Reorganisierung der gesellschaftlichen Verhaltnisse entsprechend den Gesetzen der Marktokonomie gelegt. Das Ergebnis sind soziale Polarisierungen, die durch unendliche Wettbewerbe und Gewinnermonopolisierungen ausgelost wurden und das menschliche Leben und deren Bedeutung nachhaltig verandern. Seit die neoliberale Wirtschaft die Welt seit den 1990er Jahren dominiert, hat sich die Arbeiterschaft selbst organisiert. Die Flexibilitat der Arbeitskrafte, also der Arbeitnehmer selbst, fuhrte zur ‘Selbstverwaltung der Subjekte’, die die Arbeiter zur Selbstoptimierung zwingt und schlussendlich zur Selbstausbeutung fuhrt. Die strukturellen Veranderungen der Arbeitswelt und die daraus entstandenen Probleme werden sehr pointiert in Urs Widmers Top Dogs(1996) und John von Duffels Elite Ⅰ.1(2002) dargestellt. Veranderungen in der Arbeitswelt erfordern Kreativitat, Effizienz, wirtschaftliche Durchfuhrbarkeit, Fluiditat und Organisation. Zwei Dramen, Top Dogs und Elite Ⅰ.1 zeigen die Auswirkungen dieser Forderungen an das Individuum. Die Verwirtschaftlichung des Lebens wird kritisiert, in der der okonomische Aspekt das gesamte Leben, das individuelle Denken, die Sprache und auch den Lebensstil dominiert. Top Dogs handelt von Unternehmensrestrukturierungen als Folge der Globalisierung, die Arbeitslosigkeit und Arbeitsplatzunsicherheit mit sich bringen. Elite Ⅰ.1 gestaltet ‘homo economicus’ als eine Metapher fur die Selbstverwaltung des Subjekts, das die Prinzipien des Markts internalisiert hat. Dadurch enttarnen zwei Dramen die Rucksichtslosigkeit des Neoliberalismus und die inhumane Arbeitsrealitaten.

      • KCI등재

        1980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 -시장은 사회와 인간을 어떻게 바꿨나? -

        이상록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0

        Many historians interpreted that individual freedom was oppressed and liberalism was absent in Korea from 1961 to 1987 due to the authoritarian rule of military dictators such as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government have constantly intervened in the market, but paradoxically, it has resulted in expanding the free market and expanding the capital’s capabilities through export growth. In this context,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n extension of economic liberalism. In this period, the ‘market and capital function’ absorbed the society and manifested itself as a person who invested in himself for socio-economic self-interest. As the income of the people increased due to the effect of industrialization, the middle class was increasing in Korea in the 1980s. However, it was the spread of self-consciousness that “I am a middle class” that was increasing more than the middle class increase on the objective indicator. The ga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has arisen from two dimensions: the desire of lower-class workers to “I want to be a middle class” and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consumer life in society as a whole. With the spread of the middle class in the 1980s, social polarization has been partially alleviated, but the sensitivity to inequality has increased. The tutorship of the Chun Doo-hwan regime was a governing act that gathers the public’s desire for equality, but due to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t the bottom of the ban and the rising pressure of the social hierarchy, the ban has become increasingly ineffective. In the 1970s, the self-development craze started from the white-collar workers spread to students and housewives in the 1980s. In the competitive society, the individualistic desire to “live better than others” was increasing with homo-economicus. The practice of speculative capitalism and the visible consumption of the upper class provided relative poverty to the lower middle class and their sensitivity to the inequality society became more sensitive. The popular egalitarian pressure act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democratic movement in the 1980s. Of all the energies that led to the democratic uprising in June 1987,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resistance to homo-politicus for life as homo-economicus. From 1987 onwards, the performance of democratization should be re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attempts to visualize and make the ‘non-shareholders’ as political subjects. 많은 역사가들은 박정희와 전두환이라는 군인 출신 독재자들의 권위주의적 통치로 인해 1961년부터 1987년까지 한국에서 개인의 자유가 억압되고 자유주의가 부재했던 것으로 해석해왔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박정희․전두환 정부는 시장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간섭하는 정책을 폈지만, 역설적으로 그것은 자유시장의 확장과 수출증대를 통한 자본의 역능 확대로 귀결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1970~80년대 한국사회는 경제적 자유주의의 확장기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시장과 자본의 역능’은 사회를 잠식해가고, 인간을 사회경제적 자기이익을 위해 스스로에게 투자하는 존재로 주체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산업화의 효과로 국민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1980년대 한국에서는 중산층이 늘어나고 있었다. 그런데 객관적 지표상의 중산층 증가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던 것은 ‘나도 중산층이다’라는 자의식의 확산이었다. 객관과 주관 사이의 간극은 ‘나도 중산층이 되고 싶다’는 하층 노동자들의 상승 욕구와 사회전반의 소비생활 수준 향상이라는 두 차원으로부터 발생하였다. 1980년대 중산층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 양극화는 부분적으로 완화되었지만, 불평등에 대한 감수성은 증대되고 있었다. 1980년 7월 국보위의 과외금지 조치는 대중의 평등욕구를 수렴하는 통치행위였지만, 금지의 밑바닥에 놓인 입시경쟁 구조와 사회계층적 상승 압력으로 인해 과외금지 조치는 점점 무력화되어 갔다. 1970년대 샐러리맨으로부터 시작된 자기계발 열풍이 1980년대에는 학생과 주부로까지 확산되는 등 경쟁사회 속에서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남보다 더 잘 살아야 한다’는 개인주의적 욕망이 증가하고 있었다. 투기자본주의의 성행과 상류층의 과시적 소비는 중산층 이하의 계층에 상대적 빈곤감을 제공하였고, 불평등 사회에 대한 이들의 감수성은 예민해져있었다. 대중의 평등주의적 압력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동력으로 작용했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이끌었던 여러 에너지 가운데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삶에 대한 ‘호모 폴리티쿠스’로의 저항이다. ‘몫이 없는 자들’을 가시화시키고 정치적 주체로 세우려던 시도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부터 1987년 이후 민주화의 수행적 기능은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피에르 부르디외의 자본의 유형으로 본 카네기의 기부의 성격

        이정일(Jeong-Il Lee)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앤드류 카네기(1835-1919)의 기부를 연구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카네기와 그가 펼친 ‘부의 복음’은 오늘날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가난과 부의 불균형은 여전히 우리를 괴롭힌다. 점증하는 불균형은 오늘날에도 무시할 수 없는 사회적 현실이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50인은 전 세계 경제에서 엄청난 부분을 차지한다. 점증하는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부자만이 자신의 부를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쓴다. 앤드류 카네기는 지금도 역사상 가장 부유했던 10인 중의 하나로 들어가지만, 그는 달랐다. 생전에 그는 3억 5천만 달러(현 통화 가치로 약 30억 달러) 이상을 기부했다. 그는 아마도 부자가 기부를 실천하는 것을 도덕적 의무라고 설파한 첫 번째 인물일 것이다. 1889년에 카네기는 <부의 복음>을 썼는데, 여기에서 그는 이웃들의 안녕을 위해 살 때 최고의 삶을 얻게 된다고 주장했다. 카네기는 처음엔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시작했다. 호모 에코노미쿠스란 자기 자신의 유익을 최대화하는 것을 중시하는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카네기는 자신의 부를 2500개 이상의 도서관을 짓는데 씀으로써 호모 소시올로지쿠스로 변신했다. 이러한 그의 기부가 갖는 의미는 주목을 받았지만, 그가 호모 소시올로지쿠스로 변신한 보다 심층적인 이유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에선 부르디외가 쓴 <자본의 유형>(1986)을 분석의 도구로 삼아, 카네기가 기부를 통해 경제 자본을 사회에 환원했지만, 기부는 그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그에게 문화, 사회, 상징 자본이란 보상을 가져다주었다고 주장한다. 기부행위로 카네기는 부의 복음(the gospel of wealth)을 전하는 부의 전도자가 될 수 있었다(고후 5:15). 일단 부를 나누기 시작하면, 기업인의 영향력은 문화, 사회와 사업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사실을 앤드류 카네기의 실천이 분명하게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itable giving of Andrew Carnegie(1835-1919) because Carnegie and his view of ‘The Gospel of Wealth’ still have an impact in today’s world. The disparity between poverty and wealth still plagues us. Growing inequality is the overriding social reality in today’s world. The 50 wealthiest entrepreneurs in the world control a staggering portion of the world economy. Despite this growing inequality, only a small number of rich people give their fortune for the benefit of the community. Andrew Carnegie was different, even though he is often ranked as one of the 10 richest people of all time. During his lifetime, he gave away over 350 million dollars. He was perhaps the first to state that the rich have a moral obligation to give away their fortune. In 1889, he wrote ‘The Gospel of Wealth’, in which he asserted that the highest life must be attained by living for the good of our fellows. Carnegie started his career as homo economicus which assumes a rational, self-interested human who acts to maximize his own utility. But Carnegie began to turn out to be homo sociologicus by giving away his fortune to build more than 2,500 public libraries. The significance of his act of philanthropy has been noticed, yet the reason of his transformation to be homo sociologicus is rarely noticed. For this, ‘The Forms of Capital’(1986) by Pierre Bourdieu is used to argue that Andrew Carnegie gave away his economic capital in the form of the gospel of wealth, but he was also rewarded in the forms of cultural, social, and symbolic capital. The act of giving helped Carnegie to be a messenger of the gospel of wealth(2Co 5:15). Once one starts to give, an entrepreneur’s influence becomes evident in the realms of culture, society, and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