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漢文) 어휘(語彙)의 심미적(審美的) 교육(敎育)에 대(對)한 일방안(一方案)

        신두환 ( Doo Hwan S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이 논문은 한문 어휘의 심미적 교육에 대한 연구이다. 우리 한문교과서에서 한문 어휘는 우리 국어생활에서 활용되는 편의성만 강조되고 그 심미적 가치는 고려되지 않은 채 등한시 되어온 감이 있다. 이점에 착안하여 한문 어휘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한문교과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현재의 한문과 중등 교육과정은 참고하되 그 범위는 초월한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 활용되고 있는 한문 어휘 속에는 신비롭고 기발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넘치고 조어의 오묘한 묘미를 가진 아름다운 어휘들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한문 어휘의 심미적 교육은 산업화의 영향으로 황폐하게 변질된 언어생활을 순화시키고, 언어생활의 정서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며 나아가서 인격을 완성시키는 인성교육과 창의력 교육에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다. 한문 교육은 한문 어휘에 대한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어휘들을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한문어휘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문 어휘교육의 이론적 체계를 간략하게 살피고, 그 바탕위에 한문어휘의 심미적 교육에 대한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네 항목으로 나누어 그 교육 방안을 구상해 본 것이다. 앞으로 한문 어휘에 대한 심미적 교육 담론의 지평이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research on the aesthetic education in the in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 statement from our classical Chinese textbook vocabulary utilized in our native tongue, life of ease, but considering its aesthetic value is being emphasized without neglecting piers. Focusing on the benefits of classical Chinese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and can educate so that you can enjoy aesthetically classical Chinese new studies sought. A statement of current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he note that is timeless. East Asian sinosphere is being utilized in classical Chinese with a mysterious and whimsic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the vocabulary is overflowing with beautiful, marvelous zest of expletive vocabulary numerous enough to be able to count. One of the effects of aesthetic education industrialization of the vocabulary of classical Chinese dead and purify the language life, language, produce life of harmonious and furthermore to make that complete creativity education personalities important can be an excuse.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for the aesthetic education for classical Chinese and through the vocabulary of various types of Octopus words aesthetically with the ability to enjoy. Also, a good life and the wisdom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sound values and desirable. Traditional cultures understand and creatively develop the succession right sinosphere learn basic knowledge about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s within the attitude you want to have. This paper is a summary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education of a search statement in the vocabulary, based on statements that the goal for teaching aesthetic vocabulary, content, methods, evaluation, considering that education initiative is divided into four items will be done. Next classical Chinese for aesthetic education vocabulary expanding notion of discourse.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교육과정의 분석-1974~2017, 44년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남지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번역 중심의 교육(2)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3)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 데 있었다. 2기에는 한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漢文敎科書의 文學敎育 比重

        한예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본고는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7차 교육과정을 면밀히 검토하고, 한문교과서에서 문학교육이 어느 정도의 비중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런 작업은 앞으로 한문과 교육과정을 개정함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며, 또 학습교재 및 지도방법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제 7차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문학교육의 방향이나 목표는 알아보기 힘들다. 이유는 국어과목의 도구교과로서의 한문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한문을 언어적 측면으로 조망하면서도 문학교육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중ㆍ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가 직접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한문 고전'에는 비교적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특히 한문영역의 '산문'을 세분하여 '문학류의 산문을 풀이하고 감상하기'라고 명시하였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이 '한문 고전'은 극히 제한된 대상만이 학습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비하다는 점이다. 한문 교육의 정체성의 입장에서 한문과의 문학교육 목표를 재고한다면, '특수한' 한문 고전의 문학교육 목표가 한문과의 '일반적' 교육목표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위와 같은 한문의 문학교육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한문의 독해 능력을 기초로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 동양 문화의 진정한 이해를 통해 세계화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향후의 과제로 세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는, 교과내용의 선정에 문학을 다양한 장르를 소개하는 것이다. 둘째는, 문학교육에 적합한 다양한 학습방법을 개발한다. 셋째는, 문학교육을 위한 보완 자료를 개발한다. So go scrupulously investigated the seventh educational course in the aspect of educating literature, and examined how much relative importance it has. Such process will be helpful as source materials for the coming revisions of the education course of Chinese composition. Also, it will also be referred to 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ethod. It is hard to notice the course and goal in educating literature in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of Chinese composition. This is because it has its goal in educating Chinese composition as an implement to studying Korean, and even though we look out over on Chinese composition in a linguistical aspect, there is no direct reference of educating literature. Even though the goal of educating literature is not directly presented in th junior high and high school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al course, it is relatively specifically presented in 'Ancient Chinese.' Especially, by subdividing 'prose', it is clearly stated as 'interpreting and appreciating literary prose.' Merely, the inconvenience is that this 'Ancient Chinese' can be learned by remarkably limited subjects, and therefore its effect is insufficient. If we reconsider the goal of educating literature in Chinese composition in a point of view of the nature of identity, I believe that the 'special' goal of educating literature of ancient Chinese should be reflected to the 'general' goal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expected effects of such literature education in Chinese composition, will provide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with th foundation of the ability to comprehend Chinese. Therefore, through a true understanding of the Asian culture, it will contribute to globalization. I present three propositions henceforth. First, we must introduce various genre of literature in the text books. Second, we must develop various methods of learning for educating literature. Third, we must develop supplementary materials for educating literature.

      • KCI등재

        한문교과서 연구사(硏究史) 검토

        이동재 ( Lee Dong-j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한문교과서의 연구 목적은 더 좋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것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문교과서는 1972년 한문교과가 교육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편성되기 이전부터 교과서가 간행되었다. 한문교과서는 제3차 교육과정기 이후 교육과정기별로 편차는 있었지만 대략 중학교는 20여종, 고등학교는 10여종이 넘는 교과서가 간행되어 일선 학교 한문교육의 핵심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교과서 분석의 준거는 개인의 교육적 신념이나 취향이 아닌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한문과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이나 제재,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반영하고, 여기에 학생들로 하여금 쉽고 재미있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가에 있다.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처음에는 교과서의 구성 실태와 내용의 수용 양상의 분석, 오류 분석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과정이 거듭되면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분석, 내용수준, 위계별 학습 요소, 製冊 등에 대한 여러 대안이 제시되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한문 문법, 한시 등 특정 분야와 四書 등 특정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고, 학습목표의 진술과 교과 내용, 평가에 대한 연계 등에 관한 연구, 교과서의 구성, 조직, 삽화 등 제책에 관한 연구 성과가 매우 부족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심화되어야 한다. 한문교과서의 가장 최우선의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한문을 왜 배워야하는지에 답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문교과서를 만들 때 가장 고려하여야 할 것은 교과서의 집필자도 편집자도 아니고, 현장의 한문교사도 아니며 한문교과서를 배우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즉 교과서의 단원 설정 취지는 물론 내용과 제재에 대한 선택, 성취기준에 담겨 있는 핵심 내용 및 개념이 학생들이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한자, 한자 어휘, 산문, 한시 등 각 분야별로 연구사를 앞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해 다시 검토하여 보고, 연구의 기준이 타당한가를 평가해보는 것은 추후 과제로 남기며, 여러 동학들의 동참을 기대해 본다. Nobody can deny that we study Chinese characters textbook to make a better textbook. Chinese characters textbook was published even before Chinese character subject was designated as independent subject in the curriculum in 1972.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curriculum after the third curriculum 20 plus kind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and 10 plus kinds of textbooks in high school were published and used as core textbooks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must be the curriculum rather than personal educational faith or taste. In other words, the standards must be if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educational goals, contents,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if students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easily and joyfully. Although the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tarted from analysis of textbook composition, contents accommodation and errors, it developed to curriculum related analysis, contents level, hierarchical study elements and bookbinding alternatives with curriculums changed. Studies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have focused on specific field such as classical Chinese grammar and Chinese poems and specific contents such as history books. As studies on statement of learning goal, connection between subject contents and evaluation, composition of textbook, bookbinding such as organization and illustrations have not been actively made, studies in these fields should be developed. The first priority i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hould be placed on the answer of the question why students need to learn Chinese characters. We must remember that the most important people that we should consider when we make Chinese characters textbook are neither writers or editors nor Chinese characters teachers in the field but students who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textbook.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access to selected contents and subjects and core content and concept in achievement standard as well as object of the unit practically. In further studies, it is expected to review the study history i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Sino vocabularies, verses and poem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standards and evaluated if study standards are valid. Participation of fellow scholars is also expected.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화 방안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본고는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검인정을 통과한 8종의 중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의미가 저자에 따라 ‘어떻게 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하는 장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논의의 편의상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한자’,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잔자’를, ‘同音同義의 한자’와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同音同義의 한자’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가운데 15자가 있으나,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는 ‘功’, ‘德’, ‘姓’, ‘城’ 등 5자이고,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는 29자이다.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된 한자’이다. 전통적으로 한자의 뜻풀이는 ‘서술어’의 형태를 취하여 한자의 의미를 먼저 풀이하고, 뒤에 한자음을 붙여서 한자를 제시한다. 서술적 표현으로 ‘의미’의 통일이 안된 한자는 15자로 출판사에 따라 서술형으로 의미를 풀어하였거나, 명사형으로 의미를 풀이하였다.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8종 교과서의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대한 뜻풀이는 저자의 관습에 의한 관용적 표현으로 준말로 풀이하거나, 저자의 주관에 의하여 다양하게 의미를 풀이한 한자는 118자 이상으로 교과서는 아직 인지발달이 미성숙한 학생을 상대로 하여 가장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여야 하는 학습 도구이므로, 그 통일성과 정확성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다. 900자 가운데 그 의미가 난해한 한자는 21자이며,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의 의미로 바꾸어야 한다.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7차 교육과정 한문교과서의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학교 교육용 900자 가운데 한자의 뜻풀이가 과장되거나 잘못 풀이된 한자는 20자이다. 교과서는 저자의 잘못된 오류나 편견, 나아가 시대에 동떨어진 지식이 학습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와 있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오류의 시정과 그 통일방안을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과제가 아니며, 국어 관련 단체들이 국어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듯이 한문과 관련이 있는 제 단체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최소한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에 대한 의미를 통일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author, focused on 8 kinds of authorized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to look for a plan to unify their mean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re given by their sound, were grouped into those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同音同義(the meaning is given by the sound) and those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There were 15 characters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5 of them were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there were 29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Second, there were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meaning. Traditionally, a Chinese character was presented using ‘a descriptor’ indicating its meaning and the sound of the character. There were 15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s descriptive expression were not standardized.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e meanings of th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by a descriptor or by a noun. Third, there were characters interpreted variously according to custo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in the 8 kinds of textbook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more than 118 characters were interpreted with a shortened word as an idiomatic expression by the author's custom or interpreted variously by the author's subjective view. Because textbooks are tools for conveying most accurate meanings to students whose cognitive development has not been completed, their uniformity and accuracy are essential prerequisites. Four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meaning hard to understand.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1 had meanings hard to understand. Thus their meanings should be 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for learners' easy understanding. Fif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exaggeration-error by custom. Although different according to the author of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0 had meanings exaggerated or wrongly interpreted. Authors' errors, prejudices and outdated knowledge in textbooks should be corrected for learners. A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looked for a plan to correct errors and standardize the interpretation. This task cannot be carried out by a person's effort. It requires joint efforts among Chinese-related organizations to unify the meanings of the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like Korean-related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 KCI등재

        제(第)7차(次) 한문과(漢文科) 개정(改定) 교육과정(敎育課程) 평가(評價) 연구(硏究) 시론(試論)

        원용석 ( Yong Seok Won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이미 改定 第7次 敎育課程이 發表되었다.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은 總論에 立脚하여 改定이 이루어졌므로 敎育課程 評價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漢文科 敎育의 位相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되지 못하여 中學校는 敎科 裁量 活動으로, 高等學校는 敎養 科目群에 編成되어 있다. 개정의 과정은 學生/學父母 討論會와 敎科 專門家의 協議會와 討論會를 거쳤으며 교사들에게는 設問調査와 協議會 및 討論會를 가져 이 결과를 연구 개발진에서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漢字, 漢字語, 漢文을 익혀 日常生活에 活用하는 側面을 强化하는 側面으로`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한자·한자어·한문`이었던 內容 體系 大領域을 `漢文·漢文知識`으로 교체하였다. 이러한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學者들의 論議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안은 한문과를 `言語에 관한 敎科`로 認識하였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둘째, 內容 體系의 大領域은 `言語 習得`과 `言語 習得에 관한 知識`으로 나눈 것이므로 긍정적이다. 셋째, 한문과 교육과정을 `한문`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漢字語`는 새로운 視覺에서 接近해야 한다. 넷째, `한문`영역의 `읽기·이해`는 國語科의 `읽기`에 대한 差異를 糾明해야 한다. 다섯째, `漢文 知識`의 語彙가 `漢字`와 `文章`의 中間子的인 役割을 擔當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여섯째, 漢文을 익히는 과정에 대한 硏究를 追加하여 그 硏究 結果를 考慮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제7차 교육과정 改正案이 施行된 敎室 수업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漢文科 敎育課程 開發은 국가·사회 혹은 학부모·학생의 要求 事情에 대한 수렴과 言語學과 認知心理學의 硏究에 의한 교과 內容의 選定과 方法의 改善 그리고 한문과 교육이 시행되는 學齡에 관한 問題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開發 評價뿐만 아니라 運營 評價와 成果 評價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들은 다시 피드백하여 새로운 敎育課程에 適用되어야 한다. 종합하면 한문과 교육과정은 理論과 實行의 모든 한문 교과 교육학 關聯의 硏究에 의한 結果物이어야 한다. The revised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as already been introduced. Since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ino Korean subject has been revised based on the general summary,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has been properly conducted. Currently, the status of Sino Korean education is that it is conducted as discretionary activity subject in middle school and formed in the cultural subject group in high school, as it is not included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e process of revision is said to have undergone student/parent debates and the council and debates of subject experts and teacher survey research, council and debates to incorporate the results by the developers. Especially,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with `the aspect of strengthening the aspect of everyday life purpose b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However, the revised seventh curriculum substitute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of the seventh curriculum with `Chinese writing, Chinese writing information`. To summarize the arguments of the scholars for such revised seventh Sino Korean subject are as follow. First, the revision is desirable in the aspect of recognizing Sino Korean subjects as a `language related subject`. Secon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is positive in the sense that it divided into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Third, `Chinese word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new perspective as the focus of the Sino Korean subject is on `Chinese writing.` Fourth, `reading & comprehension` for `Chinese writing` area should look into the difference with the `reading` of Korean language subject. Fifth, can the vocabularies of `Chinese writing information` play the intermediating rol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Sixth, the study result should be considered by adding the study for Chinese writing learning process. Seventh, how will the class lessons that implement the revis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become different? The development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consider the refle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 society or parents/students, selec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of 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method improvement and the issue of the school age for which Chinese writing and education a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include not only development evaluation but also administ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hich should be applied to new curriculum through feedbacks. To summarize, Sino Korean curriculum must be the result of the study related to Sino Korean pedagogy for every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一般系 高等學校 漢文敎育의 問題點 및 改善 方向

        李殷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한문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학회 등을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는데, 본 고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교과서 내용과 체계의 문제, 수행평가의 실태 및 문제점, 교수-학습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대학수학능력 시험 및 한자능력검정시험의 실태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발표되었던 사례들과 '전국 한문 교사 모임', '경기도 중등 한문교육 연구회' 등에서 방학 중 연수회를 갖고 논의되었던 사례들을 참고하였으며, 경기도내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 운영 실태와 본교 학생들의 설문을 참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7차 교육 과정에서 한문 과목이 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어 학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고,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한문 수업 시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개선방향으로는 한문 교사들이 변화되는 교육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한문 교육의 당위성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확고히 하여 학교 관리자나 교육과정 운영회 등에 적극적으로 개진하여 정상작인 교육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 내용상의 문제로 학생들의 설문을 조사한 결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0% 이상의 학생이 비교적 긍정적인 답을 하였지만 교과서 내용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의 학생이 부정적인 답을 하였다. 교과서 내용 체제에 있어서는 한문 교과의 특성에 맞는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요소들을 뽑아내어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더 바람직할 것이라 여겨진다. 셋째, 수행평가의 문제점으로는 학생이나 교사 모두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것이다. 개선 방향으로는 타 교과와 중복이 되지 않는 시기에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업 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리라고 본다. 넷째, 교수-학습의 문제점으로는 학생들의 수준이 일정치 않아 지도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개선 방향으로는 수준이 일정치 않은 학생들의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입학 전 방학 기간을 이용한 '한자 익히기' 과제를 부여하거나, 학교 내 '한자 한문 경시대회' 등을 통해 관심을 증대시키고 수행평가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겠다. 교수-학습 형태에 대해서 '칠판 수업을 주로 하고 ICT 활용은 홍미유발을 위한 도구로'라는 의견에 50% 이상의 학생이 회망하였다. ICT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의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수업 형태도 학생들은 교사 위주의 강의식(43%)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나, 교과 내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다섯째, 대학수학능력 시험 및 기타 문제점으로는 '한문' 교과가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학생들이 얼마나 '한문'을 선택할 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며, 한문 교과의 장래와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개선방향으로는 대학입학전형시 보다 많은 대학에서 학교생활기록부 및 한문 영역의 반영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으며, 각급 학교에서는 대입 수능에서 '한문'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를 하고 교사들의 의견이 대입수능 시험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리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한자능력검정 시험에 대한 문제인데 일부에서는 한자능력검정 시험이 지나치게 상업성을 띠고 있는 것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고, 한문보다 한자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개선방향으로는 한자, 한문과 관련된 학회, 또는 대학 교 수, 일선 학교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한자와 한문이 고루 출제된 한문능력검정시험을 주관하는 단체를 만들어 한자, 한문 교육 및 보급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리라고 본다. Although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view points through Chinese Literature Academy, etc. in this thesis, I have researched as to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Characte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test and its problem, and the way of improving the test of the probation of the ability of the Chinese Literature. In order to catch the problems in educ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by referring the examples made public by 'The Academy of the Education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and The Academy of the educ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those discussed by The National Chinese Character Teachers' Meeting and Kyung-gi provincial Secondary School Academy of the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held during summer vacation. I have tried to find out the way of improving those problems abstra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done to students. First, as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because Chinese Literature was organized as the optional subject,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schools and the tendency of lessening the amount Chinese Character is taught. As one of the ways of improving those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correctly, and establishing the reason that can explain why the Chinese Character should be taught in high school through stating their views positively to the organization of school curriculum or school master, we should try to make the educational curriculum carry out normally. Second, as the problems in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Character, Seeing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done to students, though more than 70% of students gave comparatively positive answer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Literatur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gave a negative answers. .In the system of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Literature, I think it more desirable to compose the text by abstracting the traditional and classical element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the Chinese Literature. Third, as the problems of performance test, in spite of the good purpose of the test, students and teachers feel burdensome too much. As one of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problems, the test should not be done in the period of overlapping with other subjects,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e school hours properly should be considered. Fourth, as one of the proble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subject, it is very difficult to instruct the students due to their various levels. As one of the ways of improving their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among various levels of students, I think there are many ways like assigning the students to learn Chinese Characters before entering high school,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at subject through contest of reading and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in school and making good use of the results in the performance test. Regarding the typ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 subject the opinion that centering on the lesson using blackboard and the utilization of ICT can be an instrument of raising the interest was approved by more than over 50% of the students. I think various materials of learning and teaching using IC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lecturing centered on teachers was preferred(43%), however,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one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text. Fifth, as the problems of SAT test and other test, because this subject is included in the 2nd foreign language, it is the imminent interest how many students will choose that subject, and I think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As the way of improving the problem, I think more universities should raise percentage of reflecting the subject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record of school life. I think teachers should inform positively to make students select Chinese Character and make teachers opinions reflect well in the SAT Finally, as for the test of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some are worried that the test takes on commerciality too extremely. The idea is cautiously proposed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hould not be emphasized more than Chinese Literature. As one solution , much more endeavor for supply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etter should be done through making organization held by the association relat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or the meeting composed of professors, school teachers and the test made up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evenly.

      • KCI등재

        현행(現行)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의 변천(變遷) 연구(硏究) -<한자(漢字),한자어(漢字語)>영역(領域)을 중심으로-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7 漢字 漢文敎育 Vol.18 No.-

        이 논문은 現行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史的 變遷을 살펴본 논문이다. 주로 제1차 敎育課程期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한문교과서의 體制, 單元 配列, 한자 한자어의 主題別 단원 構成 등에 대한 比較 分析 檢討, 바람직한 한문교과서의 방향 등을 연구한 논문이다. 현행 한문교과서의 史的 변천에 대한 內容을 要約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漢文敎科書의 體制 1) 內的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編次는 單純 편차 방식에서 多段階 편차 방식으로 增大 擴大 되어 왔다. 2) 外的 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외적체제(版型, 活字 및 활자 크기, 用紙, 色度 등)도 많은 변천 과정을 가져 왔다. (1) 版型 : 제1차 교육과정기~제6차 교육과정기까지 菊版이 사용되다가,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는 4·6배판이 사용되고 있다. (2) 活字 : 교육과정기가 거듭될수록 활자는 輕便 字母 活字에서 원도활자로, 전산식자체에서 CAP시스템으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色度도 單色에서 7차 교육시기에는 2도로 발전을 하였다. (3) 用紙(紙質): 본문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미색 갱지→중질지(서적지)→서적지로 발전을 가져 왔으며, 표지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모조지→백상지→엠보싱으로 발전을 가져 왔다. 2. 單元 配列 1) 全體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小單元 구성을 하고 있지 않았고, 제2차~제4차 시기에는 전체 교과서 중에 몇 종만이 大單元과 소단원을 구성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교과서들은 소단원 구성을 하고 있었다. 제5차~제7차시기까지 거의 모든 교과서가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었다. 2) 漢字·漢字語 領域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소단원을 구성한 교과서는 한 군데도 없었으며, 제2차 시기에서 제4차시기까지에는 생활 ``한자어``가 주를 이루었다. 제5차 이후에는 현대에서 만들어진 成語 및 故事成語가 ``한자·한자어`` 영역에 점점 내용이 증가 되었으며,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성어, 고사성어에 관한 내용이 증가되었다. 3) 敎育課程 單位 時間 配當 : 한문과 교육과정 단위 시간에 알맞은 대단원과 소단원의 수는 <한문>이 4단위일 경우에는 68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29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6~8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3~4개 정도가 알맞다. <한문>이 8단위일 경우에는 136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57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10~14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4~5개 정도가 알맞다. 3. 漢字·漢字語의 主題別 單元 構成 제1차시기부터 제7차시기까지 한자·한자어 영역의 내용을 이루는 主題는 入學式, 祖國, 文化, 敎育, 國土, 民族, 科學, 經濟, 民主社會, 環境 등을 포함하여 모두 38개의 주제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hanges of high-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For this, we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and unit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textbooks from the 1st to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onsidered directions for desirable Chinese writing textbooks. The details of changes in Chinese writing textbook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1) Change in internal structure: The content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has been expanded from a single-level structure to multiple-level structure. 2) Change in external structure: The outward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book size, type and type size, paper, colors, etc.) has also been changed significantly. (1) Book size: A5 size was used from the 1st to 6th National Curriculum, and B5 size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 Type: With the change of curriculums, type evolved from the plain matrix type to the Windows type, from the computer typesetting system to the CAP system, and color was also changed from single-color to two-color in the 7th Curriculum. (3) Paper (quality): Paper used in prin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evolved from groundwood paper→creamish groundwood paper→ fair-quality paper (book paper)→book paper, and cover paper also changed from groundwood paper→woodfree paper→uncoated printing paper→embossing. 2. Unit organization 1) General unit organization: In the 1st Curriculum, the textbooks did not have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only some of the textbooks had the structure of units and subunits and the others were composed with subunits only. In the 5th~7th Curriculum, almost every textbook has units. 2) Uni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1st Curriculum, none of the textbooks had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Chinese words in everyday life were main contents. From the 5th Curriculum, idiomatic phrases coined in the present age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gradually in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words`` and in the 7th Curriculum, contents related to idiomatic phrases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3) Allocation of class hours: If <Chinese writing> is a 4-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29, which can be covered within 68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6~8, each of which has 3~4 subunits. If <Chinese writing> is a 8-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57, which can be covered within 136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10~14, each of which has 4~5 subunits. 3.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rom the 1st to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re composed of 38 themes including entrance ceremony, fatherland, culture, education, national land, people, science, economy, democratic society and environment.

      • KCI등재

        漢文 散文을 활용한 ‘事例-過程中心의 自己紹介書’ 글쓰기 교육 -고등학교 한문과 교과서를 中心으로-

        이미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現 중・고등학교 현장의 한문과 내용체계에서는 ‘한문 산문을 활용한 글쓰기’ 영역이 따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글쓰기’란 ‘읽고’, ‘이해’하기 다음 단계로 ‘고도의 사고활동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대학입시에 급박하여 작성되는 ‘일회성 자기소개서’가 아닌 자신만이 쓸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교육과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를 어떤 방법을 가지고 한문과 교육과정에 접목 시켜 학생들에게 투입시킬 수 있겠는가?본고는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라는 결과물만을 얻고자 하는 실용적 글쓰기에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나는 사전이나 검색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나이테만큼 자아도 성장했는지? 자신이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자신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분야는 무엇인지? 자신만의 반성적 성찰 방법은 무엇인지? 독창적인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지?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 궁금해 본 적이 있었는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 봤는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미래의 자신을 예견하며 상상해 본적이 있는지?를 고민해 보며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다. 본고의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란 선현들이 수천 년 동안 쌓아온 생활 속의 정서, 지혜, 사상이 담긴 한문산문을 감상하고 이해하여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구체적 또는 점진적 과정을 거쳐 작성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간접체험을 바탕으로 직접 실천한 사례들을 발표・토론함으로써 극복방안을 찾아보도록 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는 대학입시 수시전형의 서류로 제출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반전형 심층면접에 까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례-과정중심의 자기소개서’ 글쓰기 방법을 모색하고자 ‘讀盈反切’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讀盈反切’ 전략이란, 讀書尙友・盈科而後進 成章而後達・反求諸己・切磋琢磨의 첫 字를 취하여 ‘讀盈反切’ 전략을 구안했다. 2007・2009개정 한문교과서에 제시된 ‘金得臣傳’, ‘看書痴傳’, ‘李安訥傳’의 작품을 활용해 대교협 공통양식에 의거하여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 교육’이 지니고 있는 가치는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육적 활동이 될 것이다. 또 본고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4년 4월 15일)에 발표된 ‘대교협 自己紹介書 공통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묻는다! <부록 1> 100문 101답’ 문항을 만들어 학습자들이 쉽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자신의 성장과정을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체크리스트□)이 될 것이다.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극복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투박하고 서툴더라도 대필과 표절이 아닌 자신만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작업은 분명 한 인간을 성장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한문 산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글쓰기’는 두 영역을 융합시켜 교수하였기 때문에 창의적 ... ‘Writing utilizing Chinese prose’ is not separately organized in contents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 of existing middle⋅high school field. I think ‘writing’ is ‘reading’; ‘understanding’; and next, ‘process of high-degree thinking activity’. It is required to have a curriculum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o establish identity through specific examples instead of a ‘one-time self-introduction letter’ prepared on the verg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recently. How is it possible to graft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onto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order to input to students?This study does not aim at practical writing for students to get results of self-introduction letter only. My former self, present appearance and my future cannot be known through a dictionary or a search. Agonizing over following questions, I attempt to write a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whether self has been developed as much as one’s own growth rings? Who I am and how I will live? In which field I am most interested? What is my own reflective introspection method? Can I express myself in creative language? How did my former self and present life change? Have I wondered about other people’s life? Have I agonized over what I wanted to do and what I could do well? Have I looked back upon life and then, forecasted and imagined my future?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Chinese prose containing emotion, wisdom and thoughts in life accumulated by ancient sages for thousand years, we attempt to prepare my own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through specific or gradual process. And, learners will try to find out the solution through presentation⋅discussions of direct practiced example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can be submitted as a document for nonscheduled admission of university examination and furthermore, it will also be a help to in-depth interview of regular admission, I think. As self-introduction letter is of great importance,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Dokyeongbanjeol’ to seek a writing method of ‘examples- and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Dokyeongbanjeol’ strategy was made by the initial letter of Dokseosangwoo, Yeonggwaeehuzin, Seongjangeehudal, Bangujeogi, and Jeolchatakma. Utilizing works of Kimdeuksinjeon, Ganseochijeon, and Eeannuljeon included in 2007⋅2009 revised Chinese writing textbook, writing education of a self-introduction letter is conducted according to KCUE’s common modality. Value possessed by ‘writing education of examples- and process- based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be an educational activity to give a new opportunity to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created item of ‘Ask you yourself! 100 questions and 101 answers’ on the basis of ‘KCUE's common modality’ announced by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pril 15, 2014) in order for learners to be prepared easily and systematically. This will be a simple method (checklist) to check one’s own growth process during high school days at a glance. It will not be easy to overcom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in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However, it will be a great help to develop a person if one prepares one’s own self-introduction letter, rough and poor, instead of ghostwriting and plagiarism. It is expected that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utilizing Chinese prose’ will make creative and peculiar outcome because it fuses two fields for teaching.

      • KCI등재

        2009 개정한문과교육과정(改定漢文科敎育課程)"한자(漢字)"영역(領域)의 내용분석(內容分析)과 향후과제(向後課題)

        김경익 ( Kyong Ick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9 No.-

        2009 교육과정의 총론 개정 작업의 일환으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지식’의 중영역의 하나인 ‘한자’ 영역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 현장 적용과정에서의 유의점 및 한자 영역의 향후 과제를 점검한 것이다. 새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한문 교과의 언어적 특질을 고려하여 한문에 대한 문법적 이해 측면을 대영역 ‘한문지식’으로 설정하였다. ‘한문지식’ 영역의 중영역 또한 ``한자’, ``어휘’, ``문장’으로 구분하여 이전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단, 학습내용을 감축·수정하여 제시한다는 원칙에 따라 ``한자의 역사’는 ``한자의 특징’에 그 내용이 일부 포함되거나 해당 학습 내용의 수록 학교급을 조정하였다. 새 교육과정 개정 방향의 핵심은 학습 내용의 성취기준 식 진술, 학습내용의 적정화, 학습의 위계성 확보 등이다. ``한문 지식’의 영역 성취 기준에서는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라는 진술로‘한자’ 영역의 성취 목표를 포괄하였다.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은 상위성취 기준인 ‘한문 지식 영역 성취 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사항으로 구체화 되었다.‘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수는 이전에 비해 중학교 ‘한문’은 ‘8개→6개’,‘한문Ⅰ’은 ‘7개→5개’, ‘한문Ⅱ’는 ‘2개→1개’로 감축되었다. 감축된 내용은 학교급이 조정되거나 다른 내용과 통합되어 제시되었다. ‘한자’ 영역에서의 ‘학습의 위계성’확보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며, 다른 하나는 동일한 학습 내용의 심화이다. ‘한자’ 영역의 실행상의 유의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 영역의 학습성과를 다른 영역과 연계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영역별 학습 내용 선정, 조직에 있어 위계화와 계열화를 위한 근거가 타당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As part of improvement on the previous work,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was amended.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and examine the application and future tasks. New curriculum, just the same with the previous one, establishes ``grammatical knowled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as a language. The intermediat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sub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nd sentence, is also equal to the previous one, provided that it applies principle that learning content should be reduced and revised. Part of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character, or its learning content is adjusted by the academic year. The keys to revise are to state learning content by standards of achievement, rationalize learning content, and retain the hierarchy of learning. The standards of ``grammatical knowledge`` embraces the standards of ``Chinese character`` as it is said to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The standards of learning cont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are subdivided into several items which could be achieve the standard of the domain of grammatical knowledge. The number of the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is down two in middle school, from 8 to 6; two at Classical Chinese Ⅰ, from 7 to 5; one at Classical Chinese Ⅱ, from 2 to 1. Reduced content is suggested by adjusting the academic year or integrating with existing one. Retaining the hierarchy of learning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is performed by two criteria, the scale of basic Chinese character used for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intensification of the same learning content. Attention and a task are as follows. First, effective plan for dealing with learning basic Chinese character used for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prepared. Second, we should seek for solution to connec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with that of the other domains. Third, foundation for hierarchy and systematization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in the respective domains should be reasonably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