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한자․한문과의 상관성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비상교육 교과서를 중심으로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emantic interrelation between Sino‐Korean words included in existing Sino‐Korean textbook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meanings of Chinese letters presented as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surveyed from what time and how much such Sino‐Korean words had been used in Korean classical books in Chinese,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selection of Sino‐Korean words to be included and meanings to be presented in Sino‐Korean textbooks to be edit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day’s Sino‐Korean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 should include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Sino‐Korean education in middle school. Accordingly, the contents of Sino‐Korean textbooks are designed by making daily Sino‐Korean words in order to accommodate Chinese characters not included in the texts. In addition, the character meanings of Chinese letters presented as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present only representative character mean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one‐character one meaning, and presented character meanings include original meanings, derived meanings and borrowed meanings. As a result, such meanings are occasionally inconsistent with the meanings used in Sino‐Korean. Moreover, because Sino‐Korean words are explained based on definitions in the Korean dictionary, the character meanings of Chinese letters and the word meanings of Sino‐Korean words are sometimes ambiguous In middle school Sino‐Korean textbook 1, 2 and 3 published by Visang Education contain 442 Sino‐Korean words with 2 syllables, and excluding 12 of them, which are country names such as ‘Jung‐guk,’ ‘Baek‐je,’ ‘Shil‐la,’ ‘Ko‐ryo’ and ‘Jo‐seon,’ book names such as ‘Sa‐gi’ and ‘Yu‐sa,’ and place names such as ‘Dok‐do,’ ‘Han‐yang,’ ‘Han‐seong’ and ‘Gyeong‐seong,’ there are 430 pure Sino‐Korean words with 2 syllables. In 360 (around 84%) Sino‐Korean words of them,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meanings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e word meanings of Sino‐Korean words. However, 15% of the Sino‐Korean words require the understanding of the derivative or borrowed meanings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1% are understandable only when there is early literature. Among the 360 Sino‐Korean words in which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meanings of educational Chinese letters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e word meanings of Sino‐Korean words, we selected 50 that consist of synonymous or similar letters and 28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or coined with the introduction of terms related to Western science and civilization and new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searched for their examples in ‘Integrated Database of Korean Classics,’ an integrated database on Korean Studie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nd found that 340 out of the 360 Sin‐Korean words had many examples. This means that 76% of the 442 Sino‐Korean words are interrelated with Chinese classical books. However,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on how meaningful Sino‐Korean word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in the use of language and the comprehension of Sino‐Korean today. Moreover,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maximized through adding detailed explanations using spaces such as side margins, bottom, and appendices for Sino‐Korean words whose original meanings are different from definitions in the Korean dictionary or whose meanings are not understandable without early literature.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제시한 한문의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요소이다. 또한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말로써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를 말하지만, 2음절의 어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는 한문교육의 내용 체계상 한자와 한문의 중간단계로 한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문을 독해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자어가 한문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漢字나 漢文 못지않게 중요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한자어에 관한 연구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 연구는 매우 소략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한문 교과서가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을 얼마나 많이 고려하여 집필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한문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가 신습한자와 함께 제시된 한자의 대표 字義와 얼마나 많은 의미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역대 한문전적에서 활용된 용례를 찾아 상관성을 검증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자어의 선택과 의미의 제시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중학교 현장에서 쓰이는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반드시 수용하여 교과서를 집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한문 교과서는 본문에서 수용하지 못한 한자를 수용하려는 차원에서 한자어를 만들어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습 한자로 제시한 한자의 字義도 一字一義의 원칙에 따라 대표적인 字義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字義도 原義, 派生義, 假借義를 혼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자어에서 활용한 의미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생기며, 한자어의 풀이도 국어사전의 풀이를 따르고 있어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종종 있다. 본고는 개정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1, 2, 3학년 한문교과서 가운데 1, 2, 3학년이 모두 검정에 통과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의 설계를 하여야 하나, 중학교 3학년 교과서가 아직 시중에 나와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너무 방대하여 부득이하게 연구자가 대표 저자인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는 2음절의 한자어가 442개, 3음절의 한자어가 26개, 4음절의 한자어가 26개 등 모두 494개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2음절의 한자어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한자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음절의 한자어 442개 가운데 ‘中國, 百濟, 新羅, 高麗, 朝鮮’ 등 국명과 ‘史記, 遺事’ 등 서책명, 지명인 ‘獨島, 漢陽, 漢城, 京城’ 등 12개를 제외하면 430개가 순수하게 2음절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430개의 한자어 가운데, ‘日出’ 등이 360개로 약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派生義나 假借義의 이해를 前提로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가 15%, 典故가 있어야 이해가 되는 한자어가 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활용된 한자어 가운데 84%의 한자어가 한자의 대표 字義로도 의미 파악이 되므로, 한자어와 한자의 대표 字義와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고 한 자의 한자가 同義나 類似義를 가진 한자어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한자어는 매우 드물다. 교과서에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360개 가운데에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와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를 한국고전국역원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싸이트 국학관련 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에서 해당 한자어를 검색하여 사용된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나, 同義와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 가운데 6개를 제외한 44개가 우리의 한문전적과 상관을 맺고 있었다. 전장제도와 서구문명의 유산으로 인식되는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한자어,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 가운데 14개가 우리 한문전적에 활용된 용례가 매우 적거나 없는 한자어로 한문전적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 그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화 방안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본고는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검인정을 통과한 8종의 중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의미가 저자에 따라 ‘어떻게 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하는 장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논의의 편의상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한자’,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잔자’를, ‘同音同義의 한자’와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同音同義의 한자’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가운데 15자가 있으나,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는 ‘功’, ‘德’, ‘姓’, ‘城’ 등 5자이고,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는 29자이다.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된 한자’이다. 전통적으로 한자의 뜻풀이는 ‘서술어’의 형태를 취하여 한자의 의미를 먼저 풀이하고, 뒤에 한자음을 붙여서 한자를 제시한다. 서술적 표현으로 ‘의미’의 통일이 안된 한자는 15자로 출판사에 따라 서술형으로 의미를 풀어하였거나, 명사형으로 의미를 풀이하였다.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8종 교과서의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대한 뜻풀이는 저자의 관습에 의한 관용적 표현으로 준말로 풀이하거나, 저자의 주관에 의하여 다양하게 의미를 풀이한 한자는 118자 이상으로 교과서는 아직 인지발달이 미성숙한 학생을 상대로 하여 가장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여야 하는 학습 도구이므로, 그 통일성과 정확성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다. 900자 가운데 그 의미가 난해한 한자는 21자이며,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의 의미로 바꾸어야 한다.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7차 교육과정 한문교과서의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학교 교육용 900자 가운데 한자의 뜻풀이가 과장되거나 잘못 풀이된 한자는 20자이다. 교과서는 저자의 잘못된 오류나 편견, 나아가 시대에 동떨어진 지식이 학습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와 있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오류의 시정과 그 통일방안을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과제가 아니며, 국어 관련 단체들이 국어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듯이 한문과 관련이 있는 제 단체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최소한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에 대한 의미를 통일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author, focused on 8 kinds of authorized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to look for a plan to unify their mean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re given by their sound, were grouped into those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同音同義(the meaning is given by the sound) and those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There were 15 characters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5 of them were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there were 29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Second, there were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meaning. Traditionally, a Chinese character was presented using ‘a descriptor’ indicating its meaning and the sound of the character. There were 15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s descriptive expression were not standardized.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e meanings of th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by a descriptor or by a noun. Third, there were characters interpreted variously according to custo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in the 8 kinds of textbook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more than 118 characters were interpreted with a shortened word as an idiomatic expression by the author's custom or interpreted variously by the author's subjective view. Because textbooks are tools for conveying most accurate meanings to students whose cognitive development has not been completed, their uniformity and accuracy are essential prerequisites. Four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meaning hard to understand.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1 had meanings hard to understand. Thus their meanings should be 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for learners' easy understanding. Fif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exaggeration-error by custom. Although different according to the author of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0 had meanings exaggerated or wrongly interpreted. Authors' errors, prejudices and outdated knowledge in textbooks should be corrected for learners. A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looked for a plan to correct errors and standardize the interpretation. This task cannot be carried out by a person's effort. It requires joint efforts among Chinese-related organizations to unify the meanings of the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like Korean-related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 문제 연구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이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議語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자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때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 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제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a direction for Chinese textbook which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s the succeeding research which follows "the method of unify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900 Chinese characters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ad by me at academic conference having a theme of "Diagnosis and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which was held by the Korea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Society. Though Chinese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wed Chinese words diversely, some textbooks have a difference in the title and clas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at is, grammatical function for the make-up of Chinese words and inappropriate contents not to be compatible with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which is helping language life,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This paper analyzed and divided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Chinese writing textbook like a following order, first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en the problems of contents of Chinese words and finally the problem of homophony. The conclusion is like followings. First,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can be can be divided into the subcategories of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and the problem of special make-up. Concerning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text book by Jungang Education among 8 textbooks didn't give a title and there is no objection to classificatio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objective',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complement and modification among eight textbooks.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predicate, however, has no difference among seven textbooks but a textbook by Chungsaek Publishing Co consider it not at the viewpoint of 'make-up of Chinese words but at that of 'structure of sentence. Concerning the parallel relation,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similarity relation but 'opposition relation' and 'equality relation' show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uch as division and binding. Then, the problem of make-up of special Chinese words is studied at the respect of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beyond correct and regular Chinese words. With regard to 'Conservation of nature', which is Korean style composition, Pakyoung Sa explains nothing about it, but Kyohak Sa, Dongwha Sa, Minjung Seorim and Jihak Sa explain it as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Jungang Education, Cheongsaek and Taesung Publish Co. explain it as our language's composition'. Nine publishing companies explain nothing about composition, concerning the abnormal words such as 'lying in a sick bed(臥病)', 'one's desire(所願)' and 'desire(所望)' Second, I research the contents of Chinese words'. There are 54 Chinese words not satisfying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helping language life and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which is needed to exam. Thirty one words among them is adverb. Fifty four crude and difficult words are needed to take a detailed examination to know if they could help language life and the learning of other subjects. Inappropriate words such as 'killing man' need to be modified because it has the contents which are not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of Chinese subject. Third, I analyzed homophony. The teaching of homophony is unique area other subjects can't look over. Eigh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hun have 53 words with homophony. About them, Kyohaksa explains five words, Dongwhasa five words, Jihaksa one word, Cheongsaek one word and Taesung eightwords, but Minjungseorim, Pakyotmgsa, Jungang Education deal with nothing about them. It is true tha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have developed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extbook to a great extent, compared to those textbooks of old Curriculums. They, however, have problems of how to classify and name 'make-up of Chinese characters' in thesame standard. In addition, they have a problem of teaching a method to guide homophony and changing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Future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re to consider all sorts of these problems.

      • KCI등재

        白日軒 李森장군의 삶과 시세계

        李東宰 ( Lee Dong-j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1 No.-

        白日軒 李森장군은 조선후기 정치사와 군제사에서 중요한 武將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그는 漢詩와 국문가사인 <反武歌>와 국문단가인 <聖主鴻恩歌>를 지은 작가이다. 그의 삶과 시문학 연구는 한국문학사에서 무인들의 작품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매우 가치가 있는 연구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역사 인물을 발굴하여 문화콘텐츠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한 연구이다. 李森(1677~1735)은 字가 遠伯이고 號는 白日軒이며 본관은 咸平이다. 李森은 충청도 노성현 출신으로 少論의 영수였던 明齋 尹拯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한 후 무관으로 출사하여 31년 동안 內外의 文武官職을 역임하는 동안 여러 차례 정치적 부침을 겪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속한 소론의 명분과 이익 등을 위하기보다는 무장으로서 국방을 튼튼하게 하여 다시는 임병양란과 같은 외침을 막겠다는 국가관이 투철한 무장이었다. 그래서 그는 숙종·경종·영조로부터 신임을 받았으며, 특히 영조로부터 ‘忠貫白日’이라는 扁號를 하사받았다. 그는 평생 동안 많은 시문을 지었으나 1894년 동학혁명의 와중에 대부분 逸失되어 그의 문집인 『白日軒遺集』에는 詩 34제 39수가 남아 있고, 그의 다른 저작인 『漫錄』에 한글가사인 <反武歌> 1수와 국문 단가인 <聖主鴻恩歌> 1제 2수가 전한다. 그는 윤증의 문하에서 10여년 동안 학문을 연마하였지만, 그의 타고난 무인기질로 科業에 전념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작시법 등에 능통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그가 지은 시는 인공적인 조직이나 수식이 없는 자연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지은 34제 39수의 시는 관직 생활의 여유를 읊은 시가 7수이고, 외직의 근무로 인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事親의 情懷를 드러낸 시가 6수이다. 또한 무장으로서의 의지와 기개를 드러낸 시는 6수이고, 진충보국의 충정을 드러낸 시는 4수이며, 유배에 따른 귀향의 의지를 드러낸 시가 4수 등이다. General Baekilheon Lee Sam is known only as an important military commander in the politics history and milit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but he is a writer who wrote Chinese poetry, Korean gasa, < Banmuga(反武歌 >>, and Korean danga, < Seongju Hongeunga(聖主鴻恩歌) >, etc. Thus, Studies of his life and poems and literature are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which there are few works of military people, which is a study that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by discovering a local historical figure. Lee Sam (1677-1735) has a custom name, Wonbaek(遠伯), a self_name, Baekilheon(白日軒) with the origin_place, Hampyeong. Lee Sam is from Noseong, Chungcheong-do, and has academic learning under the direction of Myeongjae Yun Jeung, the head of the Soron sector to become a military officer. During his 31-year career, he underwent several political ups and downs during his various office positions. However, he is a military commander with a strong sense of national defense to prevent foreign invasions, such as the wars of Imjin and Byeongyu, by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s a military commander rather than for the cause and profit of his Soron sector. So he got the accreditation from kings such as Sukjong, Gyeongjong and Yeongjo, especially from Yeongjo and received the title of "Chunggwanbaeki(忠貫白日)". He wrote many poems and writings throughout his lifetime, but most of them were lost during the Donghak Movement in 1894. His poetry book, 『BaekilheonYujip(白日軒遺集』contains 39 poems in 34 subjects, and his other manuscript, 『Manrok(漫錄』 includes a Korean gasa, < Banmuga >, and two Korean danga, < Seongju Hongeunga > in a subject. He was taught under Yun Jung for academic learning for over a decade, because he was not committed to academics with his innate tendencies, it seems that he did not seem to be good at the literature. Therefore, the poems he wrote can be said to be natural footsteps without any artificial fabrics or formula. The 39 poems in 34 subjects he wrote include seven poems citing the margin of office life, six poems showing the longing for the hometown due to the work of foreign places, six poems that reveal wills and stunts as a military commander, four poems showing his loyalty to the king and his desire to repay with his loyalty, and four poems that reveal the will of returning home from exile.

      • KCI등재

        청주 공북루(拱北樓) 제영시고(題詠詩攷)

        李東宰 ( Lee Dong-j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1 No.1

        본고는 충북의 도청 소재지인 청주의 문화사적 전통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청주읍성의 북문루였던 공북루의 연혁과 함께 이곳에서 지어진 제영시의 현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청주 공북루는 고려 말인 1320년 尹繼宗에 의해 세워졌고, 1524년 沈彦光이 이곳에 걸려 있는 시판의 시를 次韻하여 시를 지은 이후 지은 시가 없는 것으로 보아 퇴락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공북루는 1667년 청주목사인 李暹에 의해 중수되었으며, 李夏坤 등이 이곳에서 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반까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청주 공북루 제영시는 1321년 최초로 權漢功이 지었고, 1362년 공민왕의 명령으로 李穡 등 26명의 문신들에 의해 26수의 응제시가 지어졌으며, 이후 고려말 鄭樞, 成石璘, 조선 초기 韓尙質, 沈彦光, 18세기 초기 李玄祚 등에 의해 지어진 시 37수가 전한다. 시의 내용 중 응제시는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리치고 나라를 재흥시킨 것이 왕의 덕화라고 칭송한 내용과 응제에 참여한 개인적인 영광을 드러낸 것이 주된 내용이고, 다른 시의 내용은 정치적 패배로 인한 나그네 신세나 지방관으로 부임하게 된 불편한 所懷, 청주의 승경 등이다. 청주 공북루의 누정 제영시는 공북루의 연혁과 고려 후기 청주에서 이루어진 역사적인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서 청주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찾는 일이 심화되었으면 한다. This article is a basic study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historical traditions of Cheongju, the provincial capital of Chungbuk province,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Jeyeong poetry written here along with the history of Gongbukru, the Northern Gate Pavilion of the Cheongju government seat fortress. Gongbukru in Cheongju was founded by Yun Gye-jong in 1320 in the Goryeo, and after Shim Eon-gwang wrote Cha-un poems here in 1524, it seems to have been degraded, as no poems were written. After that, Gongbukru was restored in 1667 by Lee Seom, governor of Cheongju, and it is believed that the poems were written here by Lee Ha-gon et al., and remain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The first work of Jeyeong poetry of Gongbukru in Cheongju was written in 1321 by Gwon Han-gong, in 1362 at the order of King Gongmin, 26 works of Eungje-shi (poetry written by order of King) were written by Lee Saek and other 26 civil ministers, and afterwards there are 37 poems written by Jeong Chu, and Seong Seok-rin in the late Goryeo, Han Sang-jil, and Shim Eon-gwang in the early Joseon, and Lee Hyeon-jo et al. in the early 18th century. Among the contents of the poems, the poetry written by order of King praised the king for reviving the country by defeating the invasion of the Red Turban Bandits, or revealing the personal glory of participating in Eungje, and other poems were about a traveler from political defeat, uncomfortable personal impressions of taking office as a local official, and superb views of Cheongju. As Jeyeong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Cheongju is valuable as a precious resource for understanding Gongbukru Pavilion history and late Goryeo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in Cheongju, it is hoped that the follow-up research on this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culture of Cheongju region and find its value.

      • KCI등재

        공주 공산성 공북루(拱北樓) 제영시일고(題詠詩一考)

        李東宰 ( Lee Dong-j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0 No.1

        본고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공산성의 문화적 위상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공산성에 있는 공북루 제영시의 현황과 작품세계를 살펴보아서, 공북루의 문화사적 가치를 찾고 문화관광에 활용하는데 기여하였다. 공주 공산성은 금강을 끼고 있는 승경의 공간으로 백제시대에는 왕궁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관찰사의 감무가 있었던 곳으로 공북루 외에도 여러 누정이 있다. 공북루는 1603년 충청도 관찰사 柳根이 공산성 안에 충청도의 감무를 조성하면서 북쪽 금강 변에 세운 누각으로 關防의 기능 이외에 遊息과 餞別의 공간이었다. 공산성 공북루 제영시는 1603년 柳根이 공북루를 낙성하고 지은 이후 20세기 초까지 꾸준히 지어졌으며,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제공하는 원문정보서비스에 탑재된 DB에 88題 94수가 색인된다. 공북루 제영시의 형식은 5언절구 2제 2수, 5언율시 12제 13수, 7언절구 20제 23수, 7언율시 54제 56수 등으로, 7언율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최초의 공북루 제영시인 유근의 시가 7언율시였고, 이 시를 후대의 문인들이 많이 次韻하여 지었기 때문이다. 공산성 공북루 제영시의 내용은 공북루의 승경을 읊은 시가 24수이고, 여로의 회포를 드러낸 시가 36수이며, 遊息의 정서가 드러난 시가 26수, 회고의 정서를 드러낸 시는 남인계열의 문인들에 의해 이괄의 난을 소재로 한 시로 8수가 있다. 이는 공북루가 백제의 궁성이자, 고려와 조선시대 행궁인 공산성의 城樓로서 금강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승경의 공간이고, 공무를 수행하는 관리나 사절들의 휴식 및 접대 장소였으며, 시인묵객들이 머물며 여로의 고단함을 토로할 수 있는 津樓의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s part of a basic study to examine the cultural status of Gongsanseong Fortres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and the world of the works, contributing to finding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of Gongbukru pavilion and utilizing it for cultural tourism. Gongsanseong Fortress in Gongju is a space of beautiful scenery along the river Geumgang, and was the royal palace in the Baekje era, and there was Gammu for the provincial governor in the Joseon era, comprising various pavilions including Gongbukru pavilion. Gongbukru pavilion was a pavilion built north of Geumgang riverside in 1603 by the Cheongcheongdo provincial governor, Yu Geun in the Gongsanseong Fortress as he was preparing Gammu of Cheongcheong-do province, and played a spatial role of Yushik (遊息) and Jeonbyeol as well as functioning as Gwanbang (關防). After Yu Geun completed and built Gongbukru pavilion in 1603,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was written steadily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re are 94 poems in 86 subjects in the DB on the origi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n terms of the form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there are 2 poems in 2 subjects in the classic Chinese quatrain with five-character lines, 13 poems in 12 subjects in the five-syllable regulated verse, 20 subjects 23 poems in the classic Chinese quatrain with seven-character lines, and 56 poems in 52 subjects in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showing that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accounts for more than half. It is because Yu Geun's poems, the first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were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and the poets of oncoming generations wrote this poetry a lot by rhyme-matching (次韻). In the contents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there are 24 poems which recited the beautiful scenery of Gongbukru pavilion, and 36 poems that revealed the inmost unburdened thoughts of journey, 26 poems revealing emotions of Yushik (遊息), and eight poems that reveal the emotions of historical retrospectives. It is because it was a space of beautiful scenery where Gongbukru pavilion was the ramparts of Gongsanseong Fortress, the royal palace and rural palace site of Baekje, a space with the view of the river Geumgang, a place of rest and entertainment for officials or envoys who perform public affairs, and the spaces of military camps where poets and experts in calligraphy and ink drawing could stay and expose the fatigue of the journey.

      • KCI등재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의 면천유배기 한시 일고(一考)

        李東宰 ( Lee Dong-j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雲養 金允植은 내우외환에 처한 조선 말기의 사상가이자 정치가, 외교관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많은 저술과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순응하는 처신 등으로 인해 ‘長樂老’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그가 남긴 정치·외교사적 위상 못지않게 문학에의 성취에 대한 평가도 우리 문학사를 올바르게 정립하는데 필요하다. 김윤식은 1887년 정권을 잡은 민비와의 갈등으로 면천에 유배되어 9년여를 살았다. 그는 정치적 패배로 인해 면천의 영탑사로 유배형을 당했지만, 유배지 면천에서의 생활은 면천군수를 비롯한 지인들의 경제적 도움과 위문으로 비교적 여유롭게 생활하며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였다. 김윤식은 1887년 6월 유배지인 면천에 와서 1894년 2월 강화유수로 부임하기 위해 면천을 떠날 때까지 생활하며 『沔陽行吟集』이라는 시집과 『續陰晴史』라는 일기를 남겼다. 그의 시집인 『沔陽行吟集』에는 243제 419수의 시가 실려 있고, 『續陰晴史』에는 자신의 일상사와 당대의 사회상이 기록되어 있다. 『沔陽行吟集』의 시는 그가 처음으로 겪은 정치적 패배로 인한 상실감이 극대화된 시기로 그의 진솔한 내면의 세계가 드러나 있다. 시의 내용은 유배지인 면천 영탑사 주변의 풍경을 시화하기도 하였지만 주로 지인들과 시주를 일삼으면서도 楚囚者로서의 遣悶과 소회를 시화하였고, 자신의 가정적 처지와 경세관을 실천하고자하는 의지로 인한 갈등을 드러냈으며, 유배가 길어지면서 귀향의 갈망을 드러냈다. Unyang Yun-shik Kim, has left behind many writings and achievements in various activities as a man of thought, politician, and diplom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ac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ut he was negatively evaluated as ‘Jangrak-ro’ because of his behavior in conforming to rea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his achievements in literature as well as his status in the political-diplomatic history he left behind is necessary to correctly establish our history of literature. Kim Yun-shik lived for nine years after exile to Myeongcheon in a conflict with Queen Min, who took power in 1887. Due to his political defeat, he was exile sentenced to Yeongtapsa-temple in Myeongcheon, but the life in the place of exile in Myeongcheon was relatively leisurely with various writing activities for the help and consolation of Myeongcheon county governor and other acquaintances. Kim Yun-shik came to Myeongcheon, the place of exile in June 1887, and lived until he left Myeongcheon in February 1894 to be appointed as Ganghwa Yusu (government post), and he left a collection of poetry called 『Myeonyanghaengeumjip』 and a diary called 『Sokeumcheongsa』. His collection of poetry, 『Myeonyanghaengeumjip』, contains 419 poems in 243 subjects, and in his 『Sokeumcheongsa』, his own daily life history and his contemporary society are recorded. The poems of 『Myeonyanghaengeumjip』 belonged to a period in which his sense of loss due to political defeat for the first time was maximized, revealing his sincere inner world. The contents of the poems also portrayed the landscape around the place of exile, Yeongtapsa-temple at Myeongcheon, but while working mainly with acquaintances with the poems and drinks, he visualized in his poems what he felt when he as an exile saw and heard the people. He revealed the conflict caused by his own family situation and his willingness to practice the view of statesmanship, and as the exile lengthened, his will to return home was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