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문고전 번역의 가치담론과 번역자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남지만 東洋古典學會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3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ason for translating Korean Chinese written classics and the image of the person performing the transla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restricted to South Korea and the translation value of translating the Korean classical texts from the 1960s to the 2018. In the 1960s and 1970s, the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and the Classical Sinology(漢學) discourse centered around the Minjokmunwhachujinhwe(民族文化推進會,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culture was paired with the modernization, and the discourse of Classical Sinology(漢學) discourse was a certain antagonism to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The translator stereotype in this periods was close to a Classical Sinology(漢學) who could wright Korean letters.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cultur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y pairing with the discourse of the spiritual culture, and then changed into Korean study discourse in the 1980s. Since the mid 80s, the theory of translation has been introduced byo Kim Yong-ok. The translation of the Chosun dynasty annals, which started in the 70s, made the classical translation discourse in the classical translation field into the national project efficiency discourse. To the Early achievement of state-led gigantic project through group translation, they emphasized coherence and efficiency. On the contrary, the individuality of the translators and aspects of in-depth research have weakened. This discourse also influenced until the early 2000s. These large translation projects were produced by professional translator group.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Hankuk Kojon Bunyukwon) in 2007, he foundation for the stability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business was established, and the classical translation discourse was shifted to the academic discourse centered on classical translation sudies. This discussion was expanded to the request of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institution called the Classical Translation Graduate School, with a discussion on the academic identities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The imagies of translators, paired with the academic discourse of this period, and that the classical translators must be classical scholars and translators, are begun to be requested. Thus, the classical translation value discourse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imagies of classical translators have been changed accordingly. 본고는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가치에 대한 담론과 그 번역을 수행하는 번역자상을 다루었다. 연구의 범위를 한국(남한)에 한정하여, 민족문화추진회 등 관련 기관이 창설되고 국가지원을 통해 고전번역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인 1960년대 이후를 연구범위로 하여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번역가치담론의 변천을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화 담론과 한학(漢學) 담론이 주조를 이루었다. 민족문화 담론은 근대화와 짝을 이루는 것이었으며, 한학 담론은 근대화 담론에 일정 정도 길항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의 번역자상은 한글을 구사할 수 있는 한학자상에 가까웠다. 민족문화 담론은 정신문화 담론과 짝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설립을 이끌어 내기도 하였으며, 이후 1980년대에 한국학 담론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80년대 중반 이후 김용옥에 번역학 이론이 소개되어 반향을 일으켰다. 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왕조실록』의 번역은 고전번역 현장의 고전번역 담론을 사업 담론으로 기울게 하였다. 이러한 대형번역사업은 전문역자군을 산출하여, 번역자상으로 전업적 고전번역자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으로 고전번역사업의 안정적 기반이 마련되자 고전번역 담론은 사업 담론의 영역에서 고전번역학을 중심으로한 학술 담론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게 되었다. 고전번역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고전번역대학원이라는 학문기구의 설립 문제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이 시기의 학문 담론과 짝하여 고전번역자는 고전학자이자 번역자여야 한다는 연구 번역자상이 요청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고전번역 가치담론은 시대흐름에 따라 변화하였고, 그에 따라 고전번역자상도 변화하였다.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교육과정의 분석-1974~2017, 44년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남지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번역 중심의 교육(2)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3)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 데 있었다. 2기에는 한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高峰 奇大升의 四七說 중 ‘氣發’의 의미변화-理氣의 氣에서 氣質의 氣로-

        남지만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Ki Dae-sung was 16C Neo-Cofucianist in Korea. He debate with Yi Hwang on the origins of moral emotions(Four Seven debate, 四七論爭). Yi hwang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Sadan, 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human nature(Sung, 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And the other emotions(Chiljung, 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Ki, Chi, 氣) of the agent. Ki Dae sung, In his early doctrine, he did not approve that whole emotion which contains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deriv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The later doctrine is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as desire,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is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agent is regarded as the actuality of human nature and conditions.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기대승(奇大升, 호 高峰, 1527~1572)은 16세기에 활동한 성리학자이다. 그가 이황(李滉, 호 退溪, 1501~1570)과 벌인 四端七情論爭은 조선 성리학의 중요한 논쟁이다. 퇴계가 四端과 七情을 각기 理와 氣로 분속한데 대하여 고봉은 사단과 칠정을 理와 氣로 나눌 수 없다고 하였다. 사단은 순선한 理發이라 할 수 있지만 칠정은 감정 전체를 가리키기에 氣에 배속하여 사단과 대비시킬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고봉이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사단은 理가 발한 것(四端理之發)’이고 ‘칠정은 氣가 발한 것(七情氣之發)’이라는 퇴계의 설을 받아들여 사단칠정론을 정리하고 퇴계도 고봉의 설을 받아 들여 논쟁을 끝맺는다. 고봉의 초기 사단 칠정논쟁서신에서 사용되는 ‘發’의 용례를 보면 사단이나 칠정은 발원의 측면에서 모두 理인 性에서 발원하며, 발동 발출의 측면에서는 理와 氣가 함께 발동하고, 발현할 때는 사단은 理로만, 칠정은 理와 氣로 발현하는 것으로 본다. 후기의 「四端七情後說」과 「四端七情總論」에서 칠정을 氣質에서 발하는 것으로 수정한다. 이 변화는 사단 칠정 발원처를 마음이 ‘미발 상태에 갖춰진 理인 性’의 측면에서 보았다가, 관점 변하여 氣質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고 있고 감정은 理와 氣기가 작용한다는 점은 일관성 있게 유지되기에, 그의 결론이 사칠설의 전반적 경향에서 크게 일탈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 KCI등재

        윤증의 인심도심론 연구

        남지만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2003 泰東古典硏究 Vol.19 No.-

        I shall investigate the theories of ethics in Neo-Confucian scholars especially those of Seo-in(西人), the political leading group in the 17th century of the Chosun. At first I will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 theory of ethics. Neo-Confucian assumptions in ethics are that the norm is realization of intrinsic human nature, the desire is derived from body. So there are two way of achieving moral activity. One is cultivating and realizing the human intrinsic nature, the other is controling and regulating the desire. Yun-J'ng(1629~1714) the scholar who was the leader of So-ron(少論), the minority of Seo-in, emphasizes Dosim(道心),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human intrinsic nature. He gives superior status to realization of Dosim to regulation of Insim(人心), the desire of body. His doctrine emphasizes the autonomous moral ability of human. This doctrine weakens objectivity of norm. Song Si-yl(1607~1689), the leader of No-ron(老論), the majority of Seo-in, thinks much os regulation of In-sim. His doctrine emphasizes the objectivity of norms and weakens the base of autonomous moral ability. It seems tha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doctrine of ethics and doctrine of politics. No-ron were hard liner to Nam-in(南人), the minority political group in late Chosun and to Ching Empire but So-ron were soft liner. Consequently, these two doctrines are deprived from the assumptions of Neo-Confucian ethics and show us possibility that can elucidate the problem of Neo-Confucian ethical doctrines in two different perspective even though their theory has still some limitation in the detailed arguments.

      • KCI등재

        고전번역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남지만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led many translation projects of Korean classics and it has accumulated a lot of achievements, but the limits of these achievements have been revealed. This research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y means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academic research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classical translation. Most of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related to the lack of preparation of basic researches such as classical theories on the translations of classics. That is why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as discussed as a suppl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hich was suggested in this project, will play a major role in activating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nto academic field. Korean Chinese-written Classics is the key chain that inheri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t is at a limit that could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build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s of Korean classics by connecting education and field in research and educ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s complemented with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rete connection of education and the working field will be realized. It would be a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between classical translator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epare the establishment the network among the related institute such as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nd other universities. This network will provide 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rough research networking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 and outside of Korea. 근대 이전 시기의 우리 민족공동체의 기록물은 대부분 한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이 기록들이 현대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민족공동체의 기억이 단절될 수도 있다. 국고지원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진행하는 까닭은 이 일이 민족공동체의 기억을 이어가는 행위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고전번역작업은 다양한 경로로 고전번역자가 양성되었기 가능하였다. 본고는 고전번역이 이어지기 위한 필요조건인 고전번역자 양성문제에 대하여, 특히 최상급의 학술과정인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려 한다. 우리나라에서 학문적 축적은 학과형태의 학술적 연속성에 기초하기에 협동과정 형태의 운영으로는 번역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한계를 피할 수가 없다. 독립된 학과형태의 고전번역학 과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학과 과정은 한학(漢學)이 갖는 학문체계의 통합성을 복원하여, 번역학의 기반에서 학문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학문적 요구에 부응하는 명실상부한 ‘고전번역학’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주도하는 한국고전번역원을 중심으로 독립적인 고전번역대학원을 설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독립적인 학문기구로서 고전번역대학원의 설립이 어렵다면, 공동학위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인 협동과정 형태를 상정할 수 있다. 대학의 기존 고전번역협동과정과 한국고전번역원이 ‘한국고전번역학 공동학위과정’을 만들어 고전번역자 자격취득에 관한 부분은 한국고전번역원이 주로 담당하고, 연구를 통한 학위 취득에 관한 부분은 대학에서 주로 담당하는 형태로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서울과 지방에 있는 대학의 고전번역협동과정을 하나로 연계하여 공동학위과정 혹은 복수학위과정으로 운영하고 거기에 고전번역원의 번역교육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고전번역원은 다음과 같은 변화가 요청된다. 첫째, 현재의 연수과정과 연구과정은 학점인정제를 바탕으로 하여 학점교류가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여 정규 교육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2018년 처음 도입되어 직업교육에 가까운 형태로 운용되는 교감표점전문가 양성과정, 편집전문가 양성과정을 온전한 직업교육훈련 과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물론 고용노동부 등의 충분한 정부지원을 얻어서 내실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에 대해서는 국가의 정체성확인과 그것을 기초로 국가의 정신문화를 창달하는 기반사업이기에 국가주도의 투자가 요청된다.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육과정의 분석

        남지만(Nam, Ji-man)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 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ㆍ번역 중심의 교육 (2) 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 (3) 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데 있었다. 2기에는 한 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 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 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 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 KCI등재

        명재 윤증의 성리설

        남지만(Nam Ji-man) 한국고전번역원 2011 民族文化 Vol.- No.37

        명재 윤증은 우계 성혼과 율곡 이이의 학문을 계승한 17세기의 성리학자로, 우계 성혼의 외증손으로 태어나 가학을 통하여 우계의 학문계열에 속했고, 우암 송시열 문하에서 수학하여 율곡-사계-우암계열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우계는 퇴계의 사단칠정론의 경향을 계승하였기에 윤증은 퇴계-우계-노서 계 열의 학문적 역향 속에 있었다. 윤증이 퇴계의 설을 수용하지만, 율곡의 기발일도설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 에서, 호발설을 계승하는 퇴계학파들의 학자들과는 차이가 있다. 윤증이 理의 주재성을 강조하여 도심은 리가 주도[理爲用事] 한다는 표현을 쓰기는 하 지만 율곡학파의 기발일도론은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는 퇴계학파는 감정의 발출을 리를 중심으로 설명하여 나가고, 율곡-우계 계열은 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사상의 전개과정에서 우계-율곡 계열의 바탕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리의 주재성을 중심으로 학자들을 배열해보면 호발설을 주장하는 퇴 계학파의 학자들이 가장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고, 다음으로 윤증(소론)이 있으며 그 다음으로 김창협(낙론)이 자리를 차지하고, 한원진(호론)이 자리한 다 하겠다. 곧 윤증은 율곡의 이기론을 바탕으로 하면서, 우계를 통하여 퇴계의 사상을 계승한 서인계 성리학자로 위치 지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nvestigat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of Yun Jeung(1629~1714). Neo-Confucian assumptions tin ethics are that the norms are realizations of intrinsic human nature, the needs and desires are derived from body. So there are two ways of achieving morality. One is cultivating and realizing the intrinsic moral nature; the other is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needs and desires of body. Yun Jeung emphasizes the Dosim(道心),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human intrinsic nature. He gives superior status to realization of the human intrinsic nature. He gives superior status to realization of Dosim to regulation do Insim (人心), the desire of body. He emphasizes the autonomous moral ability of human. Song Si-yol (1607~1689) thinks much of regulation of Insim, therefore he emphasizes the objectivity of norm.

      • KCI등재

        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 -이황; 이항․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남지만(Nam, Ji-Ma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본 논문은 기대승의 사상변화를 밝히기 위해, 이황을 비롯하여 이항, 노수신, 허엽 등과의 논변을 통하여 고봉 기대승 성리설의 사상적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적하는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기대승의 초기설은 1566년 이전의 주장으로 모든 감정을 발원(發源)의 측면에서 리발(性發)로 보아 칠정도 천명지성에서 발원하여 나오는 것이라 기발로 한정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었다. 감정의 근원을 리로 보는 것은 성선론적 가치관에서 리발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1566년, 기대승은〈사단 칠정후설〉,〈사단칠정총론〉에서 칠정의 경우 발현이 리와 기로 나타난 것을 기발로 표현할 수 있다고 후퇴한다. 이것은 기질지성이 리와 기를 모두 포함하지만 본연지성에 대비하여 기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한다. 이는 실천의 관점에서 기의 발현을 검속해야하는 요구를 따른 것으로볼 수 있다. 기대승이 보기에 노수신, 허엽과 같은 리기일물론자들은 리와 기의 구분을 경시함으로써 도덕준칙인 리를 기의 현상으로 환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리기일물론에 대해 비판이 진행되면서, 기대승 자신의 사단칠정론도 리와 기를 구분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로 사단의 리발은 순선함의 측면이 강조되어 칠정과는 구분된다. 기대승의 성리설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벗어나 이기일물설을 주장하는 이설들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에서 이황과 입장을 함께함으로써 주자학의 내외를 구분하는 작업, 즉 조선 주자학의 경계선을 긋는 작업이었다고 평가한다. 이런 전제에서 고봉과 이황이 합의한 이발 기발의 구분은 존재론적 구분이 아닌 가치론적 구분으로, 고봉의 호발설은 이기의 발출과정에서 각기 발하는 이황의 방식이 아니고, 이기가 혼륜하게 있으면서 정의 의미와 내용에 따라 이발 기발을 구분하여 수양해야 한다는 호발론이다. 고봉은 이황이 사단칠정을 이기로 구분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받아들여 주자학을 벗어난 학자들에 대해 공동 대응하면서 비판하였다. 그러면서도 고봉은 다른 한편 구체적 현상과 마음의 수양 차원에서 이와 기를 소지(所 指) 상 구분되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퇴계와 입장을 달리 한다고 할 수있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monstrate, in accordance with fundamental intention of Kobong Ki Dae-sung’s philosophy, the doctrine of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七情). Kobong 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is output of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In this debate, Kobong was a challenger to Toegye. Researches on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so far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Toegye Yi Hwang’s theory. The whole and true aspect of the debate is illustrated when the theory of Kobong is equally illuminated. Toegye argues that moral emotions are the only important and meaningful realization of Li(理). He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Toegye s theory insists that feeings(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In his early doctrine, Kobong did not approve Toegye s thesis that feeling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and feeling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nd moral it self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He thought that every feeling and emotion is the realization of Li. No one is seperated from the Moral origin, Li. In his view, the Unverse is the exact realization of Li. He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Li not Ki.Kobong debated with Sojae Ro Su-sin who argued that all emotional expression is the realization of Li. Contrary to this, Kobong s theory is that the origin and beginning point of all emotions is Li. So Kobong didn t approve that all emotional expression is the realization of Li. The good emotional expression is the only the realization of Li. He worried that people could misunderstan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moral origin itself, Li. In his view, the emotional circumstances is not the origin of morality but expressional moments that realize the morality. So people should distinguish the good expressional moments and bad expressional moments from the feeling. In his later theory Kobong approve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Only the moral emotion is the secure realizations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He considere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the unsecure actuality of human nature. So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So Kobong s later theory resembled Toegye s theory.

      • KCI등재

        포저 조익의 성의공부로서의 무자기(毋自欺)에 대하여

        남지만 ( Nam Ji-ma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8 No.-

        본고에서는 포저(浦渚) 조익(趙翼, 1579-1655)의 주석서인 『대학곤득(大學困得)』 ‘성의장(誠意章)’의 ‘무자기(無自欺)’에 개념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희(朱熹)는 『중용장구(中庸章句)』에서 ‘자기(自欺)’는 치지(致知) 공부가 미진하여 마음에 진실되지 않음[未實]이 있어 생겨난 오류라 하였다. 그는 사람이 부자(附子)를 먹으면 죽는다는 것을 알면 먹지 않듯이 진실로 악이라는 것을 알면 행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현상에 생기는 지행불일치로 인한 악한 행위의 문제에 대하여 치지공부를 해법으로 제시한다. 조익은 『대학곤득(大學困得)』의 ‘성의장(誠意章)’의 ‘무자기(無自欺)’에 대한 주석에서 ‘자기(自欺)’의 뜻을 선을 실행해야 하고 악을 하지 말아야 함을 알면서도 선을 하지 않고 악을 행하려는 마음이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무자기(毋自欺)란 이러한 마음을 없애는 공부라고 하였다. ‘무자기’가 바로 성의(誠意) 공부라고 하였다. 이것은 현상의 불일치를 의지를 통해 극복하여 성의(誠意)에 이르는 것으로 현상에서의 공부를 통해 근본[誠]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조익의 학설은 주자학의 체계 안에서 경학 해석을 통해 도달한 것으로 주자학의 심학(心學)의 안에서 주체의 의지와 실천을 강조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런 경향을 포저심학(浦渚心學)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s studied Cho Ik(1579-1655)’s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self-deception in The Great Learning(Daehak, 大學). Cho Ik wrote Daehakgondeuk(大學困得) a commentary he Great Learning. Quotation of The Great Learning(中庸章句) chater 6 : What is meant by “making the thoughts sincere” is the allowing no self-deception, as when we hate a bad smell, and as when we love what is beautiful. This is called self-enjoyment. Therefore, the superior man must be watchful over himself when he is alone. Cho Ik interpreted the concept of self-deception as a situation that someone don’t do good thing though he/she knows it is good or do bad things though he/she knows it is bad. Cho’s interpretation is differ from interpretation of self-deception of Zhu Xi (Chinese: 朱熹, 1130-1200). Zhu Xi interpreted the concept of self-deception as a situation that result of deficiency of investigating things and carrying knowledge to the utmost extent(致知). Cho’s interpretation is matter of activity while Zhu Xi’s interpretation is matter of cognition and awareness. This is a phenomenon of the Joseon Neo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