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문화"영역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 분석

        정효영 ( Hyo Young Je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과 문화’ 영역 성취 기준은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한다.’이다. ‘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은 이러한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되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진술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활동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② 유의 사항’을 통하여 교수·학습 방법과유의 사항, 기대 효과까지 진술하고 있다. 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 내용은 우리나라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유문화와 한자를 매개로 한 여러 국가들과의 공통되거나 차이가 있는 문화를 내용으로 한다. 한문과에서 텍스트로 삼는 대부분의 내용이 전통문화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한문과 문화’라는 영역이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한문의 독해’와 ‘한문과 문화’의 성취 기준이 함께 달성되고 있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교수·학습은 같은 문화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기 위한 기초 지식 확보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과 관련하여 토의·토론을 통한전통문화 이해하기,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 문화유산 답사하기가 제시되었고,‘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와 관련하여 토의·토론을 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 한자문화권 언어·문화사전 만들기,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아보기가 제시되었다.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기’는 ‘토의·토론을 위한 주제 제시→ 주제 설명 및 사전 자료 수집 방법 제시→모둠 구성→모둠별 토의·토론을 위한 사전 자료 수집→ 모둠별 토의·토론 및 내용 정리→ 모둠별 발표 및 의견 교환’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는 ‘전통문화 관련 내용학습→ 그림으로 표현하기→ 전시 및 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문화유산 답사하기’는 ‘지역 문화유산 조사→ 답사 계획서 작성→ 답사 자료 수집→ 답사실시→답사 보고서 작성 및 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토의·토론을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는 ‘토의·토론을 위한 주제 제시→주제 설명 및 사전 자료수집 방법 제시→ 모둠 구성→ 모둠별 토의·토론을 위한 사전 자료 수집→모둠별토의·토론 및 내용 정리→ 모둠별 발표 및 의견 교환’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있다. ‘한자문화권 언어·문화사전 만들기’는 ‘한자문화권의 개념 파악→ 한자문화권의 언어·문화 조사→ 언어·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언어·문화사전 만들기’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아보기’는 ‘한자문화권 국가 파악→ 교류 사례 찾기→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은 한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타 교과와 차별성을 확보해야 한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범위 내에서 문화 관련 텍스트를 찾아 교과서에 싣는다면 한문과 문화 영역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area ``Hanmun and Cultur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properly understanding our traditional culture included in Hanmun records and shaping an attitude that tries to take the culture as driving force of creation of new, future-oriented cultures``, ``shaping an attitude that tries to promote a mutual under- standing and exchanges through a basic knowledge of the culture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area should be specific ones for meeting these achievement standards. As for the statemen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tivities that are more specific and more useful in school practices compared to previous curriculum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y deal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ngs to remember, and even expected effects through ‘② Things to Remember``. The teaching- learning content for the area is supposed to include cultures that several other nations also have or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s, the nations and Republic of Korea being connected through Republic of Korea``s native culture that has come down to us and through Chinese characters. Most of the content used in the texts for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i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although the area is set as a separate one, in school classes achievement standards for both ``Hanmun’s Reading`` and ``Hanmun and Culture`` are met. Teaching and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should aim to secure a basic knowledge needed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for living together as members of the same cultural are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discussion and debate, depicting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form of drawing, exploring the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under-standing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through a discussion and debate, writing a linguistic dictionary and a cultur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looking for examples of mutual exchang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in term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The classes for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discussion and debate``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presenting a topic for the discussion and debate → presenting methods of describing the topic and collecting the preliminary materials → grouping → collecting preliminary materials for the group-based discussion and debate → having the group-based discussion and debate and organizing the content → each group``s presentation and opinion exchanges``. The classes for ``depicting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form of drawing``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learn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 depic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drawing → exhibiting the works and giving presentations``. The classes for ``exploring the cultural heritage``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investigating the regional cultural heritage → writing an exploration plan → collecting materials for the exploration → exploring → writing an exploration report and giving a presentation``. The classes for ``understanding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through a discussion and debate``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presenting a topic for the discussion and debate → presenting methods of describing the topic and collecting the preliminary materials → grouping → collecting preliminary materials for the group-based discussion and debate → having the group-based discussion and debate and organizing the content → each group``s presentation and opinion exchanges``. The classes for ``writing a linguistic dictionary and a cultur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looking for the defini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 investigating the languages and cultures of the cultural sphere → summarizing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 writing a linguistic dictionary and a cultural dictionary``. The classes for ``looking for examples of mutual exchang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can b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 ``look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nations in the cultural sphere → looking for examples of exchanges → presentations``.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area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ubject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classical Chinese texts. Finding culture related texts that only contain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including the texts in the textbook will be able to help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area.

      • KCI등재

        한문(漢文) 교과서(敎科書)에서의 `전통문화(傳統文化)`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구현(具現) 방안(方案)

        백광호 ( Baek Kwang-ho ) 근역한문학회 2017 漢文學論集 Vol.46 No.-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문I`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문화`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구현 방안을 모색한 결과이다. 수천 년을 이어온 우리 역사 속에는 다양하고 특색 있는 전통문화가 존재하며,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할 수 있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한문 교과서에는 이러한 전통문화에 대한 내용이 곳곳에 담겨 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전통문화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14종의 중학교 `한문` 교과서와 10종의 고등학교 `한문I`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문화` 내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통문화`를 한문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 할 수 있을지를 글감, 관련 활동, 평가문항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부터 `문화` 영역이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교과서에서도 `전통문화`와 관련된 학습 목표 및 내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교과서에 구현된 `전통문화` 관련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했다. `전통문화`가 한문 교과서에 좀 더 풍부하게 제시되기 위해서는 관련 글감 발굴, 전통문화 관련 활동 제시, 수행평가 등을 활용한 평가 방법 개선 등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겠다.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area around the traditional culture presented in Sino-korean textbooks by targeting the middle school Sino-korean textbooks and the high school Sino-korean one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contents consist of three main part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Next,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learning contents. especially 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ether it is in the name of the chapter, the reading materials, and the illustrations. Finally, the discovery of each alternative move about previously 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will provide an insight into the way how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handled in Sino-korean textbooks that will be scree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looking at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Sino-korean textbooks as traditional culture centers. And it will also offer reference materials on the way how common Chinese character`s culture in East Asian Chinese`s can be implemented in textbooks of each country.

      • KCI등재

        2007년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방향

        한예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compositional direction of high school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that fit for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it sets the following goal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raditional culture recorded in Chinese, reproduce it creatively, establish our identity through comparison of our cultural zone with Chinese one and make a contribution to inter- communication. Objectives to realize the goals include understanding of vocabulary and diction in Chinese sentences through intelligence education, tradition and achievement levels of Chinese culture, and emotion on communication in Chinese cultural zone, reading and enjoying various kinds of Chinese literature, identify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 reproduction, and establishing identity through comparison of common and different things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Chinese culture. Accordingly, the contents to be learned are presented as follows: acquiring knowledge on composition and types of sentences in Chines classics, reading Chines classics such as proses and poetry, and understanding Chinese culture. In particular, Chinese 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identifying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difference in reading Chinese classics, having experiences of its cultural heritages, understanding its traditional art, and acquiring the knowledge on ideology and religion of Chinese cultural zone. This plan is to develop the base on which the i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improve reading skill, education centering on Chinese sentences instead of characters and cultu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textbooks and media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소고는 개정 교육과정의 특색에 맞추어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문교과서의 목적을 한문으로 기록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여 창의적으로 재창조하고, 한문문화권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며 상호 소통에 기여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로 識字교육을 통한 한문문장의 어휘 및 어법 이해, 한문문화의 전통 및 성취수준이해, 한자문화권의 소통에 관한 정서이해, 다양한 유형의 한문자료를 독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창의적으로 재창조, 전통문화와 한자문화권의 동이점을 비교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설정하였다.그에 따른 학습내용으로는 文章成分과 文章類型을 다루는 한문지식과, 한문산문과 한시를 다루는 한문독해, 그리고 한문문화교육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한문문화교육 영역에서는 그 내용요소로 한자의 발생, 한자의 유통, 한문독해의 차이, 한자문화유적체험, 전통미술, 한자문화권의 사상, 한자문화권의 종교 등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은 ‘독해력 신장을 위한 도구교과’, 그리고 한자어 교육에서 벗어난 ‘한문문장 중심의 교육’, 그리고 ‘문화교육’에 주안점을 둔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가 실현될 수 있는 토대를 조성함에서 출발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 개발 및 매체제작이 활발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문 교과에서의 ‘한자문화권’ 개념 적용 방식에 대한 검토 -각 시기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한문 교과서를 대상으로-

        장진엽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Since the 7th curriculum was founded, discussing the necess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respect to ‘better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within Sinosphere’ has gradually become established, in the articul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the subject objectives. As for the contents, recent development has been to designate an individual section for ‘culture’-aside from Chinese characters or reading classical Chinese writings-and to suggest activities that help with learning the ‘language and culture’ of countries in the Sinosphere.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re also generally complying to the contents elements advised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some textbooks have managed to successfully achieve the curriculum’s objective in creative way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first explore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ways of applying the concept ‘Sinosphere’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proceeds to suggest the alternative. First, the flaw in the logic that classical Chinese would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in Sinosphere has been pointed out; as learning classical Chinese may be less efficient compared to directly learning the language, and as it might not be effective in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In search of the alternative, the concept ‘Sinosphere’ would have to be more clearly articula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While Korea is historically and regionally included in the civilization called the Sinosphere, it is nowadays ‘not a country in which Chinese character is popularly used’. Therefore, the aim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in culture, against other countries in Sinosphere, should be emphasized in conveying the importance of educa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s. Also, there appears to be a problem in the tendency to limit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concerning ‘Sinosphere’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n culture’. While the domain of ‘culture’ should be extensively applied to include the entirety of literature, thoughts,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n Sinosphere, the aim should be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ulture’ of Sinosphere as an outcome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The significations of the East Asian classics that are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should be made clear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of Sinosphere. Moreover, making use of the records that show the history of mutual exchange within the Sinosphere-namely sahaengnok (records of envoy trips to Japan), yŏnhaengnok (records of envoy trips to China), brush talks, and letters-might prove to be fruitful. As a concept which interlaces with current demands, ‘Sinosphere’ might substantially contribute in reinforcing the statu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ill, the mode of application calls for a continued review; more than anything, the approach should be made with a long-term perspective in regards to setting the objective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한문교육의 필요성을 논하는 방식은 7차 시기 이후로 현재까지 교과의 성격 및 목표의 서술에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내용 체계 면에서 최근의 귀결점은 한자 및 한문 독해 외에 별도의 ‘문화’ 영역을 설정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한자문화권 국가들의 ‘언어와 문화’에 관한 지식을 익히는 활동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2015 개정 한문 교과서들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 요소를 대체로 충실히 구현하고 있으며, 몇몇 교과서들은 참신한 방식으로 교과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는 현 시기 한문교과에서 한자문화권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자교육을 통해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진다는 논리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외국어를 직접 배우는 것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고, 변화한 매체 환경에서 그다지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 먼저 교육과정에서 ‘한자문화권’ 개념을 명확히 기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한자문화권이라는 ‘문명 지역’에는 포함되지만 현재는 ‘한자가 통용되지 않는 나라’이다. 그러므로 한자문화권 내의 다른 나라들과의 문화적 경쟁력의 확보라는 목적에서 한자ㆍ한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한자문화권’ 관련 교육 내용을 ‘문화 지식’ 습득으로 국한하는 경향에 문제가 있음을 보였다. ‘문화’의 영역을 확대 적용하여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학ㆍ사상ㆍ역사ㆍ문화 전체를 대상으로 하되, 한자 및 한문 학습의 결과물로서 한자문화권의 정신문화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현행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동아시아 고전에 대하여 ‘한자문화권’의 정신사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연행록, 사행록, 필담, 편지 등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을 활용하는 방식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한자문화권’은 현시대의 요청과도 맞물린 개념으로서 한문교육의 위상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다만 그 적용 방식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한문교육의 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국(韓國)의 한문문화(漢文文化)와 한문교육(漢文敎育)

        송병렬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한국 문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형성되었다. 토착적인 생활 문화와 주변 국가와의 교류적인 문화의 측면이다. 주변국과 교류하면서 형성된 문화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것은 동아시아 한문문화이다. 이는 한국의 토착적인 민중 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주변의 국가들에게도 문화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한문문화는 한국의 문화의 정신적, 물질적인 모든 분야에서 드러나고 있다. 사상사적으로 고려시대의 불교, 이조 사회의 유교 사상(성리학) 등이 그것이다. 유교이념의 내용은 전적으로 ``한문문화``에서 起因했다. 이러한 한국의 한문문화는 주로 언어적인 측면에서 출발하고 있다. 바로 한문으로 기록되어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한문의 교양과 지식을 지닌 지식인들은 또한 한문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기록물을 만들어냈을 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 내용을 담아냈다. 이러한 내용은 하나의 분야에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산수 자연 문학에 관련된 문학작품이 미술 작품으로는 산수화나 건축으로는 자연친화적인 한옥 건축 미학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한문문화는 단지 언어적인 것에 머물러 존재할 수 없는 것이요. 수많은 근대 이전의 사회 문화 속에 적용이 되는 것이며, 오늘날 현재의 우리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물질주의의 공세가 커질수록 오늘날 현대인의 삶 속에는 그에 대항할 만한 사상과 문화로서의 반물질주의적인 문화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문문화의 전통이 우리의 잠재적인 문화로 존재하는 것으로 현대의 물질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문문화의 전통이 현대 물질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미래 세대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장이 있어야 한다. 한문교육은 바로 그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격에는 "언어생활의 한자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언어생활 한자어가 한문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국어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한문과 성격의 제1의 것으로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새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은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규정하고 있다. 심미적으로 고전 자료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제시하였다. 7차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태도이다. 그러나 그의 실천은 아직 미정이다. 교육과정으로 선언만 하였을 뿐 실천은 교과 전체의 책임으로 남았다. Korean culture has been created in two aspects, which are native living culture and mutually interactive culture with foreign countries. Chinese writing culture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ose interactive cultures. It effected Korean native way of life as well as that of other peripheral countries in East Asia. Chinese writing culture is discovered in every mental and material fields in Korean culture. Buddhism of Goryeo dynasty an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are the very evidence. Confucianism has its ideological foundation definitely on Chinese writing culture. Chinese writing culture in Korea is born in linguistic side; Korean archives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ellectual people had produced substantial documents within which contents were linked organically all over the social culture. For instance, literature on natural landscape was connected to landscape paintings and architectural aesthetics. Chinese writing culture does not nor cannot stand alone in linguistic side, but does affect pre-modern social culture and our daily lives. Especially, as materialism gets more excessive, people need culture education of anti-materialism for ideal and cultural factor in their lives. But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annot resist modern materialism if it stays only in our potential culture. We need to educate our descendants to get over materialism with the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at aspect. 7th curriculum emphasized "Sino-Korean words in daily lives" as a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Sino-Korean words are indeed Korean word derived from Chinese writing culture, but it occurs to me that it`s not quite adequate for a prime feature on Classical Chinese. On the contrary, the new curriculum states that Classical Chinese is "a subject to achieve critical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njoy of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through studying." It suggests that building an aesthetic enjo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is is a vigorous gesture. Still, taking it into action is yet uncertain. It is our duty not to leave the curriculum as a vague declaration.

      • KCI등재

        敎育課程의 變化와 漢文敎育의 正體性 摸索의 方案

        송병렬(Song Pyung Nyu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本稿는 근대 이후 한국에서의 한문의 위상 변화와 그에 따른 自己 正體性을 어떻게 추구해왔는지를 밝혔다. 또한 敎育課程 編制 變化에 따른 한문과의 위기는 새로운 正體性과 漢文文化의 新談論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혔다. 中世 東아시아에서 한문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思想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동아시아의 漢文文化로 형성된 여러 價値와 思想을 밀어내는 것으로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20세기 초에 漢文廢止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한문문화는 國漢文體로 대응했다. 또한 1945년 이후 語文政策에서 한글 專用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國文學界는 漢文學을 '國文學 속의 漢文學'으로 定義하였다. 이는 한문을 傳統文化 繼承과 東아시아 國家 交流의 주요한 敎科로 槪念 定義하는데 중요한 影響을 미쳤다. 이에 3, 4, 5차 敎育課程에서 漢文은 中學校, 高等學校 모두 必修 敎科가 되었다. 그러나 6차 敎育課程에서 中學校는 選擇 科目, 高等學校는 課程別 必修 科目으로 되었다. 7차, 2007년, 2009년 敎育課程에서는 중학교는 裁量活動 科目, 高等學校는 選擇科目으로 되면서 계속 編制 單位 時數가 줄었다. 大學入試에서도 豫備考査ㆍ本考査, 學力考査를 치르던 시절에는 國語 敎科에 漢文 領域으로 3~10問題 出題되다가, 1990년대 초 6차 敎育課程期中 大學 修學能力試驗 3년 정도 言語 領域에 出題되다가, 이후 漢文 問項이 除外되었다. 2002년 大學修學能力試驗에 제2外國語/漢文으로 出題되면서 僅僅히 命脈을 維持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漢文 敎科의 位相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近代 이후 漢文文化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화적으로 位相 變化를 강요받았다. 그때마다 새로운 談論과 變身으로 漢文文化의 基盤을 유지해왔다. 21세기의 東아시아는 새로운 秩序가 形成되고 있다. 東아시아의 言語와 文字의 普遍性이 다시 漢字 語彙의 側面에서 提起되고 있다. 이는 漢文文化圈의 再形成 되었음을 意味하는 것이다. 따라서 韓國 社會가 漢文文化를 바라보는 視角의 矯正이 필요하다. 이에 漢文文化에 대한 새로운 談論을 要求한다. '漢文文化 新談論'이 大衆化되면 동아시아에서 漢字와 漢字 語彙를 가지고 문화적 보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라 한자ㆍ한문 교육의 방향도 희망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unciated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s statue since the Modern age, and how has sought self-identity following this. Also, it says the crisi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following the change of curriculum formation requires the new identity and discussion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 Chinese character was a container that holds various East Asian ideas. The Modern age of East Asia started pushing the ideas and values that formed with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Korea, Chinese character culture was intended to push as 'Chinese character abolition' in the early 20's. In response to this, Chinese character culture coped with it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also, since 1945, in the language policy, there was a attempt to push Chinese Classics as a theory of exclusive usage of Hangul. For this, the academia of Korean literature accepted Chinese Classics as Korean literature and defined Chinese Classics into the category of 'Chinese Classics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cept defini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 major subject for the exchange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Chinese character had become the required subject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the 3rd curriculum to 5th curriculum.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it became an option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and a required subject following each course in the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formation unit hours of Chinse Character consecutively decreased, becoming a discretionary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and an optional subject in the high school. Even,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hile there were preliminary exam, main exam and achievement exam, Chinese character was set from 3 to 10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in the early 1990's, on the 6 th curriculum term, it was set in the Korean subjec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3 years, and it was excluded in the Korean subject. After that, Chinse character barely keeps itself in existence, being set as Chinese character subject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2002. This situation is undermining the statue of the present Chinese character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Chinese character culture has forced socioculturally the change of the statue in the society of Korea. On all such occasions, it keeps the foundation of Chinse character culture as a new discourse and change. In East Asia in the 21 st century, the new order is being formed.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and character in East Asia is being brought up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t means the reconstitu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erefore, Korean society should have the new vision to se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also,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required. If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become popular,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iversality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its vocabulary will be recognized in East Asia. Following this, the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changed hopefully.

      • KCI등재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 방향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본 논문은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글이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문화 영역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지만, 문화 영역의 구체적 내용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문화영역 강화의 방향성은 동의하지만 그 구체적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언어문화로서의 한문문화를 주목해야 한다. 전통시기 우리의 언어문화는 한문과 민족어의 이중언어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중세적 이중언어체계에서 한문은 높은 위상을 점유하면서 낮은 위상의 민족어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발전하였고, 아울러 현재의 ‘국어문화’는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를 통합적으로 계승한 것이었다. 이상의 사실을 고려할 때,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은 전통시기 이중 언어체계에서의 한문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중요한 교육의 방향으로 삼아야 하며, 동시에 한문문화는 현재 ‘국어문화’의 밑바탕이며, 현재 ‘국어문화’는 민족어문화의 일방적 계승이 아니라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의 통합적 계승임이 부각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현실 언어의 기저로 작용한 한문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언어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국어문화’에 대한 다원적 인식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문과 문화 영역교육의 방향은 한문과가 현실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교과이면서 다문화와 융합으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우리의 정체성을 교육하는 교과라는 성격을 보다 뚜렷이 드러나게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irections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secondary school. Although the position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may have been gradually elevated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detailed content of cultural studies remain unchanged. This refl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sphere, under which the experts agree on the general direction of emphasizing cultural studies but fail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and content. In order to find a directional path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t is important to take notice of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as a language culture. Traditionally, Korea’s language culture was diglossia, consisting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medieval diglossia, classical Chinese, which was perceived to be more superior to the Korean language, interacted and developed alongside with Korean, so as to result i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comprehensively inherited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onsidering such facts, culture studies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s position and role within the diglossic and historical context. At the same time,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should be emphasized as the basi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did not unilaterally stem from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but is an integrated successor of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Only through such emphasis o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which composes the basis of today’s language, can students gain a wholesome perspective towards the contemporary language culture and furthermore, can form a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Such a change in direction will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the everyday language and is a subject that could inform students of our multi-cultural and convergent identities.

      • 동북아 한문학의 정립과 그 문화적 의미

        문일환 ( Il Hwan Mu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중국의 한자, 한문이 조선에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명확한 역사기록이 없어 문헌적으로는 입증할 수 없으나 위만조선시대부터는 거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08년에 중국의 한무제가 이른바 한사군을 설치하였으니 이 때에 이르러서는 한자, 한문이 상당히 보급사용되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삼국시기 한자, 한문의 능란한 구사는 마침내 조선 한문학의 기원을 열어놓게 되었다. 이어 중국문학은 조선 한문학 발전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각 시대 혹은 시기마다 크고 작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일본의 경우 한자가 전해진 것은 대개 4세기 초로 예측되나 그것을 문학창작에 이용하게 된 것은 7세기 이후였다. 한자, 한문의 전파는 단순한 언어문자의 전달에 그친 것이 아니라 아직 미개화시기에 처해 있던 기타 동북아지역에 새로운 문명시대를 열어놓았음을 의미한다. 언어의 전파와 함께 중국문화의 영향은 각 지역의 사회, 정치, 경제, 과학기술, 철학사상 등 여러 분야로 확충되었다. 한자, 한문의 보급은 각 지역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발전하며 한문학의 전통을 확립하게 되었다. 한문학의 전통확립은 언어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문화라는 보다 포괄적인 수용과 전통확립을 보여준다. 한문학은 동북아지역에서 한문화의 영향과 더불어 각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중 가장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불교문화와 유교, 유학문화라 하겠다. 이 역시 동북아지역문화의 핵심이며 그 근간이라 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의 정신문화와 물질문화 등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면 정치, 문화, 교육 등 영역에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유학이라 본다. 이어 유학은 동북아지역문화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드디어 이른바 ‘동북아유교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유학이 사회발전, 동북아지역 제 민족정신, 학술문화의 발전 등에 긍정적 역할을 미쳤지만 유학의 부정적 측면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Chinese Characters were imported since Wiman Chosôn period around A.D.108. During Three Kingdom period, Korean were likely to concerned with Chinese literature. The Chinese Characters not only brought linguist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system but also influence on many fields like the society, politics, and philosophy. As this imported Chinese Characters were combin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s since then, it also had its own tradi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Literature encouraged the cultural bas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le Buddhism inspired many changes in the philosophy and mentality, Confucianism functioned primarily on practical fields such as politics, education, and culture.

      • 동북아 한문학의 정립과 그 문화적 의미

        문일환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1

        중국의 한자, 한문이 조선에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명확한 역사기록이 없어 문헌적으로는 입증할 수 없으나 위만조선시대부터는 거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08년에 중국의 한무제가 이른바 한사군을 설치하였으니 이 때에 이르러서는 한자, 한문이 상당히 보급·사용되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삼국시기 한자, 한문의 능란한 구사는 마침내 조선 한문학의 기원을 열어놓게 되었다. 이어 중국문학은 조선 한문학 발전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각 시대 혹은 시기마다 크고 작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일본의 경우 한자가 전해진 것은 대개 4세기 초로 예측되나 그것을 문학창작에 이용하게 된 것은 7세기 이후였다. 한자, 한문의 전파는 단순한 언어문자의 전달에 그친 것이 아니라 아직 미개화시기에 처해 있던 기타 동북아지역에 새로운 문명시대를 열어놓았음을 의미한다. 언어의 전파와 함께 중국문화의 영향은 각 지역의 사회, 정치, 경제, 과학기술, 철학사상 등 여러 분야로 확충되었다. 한자, 한문의 보급은 각 지역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발전하며 한문학의 전통을 확립하게 되었다 한문학의 전통확립은 언어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문화라는 보다 포괄적인 수용과 전통확립을 보여준다. 한문학은 동북아지역에서 한문화의 영향과 더불어 각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중 가장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불교문화와 유교, 유학문화라 하겠다. 이 역시 동북아지역문화의 핵심이며 그 근간이라 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의 정신문화와 물질문화 등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면 정치, 문화, 교육 등 영역에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유학이라 본다. 이어 유학은 동북아지역문화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드디어 이른바 '동북아유교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유학이 사회발전, 동북아지역 제 민족정신, 학술문화의 발전 등에 긍정적 역할을 미쳤지만 유학의 부정적 측면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Chinese Characters were imported since Wiman Choso^n period around A.D.108. During Three Kingdom period, Korean were likely to concerned with Chinese literature. The Chinese Characters not only brought linguist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system but also influence on many fields like the society, politics, and philosophy. As this imported Chinese Characters were combin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s since then, it also had its own tradi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Literature encouraged the cultural bas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le Buddhism inspired many changes in the philosophy and mentality, Confucianism functioned primarily on practical fields such as politics, education,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2009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多文化 敎育에 對한 一見

        이돈석(Donsuk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한국에선 2000년대 중반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논의의 수준이 한층 넓어지고 깊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 사회에서도 ‘다문화’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일종의 ‘트렌드’처럼 읽히기도 하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키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문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한문 자료 속에 스며있는 문화적 다양성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타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태도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한문 자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요소를 통해 한문 교과의 다문화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논의의 진행은 정규 학교 교육의 운영 지침이 되고 있는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검토하고 한문 교과의 주된 교재인 한문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한문 교과에 있어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Around the Mid-2000s, The range and level for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wider as well as deeper in our country. Accordingly, the word "Multi-Culture" has became familiar. Moreover, the word regards as the important keyword like a kind of "Trend" in the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experience variety of other cultures using the cultural diversity and to get attitudes that can recognize or accommodate the value of other cultures. This thesis intend to inform Situ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on direction of the Education with sources of educational elements of Classical Chinese. This starts with review on the goal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hich is operation guideline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analysis on the conten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ough Classical Chinese textbook as a main text book for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n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