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안굿 전승자 학습 변화의 의미

        정연락 ( Jung Youn-ra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동해안굿은 대한민국의 동해안 일대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고성 일대에서 부터 부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어촌마을에서 행해지는 굿이다. 동해안굿은 거의 세습무를 중심으로 연행되는데, 이 논문은 동해안굿의 세습무 집단 중 김석출 무계의 학습 양상을 세습무와 학습무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변화하고 있는 동해안굿 학습 양상이 가진 의미를 규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세습무는 집이 곧 교육 현장이었다. 어릴 때부터 굿판에 따라다니며 소리며 춤을 연행하게 해보아 실전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를 이어 무업을 계승해오던 세습무 가계에서 더 이상 자손들이 무업을 이어받지 않게 되면서 무업의 계승과 학습 방식에 변화가 발생했다. 1980년대 이후부터 굿이 가, 무, 악이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인정받아 국가 및 각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고, 예술대학 등에서 전공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무속을 전공한 새로운 학습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 학습무는 대학, 동해안별신굿보존회, 굿이 진행되는 현장 등에서 동해안별신굿의 연희 능력을 체계적으로 전승받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세습무가 학습무들을 받아들여 무업을 계승해나가며 굿의 연행 집단과 굿을 수용하는 마을 사람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와 달리 굿이 한국전통예술의 원형으로 가무악 총체적 학습의 산물로 인정받으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을 받게 됨으로써 무당의 사회적 지위와 개인적 자존감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과거 천시 당하던 무당이 아닌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전통예술인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굿 현장이나 마을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그 지위나 대우가 많이 달라졌다. 마을 구성원들도 무집단의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 과거와 달리 새로운 학습적인 요소들이 첨가된 것에 대해 인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마을단위에서도 전통적인 굿의 형식이나 제의만을 주장하기보다 마을 주민 모두가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 형식이나 다양한 굿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다. 변화하는 굿의 흐름과 신진 세대의 적응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는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굿판이 점점 축소되는 현실 속에서 동해안굿은 다른 지역 굿에 비해 아직까지는 활발히 연행되고 있다. 힘겹게 동해안굿을 보존해 온 세습무의 뒤를 이어 학습무들이 활발히 유입되고, 연행 집단이 굿의 전통을 보존하는 한편, 굿을 예술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 애쓰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무들은 세습무로부터 배워 온 무속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대에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전승하고자 준비하고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동해안굿은 마지막 세습무의 대를 이어 학습무들이 전통을 계승하고 시대에 맞춰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East Coast Gut, Korean shamanism ritual on its east coastal area, is a Gut held in fishing villages alongside Korean east coastal area from Goseong area in Gangwon-Do to Busan area. East Coast Gut is performed in a series mainly by a successor shaman, Korean shaman, who hasn't received any spiritual power from a Go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thesis lie in that we look over the learning aspects of Seokchool Kim shaman group among other East Coast Gut successor shaman groups after dividing it into 2 categories, successor shaman and learner shaman and based upon this, we reveal the meaning of the learning aspects of East Coast Gut. For successor shamans, home means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they are little, they chased Gut events performing dance in a series to accumulate onsite experiences. However, in the families of successor shamans that have passed their shaman work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descendents didn't inherit shaman work any longer, which changed the way of succession and learning of shaman work. Since 1980's, Gut has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as a kind of general art embracing songs, dance and music and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of the state and each city and province, and at art universities, it was adopted as a required course for its related major, which caused new learner shamans who majored in shamanism to emerge. These learner shamans are taking systematical succession lessons on the performance skills of East Coast Byeolshin Gut at universities, East Coast Byeolshin Gut preservation community, any places where Guts are held and etc.. As changes along time, the successor shamans accepted the learner shamans to pass shaman work down and changes appeared in the notion of towners who accept the performer groups of Gut and Gut itself. Unlike the past, as Gu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as the product of compresensive learning on songs, dance and music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shaman's social status and personal pride and dignity has become very high. As shaman has become positioned as the traditional artist getting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unlike its past image of getting despised, at the site of Gut event or even in the relation with towners, their status and the treatment they get became far different. Even towners, along with shift in shaman groups' generation, take position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addition of new learning elements unlike the past. Even in every town, rather than just insisting on the type or the event purpose of traditional Gut, they think over on the type of festival and the main direction of a variety of Guts with which all of towners can mingle with each other. They are trying to find new meanings in the trend of changing Gut and the adaptation of new generation to this. In our reality of Gut events getting minimalized along with rapid change of times, East Coast Gut is still very actively performed in a series until now compared to Guts in other regions. This is because following the successor shamans who have struggled to preserve the East Coast Gut, the learner shamans are actively inflowing and the series performance groups preserve the origin of Gut and try hard to use Gut as art contents. Besides, the learner shamans systematically organize what they learned on shamanism from the successor shamans and get prepared and try to hand it down to descendents in the closest possible way to preserve its origin. In the future, East Coast Gut will be succeeded by the learner shamans from the last successor shamans to inherit its tradition and develop it to adapt to the times.

      • KCI등재

        청소년기 학습무동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 교사, 또래 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홍국진,이은주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regarding academic amotivation. Using the KELS data, the Latent Growth Modeling (LGM) with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amotivational changes in Grades 8 through Grade 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amotivation increased continuously for 4 years. Second,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the positive relation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academic amotivation were all significant despite the fact that two relationships were controlled. Third, the effects of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on amotivation did not vary due to the relationship sources (i.e., parents, teachers, and peers) during middle school year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relations with teachers were more prevalent in high school.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holding a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would be an effective protective factor for the amotivation in adolescence with the consistent, negativ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n amotivation. Based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교사, 또래와의 긍정적 관계가 학습무동기의 변화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의 검증을 통해 중2에서 고2에 이르는 4년 동안의 학습무동기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학습무동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 교사, 또래관계의 예측력을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무동기는 중2에서 고2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무동기에 대한 부모관계, 교사관계, 또래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는 각각 다른 두 가지 관계가 통제된 상태에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시기의 학습무동기에 대해 부모, 교사, 또래관계는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한 동시효과와 지연효과가 있었다. 고등학교 시기의 학습무동기에 대해 부모관계와 교사관계가 모두 유의미한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나타낸 반면, 또래관계는 동시효과만 유의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의 학습무동기에 대해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가 모두 부모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에 비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습무동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통해 학습무동기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무동기 영역 별 관련변인 탐색: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교사의 통제적 수업태도, 학습사의 영향 및 유능감과 자율성의 매개효과

        김혜온,김수정,유계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3

        This study aimed to predict students’ learning amotivation with the following predictors: parental attitudes, teachers’ attitudes, and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motivation had four dimensions: task characteristics, lack of task value, absence of belief in personal abilities, and absence of belief in personal effort. The data analysis incorporated the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autonomy as mediating variables. To ascertain the associations within and between the variables, path analysis was applied to questionnaire data on 331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ound complex interrelationships: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competence, and parental neglect predicted absence of belief in personal abilities; teachers’ attitudes, parental neglect, and perceived competence predicted lack of task value. Teachers’ attitudes, parental over-control, and perceived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ask characteristics.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neglect, perceived competence, perceived autonomy, and teachers’ attitudes predicted absence of belief in personal effort.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autonomy differently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on learning amotivation depending on its dimensions. In sum, the results confirmed that learning amotivation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습무동기의 영역 별 관련변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 소재 중학교 2학년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교사의 통제적 수업태도, 학습사가 자율성, 유능감을 매개하여 학습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경로계수의 상대적 효과는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각 하위영역 즉 능력부족, 가치부족, 흥미부족, 노력부족으로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총효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능력부족에는 학습사, 유능감, 부모 방임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부족에는 교사의 통제적 태도, 부모 방임, 유능감과 자율성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흥미부족에는 교사의 통제적 태도, 부모의 과잉통제와 유능감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노력부족에는 학습사, 부모 방임, 유능감, 자율성과 교사의 통제적 태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으로 유능감, 자율성, 학습사는 학습무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친 반면에 부모의 방임, 과잉통제, 교사의 통제적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과 유능감을 매개로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모의 방임과 학습사에서만 유의하였는데, 이 또한 학습무동기 하위영역 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학습무동기의 다차원적 모델을 확인하고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기술·가정과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에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 개발

        김미라,이용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using Moodle for the unit of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technology·home subject. This study are conducted as follows:First, the literatur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is surveyed and the key elements and order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extracted and defined. Second, the curricula and textbooks for th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were analyzed and ten contents were selected for the implementation using Moodle. Third,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were implemented in the Moodle site. Three 8th grade students tested the Moodle site in October, 2010. Fourth, the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and the student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Us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un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Moodl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model. Literature, expert evaluation, and student evaluation show the possible evidences. Second, student can interact with a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and fellow students for the learning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Third, main reason of improving learner's skill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was to choose the study subjects for themselves. That is, Moodle based model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desire by helping him to select the study subjects voluntarily. 이 연구는 기술·가정과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에서 무들(moodle)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무들 사이트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 모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여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고 자기 주도 학습 요소의 순서를 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기술·가정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의 내용과 자기 주도 학습 특성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이 단원의 내용을 무들에서 구현하였을 때의 이점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한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의 내용을 10가지 선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선정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와 순서에 따라, 선정된 학습 내용을 이용하여 무들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무들 사이트가 실제로 구동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에 중학교 2학년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전문가 평가를 통해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의 신뢰도를 평가받았고, 학생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의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단원은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헌 연구, 전문가 평가, 학생 평가가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둘째,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에서 학습자는 교사, 동료 학습자와 같은 인적 자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느낀 가장 큰 이유는 학습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무들을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모형은 자발적 학습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해안 무녀의 무관 학습: 세대적 차이를 중심으로

        홍효진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of Mugwan’s performance, analyzing the various types of Mugwan in Donghaeangut, and to analyze how Mugwan’s learning has been transmitted and changed. Because of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religious belief in Mother Nature is deep. Therefore, the hereditary shamans that live in the area around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have performed various Gut(a shaman ritual) such as Byeolsingut, Pungeoje, Ogugut, Sanogugut, and Dosingut, Jaesugut, Gwangingut, Gaekgumulligi, and so on. However, currently, only Byeolsingut and Ogugut are handed down. Donghaeangut is the root and treas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s composed of songs and dances harmoniously; as a result, in recognition of its outstanding artistry, Donghaean Byeolsingut, Gangneung Danoje, Yeongdeokbyeolsingut and Busan Gijang Ogugut were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previous researches, researches related to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ist of the Donghaeangut, such as shaman’s song, shaman’s dance, shaman’s play, paper flowers, decorations of shaman’s ritual and so on are abundant; but researches about Mugwan is thin.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Mugwan which is each performed in Byeolsingut and Ogu-gut and commonly performed in both Gut. In addition, the hereditary shamans were actively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marriage, but new shamans, who studies shaman’s music and song in the university, are active in Donghaeangut; according to such change, how the learning Mugwan has been changed might be analyzed. Traditionally, shamans learned Mugwan in everyday life; however, new shamans who learn systematically traditional music are learning Mugwan step by step through individual lessons, group lessons, or art-related school majors and etc.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new shamans are continuously recording and documenting the process of whole learning including Mugwan. Based on these efforts, the outstanding artistry of hereditary shamans, which i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ll be able to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에서 연행되는 동해안굿에서 연행되는 다양한 무관의 종류를 분석하고 무관의 연행 양상을 정립하여 무녀의 무관 학습이 세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해안굿은 타 지역에 비해 지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대자연에 대한 신앙심이 깊은 지역의 특성 상 동해안 일대 지역에 거주하며 무계를 형성한 세습무 집단을 중심으로 별신굿, 풍어제, 오구굿, 산오구굿, 도신굿, 재수굿, 광인굿, 객구물리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별신굿과 오구굿을 중심으로 연행 및 전승되어 오고 있다. 동해안굿은 한국 전통 음악의 뿌리이자 보고로 가무악이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고, 뛰어난 예술성을 인정받아 동해안별신굿, 강릉단오제, 영덕별신굿, 부산기장오구굿 등의 단체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굿을 형성하는 무가, 무관, 무악, 무극, 지화 및 장엄 등 여러 가지 요소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았던 무관을 중심으로 별신굿과 오구굿에서 연행되는 무관 및 공통적으로 연행되는 무관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세습무 직계 가족을 중심으로 대를 이어 활발히 전승되어 오다가 환경과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신진 학습무가 유입되면서 변화된 무녀들의 무관 학습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자연스럽게 굿이라는 삶을 살아오며 무관이 몸에 녹아있는 세습무들에 비해 전통음악을 체계적으로 교육받아온 국악 전공자 출신의 학습무는 세습무 스승에게 개인레슨이나 그룹레슨, 또는 예술관련 학교 전공수업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무관을 사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속에서 학습무들은 무관을 비롯한 종합적인 굿 학습의 과정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기록화하고 자료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대대로 이어져 온 세습무의 뛰어난 예술성을 다음 세대에게 전승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유계환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3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whether excessive expectation, neglect and excessive control, which are among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would influence the learning amotiv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an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scale, a learning amotivation scale and a school maladjustment scale to 613 students(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22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excessive expectation of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is correlated with lack of value, lack of ability, lack of interest, but not with lack of effort. Negative and excessive controls have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lack of value compared to those with lack of competence, lack of interest, and lack of effort. In addition, learning amotiva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xpect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Learning amotivation has partial effect on the relationships of neglect control and excessive control to school maladjust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the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learning amotivation is a factor affecting school maladjustment and it can help to school life by letting the learners get out of their amotivation as well as guiding their parents to change their own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This study has regional limitations, and as a cross - sectional research calls for further longitudinal investigation. 본 연구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인 과잉기대, 방치, 과잉통제가 학습무 동기와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무동기가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613명(초등학생 291 명과 중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척도, 학습무동기 척도 및 학교생활부적응 척도를 설문 실시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통하여 매 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는 학습무동기의 가치부족, 능력부족, 흥미부족과는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노력 부족과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방치나 과잉통제는 학습무동기의 능력부 족, 흥미부족, 노력부족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에 비해 가치부족과는 비교 적 낮은 상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학습무동기는 과잉기대와 학교생활부적응 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무동기는 방치, 과잉통제와 학교생활부적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 습무동기를 함께 고려하여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에 의 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 뿐 아니라 학습무동 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의 지지적 양육뿐만 아니라 학습동기를 높여줌으로써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한계와 횡단연구라는 제한점이 있다.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유능감,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간 및 성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김혜온,유계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competence and autonomy on learning amotivation. A sample of 1042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ANOVA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hool level were found in competence, autonomy, and amotivation: A higher school level was associated with lower competence and autonomy, and with higher amotiva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pattern of results was rather complex. First, while parental neglect and over-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autonomy and a positive effect on amotivation, competence and autonomy had a negative effect on amotivation. Second, we observed differential effects in the school level. The negativ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competence and autonomy was stronger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parental over-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motivation only in high school students. Third, we also observed the effect of gender on amotivation. Parental over-control was more effective in male students, but autonomy in femal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율성과 유능감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광주, 전남의 초․중․고 학생 104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과잉기대, 과잉통제와 방임과 같은 비지지적 양육태도, 자녀의 유능감과 자율성, 학습무동기를 측정한 후 학교급과 성별의 2원 변량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2원 변량분석 결과 학교급에 따라 유능감, 자율성, 학습무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중․고의 순으로 유능감과 자율성이 더 높은 반면 학습무동기는 더 낮게 나타났다. 모형검증 결과 부모의 과잉통제와 방임은 자녀의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학습무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유능감과 자율성은 학습무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다중집단 분석결과 부모의 방임이 자녀의 유능감과 자율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이 초, 중학생에게서 더 높았고, 과잉기대가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고등학생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에게서 부모의 과잉통제가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여학생들에 비해 더 큰 반면에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습무동기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이창현(Changhyun Lee),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학습무동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척도 개발을 위해 유기적 통합이론, 학습된 무기력, 기대-가치 이론을 토대로 하여 학습무동기의 잠재적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중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검사를 통해 문항을 정교하게 수정하였다. 이를 통해 내재적 가치결여, 외재적 가치결여, 상대적 비용, 능력신념결여, 노력신념결여, 사회적 압력의 6요인 18문항을 최종 학습무동기 척도로 확정하였다. 697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무동기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구조가 자료에 잘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결정성동기와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척도의 준거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이 척도가 중학생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학습무동기 척도의 향후 활용도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amotivation scale. First, the subfactors of academic amotivation were drawn from the theori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expectancy-value model. to generate a pool of items, an open-end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210 middle school students by asking them why they did not want to study. A preliminary survey evidenced that the academic amotivation scale contained 18 items (3 per subfactor) describing six dimensions of academic amotivation; intrinsic value, utility value, perceived cost, ability beliefs, effort beliefs, and social pressure. To validate the scale, a third survey was administered to 697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provide evidence to the conceptual validation of the six-factor structure of academic amotivation.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as expected, each of the six factors display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related motivational constructs (i.e., self-determined motivation, achievement go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cross validity was confirmed: the six-factor structure of academic amotivation was generalized to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This scale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different types of academic amotivation and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motivated students.

      • KCI등재

        작은학교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창작 인형극 대본’ 활용 ‘행복성장평가’를 중심으로

        이상신(Lee Sang-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과 발달을 돕는 ‘행복성장평가’를 중심으로 작은학교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제 교실수업에 투입함으로써 현장 적용 가능성과 교육의 효율성을 실행 연구의 차원에서 객관적으로 검증함에 있다. ‘행복성장평가’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전반부 활동(작은학교 주문형 인형극 캠프: 2019. 8.16~8.19)과 후반부 활동(창작 인형극 대본 활용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 2019. 11.1~11.22) 간의 긴밀한 연계성에 기반을 두고 이원체계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의 상향식 접근이 가능한 작은 학교 속 작은학교 는 오히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교육에 적합한 조건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둘째, 협업하고 공감하며 인형극을 만드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경직된 능력(hard skill) 으로 무장한 이기적 창작자 라기보다는 유연한 역량(soft skill) 을 고루 갖춘 이타적 창조자 로 성장·발달할 수 있는 잠재 역량을 스스로 함양하게 된다. 셋째, 창작 인형극 대본을 활용하여 구안한 작은학교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의 역방향 설계(backward design)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통지 의 일체화를 실천할 수 있는 행복성장평가 전략으로 범용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non-graded and convergenced curriculum-based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 small school around happy growth and development-based assessment to promote children s growth and development, apply it to actual lessons in the classroom, and test objectively its field applicability and educational efficiency at the level of action research.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little-big schools capable of taking a bottom-up approach to the curriculum had conditions and environments fit for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 secondly, the learners got to cultivate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of growing and developing into altruistic creators evenly equipped with soft skills rather than selfish creators armed with hard skills in the process of making a puppet show based on collaboration and sympathy; and finally, the backward design of non-graded and convergenced curriculum-based cooperative learning for a small school based on creative puppet scripts offers the possibilities of being used widely as a strategy of happy growth and development-based assessment to practice the unity of curriculums, lessons, evaluations, records, and notifications.“

      • KCI등재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최주영,김경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consisted of 14 sophomores and senior.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7) or the control group(n=7). To analysis the effectivness, matched pair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programs offered 6time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there was a increase in self-esteem. But the improvement was not significant. Seco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academic amotivat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academic amotiv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습무동기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 3학년 14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 값을 활용하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실시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상으로 6회기 운영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무동기의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무동기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했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