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정된 무시멘트 비구컵에서 폴리에틸렌 삽입물 교환과 동종골 이식술을 시행한 비구컵 골용해의 치료

        손원용 ( Won Yong Shon ),허창용 ( Chang Yong Hur ),석창우 ( Chang Woo Seok ),정효섭 ( Hyo Sub Jung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3

        목적: 안정된 무시멘트 미세 포말형 비구컵에서 심한 폴리에틸렌의 마모를 동반한 비구컵 주위 골 용해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liner의 교환과 동종골 이식술만을 시행하여 치료하고 20례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평가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안정된 비구컵 주위에 발생한 골용해 및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마모 소견을 보여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교환만을 시행한 23례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8례 에서는 동종골 이식을 시행하였다. 재수술 당시의 환자의 평균 연령은 55(36~75)세 이었고, 첫 수술 후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8.2(5.6~12.4)년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2.4~9.3)년 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Harris Hip Score을 이용한 임상적 결과와 최종 방사선 사진상의 비구컵의 고정 및 골용해를 술 전 사진과 비교 측정하였다. 결과: 임상 결과는 HHS는 술전 67 점에서 최종 추시시 8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비구컵 이완이나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실패등으로 인한 재수술의 예는 없었다. 수술 후 고관절 탈구는 1례에서 3차례(수술후 1개월, 29개월, 38개월) 발생하였으며, 고관절 외전 보조기로 치료하였다. 비구컵 주위 골용해 병소의 크기는 전체 20 례에서 수술 전 평균 25.2×12.5 mm (최소 5×10 mm ~ 최대 42×12 mm)이었으며, 골이식술 시행 후 12 례에서는 술 전 골용해병소가 이식골로 완전히 충진되었고, 8 례에서는 부분적 충진되었으며, 추시 기간 중에 골용해가 진행되거나 새로이 발생된 례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시행한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교환술은 폴리에틸렌의 뚜렷한 마모를 동반한 미세포말형 무시멘트 비구컵의 심한 골용해에 대한 한가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폴리에틸렌의 교환술은 안정된 무시멘트 비구컵에서 비구골을 보존 할 수 있고, 수술의 규모가 적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존된 무시멘트 비구컵의 장기 수명에 대해서는 향후 장기 추시 관찰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retrospectively, twenty hips that had undergone revision surgeries because of massive pelvic osteo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tention rate of acetabular metal shells and polyethylene liner exchange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liner exchanges for massive osteolysis around stable HG acetabular cups with severe polyethylene wear in twenty-three hips, between June 1996 and May 2003. Clinical and radiological follow-up was available for 20 hips for more than 2 years. In 18 hips, we performed curettage of the granulomatous tissue and tightly packed morselized cancellous allografts into the screw holes or the peripheral rims for the acetabular osteolytic lesion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8 years (range, 2.4 to 9.3 years) and the mean of time from the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ies to the component exchanges, was 8.2 years (range, 5.6 to 12.4 years).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all of the hips were functioning well, and none required any subsequent repeat surgeries. Dislocations occurred three times after the repeat operations in one hip,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an abduction brace. None of the hips demonstrated a progression of the pre-existing osteolytic lesions or the development of any new osteolytic lesions. At the final follow-up, none of the acetabular components demonstrated any evidence of loosening.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isolated liner exchanges and debridement of the granulomatous tissue, with or without bone grafting,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solution to revision of the cup for massive osteolysis around well-fixed, cementless, acetabular cups in selected patients. Retention of the pre-existing cementless acetabular cup provides less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rbidity. 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longevity of the retained cementless acetabular cups, further long-term studies are necessary.

      • KCI등재

        폴리에틸렌-금속 관절면

        강준순 ( Joon Soon Kang ),김려섭 ( Ryuh Sup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4

        고전적인 감마선 조사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보관 과정이나 생체내 삽입 후 산화에 의한 변성에 의해 강도를 약화시켜 마모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줄어들어 마모율이 증가되고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표층 분리나 골절까지 유발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교차 결합과 산화 및 마모에 대한 최근 많은 연구가 진척되어 고도 교차 결합 폴리에틸렌이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폴리에틸렌의 기본 제조 공정, 방사선 조사와 산화, 교차 결합(cross linking) 유도 방법, 임상 결과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Conventional gamma sterilization could induce substantial oxidative degradation during subsequent storage of the PE component in air and during their use in vivo. This oxidative degradation may induce high wear rates, delamination and/or gross fracture of the affected PE component.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ross-linking and oxidation on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has lead to the common use of oxygen-protected packing during radiation sterilization and shelf storage. More recently, methods to deliberately highly cross link UHMWPE while reducing the material`s potential to oxidize have been develop in the form of highly cross linked UHMWPE. We reviewed the manufacturing, sterilization, cross linking methods and clinical results of the new polyethylene.

      • KCI등재

        초음파 완화법에 의한 프로필아민의 프로톤 전이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효과

        배종림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2

        Ultrasonic absorption coefficients in the frequency range 2.4 - 95MHz were measured in an aqueous solution of propylamine in the presence of polyethylene glycol (PEG) with several polymerization degrees at 25 C. In the solutions containing only the polymers, no relaxational absorption was found. However, a single relaxational phenomenon was observed only when propylamine coexist in solutions, which was attributed to a perturbation of chemical equilibrium associated with a proton-transfer reaction. The protolysis and hydrolysis rate constants and the standard volume change for the reaction in the solutions with PEG were determined from the reactant-concentration dependences of both the relaxation frequency and the maximum absorption per wavelength. As a result,the interaction between propylamine and the polymer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on-transfer reaction. 프로필아민 수용액의 프로톤 전이반응에 영향을 미치는폴리에틸렌글리콜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를변화시키면서 초음파 흡수측정을 주파수 2.4 - 95 MHz에서 수행하였다. 프로필아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공존하는 수용액에서는 단일완화현상이관측되었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용액에서는 초음파 완화현상이관측되지 않았다. 이 초음파 완화현상의 원인은 프로톤 전이에 의한화학평행의 혼란상태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농도에 따른 완화주파수 의존성으로부터 평행상수를, 파장당 초음파흡수의 최대치로부터 표준체적변화를 계산하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프로필아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사이의 상호작용이 프로톤 전이반응에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았다.

      • 황산과의 술폰화 반응으로 인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응집 거동현상 고찰

        이학봉(Hakbong Lee),한태희(Tae Hee Han)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지난 세기부터 지속된 산업화로 인해 플라스틱 생산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른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는 플라스틱의 대량 생산이라는 결과로 도출되었고, 이는 플라스틱 제품들에 대한 부적절한 처리 및 관리라는 결과로까지 이어지게 됐다. 부적절한 처리 및 관리 방법과 환경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요인으로 인해 크기가 5 mm 이하인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어 토양, 강, 바다 등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었고 이 미세플라스틱은 생태계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미세플라스틱의 포집, 전처리, 분석 및 재활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중, 전처리 과정에서 황산은 과산화수소와 혼합되어 미세플라스틱에 흡착되어 있는 다량의 유기 오염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다. 이 황산은 소수성을 띄는 고분자 표면의 기능화와 거칠기 증가를 도출하기 위해 술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미세플라스틱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폴리에틸렌의 경우도 내화학적이며 표면은 소수성을 띈다.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술폰화를 통해 산소 작용기와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킨다면 미세플라스틱의 부피 대비 큰 표면에 의해 응집 거동을 도출 및 포집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그와 관련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산에 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술폰화 반응에 의한 화학적 성질 변화를 탐구, 이에 영향을 끼치는 술폰화의 온도 조건의 영향도 확인 및 술폰화 반응에 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응집 거동을 전자주사 현미경을 통해 관측하였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형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화학적 조성, 관능기의 변화, 결정성의 변화를 각 각 X-선 광전자 분광법,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석법, X-선 회절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분자 구조변화는 양성자 핵자기 공명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의 술폰화 반응에 의한 기능화와 응집 거동에 대한 결과와 해석은 이 후의 미세플라스틱 재사용 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탄화 반응 등에 대한 이물질에 대한 활용점등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무시멘트 비구컵의 폴리에틸렌 마모와 골용해

        김영호(Young-Ho Kim),최성욱(Sung-Wook Choi),박기철(Kee-Cheol Park),최일용(IL-Yong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무시벤트 metal-backed 비구컵을 사용하여 일차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폴리에틸렌의 평균 선상 마모율(mean liner wear rate), 골용해를 일으키지 않는 선상 마모율의 역치(osteolysis threshold) 및 평균 선상 마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해부학적 대퇴 삽입물 또는 Harris-Galante 대퇴 삽입물과 Harris-Galante 비구컵을 사용하여 일차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5명 8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7.3세(25-68)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90개월(60-148)이었다. 가장 흔한 진단명은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이었다. 비구컵은 Harris-Galante Ⅰ형이 18예, Harris-Galante Ⅱ형이 69예이었으며, 해부학적 대퇴삽입물이 66예, Harris-Galante 대퇴 삽입물이 21예이었다. 폴리에틸렌의 마모는 Livermore의 방법으로 계측하였으며, 폴리에틸렌의 마모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선상 마모율은 0.21 ㎜/year이었으며, 골용해가 있었던 22예에서는 0.29 ㎜/year, 골용해가 없었던 65예에서는 0.12 ㎜/year로 골용해가 있는 경우 폴리에틸렌 마모율이 높았다(p=0.001). 활동도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환자가 중노동을 하는 경우 마모율은 0.28 ㎜/year이었으나, 경노동을 하는 경우는 0.16 ㎜/year로 환자의 활동도가 많은 경우에서 마모율이 높았다(p=0.048). 연령과의 상관관계에서 40세 이하인 경우 0.23 ㎜/year, 40세 이상인 경우 0.19 ㎜/year로서 젊은 연령에서 마모율이 높았다(p=0.049). 그러나 성별, 체중, 진단명, 컵의 종류 및 폴리에틸렌 두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최소 5년 이상 추시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폴리에틸렌의 마모율은 환자의 활동도 및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골용해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활동도가 높고 젊은 연령의 환자에서 골용해에 따른 해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연간 선상마모율이 0.12 ㎜/year 이하인 마모율이 적은 관절면을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inear wear rate of polyethylene, the osteolysis threshold of the linear wear rate, and the related factors on polyethylene wear in an uncemented metal-backed-cup of a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87 hips from 75 patients (57 men and 18 women) who had undergone a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with a minimum follow-up of five years. The mean age was 47.3 years (range, 25-68 year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90 months (range, 60-148 months). The most frequent diagnosis was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18 Harris-Galante Ⅰ and 69 Harris-Galante Ⅱ cups, were used on the acetabular side, and 66 Anatomic and 21 Harris-Galantestems were used on the femoral side. Radiographic polyethylene wear was estimated using the method reported by Livermore, and the above mentioned factors that influence polyethylene wear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overall mean linear wear rate of polyethylene was 0.21 ㎜/year. The linear wear rate of 22 hips with osteolysis and 65 hips without osteolysis was 0.29 ㎜/year and 0.12 ㎜/year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patients with high activity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linear wear rate (0.28 ㎜/year) than that those patients with low activity (0.16 ㎜/year) (p=0.048).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old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linear wear rate (0.23 ㎜/year) than the patients older than 40 year-old (0.19 ㎜/year) (p=0.049). However,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the mean linear wear rate and gender, weight, diagnosis, the type of cup and the thickness of the polyethylene. Conclusion: The polyethylene wear rate in an uncemented metal-backed-cup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and the activity of the patients, which strong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osteolysi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incidence of aseptic loosening due to osteolysis in young patients with high activity, a bearing surface with mean linear wear rate of 0.12 ㎜/year or less is recommended.

      • 우주 방사차폐를 위한 경량 폴리에틸렌 복합재료의 양성자 차폐 특성 연구

        장태성,이주훈,서정기,차원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본 논문은 경량 방사차폐재의 대안으로서, 폴리에틸렌 복합재료의 양성자 차폐특성에 대하여 다루었다. 상용 폴리에틸렌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방사차폐 시편을 제작하고, 양성자 빔 조사 실험을 통해, 폴리에틸렌 소재의 양성자 차폐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150mil 두께의 알루미늄과 등가한 양성자 차폐 특성을 내는 데 있어, 폴리에틸렌 소재를 활용할 때 상당한 경량화를 확인하였으며, 우주 방사차폐를 위한 경량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proton shielding effectiveness of polyethylene composite material as an alternative to lightweight radiation shielding material. Radiation shielding specimens were fabricated using commercial polyethylene composite and its proton shielding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proton irradiation test. Considerable mass savings were confirmed by using polyethylene for equivalent proton shielding effectiveness to aluminum with 150mil thick. The results presented the feasibility of lightweight polyethylene for space radiation shielding.

      • KCI등재

        폴리에틸렌 분해를 위한 효소로써 Baeyer-Villiger monooxygenases의 잠재력

        윤예린,장유신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4

        Polyethylene is widely used as an agricultural film, but eco-friendly technology is lacking for its decomposition. Thu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biological polyethylene decomposition. It has been expected that several oxidation steps will be required in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First, secondary alcohol is formed on the polyethylene chain, and then the alcohol is oxidized to a carbonyl group. In the subsequent process, the carbonyl group is converted to an ester by Baeyer-Villiger monooxygenase (BVMO), and this ester bond is expected to be cleaved by lipase and esterase in the final step. In this work, we reviewed BVMO as one of the promising enzymes for polyethylene decomposition, in terms of its reaction mechanism, classification, and engineering. In addition, we also give a brief perspective on polyethylene decomposition using BVMO. 폴리에틸렌은 농업용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기 위한 기술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폴리에틸렌 분해를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폴레에틸렌의 생물학적 분해에는 몇가지 산화 단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먼저, 폴리에틸렌 사슬에 2차 알코올이 형성되고, 알코올은 카르보닐기로 산화된다. 이후 과정에서 카르보닐기는 Baeyer-Villiger monooxygenase (BVMO)에의해 에스터로 전환되고, 이 에스터는 마지막 단계에서 lipase 와 esterase에 의해 절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분해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인 BVMO 의 반응 메커니즘, 분류, 효소공학 측면에서 리뷰하였다. 또한BVMO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분해 분야의 향후 연구전망도 간략히 덧붙였다.

      • 불포화분자의 그라프트 반응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변형

        강웅일 전남도립대학교 2009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Vol.11 No.-

        The functionalization of low density polyethylene with MAH (maleic anhydride),DEF (diethyl fumarate), DBM (dibutyl maleate) and MMA (methyl methacrylate) as a polar functional monomer and DCPO (dicumyl peroxide),BPO (benzoyl peroxide) as radical initiator was investigated. The grafting was conducted under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unsaturated molecules concentration, initiator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reaction time. Also in order to investigated degree of functionalization, the grafted polyethylene wax characterized by FT-IR DSC and SEM. The results of FT-IR spectra showed the grafting polymers analyzed a C=O absorbance band. A melting temperature and heat of fusion were confirned by DSC. The optimal grafting yield was obtained at an unsaturated molecules concentration, 2.5(%w/v), initiator concentration, 0.4(%w/v) reaction temperature,140℃, reaction time,180min. The grafting yield of the unsaturated molecules was as follow using DCPO; MAH>DEF>DBM>MMA and the grafting yield of the unsaturated molecules was follow using BPO; MAH>DEF>DBM=MMA and DCPO was found to be an excellent initiator for a grafting reaction. 폴리올레핀 수지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격이 저렴하고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대표적인 비극 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극성 고분자나 알루미늄,철,종이 등과 같은 극성 물질간의 접착력이 없다. 그러므로 비극성 고분자인 폴리올레핀의 기능화는 유기 과산화물의 개시제 라디칼로 생성된 작용기에 반응성 모노머를 그라프팅 시켜 수행되어 진다. 이러한 기능성 폴리올레핀은 물리·화학적 특성과 접착력, 염색성, 가교, 화학적인 변형이 증진되었다. 특히 MAH 으로 그라프트된 기능성 폴리 올레핀은 polyamid, 금속 그리고 유리와 같은 극성고분자들의 접착 력을 향상시켰고 상용화제로서 이용된다. 폴리올레핀에 극성을 부여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VA(Vinyl acetate), MA{methyl acetate), EA(Ethyl acetate), GMA (Glycid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MAA(Methyl methacrylic acid), MAH(Maleic anhydride), Vinyl Alcohol등의 모노머를 그라프팅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고분자의 그라프팅 반응은 기능기를 갖는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MAH은 반응성 모노머 이고 이것은 자유라디칼, 이온, 및 복사에 의해 폴리 에틸렌에 그라프트된다. 그라프트 반응은 용액공정, 용융공정, 현탁된 필름에서 수행되어지며 매달려 있는 무수물기는 가교나 화학 반응에 기능화를 주 고 폴리에틸렌과 다른 고분자의 상용화제에 도움을 준다. Porejko등은 자일렌에서 benzoyl peroxide 이나 azobisisobutyronitrile 의해 개시된 폴리에틸렌과 MAH 반응은 110 ℃에서 다른 메카니즘을 통하여 진행한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폴리에틸렌에 라디칼이 달라붙어 생성된 폴리에틸렌 라디칼에 MAH의 중합이 따른 다고 하였다. 또한 질소와 산소분위기에서 균일 중합 그라프트 반응은 차이점이 없는 것을 알아내었고, 또한 이 두 가지 분위기에서는 poly(MAHn) 곁사슬이 일치성을 보여주었다 고 보고하였다.

      • 수소핵자기공명을 이용한 저밀도폴리에틸렌의 열 열화 효과 연구

        이창훈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7 生産技術硏究 Vol.29 No.2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한 열 열화 효과를 수소핵자기공명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수소핵의 스핀-격자 완화시간의 길어짐뿐만 아니라 핵자기공명 선모양의 변화가 열화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관측되었는데, 고분자의 반결정 특성을 고려할 때 이는 저밀도폴리에틸렌의 전체 스핀-격자완화 시간을 결정하는 비정질 영역의 부피 감소나 특정 분자 운동 성분의 느려짐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각 고분자로부터 얻은 공명 선모양 분석으로부터 특정 분자 운동 성분의 느려짐에 의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Thermal degradation effect of a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was investigated by using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Lengthening of ^(1)H spin-lattice relaxation times (T_(1)) as well as some changes of NMR lineshapes can be observed in the thermally aged-LDPE. When considehng semicrystalline nature of the fresh-LDPE and aged-LDPE, the T^(1) increasement is envisaged to be due to either a decrease of the amorphous regions goveming overall spin-lattice relaxation mechanism in LDPEs or a dynamically resthcted motion of specific molecular motions, and can be finally concluded to be atthbuted to the latter case, which is successfully evidenced from the crystallinity and ^(1)H NMR relaxation rate of the aged-LDPE.

      •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폴리에틸렌 마모의 관절경적 진단 - 증례 보고 -

        강규복,윤정로,박성철,송승엽,양재혁,Kang, Kyu-Bok,Yoon, Jung-Ro,Park, Sung-Chul,Song, Seungyeop,Yang, Jae-Hyuk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폴리에틸렌 마모를 관절경을 통한 진단은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 저자들은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발생된 폴리에틸렌 마모와 재발성 아탈구를 관절경을 통해 진단하여 폴리에틸렌의 교환만으로 치료된 증례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발생된 폴리에틸렌 마모와 탈구의 진단에 관절내시경이 도움이 되며 문제의 원인, 진단 및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role of arthroscopy for the diagnosis of polyethylene wear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 a case of wear of meniscal bearing in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and recurrent meniscal bearing subluxation which was diagnosed by arthroscopy. Arthroscopic examination has its role in diagnosing the wear and subluxation of polyethylene bearing after U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