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양희만 대한산업경영학회 2017 산업융합연구 Vol.15 No.2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에, 유형자산과 마 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재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거래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기술담보를 통한 자금력 확보와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 어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권이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다 는 것이 현실이며, 이유는 특허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고 그 속성 또한 다양하며,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또 한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해 특허가치평가들을 살펴보았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특허가치평 가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중요한 요인들을 분석 하여, 특허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최종적으로 나타난 중요한 요인 10개는 기술의 사업화 가능 성, 시장경쟁력, 기술의 상업화 가능성, 시장규모, 보유기술의 독창성, 권리의 안정성(무효화 가능성), 기술의 수준, 기술 경쟁력, 기술의 파급효과, 기술의 성격(원천기술/응용기술)으로 나타났다.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ffec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ike patent on enterprise competitiveness is growing, rational valuation of patent rights, which are own by enterprises, is required because accurate patent valuation can bring about the activation of the technology exchange market and enhancing the values of enterprises as well as the security of funds through technology security. However, in reality, interest in the value of patent rights is not great due to many variables, affecting patent rights, and diverse attributes, and non-generalized methods of valuation. Therefore, studies on patent valuation for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required. This thesis examined patent valuation for the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attempted to find factors, affecting patent valuation by finding patent valuation factors through experts, organizing, and analyzing these factors. 10 essential factors, which are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are th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ies of technology, market competitiveness,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arket size, the originality of acquired technology, the stability of the right(the possibility of invalidating), the level of technology,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e ripple effect of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original technology/appl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정보기술(IT)의 가치평가분석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김승환(Seung-Hwan Kim),김복수(Bok-Su Kim),이주연(Joo-Yeon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국내의 경제상황을 판단하여 특허권의 유통을 활성화시키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과 기술의 가치평가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조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하였으며 특허권의 가치평가에 대한 개념정립을 위해 우선 특허권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과 관계요인, 이론 그리고, 특허권을 다양한 국 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 요약하였다. 또한, 라이센스교섭이나 그 외의 거래시 무형자산이나 지식재산의 이용과 관련한 적정한 로열티의 비율 및 특허권 침해의 액을 산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특허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주요가치평가 기법을 제시하고, 가치평가 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통해 새로운 가치평가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고찰해보며, 특허권의 거래 및 활성화를 위한 대안, 특허권의 가치평가제도를 위한 대책을 제시한 국내 가치평가의 문제점과 국내 모 평가회사의 분석사례 및 시사점을 통해 국내기술에 대한 가치평가의 방법과 제도적, 환경적 문제의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21 century is as time of infinite competition the knowledge base society where the crea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become source of competitive power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world-wide various nations leads and knowledge intensification of voice and existing industry of knowledge industry leadership grasp of competitive power high position security and world economy it concentrates a hazard national ability from new economic environment inside. Also, world economy the economic border collapsed with opening anger liberalization and the integration of world economy was accelerated and the restraint of advanced nation, pursuit of the late start developing country and competition from the enterprise for strategy helping each other back international market more were aggravating and information and knowledge with production element or the goods were wide in the economic whole and information knowledge revolution which circulates was developed and it followed hereupon and with the vitality where the knowledge base industry growth is new it rose to the surface.

      • KCI등재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시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활용 가능성에 관한 소고 : DCF모델과 침해자이익 조항 비교를 중심으로

        최지선 한국지식재산학회 2016 産業財産權 Vol.- No.51

        본 연구는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의 투명성과 객관성 제고를 위하여 기술가치평가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술가치평가와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은 무형자산인 기술의 가치를 경제적 금원으로 환산한다는 점에 있어 본질적 유사성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및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양 자간의 호혜적 상호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이론적․담론적 논의에 그치고 구체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는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양자간의 이론적 전제조건의 차이와 법원 손해액 산정시 실제 적용례가 없다는 점을 근거로 한 양자간의 상호 활용 불가능성에 대한 주장이 있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술가치평가의 손해액 산정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및 기술 현물출자 등의 기 사용례 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막연한 찬반 논의는 더 이상 실효성을 가지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론적․담론적 검토를 넘어서서 구체적․실무적 측면에서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법과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본문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양 방법론 간의 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 및 법적 근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에 기 작성된 기술가치평가 보고서가 제출되었다면 이를 침해기간만을 분할하여 손해액으로 산정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중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현금흐름할인(DCF) 모델과 특허법 제128조의 제반 조항 중 ‘침해자이익 손해액추정 조항’에 기한 손해액 산정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한다. 끝으로, 실제 우리 하급심 법원의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시에 부분적으로라도 기술가치평가 방법론을 적용한 예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그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금흐름할인(DCF) 모델과 ‘침해자이익 손해액추정 조항’손해액 산정은 평가(또는 분쟁)대상 기술의 가치를 경제적 금원으로 산정한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이익액의 개념적용과 잉여현금흐름의 차이, 현가화 여부의 차이, 기술기여도 적용의 차이, 그리고 잔존가치회수 여부의 차이 등의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침해기간을 포함하는 기술가치평가 보고서가 법원에 증거로서 제출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한 점을 고려하여 참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우리 하급심 법원의 적용례에서 보여주듯이 기술가치평가 방법론은 부분적으로 차용됨으로써 손해액 산정과정의 투명성과 객관성을 제고하는 것에 기여한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양 방법론을 전혀 다른 것으로 배척하기보다는 장점을 적절하게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P valuation techniques for assessing patent infringement damages.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amount of patent infringement damages in Korea was reasonably small on average and Korean district courts are too heavily relied on the paragraph of court’s discretion when they assessed them. As a way to improve the situation, there has been debates on making use of IP valuation techniques. Patent infringement damages and IP valuation techniques share in common that they convert the potential power of relevant technologies into monetary value. However, it has been dealt with on a theoretical basis, rather than on a practical one, so far. It is time to review whether IP valuation techniques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patent infringement damages. This paper is mainly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part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infringement damages and IP valuation techniques. Second part is to compare the paragraph of art. 128 of the Korean Patent Act, which presumes infringer’s profits as damages with the discounted cash flow model in IP valuation techniques. Third part is to search for court’s cases where IP valuation techniques are used to presume patent infringement damages at least in part.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cautiously suggests that online IP valuation techniques can be utilized in assessing damages with some modification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patent infringement damages calculation methods and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foreseeability of relevant parties. It can be also helpful for judges to simulate and evaluate the most appropriate amount of damages in a less expensive and more convenient way.

      • KCI등재

        지식재산평가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기술보증기금의 특허가치평가를 중심으로

        박영수 ( Park Youngsu ),최성호 ( Choi Sungh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최근 특허권을 포함한 지식재산권에 대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가치평가가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특허가치평가를 통한 대출, 보증, 담보용의 평가가 기술금융의 활성화와 더불어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비록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특허가치평가의 적정성에 관련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가치평가의 방법 중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익접근법(DCF모형)을 적용하여 산출된 추정가치와 평가이후 수집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실제가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허가치평가의 적정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특허가치 평가액에 대한 추정가치와 실제가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평가업무별로 추정가치와 실제가치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술성 평가자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교수, 변리사, 연구원에 있어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 반해 변리사와 기타 평가자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가대상 업종별 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Recently, the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cluding patents has been estimated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of loans, guarantees and collateral through patent valuation is increasing with the revitalization of technology financing.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tent valua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adequacy of patent valuation. In this study, using the DCF model,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technology valuation, we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tent valu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stimated value and actual value of the patent. An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work. In addition,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patent attorneys, and researchers in the analysis of value differences according to technical evaluator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ent attorneys and other evaluators. Finally, we find a significant valu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value and actual value of technology subject to evaluation by industry.

      • KCI등재

        특허 가치와 기업의 시장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성상,이재헌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7 지식재산연구 Vol.12 No.1

        For many stakeholders, changing the future value of the firm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measuring the value of a firm’s patents and show that patents value can be usefully used to predict changes in future value of the firm. In this study, the value of patents held by a firm is measured using knowledge capital, general value of patents, patent strength, patent impact, patent portfolio activity, and closeness relationship of patent portfolio.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market value of firms to the value of the patents, the firm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he changes in the market value during 18 month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market value growth of firms with low market value ratios compared to patents valu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value of patent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rket value growth of firm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patents can be useful in predicting changes in future value of a firm. 많은 이해관계인들에게 기업의 미래 가치 변화는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보유한 특허의 양적, 질적 특성을 반영하여 특허의 가치를 금액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측정된 특허 가치 금액이 기업의 미래 가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허의 일반화된 가치에 특허 강도, 특허 영향력, 특허 포트폴리오 활동성, 특허 포트폴리오 밀접성을 반영하여 기업이 보유한 특허의 가치를 산출하였다. 측정된 특허 가치 대비 시장가치의 비율에따라 기업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18개월 동안의 기업 가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허 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3미만인 기업들의 시장가치 증가율은 48.65%(12개월)와 44.46%(18개월)로 비교 집단에 비해 월등히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허 가치를 포함한 기업 특성 변수들이 기업의 시장가치 증가율에 미치는 효과를 회귀분석한 결과 특허 가치가 시장가치 변화에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이 보유한특허의 가치가 기업의 미래 가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IP금융에 있어 특허가치평가의 방향에 대한 고찰

        엄성희 ( Sung-hee Eum ),정연덕 ( Yeu-dek Chu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특허의 활용과 사업화 활성화를 위하여 특허의 가치를 평가하여 확정 할 수 있는 특허가치평가 모델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설정하고 IP(Intellectual Property)금융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존 특허의 평가는 특허 이외의 사업성과 시장성 등 외부요소까지 고려하여 가치를 평가하였다. 하지만 특허를 이용한 IP금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허의 법적 권리성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특허의 법적권리성과 위에서 제시한 미국 판례의 합리적로열티를 판단하고 있는 15개 요소의 시장성 평가 보완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IP금융의 활성화와 특허 활용을 위한 IP금융에 맞는 특허 가치평가 모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acilitating the utilization of patents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promote innovation in this globalize world. Since technology innovation is such an important that it can determine a company’s economic growth and competitive enhancement, all the companies make lots of investment and effort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As outcom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re are patent rights. and that are mostly approved as a legal right called IPRs. To activate such an patent rights, financing techniques are needed for enterprises to rise funds through collaterals, such as technical and Patent rights. In reality, however, any IP related financial system is not really carry out an objective and reliable valuation on IP as a collateral for the activation of IP financ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various different methods of patent valuation need for IP finance

      • KCI등재

        특허가치 결정요인과 기술거래금액에 관한 실증 분석

        성태응(Tae-Eung Sung),김다슬(Da Seul Kim),장종문(Jong-Moon Jang),박현우(Hyun-Woo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2

        최근 지식기반경제 구조로의 전환과 함께, 기술이전, 기술사업화와 같은 연구개발 성과의 생산적 활용을 위한 거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특허가치평가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거래사례 수집의 어려움으로 실제 사례분석을 통한 결정요인 분석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전문가조사법, 비교평가법 등 정성적인 평가기법의 주관적인 결과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점법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정량적인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고자 15개의 국내외 특허가치평가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6개 기술가치 결정요인을 도출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결정요인의 대리변수로 활용 가능한 특허정보를 매칭하였다. 또한, 제시된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공공 및 민간기술거래기관에서 수집된 총 517건의 특허거래사례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특허가치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특허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체산업에서는 특허연계성(인용문헌수) 및 해당 특허기술의 상용화단계 정보들이 기술거래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거래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유의미한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거래사례 수집 및 모니터링을 통해 산업별 연구 결과가 체계적으로 검증된다면, 특허출원 전략 수립 및 연구사업(대표 특허보유) 성과 평가 시 활용할 수 있는 산업별 맞춤 평가모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conversion towards knowledge-based economy era,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for patent valuation has been growing rapidly because technology transactions are increasing with the purpose of practically utilizing R&D outcomes such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y analyzing technology transactions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in practice. Hence, to suggest quantitative determinants for the patent valuation which could be applied to scoring methods, 15 patent valuation models domestically and overseas are analysed in order to assure the objectiveness for subjective results from qualitative methods such as expert surveys, comparison assessment, etc.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ortant 6 common determinants are drawn and patent information is matched which can be used as proxy variables of individual determinant factors by advanced researches. In addition, to validate whether the model proposed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total 517 technology transactions are collected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technology transaction offices and analy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led to significant patent determinant factors in deciding its value. As a result, it is herein presented that patent connectivity(number of literature cited) and commercialization stage in market influence significantly on patent valu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that it suggests the significant quantitative determinants of patent valu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actions data in practice, and if research results by industry are systematically verified through seamless collection of transaction data and their monitoring, we would propose the customized patent valuation model by industry which is applicable for both strategic planning of patent registration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research projects (with representative patents)

      • KCI등재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인 도출에 대한 델파이 연구

        김영기 ( Young Ki Kim ),박성택 ( Seong Taek Park ),이승준 ( Seung Jun Lee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0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1

        지식기반경제에서는 지식을 창출하거나 활용하는 능력이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 경쟁우위의 기본이 되고 있다. 산업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됨에 따라 부동산 및 설비 등 유형자산 보다는 노하우, 특허권 등의 무형자산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유형자산과 마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 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 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또한 기업의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형자산과는 달리 무형자산인 특허권의 정확한 가치평가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시된 특허가치 평가요인들을 살펴보았고, 이로부터 특허가치평가 전문가들에게 설문을 하여 공통된 10개의 중요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ability to create and utilize knowledge is a key to a company`s competitive edge as well as the foundation for a country`s competitiveness. Thanks to the paradigm shift from the industrial economy to the knowledge economy, the importance of the intangible assets such as know-how or patents surpasses that of the tangible assets such as real estates or equipments in terms of the impact on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such,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a patent reasonably accurately because it can activate the technology market and it is critical to the patent strategy development of a company. However, it is known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a patent`s value accuratel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valuation factors suggested by the past research and select important common 10 factors from patent valuation experts survey.

      • 정부 R&D 성과평가 지표로서 특허 평가 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장덕희,강길모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 R&D 성과평가 대상이 되는 특허에 대한 상세 평가지표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예비분석(pilot test)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정부 R&D 투자성과 가운데 특허성과의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함의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4년-2013년의 10년간 해양수산부를 통해 지원된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사업``의 특허성과를 사례로 하였다. 이 사업은 10년간 약 1,591억원이 투입된 사업으로, 사업성과로 다수의 특허 및 논문 이 사업성과로 창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허성과지표를 첫째, 정부 R&D 관리를 위한 정책성 측면에서 ①연도별 특허, ②과제연계성, ③특허 성격의 세가지 지표를 사용하고, 둘째, 특허의 가치를 보장받기 위한 경제성 측면에서는 ①시장성, ②권리보호, ③패밀리 특허의 여섯가지 정보를 평가를 통해 측정하고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술가치평가 능력을 보유한 전문변리사 그룹을 통해 앞서 제안한 6가지 지표를 대상으로 한 예비분석을 실시하고,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제품군별 특허가치평가 요소의 중요도 분석

        박성택 ( Seong Taek Park ),이승준 ( Seung Jun Lee ),김영기 ( Young Ki Kim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1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1

        지식기반경제에서는 지적 재산, 즉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가 기업의 경쟁력과 국가의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허 등 지적 재산은 다양한 영역에서 기업의 경영 전략 및 기술혁신 전략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활용되고 있으며, 특허가치평가의 중요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진 부분은 특허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해 선행연구와 기술가치평가 기관에서 제시된 평가 모형들 중에서 7개의 중요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AHP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군별로 특허가치평가 중요 요소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tellectual capital-the accumulation of technology and know-how-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and economic growth. Intellectual property is closely connected which the management strategy and a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y of the enterprise and the importance of patent valuation is increasing gradually. But until now, methodological research that how to evaluate the value of patent was a mainstream.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7 important factors of patent valu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ith patent experts by reviewing the 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existing valuation models of technology valuation organization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using AHP method, we analyzed difference of 7 factors about kind of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