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5세 누리과정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의 체육현황과 발전방안

        조영희 ( Young Hee Cho ),김옥자 ( Ok Ja K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의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체육활동 현황을 살 펴보고 이에 따른 발전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를 참고하여 체육관련 활동 내용을 분석하고 유아체육의 위치와 발전방안을 살펴보았다. 현재 누리과정은 5새 영역(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체운동·건강영역은 신체 인식 하기, 신체 조절과 기본 운동 하기, 신체 활동에 참여 하기, 건강하게 생활하기, 안전하게 생활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체육활동에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첫째, 체육활동 포함한 특별활동 오후 시간대 편성으로 인한 유아체육교사들의 활동시간 축소를 가지고 왔다. 둘째, 체육활동 포함한 특별활동영역 교육비에 대한 학부모의 부담을 가지고 왔다. 셋째, 누리과정안의 신체운동 및 건강영역 지침서를 통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체육활동의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 넷째, 원장과 유아체육지도자간의 견해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 내에 전담 체육강사 필요, 유아 체육지도자의 국가자격증 제도 보완 필요 신체운동 · 건강 영역에 관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체육지도자의 재교육이나 연수의 체계적인 실시, 유아체육의 법적 근간이 마련,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교수자료와 교재, 도구 및 교구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nt conditions of the children physical activity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ways to activate the children physical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for age 3-5. The category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consisted of body awareness. body control, performing basic movem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healthy life, and safe life. The problems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were as follows ; First, reduced activity of children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because of changing afternoon classes. second, parents` burden about education expenditure, Third, possibility of physical activity teaching by children teachers, Forth, difference of directors an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The solutions were as follows ; First, Employment as Physical activit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Need of national Certificate and License, Third,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contents according to Nuri, Forth, Educ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Fifth, Legislative requirement about physical activity, Sixth, Development and supply of teaching programs, tools.

      • KCI등재

        방과후 체육활동 지도자 활동 현황 및 고용 실태 조사

        황미경,백성수,한승진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방과후 체육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주체인 지도자들의 활동 현황을 검토하고 고용 실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방과후 체육활동의 개념과 범위를 고찰하였고 실태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 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총 414명의 지도자를 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방과후 체육활동은 학교에서 과외로 이루어지는 체육활동으로 방과후 학교, 학교 운동부, 학교 스포츠 클럽, 특별활동 및 특기적성활동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방과후 체육활동 지도자는 체육교사를 포함하여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 자원봉사자, 프리랜서 강사, 학교와 계약된 사설기관 강사 등이 있으며 그 활동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방과후 체육활동 지도자의 신분은 체육교사와 스포츠 강사가 가장 많았고, 활동기간은 대부분 5년 미만이었다. 또한 수업 유형은 방과후학교, 학교 운동부, 스포츠 클럽이 많았고, 축구, 배드민턴, 농구, 줄넘기, 육상 등의 종목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체육활동 지도자의 지원 경로를 조사한 결과 교사 이외의 강사들은 교육청 홈페이지나 지인의 추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체육활동 지도자들의 43% 이상이 만족하였고, 80% 이상이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비교사의 경우 근무지속의사가 교사에 비해 낮았고, 인지된 고용안정성도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이 체육활동 만족도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충헌(Chung Heon Lee),김정완(Jung Wan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는 학교 인근의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활동이 학생들의 체육활동 만족도와 체육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학교인근의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8개 학교의 중·고등학생 409명을 표집하고 이들의 설문자료를 SPSS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빈도와 참여목적은 체육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체육활동 만족도는 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빈도, 참여목적과 체육활동 만족도 및 체육수업태도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대 스포츠 특성과 경향을 수용할 수 있는 수준 높은 학교인근의 생활체육시설을 학교체육에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체육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체육수업태도를 갖게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sport activity using the community sport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of sport activities an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9 students of 8 middle·high schools using social sports facilities on the school sport activities. For the analysis of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rogram SPSS 15.0 for Windo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on the school sport activity using the social sport facilities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effected on the satisfaction of sport activities. Second, the satisfaction of sport activitie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on the school sport activity using the social sport facilities effected o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 Thir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purpos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port activitie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

      • 과외자율체육활동에 대한 장학협의 실태

        이종형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이 연구는 과외자율체육활동에 대한 장학협의 실태 분석을 통하여 과외자율체육활동의 효율성 증대와 학교체육의 질적 향상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별 체육담당장학사(관) 및 교장·교감 집단 147명과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집단 214명으로 전체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과외자율체육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의 권장정도는 40.2%가 적극적으로 권장한다고 응답하였으며, 27.8%는 매우 적극적으로 권장한다고 응답하여 68%가 권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과외자율체육활동의 저해 요인으로는 ‘지식 위주의 입시 교육’을 46.1%, ‘부모의 체육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30.2%, ‘운동 시설의 미비’에 23.7%로 응답하였다.셋째, 과외자율체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장학협의 활동의 참여여부에 대해서는 ‘적극참여’에 35.8%, ‘매우 적극참여’에는 21.1%로 응답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과외자율체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활성화를 위한 교내 장학협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필요’가 27.8%, ‘대체로 필요’가 53.9%로 81.7%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과외자율체육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연수기회에 대한 참가의향에 대해서는 ‘매우적극참여’가 33.1%, ‘적극참여’가 47.5%로 80.6%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0교시 체육활동이 중학생들의 체력,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Yun Young Kim),강성기(Seoung Ki Ka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0교시 체육활동이 중학생들의 체력,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중학교 학생 중 0교시 체육활동 집단 28명, 비활동 집단 28명 총 56명으로 하였다. 12주 동안의 0교시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 (2RG×2RM)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0교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조성에서 0교시 체육활동집단과 비활동 집단 모두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0교시 체육활동 집단에서는 체지방률이 감소하고 근육량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0교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체력요소에서 모든 변인이 향상되었고 특히, 근지구력, 심폐 지구력, 민첩성, 평형성 능력에서 많은 증가를 보여 체력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0교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넷째, 0교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태도의 하위요인인 주의집중태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0교시 체육 활동이 중학생들의 체력,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fluence of Zero hour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fitness, physical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a program was applied to a total of 56 students consisting of 28 students in the exercise group and 28 students in the non-exercise group attending a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Suwon city of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subsequent two-way ANOVA (2RG×2RM)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hile weights were increased for both of the exercise group and the non-exercise group in body composition through the Zero hour class physical activity program, effects were shown with the exercise group where body fat percentage was decreased while muscle mass was increased. Secondly, through Zero hour class physical activity program, all areas in strength elements for the exercise group were improved, showing results of further increase in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balance abilities, producing positive effects on strength improvement. Thirdly, through Zero hour class physical activity program, perceived physical ability as a sub factor for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an effect of improvement. Fourth, through Zero hour class physical activity program, the attitude of concentrating attention as a sub factor for attitude toward learning showed an effect of improvement. Combining these conclusions, the Zero hour class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fitness, physical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지속적 체육활동 참여 과정 탐색 : 발달장애인 부모 포커스인터뷰를 중심으로

        정희정 ( Hee-joung Joung ),김동민 ( Dong-min Kim ),조가람 ( Ga-ram Jo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4

        2014년 발달장애인 지원 및 권리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각계의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생애주기에 따른 지속적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단기적 서비스 한계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특수체육학계에서도 발달장애인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체육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들의 지속적인 체육 활동 참여 촉진을 위해 체육 활동이 지속되는 과정과 조건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지속적 체육 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 23명(자녀나이: 8세~24세)을 대상으로 나이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개의 주제, 5개의 범주, 13개의 하위범주와 1개의 발달장애인의 체육 활동 참여 흐름 도식을 도출하였다. 체육 활동이 지속되는 과정은 부모의 다양한 노력과 시행착오로 시작하여 체육 활동의 효과를 체험하게 되고, 발달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사회· 심리적 욕구들이 충족되는 경험을 하면서 체육 활동이 지속된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 체육 활동 참여는 교육 및 여가 활동 등 도구적 가치에서 참여 그 자체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본질적 가치로 변화된다. 또한, 발달과정에 맞는 체육 프로그램, 심성적 자질을 갖춘 교사, 부모와 교사간의 협력관계는 이러한 참여과정과 역동적 상호작용을 일으켜 학생들이 체육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활성화 방안 구축을 위한 시사점은 조기 체육을 시작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발달과업에 따른 체육 활동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체육동호회 확립, 심성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이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4, efforts to support the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de in various relevant disciplines. Particularly, they emphasized consistent participation in services which in many cases have resulted in lack of adherence to participation. This also is the case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activity(APA) that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cern. Thus,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and contexts to facilitate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service providers and policy makers. Participants were 23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between 8-24.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of their children. At the conclusion of data analysis, 2 themes, 5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1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flow mod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erged. For future implications,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systematic system for early physical activity, develop developmental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guidelines, establish physical activity club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 teacher training programme for humane-matur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엄우섭,한은상,이정택,차민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기피 요인 파악,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적용 이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기피 요인을 파악하기 위 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기초 설문지를 작성하여 활용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도선(2010)의 체육수업 내적 동기 척도, 하명남(2007)의 체육수업 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결과는 빈도분석 및 독 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은 실패에 대한 두 려움, 다른 학생의 시선, 남학생 중심의 활동, 더운 날씨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체육활동을 기피하고 있었다. 둘째, 일관되고 체계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책임감 모형을 기본 모형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 조사 및 교 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전략을 적용하여 여학생 체육 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초등학교 5~6학년군 경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결과 체육수업 내적동기 검사는 ‘재미/노력’, ‘유능감’ 측면에서, 체육수업 만족도 검사 결과는 ‘수업’, ‘효과’, ‘평가’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 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프로그램 전략 중 ‘활동 구성 시 학생의 참여 확대’, ‘과제 지향적 수업 분위기’, ‘다양 한 신체활동가치의 교육 내용 편성’ 등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활동 유도를 이끄는 주요 동인임을 논의하고 차 후 프로그램 개발 시 주요한 고려 사항임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focuses on the participation of female students in physical activities within elementary schools and its effect as the research goal.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the study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in these three ways which were to understand reasons for why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ould avoid physical activities, to develop the program, and to apply the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As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to figure out what makes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void physical activities. After meetings with experts, the study created a basic questionnaire.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tudy extracted the effects using the P.E. class intrinsic motivation scale and the P.E. class satisfaction scale used by YOO(2010) and HA(2007)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gain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t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various factors such as fear for failure, gazes of other students, activities that feel mostly favorable to male students only, hot weather and others turned out to keep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way from the physical activities. These findings led the study to confirm that th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cusing on how to resolve such problems. Second, to develop a coherent and organized program, a responsibility model was chosen as a basic model. And based on the results deducted from survey and curriculum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5th-6th grade cluster competition activities program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femal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gard to the test on the intrinsic motivations for P.E. class, the study noticed positive changes. In these factors, ‘fun/effort’ and ‘competence’. And as for the other tes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P.E. clas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other factors such as ‘class’, ‘effect’ and ‘evalu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expansion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activity organization’, ‘task-based class atmosphere’, ‘education contents about various value in physical activity’ and etc were key factors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female students and suggests that these are significant considerations for later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체육활동 참가변인별 신체적,정신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 및 심리적 행복감 분석

        박영옥,허현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15세 이상 인구 2,000명을 대상으로 참가자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서 체육활동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를 각각 규명하고, 심리적 행복감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활동을 함으로써 얻은 신체적 건강효과에 대한 월평균 금전적 가치평가액은 329,700원으로 나타났다. 체육활동의 참가빈도에 따른 신체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평가액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851, p<.05). 또한 체육활동의 참가시간이 신체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평가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151, R²=.023, p<.001). 둘째, 체육활동을 함으로써 얻은 정신적 건강효과에 대한 월평균 금전적 가치평가액은 465,100원으로 나타났다. 체육활동의 참가빈도에 따른 정신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평가액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46, p<.05). 또한 체육활동의 참가시간이 정신적 건강효과에 대한 금전적 가치평가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119, R²=.014, p<.001). 셋째, 체육활동을 함으로써 얻은 심리적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6개 항목(즐거움, 행복감, 활력성, 몰입성, 목표성, 표현성)에 대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심리적 행복감의 각 항목별 평균점수를 분석한 결과 즐거움 3.98점, 행복감 3.95점, 활력성 4.05점, 몰입성 4.01점, 목표성 3.94점, 표현성 3.81점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은 3.96점(백점기준 환산; 79.2점)으로 나타났다. 체육활동의 참가빈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179, p<.05). 체육활동의 참가시간은 심리적 행복감을 설명해주는 영향력은 낮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 .089, R²=.008, p<.001). 본 연구의 결과는 규칙적 체육활동 참가자의 주관적인 평가이기는 하지만 전국 규모의 할당표집을 통해 대표성을 확보하였고, 규칙적 체육활동 참가가 개인에게 주는 운동효과에 대해 경제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a close inquiry to monetary value on a physical & mental health effect of sports activities through participants’subjective evaluation with 2,000 persons of more than 15 years old in the whole countr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regularly and to analyze a psychological happines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onthly averag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physical health effect by sports activities was KRW 329,700. The average value of th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physical health effect followed by participation frequency of sports activit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F=3.851, p<.05). Also, the participation hours of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statistically on th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physical health effect ((β= .151, R²=.023, p<.001). Second, the monthlyaverag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mental health effect by sports activities was KRW 465,100. The average value of th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mental health effect followed by participation frequency of sports activit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F=3.246, p<.05). Also, the participation hours of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statistically on the monetary value evaluation amount of a mental health effect (β= .119, R²=.014, p<.001). Third, to measure a psychological happiness by sports activities, the study evaluated 6 items (Pleasure, happiness, vitality, absorption, target and expression) with a five-point measure.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verage score by each item, it had 3.98 in pleasure, 3.95in happiness, 4.05 in vitality, 4.01 in absorption, 3.94 in target and 3.81 in expression and the total average was 3.96 (Conversion in the standard of 100 points, 79.2). A psychological happiness followed by participation frequency of sports activit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F=3.179, p<.05).The participation hours of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statistically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ough the participation hours of sports activities had a very low explanation about evalu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β= .089, R²=.008, p<.001). The study has its meaning in the fact that the study secured representation through national-scale quota sampling and attempted an economical analysis on a personal exercise effect by a regular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th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 subjective evaluation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regular sports activities.

      • 체육 교과연구 활동 실태 및 개선방안

        이종형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1

        이 연구는 체육교과연구활동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을 통하여 학교체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체육교과연구회 조직 및 운영에 대한 장학협의에 있어서, 연구회가 조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육교과연구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연구회 활동에 필요한 시간과 재정의 충분한 확보가 선행되어야하고, 교수·학습 방법 개선과 체육교과연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체육장학담당자와의 긴밀한 협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자율적인 연구회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회 참여에 대한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아울러 연구활동에 참여하는 교사들이 의욕을 가지고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 참여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수준에서의 보상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2. 체육교과 연구·시범학교 운영에 대한 장학협의에 있어서, 교사들은 체육 연구·시범학교의 주제선정이 교육청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장학담당자는 연구·시범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에 의해 주제가 선정된다고 인식하고 있다.연구·시범학교의 주제는 직접적인 수업활동과 관련되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이나 교육과정 운영면, 체육시설 환경개선, 과외자율체육활동 등과 관련된 주제로 선정되어야하며, 또한 체육 연구·시범학교 운영이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뿐만 아니라 학교 환경 및 체육시설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으므로, 운영방법에 있어서도 각 시·군·구에 조직되어있는 교과연구회가 연구·시범학교 운영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그 운영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 유아 실외체육 활동의 실시현황 연구

        박정민,윤애희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실외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실시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지역 의정부시 성남시의 유치원교사 78명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실외체육활동지도를 위해 유아교육 지도자료집, 실외체육활동 전문서적, 유아 월간잡지등을 참고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실외체육활동 지도시, 고정놀이시설(미끄럼, 그네, 정글짐)에서 놀기, 신체를 많이 움직이는 게임, 유아들끼리 자유롭게 놀기 , 체조활동(뜀틀, 평균대, 매트이용)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 대부분의 교사가 실외체육활동을 1주에 1,2회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회 실외체육활동시간은 반수정도는 10분에서 30분정도, 반수정도는 30분에서 60분정도 실시하고 있었다. 또 실외놀이시 교사의 주역할은 유아의 안전을 위한 관찰자가 과반수 넘게 나타났으며, 실외시설사용에 대해 다른 교사와 사전협의하는 교사가 과반수 넘게 나타났다. 실외체육도구의 주정리자는 과반수 넘게 유아가 정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이 자신의 실외체육활동지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유아들은 실내활동에 비교하여 실외체육활동을 더 많이 좋아하고 있었다. 또 교사들이 실외체육활동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은 유아들의 안전사고 발생위험과 체육활동을 할 공간부족 체육시설ㆍ설비의 부족등이었다. 넷째, 외부체육시설이용을 이용하는 교사는 과반수정도이며, 외부체육시설 이용시 1주간 이용시간은 30-60분이 제일 많았으며, 외부체육시설장소는 대부분이 수영장이었다. 다섯째, 실외체육활동에 대한 지식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는 과반수 넘게 나타났으나, 배운 적이 없는 교사도 상당히 나타났다.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대부분 대학 또는 보육교사양성과정등 자격훈련과정에서 배웠다. 여섯째, 활발한 실외체육활동을 위해 교사는 다양하고 새로운 체육놀이설비를 제일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더 넓은 공간,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체육설비, 체육활동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시간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 체육설비에 대해 교사는 더 넓은 모래놀이터를 제일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장치를 한 그네, 다양한 체육활동도구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78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active in Uijeongbu-si and Seongnam-si, Kyou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der to guide children in their physical outdoor activities, many of the surveyed teachers were considered as referring to guide books for preschool education, technical books featuring outdoor physical activities, and child-care related monthly magazines. 2. In guiding childrens outdoor physical activities, teachers said that they encourage children to use specific play facilities (such as slides, swings, and jungle gyms) and participate in physically energetic games, free play with peers, and gymnastic activities (using vault, balance beam, or matt).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practic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once or twice a week. About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said that the length of activity time per practice is usually between 10 and 30 minutes, while the other half responded that the length is between 30 and 60.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described their role in those outdoor activities as an observer. Also, the results of the survey proved that the majority of preschool teachers have a previous consuitation with there fellow teachers for the use of outdoors facilities. More than 50% of the surveyed teachers stated that the used aids and appliances are mainly arranged by children after an outdoor activity. 3.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have an inclination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outdoor physical activities, while children have a high preference for outdoor physical activities compared to indoor activities.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difficulties proceeding with outdoor physical activity programs due to the danger of potential accidents and the insufficiency of usable space, facilities, and equipments. 4.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teachers use the outside fac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outside kindergarten. In the survey, the vast majority of them said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 of outside physical facilities is 30 to 60 minutes per week, and the most preferred facility was identified as a swimming pool. 5.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stated that they had received an education related to outdoor physical activities, but the results proved that a good number of teachers dont have any educational experience in those activities. The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 responded that they had attended the related classes during their college/university courses or the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s such as a course for training of nursery teachers. 6. The survey proved that the top priority request the preschool teachers hope to be met for brisk outdoor physical activities is various and new physical play equipments, followed in order by sufficient space in which children can frolic freely and comfortably; safe physical facilities; and enough time for study of physical activities. It also revealed that, concerning the physical equipment, teachers place the greatest emphasis on a wider sandy playground, followed by swings with a safety device and various tools for phy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