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이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career-related behavior,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dentity of 362 undergraduates(male: 125, female: 237) on the basis of the data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Stepwise)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career identity. While parental support associated positively with career identity,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associated negatively with career identity. But ther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ther/mother communication, in male. This result meaned that the more attachment with parent, and the more career-related support and engagement, the stronger career identity.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career identity by attachment level and by parent career-related behavior level were revealed. Speci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dentity by al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femal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ienation of father/mother, mother trust, parent support, and parent lack of engagement, in male. This result meaned that parent trust, non-alienation, and parental pertinent support facilitate the career identity of late-adolescence. Third, in career identity, it was showed that career-related lack of engagement, interference and father communication in that order of influence(R²=.162), in female. The other part, it was showed that career-related interference and alienation of father in that order of influence(R²=.132).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부모 관련 변인 중, 부모와의 애착 및 부모의 진로관련행동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남녀 성별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총 362명(남: 125, 여: 237)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관계, 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중 지지행동은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간섭이나 관여행동은 진로정체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남학생과 어머니와의 친밀감 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남녀 대학생 모두 부모와의 애착은 진로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수준에 따른 진로정체감 차이 검증 결과, 여학생은 양친과의 애착수준에 따라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남학생은 아버지와의 친밀감 차원, 어머니와의 신뢰감 및 친밀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관련행동에 따른 진로정체감의 차이 검증 결과, 부모의 진로관련 지지행동이 높고, 간섭행동이 적을 경우에 남녀 대학생 모두 진로정체감 발달 정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부모와의 애착과 부모의 진로관련행동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진로관련 ‘간섭행동’이 남녀 대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진로정체감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대학생 모두 어머니와의 애착보다 아버지와의 애착이 진로정체감 발달에 중요한 영향원이었다. 종합해 볼 때, 남녀 대학생 모두 부모와의 애착 수준이 높고, 부모가 진로관련 지지행동을 많이 할수록 진로정체감 발달이 촉진되며, 여학생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활발할수록 남학생은 부모의 간섭이 적을수록 진로정체감 발달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기청소년기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 상담전략,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로정체감 6개 단계에 따른 정체감 스타일, 진로신념, 우연기술의 차이

        정지후,이상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six statuses (i.e., achievement, searching moratorium,moratorium, foreclosure, diffusion, and undifferentiation) of the Porfeli's (2011) Vocation Identity StatusAssessment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identity style,career belief, and happenstance skills in college students. The total of 270 Korean college students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students were divided into six statuses. The feature of each vocation identity status was almost identicalwith the results of Porfeli’s (2011) stud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identitystatuses and identity style. third, career belie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ocational identity statuses,individuals with achievement, foreclosure and searching moratorium statuses have higher scores whereasindividuals with moratorium, diffusion, and undifferentiation statuses have lower scores on career belief. Fourth, happenstance skills were also related to their vocational identity status. individuals in searchingmoratorium status have higher scores on every happenstance skills. Through this research, we found thebenefits of VISA model and suggested new guidelines for future career counseling. 본 연구는 VISA(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ment) 척도를 사용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6단계로 분류하고,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정체감 스타일, 진로신념, 우연기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70명(남 136명, 여 134명)을 대상으로 VISA 척도, 정체감 스타일 척도, 진로신념 척도, 우연기술 척도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단계는 6개-성취, 탐색유예, 유실, 혼미, 미분화, 유예-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각 진로정체감 단계는 Porfeli 등(2011)의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정체감 스타일의 분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진로신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탐색유예, 유실단계가 혼미, 미분화, 유예단계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신념을 갖고 있었다. 넷째,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우연기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탐색유예가 모든 우연기술에서 높은 수준의 점수를 나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MZ세대 간호사의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주안,송충숙,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1

        태움은 MZ세대 간호대학생에게 첫 직장에 대한 부정적 트라우마를 줄 수 있어 태움에 대한 인지가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태움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간호사 태움인지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간호사의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 태움인지가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의 태움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보다 간호사 이직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움인지가 높아질수록 간호사 이직의도가 높아지지만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간호사 이직의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 태움인지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 대한 모든 효과가 입증되었고, 진로정체감이 완전매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MZ세대 간호사의 취업진로 지도 시 진로정체감형성에 도움이 되는 태움인지, 진로정체감형성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점이다. 둘째는 실무자측면으로 MZ세대 간호대학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신규간호사와 선임간호사의 입장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맞춤형, 혁신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태움인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신규간호사뿐만 아니라 선임간호사들도 태움에 대한 바른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주기적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제도가 마련되어 병원의료 경영 및 사회-국가적 차원의 손실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하여 MZ세대 간호사와 기성세대인 선임간호사의 태움인지에 대한 차이 비교 등 질적 및 양적 연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개인적 특성과 진로정체감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활동 수준의 효과: 일부 지역소재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how undergraduate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rks, grades, and work experiences influence on the vocational explor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but also the function of vocational exploration on two variables, which were undergraduates' characteristics and vocational identity. 468 undergraduates(male: 257 female: 211)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vocational explor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and the function of vocational exploration.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from LISREL indicated that the predictive variable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on the undergraduates' vocational explor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Also, this study verified clear dynamic interactive relation among the gender, marks, vocational explor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vocational exploration played a role of mediated variable. Above all things, several indices of goodness of fit showed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model fits well the data. That is to say, χ2 is 0.145, its p-vale is .93, GFI is 1.00, and RMR is .003.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남자 : 257 여자 : 211)의 개인적 특성인 성, 학년, 평점, 일의 경험과 진로정체감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활동 수준이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평점, 학년, 일의 경험 순서로 진로정체감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고, 성별, 평점, 일의 경험 순서로 진로탐색활동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변인들은 진로탐색활동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간접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인들 가운데 진로정체감에 대한 직접효과를 나타낸 유의미한 변인은 ‘평점’이었으며, 평점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진로탐색활동에 대한 직접효과를 나타낸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과 평점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게다가 대학생의 성별과 평점은 진로탐색활동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간접효과를 갖는 유의미한 변인들이었다. 그리고 진로탐색활동은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들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진로정체감에 직접효과를 갖는 요인이기도 한 것으로 검증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밝혀주었다. 따라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평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활동을 활발히 할수록 진로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학생의 성, 학년, 평점, 일의 경험은 진로정체감에 직접 효과를 갖는 동시에 진로탐색활동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간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진로탐색활동은 중요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 논의하였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4개 차원에 따른 진로정체감 단계(status)와 진로태도성숙 및 직업정체감 연구: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상희,오보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2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ive statuses (i.e.,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spread diffusion and carelessness diffusion) of career identity using the Luyckx et al’s (2005) model.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identity status and individual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vocational identity in college students. The total of 491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career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statuses by four factors; In-breath career exploration, In-depth career exploration, Commitment making and Identification with commitment. The feature of each career identity status was almost identical with the results of Luyckx et al's (2005) study. However, we did not identify carelessness diffusion status. Secon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identity statuses. Specifically, individuals in achievement status have the highest scor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llowed by foreclosure, moratorium, and diffusion statuses. Third, vocational identity was also related to career identity status. Individuals in achievement status have the highest scores on vocational identity followed by foreclosure, moratorium, and diffusion statu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하여, Luyckx 등(2006)의 모델을 사용하여 진로정체감 단계를 분류하고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직업정체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넓은 탐색, 깊은 탐색, 관여 형성, 관여 동일시의 4개 차원에 따라 분류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단계는 4개의 단계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4개의 진로정체감 단계는 Marcia(1980)의 진로정체감 단계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진로정체감 유예단계에 속한 대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는 태평한 혼미 단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단계가 가장 높은 진로태도성숙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유실단계, 유예단계, 혼미단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른 직업정체감 수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단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유실단계가 높은 점수를, 마지막으로 유예단계와 혼미단계가 낮은 직업정체감 점수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태현,김민지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한 후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상관관계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의미있는 결과를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과큰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업에 잘 적응하며 정서적으로 안정감 있게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은 국적, 취업의지 등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중 서구 지역에서 본교에 유학 온 학생들이 진로정체감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본, 중국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고 싶은 일이 분명하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등 취업의지가 높은 유학생이 진로정체감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학동기가 분명하거나 취업의지가 강한 학생들이 진로정체감이 높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학사회적응과 개인정서적응에서 유의미한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대학사회에 잘 적응하고 2학년과 3학년이 대학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체류기간과 연결되어 체류기간 12개월 미만의 유학생이 대학사회적응을 잘하고있으며 25개월 이상 36개월 미만인 유학생이 대학환경에 잘 적응하였다. 또한 연령이 어릴수록 개인정서적응을 잘하며 21세 이상 25세 이하가 대학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정체감은대학생활적응의 하위 변인 중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진로정체감을 향상할 수 있는 대학의 노력을 몇가지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figuring out that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s effect to their adaption in university life. For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their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After that, we carried out analysis of frequency to find out sociodemographic feature with spss win 18.0. Also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for anaysising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unversity life adjustment. After analysising, First,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 affect on their university life adjustment meaningfully, and we realized that academinc adjustment and individual emotional adatation are on positive relationship. So we can say that if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 is high, they would adjust well with their study and probably they have emotionally good school life. Second, we could see that there is interrelationship in meaningful level between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their nationality, employment volition. Foreign students except for Japanese and Chinese have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and Japanese and Chinese are next. Also,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employment volition as they know what they want to do in future and prepare for getting job have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These results tells us that students who have clear motive of studying abroad and high level of employment volition have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Third, we could see that in foreign student’s university life adaptation, male students get more higher scores on college community adaptation and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and freshmen have well adaptation on college community and sophomores and juniors have well adaptation on university environment. Their year of school have connection on the length of their stay, so that foreign students who stay lower than 12 months have well adaptation on a college community and foreign students who stay more than 25 months and lower than 36 months have well adaptation on university environment. Also, we could see that the less their age, the more they can adapt well to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nd students who are over 21years old and below 25 years old can adapt well to university environment. Lastly, we could see that career identity has meaningful effect on university life adaption. Especially, it largely affects on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whice are low factor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ese results shows the suggestion about university’s several kinds of efforts that can improve foreign student’s career identity for their university life adaption.

      • KCI등재

        자아정체감 지위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자아정체감 성취와 조기완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화,김계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Development ego-identity has been considered as a key factor to successful career decision-making. This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identity achieved and identity foreclosed college students in Korea. To categorize ego-identity statuses, 433 college students from 14 campuses responded to a measure of Identity Status(EOM-EIS) along with the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s.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ack of readiness and lack of information between identity achieved group and foreclosed group. The foreclos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subscale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y(lack of readiness and lack of information) than achieved group.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dentity foreclosed colleg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identity achieved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identity foreclosed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of lack-of-readiness and lack-of-inform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however, in terms of behavioral sense, once they obtained their career goals, they experience less difficulties in pursuing their career goals . Finally, the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진로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여겨져 온 자아정체감에 주목하여 자아정 체감 지위 별로 대학생의 진로결정문제 및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특히 Marcia가 제안한 네 가지 자아정체감 지위(성취, 조기완료, 유예, 혼미) 중 자아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 대학생들과 자아정체감 조기완료(Identity Foreclosure) 대학생들이 진로결정에서 나타내는 차 이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진로결정문제와 진로준비행동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서 울, 경기, 경북, 경남, 충남 지역의 14개 대학의 43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지위 검사(EOM-EIS) 를 실시하여 66명의 성취 집단과 62명의 조기완료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진로결정문제척도(CDDQ), 진로준비 행동검사에 있어 이들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MANOVA)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결정문제의 준비성 부족과 정보 부족 영역에 있어 자아정체감 조기완료 집단은 자 아정체감 성취 집단보다 진로결정문제를 더 크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미 하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자아정체감 성취 집단과 자아정체감 조기완료 집단 간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자아정체감 조기완료 대학생들은 자아정체감 성취 집단과 달리 진로결정의 과정 에 있어 다양한 진로결정문제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적 차원에 있어서는 성취 집단과 변별되 지 않는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 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 : Mediated by Ego - Identity Status

        김은진,천성문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1 동서정신과학 Vol.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정체감 수준이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과 진로 결정 수준간 관계에 미치는 매개변인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이러한 매개변인 효과에 정체감 수준별, 부모 ·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남녀 학생 942명이었다. 독립은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척도(PSI;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의 네 하위 척도 중 갈등적 독립 척도만을 사용하였고, 부모에 대한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 진로 결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부모에 대한 애착 척도, 자아 정체감 수준 척도, 진로 결정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독립 및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체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각 집단에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자아 정체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체감 수준과 부모와 자녀의 성별에 따른 각 집단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정체감 혼미, 유실 수준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진로 결정 수준에 가장 강력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예 수준 남녀 대학생의 경우 정체감 유예 정도는 부적, 이성 부모에 대한 애착은 정적으로 진로 결정 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경로분석 결과, 정체감 유예 수준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자아 정체감 유예 수준이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독립과 진로 결정 수준간 경로를 유의하게 매개하였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정체감 유예 수준이 어머니에 대한 독립과 진로 결정 수준간 경로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또한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체감 유예 단계가 가치관과 대인관계에 대한 고민과 탐색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동성 부모 특히, 어머니에 대한 분노, 죄책감, 원망 등으로부터 자유로울수록 비관여, 미결정 특성을 보이는 유예 정도가 낮아지고 진로 결정에 대한 확신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성부모와 애착을 보일수록 진로 결정 정도가 높아진다. 반면, 혼미와 유실 단계에서는 심리적 독립 이전의 동성 부모에 대한 강한 긍정적 동일시와 분리 회피 성향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status on the path from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to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cruited sample of 932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other rural areas. Hoffman's(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and Armsden & GReenberg's(1987)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were used to obtain a measure of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identity status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measured by Adams, Shea, & Ritch's(1979) Extended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2 and Osipow's(1980) Career Decis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of fitting the model for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with father and mother, ego-identity status,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among variables only in men's and women's moratorium status groups. In men's moratorium statu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and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s to career decision sta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s to career decision status. Just men's maternal attachment influences directly on career decision status. In women's moratorium status group,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 from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to career decision sta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s to career decision status. There was no direct influence from parent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to career decision status. This result shows that as the college student of moratorium status is free from wrath, guilt, resentment, etc. toward homosexual parent specially mother, so moratorium degree of no involvement and no decision decreases and certainly about career decision increases. On the contrary, the college students of diffusion and foreclosure statuses show strong identification with homosexual parent and separation avoiding tendency.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비교 연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서유란,이상희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d how self-identity status, career identity status relat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 total of 440 college students(male 258, female 18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self-identity, career exploration, career exploration and commit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al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reer identity status as referred to Marcia's theor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self-identity status' distribution and career identity status'. third, even though the same status of sel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s. Also, four sel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groups have different scor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variables. In self identity status,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ion. Whereas in career- identity status, they showed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achievement, foreclosure, moratorium and diffusion.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Marcia의 모델과 같이 네 가지 단계로 구분되는가를 확인하고,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를 비교하여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440명(남학생 258명, 여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 척도, 진로탐색행동척도, 진로결정몰입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몰입에 따라 Marcia의 모델처럼 네 가지 단계-성취, 유예, 유실, 혼미-로 분류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 분포를 비교한 결과,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는 동일하게 발달하지 않으며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같은 발달 단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정체감 단계와 진로정체감 단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정체감은 성취-유예-유실-혼미의 순으로 높은 진로태도성숙을 보이고 있었으며, 진로정체감은 성취-유실-유예-혼미의 순으로 높은 진로태도성숙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척도 개발

        김신정,김성회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CIS-CS) and to validate it. This study was involved took three steps. First, 105 preliminary item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open-ended questions and interviews. Seco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3 experts rated those items and eliminated 3 items based on the judgements of counseling experts.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44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s of 130 students who were in college at D city. Datas were collected from 620 samples in the country. and 121 samples of them were eliminated based on response dishonesty. Finally, the datas of 499 samples were collected, and items of the scale were further reduced to 23 items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actor analysis showed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Factor 1(8 items) implies ‘emotion for career identity’, factor 2(8 items) implies ‘cognition for career identity’, factor 3(7 items) implies ‘behavior for career identity’.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of total score showed .875 and Cronbach's α of 3 subfactors demonstrated .716-.888.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and career barriers scale were administered.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CIS-CS score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eer barriers scale. Thus CIS-CS demonstrated satisfactor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lso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CIS-CS was .905 and the split half reliability was .810. These findings support that the CIS-CS is valid and reliable. In addition, the limitation of study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CIS-C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진로정체감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기존 도구의 고찰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지결과와 면담을 분석하여 105문항의 1차 예비척도를 구성하고 상담전문가 3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국어교사 2명과 대학생 3명에게 문항 표현의 적절성을 검토 받아 수정․보완하여 64문항으로 구성된 2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D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13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3요인 44문항의 3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49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3요인 23문항으로 구성된 진로정체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진로정체감 정서 요인(8 문항), 요인 2는 진로정체감 인지 요인(8 문항), 요인 3은 진로정체감 행동 요인(7 문항)으로 명명하였다. 진로정체감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75이고, 요인 1은 .888, 요인 2는 .776, 요인 3은 .716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장애 척도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진로정체감 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는 .355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정체감 척도와 진로장애 척도는 -.327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임으로써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905)와 반분 신뢰도(.810)에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활용방법 및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