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그릿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강선모(Sun-Mo K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이 어머니 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관적 안녕감의 세대 간 전이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 사(KCYPS 2018)의 2차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응답이 모두 있는 2,417명 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 육태도를 향상시켰고,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그릿을 향상시켰다. 둘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영향을 미쳐 세대 간의 전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이 자녀의 그릿에 이르 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양육태도를 매개로 하는 경로,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매개로 하는 경로, 양육태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의 모든 간접 경로가 유의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her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mother s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grit, whether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of subjective well-being occurs, and whether parenting attitude mediates the process. To this end, the secondary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used to analyze using data from 2,417 people with responses from bo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t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improved the mother 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improved the grit of the chil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mother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hild,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ough the parenting attitude, resulting in a transition between generations. Third, the direct path from the mother s subjective well-being to the child s grit was not significant, but all indirect paths from the path through parenting attitude, the path through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th through sequentially mediat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research.

      •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개념 분석

        김경순(Kyoung-Soon Kim),김정남(Jeung-Nam Kim),박원모(Won-Mo Park),천성문(Seong-Moon Che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개념으로 제안된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을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 3가지 점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두 번째는 삶의 질의 구성요소를 밝히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작업으로 한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안녕감(주관적 안녕감)과 심리학적 개념들에 비추어 판단된 안녕감(심리적 안녕감)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고, 세 번째, 위의 구조가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적용되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삶의 질의 주관적인 영역이 과연 어떠한 구성개념을 갖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심리학 이론들에서 제기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된 심리적 안녕감이 6개의 구성요소를 갖는가를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실만족,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현실 부적응, 개인적 성장이라는 6가지 요인을 포함하는 모델이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삶의 질의 주관적 측면에 대한 양립적인 개념인 심리적 안녕감(PWB)과 주관적 안녕감(SWB)간의 관계를 단순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주관적 안녕감의 3요인 모두에 대해 현실만족과 현실 부적응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율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안녕감(SWB)과 심리적 안녕감(PWB)의 관계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보면 자율성에서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Ryff(1989)가 제안한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요소들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도 적합한 구조를 갖는지를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경우 구성요소들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 요인들이 남녀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한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 concep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ggested as concepts to measure subjective life qual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ollege students. Secon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by subjective jud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judged in the light of psychological concepts in order to clarify the components of life quality specifically. Third, to identify how the components are appli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and what aspects are shown according to the ages and gender. To analyze what component concepts the subjective area of life quality has, it was analyzed through positive factor analysis if psychological well-being, composed of the concepts suggested in the psychological theories, has 6 compon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model including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purpose in life, maladjustment to life, and personal growth is suitable to expla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n the relation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mpatible concepts of subjective aspects on life quality, were examined through simple inte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comparatively high interrelations were shown in the thre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on life satisfaction and maladjustment to life, while low interrelation were shown in the factors of autonom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Lastly, based on the examination of what aspects are shown between the rela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ages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ere shown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suggested by Ryff(1989) can be different in the cas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the factors between men and women.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주관적 안녕감이 치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홍혜선,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사이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음악치료전공 석사이상의 치료사 103명을 대상으로 치료적 유대감, 주관적 안녕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일반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료적 유대감 수준과 주관적 안녕감 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 적응적 전략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전략과 주관적 안녕감, 치료적 유대감사이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안녕감은 치료적 유대감, 적응적 전략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적응적 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전략은 치료적 유대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적응적 전략은 치료적 유대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usic therapists and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bond, and to se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103 therapists who obtained a masters or a higher degree in music therapy, and we measured therapeutic bond, subjective well-being,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rapeutic bond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jective well-being, therapeutic bond, and adaptive strategies, wherea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maladaptive strategie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apeutic bond. Third, subjective well-be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bond and adaptive strategies, whereas it negatively influenced maladaptive strategies. In addition, adaptive strateg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bond, whereas maladaptive strategie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rapeutic bond. Fourt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apeutic bond form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이선경(Lee S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As evidenced in recent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Korean youth demonstrated strong performance in various tests of cognitive competence and high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se comparison. Despite the positive aspects, Korea are still confronted with various adolescent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bullying, delinquency, depression, stress, and low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action plans of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in order to improve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aims at cultivat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s and skills and are expected to prevent students from engaging in problematic behaviors and lead them to accomplish academic success. To this en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 and then given the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e author demonstrated why and how the SEL can contribute to prevent the adolescent problems and promote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the author provided specific strategies and plan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theory of SEL into 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본 논문은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SEL)의 교육적 함의와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기 주관적 안녕감의 특성 및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둘러싼 쟁점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은 학교와 가정생활을 둘러싼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감과 스스로에 대한 유능감 그리고 높은 긍정적 정서 및 낮은 부정적 정서로 구성되며, 한국 청소년들이 심각한 주관적 안녕감 저하현상에 직면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역량(social emotional competences and skills)의 향상을 통해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우수한 학업 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정서학습(SEL)을 주관적 안녕감 향상의 이론적·실제적 틀로 제시하고, 그 특징과 구체적 교육 효과를 관련 분야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문헌 연구 분석 및 논의 결과를 통해,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구체적 현장적용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김재순,최외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을 알아봄으로써 FKW그림이 주관적 안녕감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북의 K시에 소재하는 초등학생 1-6학년 1,088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질문지와 FKW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은 보통 수준이며, 정서 안녕감과 관계 안녕감이 효능 안녕감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관계 안녕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관계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FKW그림 반응특성에서 형식요인의 채색 에너지, 채색 안정성, 색사용수, 공간사용, 세부묘사와 내용요인의 먹구름 유무, 구름유무, 번개 유무, 눈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FKW그림 반응특성에서 형식요인의 채색 정도, 색사용수, 공간사용, 세부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ir FKW drawings. The participants were 1,0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nging from 1st to 6th grade in Gyeongbuk province. They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FKW drawing 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A t-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subjective well-being. A crosstab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ir FKW drawing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KW dra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subjective well-being was on an average level. Their emotion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well-being was slightly higher than their efficacy well-being. Second, as to gender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well-being, female participants' relationship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participants' relationship well-being. Third, as to gende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KW drawing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5 formal factors(coloring energy, coloring stability, the number of used colors, spatial use, detail description) and 4 substantive factors(existence of dark clouds, existence of clouds, existence of lightning, and existence of snow).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following formal factors(degree of coloring, the number of used colors, spatial use, detail description) in the FKW drawings.

      •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강현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학업소진의 영향력과 학업소진 수준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8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과 주관적 안녕감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업소진의 탈진과 냉담은 주관적 안녕감의 삶의 만족, 긍정정서와 부적 상관을 학업소진의 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의 삶의 만족, 긍정정서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은 탈진, 냉담, 효능감의 순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소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을 살펴보기 위해서 상·하위 27%(Kelly, 1939)를 기준으로 상집단과 하집단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학업소진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과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격강점이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손은주(Eunjoo S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목적은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성격 강점과 주관적 안녕감의 인식정도를 살펴보고, 성격 강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보육교사의 성격 강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육과 교육 장면에 적합한 성격 강점 활용법 및 성격 강점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 대상은 부산시 소재 4년제 D 대학교 보육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 강점 검사지와 주관적 안녕감 검사지 114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성격 강점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인식 정도를 분석하였고, 성격강점이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성격 강점은 초월성 관련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간애 덕목이 높게 나타났다. 정의관련 덕목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4가지 세부 강점 인식정도에서는 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정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격 강점은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강점 하위 덕목 중에서 절제 관련 덕목과 정의 관련 덕목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24개 세부 강점 중에서 용서, 사랑, 신중성, 공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보육교사의 성격 강점은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세부 강점 중 용서, 신중성, 사랑, 공정성 등의 강점 요소가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는데 이바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ndency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strengths on subjective well-being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strengths, and to provied data for developing childcare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personality strengths and use personality strengths suitable for the individual.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 use a personality strength test paper and 114 subjective well-being test papers for child-majoring students at 4-year D university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analyz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personality strength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Results: First, regarding the personality strengths recognized b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virtue of transcendenc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virtue of humanity. The virtue of justice was at the lowest level. At the recognition level of 24 detailed strengths, audit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fairness showed the lowest level. In additi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as high. Second, personality streng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mong the sub-virtues of personality strength, temerance-related and justice-related virt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mong 24 detailed strengths, forgivenss, love, prudence, and fair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Character strength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mong the detailed strengths, strength factors such as forgiveness, prudence, love, and fairness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성인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심명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ults. Methods 428 general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using the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scale, subjective well-being scale, shame scale, and self-acceptance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major variables, and the following analysis procedure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which are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programs that significantly mediate shame and self-acceptance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first,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ham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Sham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accept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sham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self-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urth, it was found that shame and self-acceptance sequentially double-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to pursu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of adults, the lower the shame, and the lower the level of shame, the higher self-acceptance, which can act as a factor to promote subjective well-being.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of counseling to alleviate negative emotional pain that may appear in the process of pursuing subjective well-being and to maintain positive emotions and well-being in life. 목적 본 연구는 성인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 428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수치심 척도, 자기수용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치심과 자기수용이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통계분석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진행하였다. 결과 자료분석 결과 첫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수치심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수치심은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수용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수치심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수용은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치심과 자기수용은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인식 명확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수치심이 낮아지고 수치심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수용이 높아져 주관적 안녕감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성인이 주관적 안녕감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부정적 정서 고통을 완화하고 긍정적 정서와 삶의 안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의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 조직몰입(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주관적 안녕감(인지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조직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수도권과 충북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교사들이었으며, 자료는 AMOS 7.0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몰입에만 영향을 미쳤고,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안녕감과 정서적 안녕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안녕감과 정서적 안녕감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주관적 안녕감(인지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의 자율성, 낙관성, 교수몰입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이재신,이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율성, 낙관성, 교수몰입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충북 소재 중?고등학교 교사 246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율성은 낙관성, 교수몰입,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율성이 지지되는 환경의 교사일수록 더 낙관적이고, 교수몰입의 정도가 높으며, 행복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의 낙관성은 교수몰입,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더 낙관적인 교사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교수몰입을 경험하고,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교사의 교수몰입은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과정에서 몰입을 많이 경험하는 교사일수록 더 행복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교사의 자율성은 낙관성과 교수몰입을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자율성이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감, 인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낙관성과 교수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