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민윤경(Min, YoonKyung),홍경준(Hong, Kyung-Z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이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조직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으로 거버넌스 역량, 기업가 역량, 미션 역량을 선정하였으며, 자원의존이론에서 주장한 대체자원 확보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 분석지표 중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정보교환, 자원교류, 공동사업)을 활용하였다. 상기의 변인들을 정리하여 음이항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 연결중심성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기업가 역량의 경우, 모든 협력네트워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이는 현재 기업가 역량이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짐작케 한다. 미션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은 협력네트워크의 주요한 요인이었으므로, 사회적 협동조합은 협력파트너로서 조직역량들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at social cooperativ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we choosed a governance capability, entrepreneurship capability, and mission capability of social cooperatives’s specific capabilities. And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information exchange, resource exchange, and joint project) was considered amo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dicators to identify alternative resources proposed in the resource dependency. Following is a summary of analysis results. First, governance capabilities of social cooperative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o connection centrality of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Second, in the case of entrepreneurs’ capabilities, they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at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Third, in the case of mission capabilities, they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actors to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social cooperatives are not intangible resources simply for competitive advantage but a mechanism through which resources are procure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re factors enhancing or deteriorating the cooperative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ir nature.

      •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민윤경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립성과 지속가능성을 배양하는 것이기에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협력네트워크 전략은 협동조합 7원칙에서도 명시된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으로 협력네트워크 구축은 강조되어 왔다. 대안경제의 주체인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 영향 요인으로 조직역량을 고려하였다. 관련변인을 정리하여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협동조합의 거버넌스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 연결중심성에서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기업가 역량의 경우, 모든 협력네트워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이는 현재 기업가 역량이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짐작하게 하였다. 미션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은 협력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협동조합은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협력파트너로서 조직역량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 한다.

      • KCI등재후보

        협동조합 종사자 역량모델 분석과 개발

        봉미란,이영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of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s, the necessity of the HRD of the cooperative workers was enlarged owing to the Cooperatives expanding in size. On this article, Spencer & Spencer's "A Generic Cross-culturally Vaild Competency" was used as a basic framework, because almost all of the cooperative workers were composed of mainly representative director and direct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4 steps applying Dubois's "Modified Jop Competency Assessment Method" and the panel of experts. 7 competency groups which includes 17 competencies of the cooperative workers were discovered by this study. Detailed 7 competency groups are as follows; Firstly, Accomplishment Competency Group are leadership, patience, data collection & analysis,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Secondly, Crisis & Problem Solving Competency Group are plan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irdly, Individual Maturity Competency Group are self-confidence, professionalism, and self-development. Fourthly, Impact Competency Group is persuasion. Fifthly, Instruction & Control Competency Group is communication capability. Sixthly, Others-oriented Competency Group are faithfulness, trust, community spirit, teamwor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Other Competency Group is profit generation. Competency model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HR utilization of the cooperative workers and the basic materials of their educational development.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이후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양적확대에 따른 협동조합 종사자의 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 협동조합의 종사자는 대부분 대표 및 이사로 구성되어 있어, 협동조합 역량 모델 이론의 기본 틀을 Spencer & Spencer(1993)가 개발한 “ 기업가의 일반 역량 모델”을 활용 하였다. 연구 절차는 Dubois의 변형된 직무역량 평가방법과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4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협동조합 종사자의 역량모델은 7개 역량군에 17개 역량이 도출 되었다. 개발된 역량군 7개를 살펴보면 첫째, 성취 역량군의 역량은 주도성, 끈기, 정보수집 및 분석, 연대 책임감이며, 둘째, 사고 및 문제해결 역량군의 역량은 기획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 셋째, 개인적 성숙 역량군의 역량은 자신감, 전문성, 자기개발, 넷째, 영향력 역량군의 역량은 설득, 다섯째, 지시 및 통제 역량군의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여섯째, 타인지향성 역량군의 5개 역량으로 성실, 신뢰, 공동체 의식, 팀워크, 조직 헌신이며 마지막 기타 역량군은 이윤창출능력 역량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역량모델은 협동조합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 및 교육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 동적역량의 조합된 효과가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홍인기,김형준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논집 Vol.30 No.4

        Existing studies consistently show that a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Dynamic capability consists of exploitation capability and exploration capability, and ambivalence is the key to dynamic capability. When these two capabilities are combined, additional effects of a balance dimension and a combination dimension occur, which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Therefore a study on the combined dimensional effect of dynamic competencies can explain how the combined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affect competitive advantag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effects of the combination dimension and the balance dimension of dynamic capabilities existed additionally,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And the effect of the balance dimension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dimension. The positive effect of the balance dimension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was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company's years. In the case of combination dimension, only when the company's years was relatively high,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기존의 연구는 기업의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동적역량은 탐색역량과 활용역량으로 구성되며 두 역량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 즉, 양면성이 동적역량의 핵심이다. 이처럼 두 가지 역량을 조합할 때 균형차원과 조합차원이라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하여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창업기업은 자원이 부족하며 따라서 역량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동적역량의 조합된 차원효과에 대한 연구는 동적역량의 조합된 효과가 상황에 따라 어떻게 경쟁우위에 영향을 주는지를 설명하고 동적역량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증연구 결과, 동적역량의 조합차원과 균형차원의 효과는 추가적으로 존재했으며, 신제품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그 영향은 균형차원의 영향이 조합차원의 영향보다 중요했다. 균형차원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기업의 업력과 무관하게 유의하였다. 조합차원의 경우, 기업의 업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만 신제품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 업력이 낮은 기술창업기업의 경우 탐색역량과 활용역량을 동시에 균형있게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유리한 전략이고, 업력이 높아짐에 따라 조합차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학교협동조합 활동과 학생조합원 역량 변화에 대한 연구

        김혜란(Kim, Hye-Ran),임수영(Lim, Soo-young)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문제연구 Vol.26 No.1

        급변하는 사회에서 ‘학교는 학생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며, 학생이 어떤 사람이 되도록 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역량’이라는 용어가 교육계에서 적극 논의되고 있다. 최근에는 학교협동조합을 통해 학습자가 특정 맥락에서 문제해결 역량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 전국적으로 학교협동조합 설립이 증가하고 있다. 전라북도교육청도 2017년 8월 「전라북도교육청 학교협동조합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2017년 7월 C중학교의 ‘생그레’, 2018년 1월 A고등학교 ‘YHAM’, 11월 B고등학교의 ‘어울림’, 12월 D중학교의 ‘도담’이라는 학교협동조합이 줄줄이 인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학교협동조합 운영 4교의 학교협동조합 활동이 학생조합원의 역량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역량 평가지를 이용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교 학생조합원의 역량 평균이 비조합원 학생보다 유의수준 하에서 더 높게 나타나 학교협동조합 활동이 학생조합원의 역량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협동조합이 교육의 장으로서 역할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학교협동조합의 내실 있는 운영, 공감대 확산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국가 차원에서의 설립절차 간소화 등을 제언하였다.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term capabilit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the education community with regard to the questions such as ‘What should schools teach students?’ and ‘What kind of person should students be?’ The establishment of school cooperatives unions has been on the rise recently. This is because school cooperatives are believed to enhance effectively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under certain circumstances.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enacted the 「Act on Support and Promotion of School Cooperatives of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in August 2017. Starting with this, a series of school cooperatives unions called Sengre at C Middle School in July 2017, YHAM at A High School in January 2018, Eoulim at B High School in November and Dodam at D Middle School in December were approv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activities of the school cooperatives unions in the four schools operating in Jeollabukdo changed the cap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unions. As a result, the average cap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unions was higher than that of non-unionized students. This confirm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school cooperatives unions wer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in student union members capability. Based on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more educational roles of school cooperative unions, substantial operation of them,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for them, and simplified founding proces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영국노총(TUC)과 정책역량: 정책의 형성과 실현을 중심으로

        채준호 ( Jun Ho Chae ),박명준 ( Myung Joon Park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3

        노동조합의 정책역량에 대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구체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영역으로 남아있다. 기존의 노동조합에 관한 사회과학적 연구는 노동조합의 계급적 역량이나 영향력 등에 중점을 두면서 노동조합의 행위와 그 영향에 관한 거시적인 분석을 주로 수행했으나, 노조들이 지니고 있는 정책역량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노총(Trades Union Congress, TUC)의 사례연구를 통해 하나의 정책행위자(policy-actor)로서 노동조합이 지니는 정책역량의 여러 면모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영국노총의 정책행위자의 역량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 일정한 인력과 물적 자원, 네트웤(networks) 등 일종의 정책인프라(policy infrastructure) 혹은 정책자원(policy resource)의 측면, 둘째, 자원을 동원하고 가동시켜 적정한 내용의 정책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질과 양을 담보하여 생산해 낼 수 있는 능력, 셋째, 생산한 정책을 현실정치의 담론의 장에서 최대한 효과적으로 실현시켜 낼 수 있는 정치적 수단과 그것을 잘 활용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능력 등이다. 영국노총은 매우 우수한 정책전문가를 채용하고, 노동당과의 밀접한 관계, 공적기구에의 적극적 개입 등을 통해 전체 노동계의 이해를 대변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이들 정책을 실현하려는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150년의 역사 동안 지난한 발전과정을 거쳐 현재와 같은 정책행위자로서 위상을 굳히고 있는 영국노총의 사례는 아직 실질적인 정책행위자로서의 위상을 인정받기에는 여전히 부족함이 있는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Trade unions have played a crucial role not only in collective bargaining, which determines the pay and working condition of employees at the workplace, but also in social policy-making processes, which consider labour market policies, industrial relations policie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o on. Nevertheles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studies on policy competencies of trade unions. By examining a case of the Trades Union Congress(TUC) in Britain, this study, however, considers the policy competencies of trade unions acting as a ‘policy actor’. The policy competencies of the TUC are examined in three main area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policy infrastructure of the TUC, particularly looking at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econd, it looks into the way in which the TUC produces its own policies by examining in-house formal and informal policy-making processes and cooperative relations with external research institutions. Third, it analyzes the way in which the TUC tries to realize its own policies by looking at its relations with the Labour Party, public bodie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UC has been continued to produce various policies and put its effort to realize the policies, which are beneficial for the working class, owing to the highly qualified in-house manpower, its transparent policy-making process, the intimate relation with the Labour party, and close liaison with public bodie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With a history of more than 150 years, the TUC experience in developing its policy competencies implies meaningful insights and lessons for Korean trade unions today.

      • KCI등재후보

        농협의 핵심역량과 시사점

        김한종 ( Kim Han Chong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16 협동조합경영연구 Vol.45 No.-

        본고는 농협의 핵심역량을 살펴보고,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농협의 핵심역량은 높은 사회적 공신력과 지역기반의 전국적 판매망과 금융망, `협동의 조직문화`, 원가경영과 공동행동으로 대변되는 협동조합의 차별화된 경영전략, 협동조합 고유의 고객관리 방식인 조합원제도와 이용고배당 등이다. 이러한 농협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정체성 회복을 통한 `협동의 문화 확산`과 사회적 공신력과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사업경쟁력 제고, 지역사회 기여 강화를 통한 `국민의 농협` 실현 등이 필요하다. 최근 농업·농촌은 미래 성장산업 분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으며, 농업·농촌을 사업기반으로 하는 농협은 이들 자원을 보다 새롭게 창조적으로 활용할 경우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농협의 또 다른 핵심역량을 발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and examines them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core competencie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include high social credibility, nationwide sales network and financial network,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ost management and joint a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it is necessary to realize a “cooperative culture” through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cooperative, enhance business competitiveness through strengthening social credibility and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contribution of the community to the “NACF”. Recently,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re newly emerging as future growth industries. The NACF, which is based on this business, will be able to discover other core competencies when they use these resources more creatively.

      • KCI등재

        사회적협동조합 조직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약계층고용형 사회적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최희성,민병익 한국자치행정학회 202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ocial cooperative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ecu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based on this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used management disclosure data (2023) from 306 social cooperatives that employ vulnerable groups across the country, and additionally collected data through analysis of the homepages of individual cooperatives.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etwork capability facto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union members, investment amount, and asset siz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size of assets was analyz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cond, only the external and internal capabilities of the network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 network's internal capabilities had a greater impact than external capabilities. Third,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by performance type were confirmed. The size and financi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network capacity facto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creating performance of social cooperativ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협동조합 조직성과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조직성과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306개 취약계층고용형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영공시자료(2023년)를 활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개별조합의 홈페이지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네트워크 역량요인, 조직특성요인, 재정요인 등 3가지로 구분하였고, 지역특성요인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합원수, 출자금액, 자산규모가 조직의 경제적 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산의 규모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네트워크 외부역량과 내부역량만이 조직의 사회적 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네트워크 내부역량이 외부역량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과유형별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조직의 경제적 성과에는 조직의 규모와 재정요인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사회적 성과에는 네트워크 역량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희망을 위한 연대의 힘: 희망연대 노동조합 사례를 통해 본 전략적 역량과 조직성과간의 관계

        권혜원 ( Hei Won Kwo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5 한국사회 Vol.16 No.1

        광범위한 미조직 비정규직의 존재는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노동조합 대표성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한국의 노동조합은 미조직 비정규 조직화 사업을 통해이와 같은 이해대변 격차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으나 대부분 실패하였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러 하청업체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통적인 작업장 단위의 조직화로는 이들을 조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희망연대 노동조합은 케이블 방송과 통신 산업 내 협력업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조직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파업과 단체행동을 통한 교섭 과정에서의 압력 행사를 통해 이들 비정규직 조합원들의 노동조건 개선, 고용안정, 노동조합 활동보장 등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본 논문은 전략적 역량의 개념에 기초하여 희망연대 노동조합의 이례적 성공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거시적 노사관계 제도의 차이에 의한 설명이나 보유자원의 차이로 노동조합 조직성과의 변이를 설명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새로운 사회적 정치적 자원의 동원을 가능케 하는 전략적 역량이 부재하다면 노동조합의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리더십의 전략적 역량이야말로 희망연대 노동조합의 상대적 성공을 이해하는 열쇠라는 것을 강조한다. 제도적 제약과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내부로부터는 멤버십 동력을 활성화하고, 외적으로는 지역사회, 시민사회 및 정치권과의 연대를 구축하는 노동조합의 혁신적 전략이야말로 ‘희망을 위한 연대의 힘’을 보증하는 핵심요소인 것이다. The fact that contingent workers remain largely unorganized has intensified the representational crisis of labor unions in Korea. Korean labor unions have been aware of such problem of ‘representation gap’ and have attempted to organize the unorganized contingent workers, but have failed to bring about significant success.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organizing by individual workplace makes it difficult to organize contingent workers as they are dispersed throughout multiple contractors. Yet, despite the structural constraints, the “Hope-Solidarity Union” succeeded in organizing contingent workers of those subcontractors in the industries of cable TV and telecommunications. It also exerted effective pressures on employers by combining strikes and other forms of collective action with collective bargaining, and were able to gain agree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ing conditions, job security and union security for those contingent workers. This paper aims at explaining the ‘exceptionality’ of “Hope-Solidarity Union” based on the concept of ‘strategic capacity.’ The variation in the outcomes of union organizing cannot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macro institutional factors, nor by the differences in ‘the resource availability.’ Any union organizing attempt is doomed to fail unless it is supported by resourceful strategic capacity that makes it possible to mobilize new social political resources. Thus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strategic capacity of leadership is key to the success of “Hope-Solidarity Union”. The power in solidarity lies in its innovative strategies that complemented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the resource insufficiencies by actively mobilizing both its internal membership constituencies and external organizations-communities, civil society and political actors-through effective coalition building.

      • KCI우수등재

        자동차 판매노동자의 조직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황현일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 of automobile sales workers using the concepts and analytical framework of social movement theory. Generally, auto sales workers have been perceived as difficult subjects to organize into trade unions because of their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their vulnerability in power relations vis-a-vis employers owing to fragmentation across small workplaces. However, from 2017-2018, in the wake of the candlelight vigil movement, three auto sales workers' locals were established in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This study analyzes how auto sales workers could successfully organize into unions within the given environment of opportunity/threat and grievance-causing conditions by using the concept of “union capacity”, a concept meant to capture the ability of workers themselves to effectively mobilize power resources to achieve their aims. Comparative case analysis revealed two significant findings. First, in all three locals, organic relations coordinating with upper-level union bod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union organizing process, suggesting advantages to a national, industry-based union system for capacity-building rather than an enterprise-level union system.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patterns and outcomes of the three locals, which stem from company-specific characteristics. Fragmented employment relations and employers' union-avoidance responses slowed the organizing process but made the local more militant whereas direct employment relations and employers' moderate responses made the organizing process both consultative and rapid.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is are that the prospects for union organization in Korea depend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dustry-based unions in substance as well as form, and hinges on the union's capacity to effectively utilize limited resources to counter employer responses. 본 연구는 사회운동론의 개념과 분석틀을 활용하여 최근에 노동조합으로 조직화된 자동차 판매노동자들의 조직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체로 자동차 판매노동자들은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고 소규모 근무 장소의 특성상 사용자와의 권력 관계에서 취약하기 때문에 노동조합으로 조직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촛불 시위 운동 직후인 2017~2018년 3개의 자동차 판매노동자 지회가 전국금속노동조합에 만들어졌다. 본 연구는 주어진 기회/위협 요인과 불만의 조건 아래에서 ‘노동조합의 역량’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들 판매노동자들이 어떻게 조직화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노동조합의 역량이란 조직화 주체들이 권력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고 결합하여 목표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례 비교 분석 결과 두 가지 유의미한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 3개 지회 모두 상급단체와의 유기적인 조율이 조직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이는 노동조합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기업별 노조체제보다는 산별 노조체제가 강점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3개 지회의 조직화 양상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기업 특성에서 비롯되었다. 파편화된 고용관계와 사용자의 노조 회피적인 대응은 조직화 과정을 전투적이면서 더디게 만들었던 반면, 직접적인 고용관계와 사용자의 온건한 대응은 조직화 과정을 협의적이면서 빠르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함의는 한국에서의 노조 조직화의 전망은 한편으로는 실질적인 산별노조로의 발전이 있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대응에 상응하여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조의 역량 제고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