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연방군의 전통 정립 과정에 관한 연구

        김태산(Kim Taesan)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2

        역사는 불변하지만, 전통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전통이란 과거의 사실들을 재구성한 산물로 동시대인들을 움직이는 내적기제이자 현재를 넘어 미래를 예측하는 나침반이다. 이 때문에 초창기의 모든 조직에서는 확고한 전통 수립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연방군도 마찬가지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군은 민주주의 국가의 군대로 도약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하였고, 이로 인해 서독 연방군의 전신인 ‘블랑크국(Blank Amt)’은 민주주의 전통 계승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유 민주주의의 가치들이 군대에 정착될 수 있도록 ‘내적지휘(Innere Führung)’가 도입되었으며, ‘제복을 입은 시민(Staatsbürger in Uniform)’이라는 전형이 고안되었다. 서독 연방군은 내적지휘의 연장선에서 전통에 관해 논의한 끝에 1965년 ‘서독 연방군과 전통(Bundeswehr und Tradition)’이라는 최초의 전통노선을 공표하였고 이를 통해 군대 내 자유 민주주의 전통 및 군인의 가치를 공식화하였다. 하지만 이 전통 노선에서 제시된 개념들은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그 실행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1982년 국방부장관 아펠이 ‘서독연방군의 전통 이해와 계승 노선(Richtlinien zum Traditionsverständnis und zur Traditionspflege in der Bundeswehr)’이라는 수정 전통 노선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연방군 장병들이 전통을 이해하고 계승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8년에는 독일 재통일과 연방군의 역할 변화를 고려하여 현대적 전통노선이 공표되었다. 이 노선은 통일 독일군의 역사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연방군의 현대적 임무와 관련한 전통을 수립하였고 이를 장려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연방군의 전통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천하였지만 연방군이 추구하는 전통과 민주주의 국가의 가치가 일맥상통하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특히, 연방군의 이런 전통은 군의 목표와 가치를 분명히 하면서 연방군의 무형 전투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The history doesn"t change, but the tradition changes. The tradition is an internal mechanism for the contemporaries and a compass that guides the future. At its beginning, the Bundeswehr introduced the idea of ‘Innere Führung’ and the model called ‘Staatsbürger in Uniform’. In relation to these concepts, the tradition of the Bundeswehr has been established. The first guidelines for the tradition of the Bundeswehr, ‘Bundeswehr und Tradition’, which was published in 1965, explained abstractly its democratic tradition. The Defense Minister, Hans Apel, published the second guidelines for the tradition, ‘Richtlinien zum Traditionsverständnis und zur Traditionspflege in der Bundeswehr’, in 1982 so that the soldiers of the Bundeswehr could easily understand the tradition. The German reunification and modern roles of the Bundeswehr led to the third guidelines, which were published in 2018. The tradition of the Bundeswehr includes a number of ideas such as democratic and military values etc. Since its beginning, the Bundeswehr has established its tradition, which has enhanced the identity of the Bundeswehr. This paper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Bundeswehr"s tradition and its implications.

      • KCI등재

        ‘온돌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시론(試論)

        강재철(Kang Jae-Chul)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일제 강점상황 하에서도 우리 민족성과 민족문화의 상징으로서 우리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온돌문화의 ‘온존설(溫存說)’이 주장된 이래 해방 후에도 온돌문화 담론은 지속되었다. 본고는 온돌문화전통이 한국에서 유교문화전통의 ‘온존’과 지속’의 토대가 되었으나 근대화와 산업화 속에서 온돌문화전통이 변용되었음을 논한 시론(試論)이다. 온돌은 인류역사의 시작에서부터 불의 공유에서 비롯한 것으로 우리 민족은 특히 ‘신화적 인식의 불’의 관념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고 ‘우리 의식’이 강한 민족이었다. 그러한 의식은 자연히 온돌 공간을 통해서 만들어져 계승되어 왔다. 다음은 본고가 논급한 온돌문화전통에 관한 요약이다. 온돌의 온기 전달로 반복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일체감, 연대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온돌공간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동질성이 강한 공동소유의식이 만들어졌다. 또한 온돌생활공간은 작은 공간을 추구한 절제된 생활공간으로서 인류 초기 역사부터 경험한 작은 공간에 대한 ‘원초적 그리움’과 같은 것이었다. 온돌공간은 타인과의 빈번한 접촉의 공간으로서 당연히 질서와 예의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교육이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동방예의지국’의 기초예절교육은 이와 같은 온돌공간에서 길러졌다. 한국음식문화 가운데 국문화와 탕문화는 온돌문화전통에서 만들어졌다. 취난과 취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던 온돌문화 속에서 탕문화와 국문화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농경정착문화와 깊은 관련을 갖는 온돌문화는 우리 문화의식 가운데 “계대(繼代)의식”을 만들어냈고 ‘한 방[-室]’은 곧 조상에 대한 숭조(崇祖)와 봉사(奉祀)의 공간이 되었다. 끝으로 온돌문화전통은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문화의 ‘태반’이 되었다. 서서히 더워지고 서서히 식어가는 온돌의 속성에서 은근과 끈기의 민족성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온돌문화전통은 일제 강점 상황 하에서 내선일체론의 주창과 함께 ‘온돌부정론’에 의하여 해체 위기에 직면하였으나 해체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그러한 온돌문화전통은 해방 후 미군정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한국사회의 가치관변화와 함께 변질되어 갔다. 그 변질의 본격화는 1980년대에 들어서 전통온돌가옥이 서구화되고 아파트의 대량 보급에 따라 그 토대가 무너져갔다. 그러나 본고에서 궁극적으로 온돌문화전통의 바람직한 ‘재창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의 온돌주거의 양식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지속ㆍ변화되더라도 중요한 우리의 전통 가치관에 다시 한 번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이다. Despite the circumstances, since the initial publication of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the culture of ondol (underfloor heating), Korea under Japanese rule had witnessed the continuing debate among a group of Korean intellectuals, and even among Japanese people, over the culture of ondol, the symbol of Korea's national sentiment and culture.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ondol cult ute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ondol that has been a part of Korean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theory of poetry on the acculturation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in the midst of Kore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le such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tor the "preservation" and "persistence" of Korea's Confucianism. The earliest use of ondol began with the use of fire in ancient times. The Korean people firmly believed in the "mythological concept of tire" and had developed a strong sense of "we-ness (togetherness),"or unity. Thi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long with the invention of ondol space. Below is the summary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 Not only did direct heat transfer used in ondol help people establish a sense of community, but it also strengthened their bonds and sense of common ownership of shared ondol space. Ondol had been used as a limited living space and evoked 'nostalgia' for the old small space thar people had experienced since ancient rimes. A small place where people had to snuggle together, an ondol room essentially required order and respect, and functioned as an educational place where people taught themselves to respect one another. Therefore, ondol was one of those factors giving shape to the customs and manners of Korean people as "the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cultures of guk (soup) and tang (boiled water)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ondol culture. Since ondol allowed people to warm themselves up, eat, and sleep in a single space, it helped create the cultures of guk and tang. The ondol culture was deeply related to Korea's agricultural settlement, subsequently forming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One room (一室)" became regarded as a space of honoring ancestors and of respectful submission. Last, the ondol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s culture of courtesy and tenacity. Living in the ondol room that required gradual heating and cooling, Korean people learned to be courteous and tenacious. Under the Japanese rule, however,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faced existential threat as the regime advocated the theory of total annexation, although it barely continued to exist. After the liberation,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underwent major changes during the U.S. military army government and Korean War,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values into Korean society. In the 1980s, the traditional ondol houses became westernized and their foundations were broken down with the distribution of apartments. This paper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creation" of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becaus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s that are important to us despite the changes in housing styles.

      • KCI등재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관련된 전통기술 논의 고찰 : 숭례문 복구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논란을 중심으로

        강 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3

        Since the recent restoration of the Sungnyemun gate (South gate of Seoul) which was burnt down in 2008, there were dispute about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research,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fo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s thought and mentioned. In general,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chnique is based on the idea of ‘tradition’. Tradition is not defined as a ‘eternal doctrine existence’, but a ‘development of succession’ and a ‘living existence’. Thus ‘traditional performance and craft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ned as ‘intangible’ which also makes it difficult to define the ‘original form/state’ from ‘the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which is a major principle of cultural heritage. In case of Korea, if the ‘traditional techniqu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put into application to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the unclear definition will cause many problems in the restoration/conservation site. This is because the site will apply this technique without any discussion of the range and limit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This means there will be the lack of discu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which will not have a strict criteria for the allowable range of usage for the ‘traditional material’ using the vaguely defined ‘traditional technique’. In this study, these application issue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 were also considerecl,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wnservation principles. As a result, the conserv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important, but the ‘technique left inside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material which is carrying the technique when it was firstly built’ has more importance to preserve and need to be in the major considerations. 최근 2008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복구된 숭례문(崇禮門)의 단청 문제가 제기되면서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문제가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의 전통기술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기술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전통’에 대한 관념에 기초하고 있다. 전통은 ‘고정불변하는 존재’가 아니라 ‘계승 발전하는 존재’로 보아 ‘살아있는 존재’로 규정되며, 그에 따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연행, 전통공예 등’은 ‘고정된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화재 보존의 기본원칙인 ‘원형 보존’에서 ‘원형’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규정하기 어려운 존재로 보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이렇게 원형을 규정하기 어려운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이 유형문화재의 보존현장에 적용될 때 그 개념이 명확히 하지 않음으로 인해 보존 현장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전통기술’의 적용 범위와 한계에 대한 논의 없이 현장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전통재료’를 사용하여 ‘전통기술’로 수복을 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은 어디까지이며 문화재의 보존에서 이것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논의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통기술의 적응문제를 국제적인 보존원칙 변화 과정의 검토와 함께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 결과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기술’의 보존도 중요하지만 ‘유형문화재에 남아 있는 기술’, 더 나아가 ‘제작 당시의 기술을 담고 있는 원래의 재료 보존’이 더욱 중요한 문제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통적 운율의 계승과 발전 :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황정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1 No.-

        현대시 운율 연구에서 가장 필요한 관점은 우리의 전통시가에 기초하고 있는 운 율적 요소가 현대시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현대적 운율로 재창조되어 있는가에 주목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관점을 가장 선명하게 잘 설명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정지용의 시이다. 그의 시는 전통시가의 음보율을 현대적 언어감각에 맞게 재구성 해냈다. 우리의 전통시가에서 구현되고 있는 음보라는 율격적 장치와 그것의 운용 체계를 현대적 언어 구사와 현대적 정서 표현과 결부시켜 언어의 새로운 차원을 만 들어 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런 그의 시가 전통시가의 운율의 기초에서 어떤 방식 으로 새로운 운율을 만들어 나갔는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정지용의 시는 우리의 전통적 율격인 음보율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의 시에서는 전통 율격을 계승한, 일반적으로 민요조 시인이라 불리어지는 시인 들의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정한 등의 전통적 정조나 전통적 가락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의 시는 그의 시적 지향인 이미지즘의 추구와 모더니스트로서의 새로운 시어 의 세계를 개척해가는 데 전통 운율에 기초한 음보율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 고 있다. 이런 점에서 그는 운율을 통해 현대적 시어를 창조하였고, 이를 통해 진정 한 의미에서 전통운율의 현대적 계승을 이루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The most necessary viewpoint in the study of modern poetry rhythm is to pay attention to how the prosodic elements based on our traditional poetry are changed in modern poetry and recreated in modern rhythm. However, it is the poem of Jung Ji-yong that can explain this view clearly and clearly. His poetry has reconstructed the traditional poetry’s tone rate to a modern language sense. It has created a new dimension of language by associating the metrical device and its operating system, which are being embodied in our traditional cigars, with modern language and modern expression of emotion. I have studied this poem in more detail about how the poet made a new rhyme on the basis of the rhythm of the traditional poetry. The poetry of Jung Ji-yong utilizes the traditional rate of poetry, the proper rate. Nevertheless, in his poems, it is hard to find traditional tune or traditional rhythm, such as Jeonghan which can be felt in the works of poets who succeeded the traditional kyung, generally called folk song poet. His poetry exploits the pursuit of imitativeism, his poetic orient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one rate based on the traditional rhyme, pioneering the world of new theater as a modernist. In this sense, he created a contemporary poetry through the rhyme, which can be regarded as a modern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rhyme in a true sense.

      • KCI등재후보

        중학교 전통음악 교육의 실태조사

        장근주 ( Gun Joo Ja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7 예술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전통음악 교육의 실태조사를 위하여 중학교 1, 2, 3학년 학생을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의 중학교 1, 2, 3학년 850명 중학생(1학년 302명, 2학년 278명, 3학년 270명)을 대상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5 문항으로 전통음악선호도, 전통음악수업 실태, 전통음악감상 실태 및 바라는 점의 3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었다. 중학생 대부분은 전통음악을 선호하지 않았고 전통음악 수업 후에도 전통음악에 대한 지식이나 선호도가 증진되지 않았다. 전통음악 수업 시간에는 주로 전통음악 이론을 학습하나 학생들은 전통음악 감상 수업을 가장 선호하여 학생들과 수업간의 차이점을 보였다. 학생들은 음악교사가 전통음악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부족함과 전통음악 수업이 지루하다고 응답하여 흥미로운 전통음악 교수법의 개발과 전통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수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s throug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0 middle school students (302 first grade students, 278 second grade students, and 270 third grade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3th to 30th in 2006. According to the result,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prefer Korean traditional music. After they studied Korean traditional music at school, their knowledge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not been increased much. Even though music classes spent great deal of time on stud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y, half of the students wanted to liste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 than study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y. Students indicated not only lack of knowledge of music teacher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also poor teaching strategies.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music teachers to develop effective and intriguing teach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단청의 전통 문양과 프로젝션 매핑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작 연구 - 작품 “이 순간”을 중심으로

        문정혜,김현주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기술과 인식, 문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시공간을 확장하는 미디어아트를 전통문 화와 결합함으로써 전통문화의 현재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미 디어아트와 전통문화의 결합이 지니는 결합 전략의 유형과 그 의미를 콘텐츠의 전유, 상징의 재매개, 인터페이스의 리믹스 전략이라는 주요 유형으로 도출해 냈다. 또한 이 세 가지 결합 전략이 프로젝션 매 핑과 전통 문화의 접목 과정에서 전통 건축물의 공간적 활용, 전통적 행사와 기원의 재현, 유적의 복원, 전통적 가치관의 표현 등의 목적에 다양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빛으로 그리는 그림의 의미가 내재된 단청문양이 빛의 투사를 통한 공간적 매핑, 몰입과 환영을 추구하는 프로젝션 매핑의 방식과 미 학적 공통점이 있다고 보고, 그 둘의 결합을 통해 전통문화의 현재화와 확장된 미디어아트의 미학적 표 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에서 전통적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의 기법을 통해 인터랙 티브한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작품 ‘이 순간’은 종교적 깨달음과 축복의 공간을 현대적 방식으로 재현하 고 있다. 작품은 불교와 전통신앙의 깨달음과 수복의 콘텐츠를 전유하고,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으로 재매개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환영적이고 몰입적인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인터페이스의 리믹스를 이룬다. 또한 단지 관조하는 것이 아닌 관객의 주체적 개입에 의해 공간의 변화가 일어나는 참여적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라는 점에서 기존의 프로젝션 매핑과 전통문화의 결합 방식과는 차별적인 의의를 지닌다. By putting value in media art which reflects contemporary perspectives and technology, we suggest a way to present traditional culture in the current time by combining media art such that it extends the times and spaces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case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hree strategies for combining media art and traditional culture are derived. These are the appropriation of content, remediation of symbols and interface remix. During the proces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traditional culture,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thre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various purposes, such as a spatial application to traditional buildings, reproductions of traditional events and origins, restorations of remains, and expressions of traditional values. Projection mapping in which images and video are superimposed onto the surface of various types of architecture or objects for expressive purposes is conceptually very similar to Dancheong. Dancheong, referring to 'drawing by light', intersects with projection mapping, which is in fact the spatial mapping of light transforming space into an immersive and illusionary subject. In order to present the expanded aesthetic possibility of media art as well as a means of presenting traditional culture in a contemporary manner, we continued to design an interactive media art work, entitled 'this moment' which utilizes the symbols of Dancheong and projection mapping. The work appropriates the story of Nirvana in Buddhism and that of wishing for blessings in traditional beliefs. Remediation of symbols takes place in the meaning and technique of Dancheong, which is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he resulting space is illusionary and immersive, resulting in an interface remix. In addition, the work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ase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media art in how it is a user-participatory form of interactive media art in which space is transformed by the active interaction of the user.

      • KCI등재

        전통 계승의 의미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고은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This article focuses on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erms of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tradition. Since the Meiji Reform and the start of modernization,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uch as Kabuki, Noh and Kyogen, Bunraku experienced a discontinuity of tradition. However, a discontinuity of tradition does not mean the sudden stop or disappearance of tradition. Modernization opened a detouring route to continued tradition. Through the lens of various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is article reviews the old issue of “discontinuity of tradition vs. inheritance of tradition” with a special focus on how the performing arts have experienced a change of identity, expressed changing attitudes towards gender, and continued popularity. 본 연구는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과 여성성을 중심으로 전 통 계승의 의미를 재검토한 연구다. 여성의 역할과 여성성의 변화야말로 소위 전통 사회와 현대 사회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다. 일본 전통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현대 사회와 비교하여 제한되고 정형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여성성 역시 전형성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의 역할은 미미하거나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역시 전형을 벗어나기 어렵다.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당연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사회 전분야로 확대되었고 전통공연예술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다만 전통의 계승이라는 당면 과제 앞에서 여성의 역할 확대는 굴절된다. 남성 배우의 전유물인 가부키가 여성 배우를 무대에 올리지 않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가부키 역시 현대 사회의 흐름을 완전히 비켜갈 수는 없다. 가부키에서 여성의 역할을 맡는 배우의 변화가 일례다. 변화된 사회적 조건 속에서 일본 전통공연예술 역시 일부 전통의 단절과 변화를 경험한다. 여성의 역할 확대와 여성성의 변화는 단절과 연속을 통한 전통의 계승을 보여준다. 현대 사회에서도 노, 분라쿠가 꾸준히 관객을 불러 모으고 가부키 배우가 대중의 인기를 누리는 전통공연예술의 계승은 특정 요소의 단절을 통해 연속성을 담보한 결과다. 여성의 역할 확대와 여성성의 변화는 앞으로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계승・발전과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다.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계승 과정은 전통의 계승이 전통의 단절의 반대말이자 전통의 연속의 비슷한 말이 아님을 시사한다. 전통의 모든 요소가 시대의 변화와 무관하게 그대로 연속된다면 오히려 전통은 단절될 것이다. 전통의 계승이란 단절과 연속의 결과물이다.

      • KCI등재

        중국 사범대학교에서의 전통음악교육에 대한 현황 조사

        박은옥(En Yu Piao)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2

        1980년대부터 중국은 개혁개방의 정책을 실시함으로서 교육과정을 다시 제정하였고,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도 교육과정의 일정에 편입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중국식의 사회주의를 건립하겠다는 정치적인 방침과 관련이 있고, 무조건 다른 나라의 것을 뒤따르고,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겠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전통음악 역시 그중의 일환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중국의 음악학계에서는 서양음악과 서양음악의 교육방식이 절대적인 우세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초·중·고의 음악교육과 관련된 음악교육과정을 먼저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음악교육과정과 직결되는 것이 바로 음악교사이며,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과정도 이러한 시각에서 매우 중요시하게 되었다.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과정은 중국전통음악의 교육현황을 알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한국전통음악의 교육과 전승에 있어서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찰은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중국의 사범대학교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연구 범위로 삼을 수 없어 각 지역의 대표적인 사범대학교를 골라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정부는 1980년대부터 『전국학교예술교육총체규획(全國學校藝術敎育總體規劃)(1989-2000)』, 『전국학교예술교육발전규획(全國學校藝術敎育發展規劃)(2001-2010)』, 『전국보통고등학교음악학(교사교육)본과전업필수과정교육지도강요(全國普通高等學校音樂學(敎師敎育)本科專業必修課程敎學指導綱要)』 등 교육정책을 반포하였으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이에 대한 교육의 과정도 구체적으로 규정하려 노력하여왔다. 특히 『지도강요(指導綱要)』에는 각 교육과목에 대해서 교과목의 성질, 목표, 내용, 교육방법, 성적평가 등 항목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전통음악교육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와 각 사범대학교 음악대학 교육과정의 실행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서양음악이 우세적으로 차지하는 이전의 현상과는 달리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같은 위치에 놓고 교육과정을 배정하였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족의 전통음악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 동시에 각 소수민족과 각 지역에 있는 민속음악에 대해서 역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이전에 전통음악교육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 다양한 전통음악이 모두 공존하는 분위기를 형성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나, 전통음악의 교육에 대해서 정부의 정책적인 규정과 각 사범대학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문제점은 남아있다. 예를 들어 서양음악의 교육이론은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현장에서 아직도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국식의 교육이론을 정립해야 한다는 과제와 더불어 중국전통음악의 위상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위험성도 함께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은 우리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China reformulated the school curriculum as it adopted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in the 1980s,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at this time. This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policy that China would construct Chinese-style communism. It also signified that China would develop music education appropriate for Chinese society, instead of following and mimicking the systems of other countries. New waves inspired Chinese peopl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tradition, and traditional music also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eople. However, western music and western music education gained the predominating influence in China`s academic music circles,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was very weak. To solve this problem, the Chinese government put the priority on the reform of the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usic teachers were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a, so a lot of focus was put o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curriculum for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show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can also provide ideas for the educa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very necessary to study the Chinese curriculum. However, it was hard to perform the research with all colleges of education because China has so many colleges of education. Representative colleges of education in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im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quite achieved thanks to the Chinese government`s stress o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by colleges of educ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were well balanced in the curriculum, unlike the past when western music predominated. While Han Chinese race`s traditional music was especially stressed, traditional music of other minority races and Chinese folk music in different regions were also included. To say again, the Chinese curriculum indicates that China has solved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urriculum and tried to include traditional music of different races into the curriculum. Western music education theories still prevail in the class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China has to formulate Chinese-style music education theories. As long as the current theories are kept, the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might be downgraded. This problem is also the task we have to solve urgently.

      • KCI등재

        한국전통문양을 통해본 치유적 의미로서의 상징사례연구

        오승진,류정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한국전통문양을 통해본 치유적 의미로서의 상징사례를 알아보고 이것이 현재 예술치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의 필요성, 전통문양의 이론적 고찰, 전통문양을 통해본 상징의미, 그리고 전통문양의 가치의 발견을 통해 예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문양에 대한 지식의 차원을 넘어 우리 선조들이 지향했던 가치와 삶의 소망을 주변의 사물을 통해 어떻게 담고 싶어 했는지를 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문양의 이해를 통해 집단의 소망을 표현한 원형적 상징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전통문양의 그려진 목적은 단순히 장식적인 기능이 아닌 선조들의 본원적인 소망에 근거한 것이며 개인 혹은 집단의 다양한 소망 기원과 부합되는 소재를 찾고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를 통해 동종주술(同種呪術), 즉 ‘비슷한 것은 비슷한 것을 낳는다’거나 ‘결과는 원인을 닮는다’ 라는 믿음을 가지려 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문양의 이해를 통해 전통문양이 인간의 소망기원에 대한 깊은 정신활동이며 치유적 힘을 가지고 있음을 동물문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증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전통문양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바탕으로 오늘날 예술치료 프로그램현장에서 전통문양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ymbolic cas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s therapeutic mean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y to be applied to art therapy.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its availability in the field of art therapy programs by discover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itself, the theoretical study of traditional patterns, the traditional patterns as symbolic meaning,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patterns.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can be not only to learn the knowledge of patterns, but also to recognize how our ancestors tried to reflect the value and wishes of their lives on all objects around themselves. It is also possible to discover the meaning of archetypal symbolism that expresses the collective wishes of a group b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purpose of traditional patterns is based on the fundamental desires of our ancestors, not on a simple function for decoration. Also, looking for the materials that matched the origins of various wishes of individuals or groups and applying symbolic meaning to them, they tried to believe in homeopathic rituals that ‘Similar things give birth to similar things,’ or that ‘Results and causes are similar.’ This study tried to prove that traditional patterns not only reflect profound mental activities but also have theoretical power on the origins of human wishes b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patterns of various animals. Based on the meanings that these traditional patterns have, it is hoped that the practical values of traditional patterns can be enhanc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programs in near future.

      • KCI등재

        전통 디자인과 재료를 이용한 네일아트의 특성에 관한 체험자와 비체험자 간의 선호도 비교 분석

        편수명(Shu Myung P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최근 네일아트는 여성들이 미를 표현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용 산업 중 하나이다. 네일아트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의 경우는, 이전의 네일아트 부분에서 차별화된 새로운 재료와 디자인의 발전이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에 대한 재료와 디자인을 개발하고 네일아트 고객들을 위해 고객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선호도가 높은전통 재료와 디자인을 활용하여 네일아트를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로: 1) 한지, 진주, 그리고 섬유의 재료가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특징에 다르게 인식 되는가를 조사하고, 2) 네일아트를 경험하고 경험하지 않은 고객에 의해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연구하고, 3) 고객의 의도가 전통네일 아트 특성인 즐거움과 가치에 대한 증가 환경을 제공하고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효과를 조사하므로 네일 아트 서비스를 받는 고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다. 본 연구 데이터는 네일아트 숍 고객분들에 의해 수집되었습니다. 네일 케어 체험 그룹은 연구자에 의해 개발 된 세 가지 네일아트 재료 중 하나를 경험 한 후 설문을 작성. 반면에, 비 체험자 그룹의 응답자는 설문 조사를 작성하기 전에 개발 한재료를 살펴보게 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 설문을 조사하였지만 불완전 답변 4개를 제외한 296 설문 조사가 수집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152 설문 조사는 전통 디자인 네일 아트를 경험한 고객과 144 설문 조사는 비경험자 고객에 의해 작성 되었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에 사용 된 재료는 심미적 및 독창성에 대한 다른 인식에 큰 영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한지, 자개, 직물의 소재에서는 모두 전통적인 소재로 인식된 관계로 전통성에 대한 차이는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 네일아트의 면모는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 경험의 유무가 한지, 진주, 그리고 섬유의 특성에 대하여 전혀 다른 인식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선호도가 높을 수록 향후 착용의도도 높아지는 결과는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환경 설정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 산업은 전통 회화 특징을 살려 일반네일 아트와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다른 특성을 강조하여 고객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에 사용 된 재료는 심미적 및 독창성에 대한 다른 인식에 큰 영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한지, 자개, 직물의 소재에서는 모두 전통적인 소재로 인식된 관계로 전통성에 대한 차이는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 네일아트의 면모는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 경험의 유무한지, 진주, 그리고 섬유의 특성에 대하여 전혀 다른 인식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선호도가 높을 수록 향후 착용의도도 높아지는 결과는 전통 디자인네일아트의 환경 설정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전통디자인 네일아트 산업은 전통 회화 특징을 살려 일반네일 아트와 전통 디자인 네일아트의 다른 특성을 강조하여 고객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Recent nail art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women Many became interested. Also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beauty industry. If a lot of people interested in nail art,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differentiate it from the previous nail art design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designs on the traditional nail art and nail art for customers by customer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nail art using traditional materials and design high-affin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hree-fold: 1) To examine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nail art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materials, i.e. Korean paper, mother of pearl, and textile; 2) to explore customer preferences for the traditional nail art by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e nail art and those have not; and 3)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intent to use the nail art service by looking into the effects the traditional nail art characteristics on customer intent to use the service through providing pleasure and value that increase preference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with nail art shop customers. The nail care experience group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fter experiencing one of the three nail art material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in the other group with no nail care experience just examined the developed materials before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s. Of the total of 300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on site, 29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4 with incomplete answers. 152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by those who had experienced the traditional nail art and 144 questionnaires were by those who had no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s used for the traditional nail ar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different perceptions regarding aesthetics and originality. However, the three materials, Korean paper, pearl, and textil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ptions on traditionality, probably due to all of them being considered traditional. In addition, both groups of with and without traditional nail art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pearl, and textile. Lastly, preferences for the traditional nail art significantly affected future use intent, which shows that stronger preferences lead to higher future use intent. Therefore, for the traditional nail art industry it will be important and effective to enhance customer preference by emphasiz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nail art from those of the ordinary nail art, such as its pictorial tra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