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을 통해 본 시조

        나정순(Na Jung-Soon)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재창조된 작품들은 현대시나 소설, 희곡이나 영화 장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고전 시가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에 주목하면서 그렇다면 시조 장르의 경우에는 ‘고전의 재창조’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하였고 본 논의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관심사에서 출발한다. 이 과정에서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재창조한 시조는 상당수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고 지금도 현대시조로 재창조된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대 이광수의 시조를 비롯하여 1940년대 조운의 시조는 이 방면에서 선구적인 작품들이다. 이후 현대시조에서 고전을 재창조한 작품들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재창조된 현대시조는 과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며 그리고 그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점검해 보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현대시조 창작의 미래를 위한 단서를 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변용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전통문화를 이어 가며 고전의 당대성과 현대성을 연결시킴으로써 인간의 삶의 문제를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집단의 정서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과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이광수나 조운의 시조는 고전의 재창조 작업을 통해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맥을 이어받아 고전의 창조적 실험을 꾀하고 있는 현대시조에 있다. 많은 현대시조들이 시조의 구조적 원리와 형식 미학을 체득하지 못하고 내용의 기법에 치중한 상태에서 창작되고 있기 때문에 고전을 현대적으로 수용한 시조들은 창작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게다가 다시 쓰기의 내용도 원전의 내용을 그대로 담아 시조화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런 점에서 고전을 다시 쓰기 한 현대시조는 현재의 삶과 문화, 시대 현실을 반영하면서 시조의 형식 미학을 함께 겸비할 때 그 영역의 타당성을 확보해 낼 수 있다. Works recreated modernly succeeding classics often appear in novels, plays and movies. Observing 'modern succession and transfiguration of classics', I became curious about 'recreation of classics' in Sijo genre, and in that interest this thesis begins the argument. I identified that many Sijo are recreations of classics, and also classical literature are continually being transformed into modern Sijo, Especially Sijo of Lee Guang-Soo in 1920s and Sijo of Cho Un in 1940s are pioneering works. Thereafter modern Sijo have been continuously recreated from classics. This paper is about what are the meanings of modern Sijo in this category, and how should they advance. Also this argument will indicate how Sijo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Transforming classics into modern works is a valuable task, because it succeeds traditional culture and connects the classics' age to the modern age. For example, the Sijo of Lee Guang-Soo and Cho U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literature history. The problem lies in modern Sijo that is creatively experimenting with classics succeeding those. Many modern Sip are created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the technique of contents, not comprehending the structural principles and formal aesthetics of Sijo. Thus, Sijo that adopt classics modernly reveals the limit of creation. Furthermore, recreating Sijo with the original contents untouched has no meaning at all. From this standpoint, modem Sijo recreated from classics can be reasonable only when they reflect the life, culture, and reality of present and comprehend the formal aesthetics of Sijo.

      • KCI등재

        옹기 제작 전통의 재창조와 무형문화재 가치 논의 -경기지역 한 옹기공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한승(Lee, Han-seung)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의 한 옹기공방에서 거의 단절될 위기에 처했던 옹기류 가운데 하나인 푸레도기를 재현하여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우선 옹기장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하였으며, 그러한 전통 재창조의 계기와 목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옹기 제작 전통 재창조와 관련하여 옹기장인의 생각과 제도적 측면에서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조사대상자인 공작옹기 공방의 방연석 씨는 미국 방문을 계기로 소박하게 실용성만 강조되던 기존 옹기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사람들이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고급화된 푸레도기를 재창조하였다. 공작옹기 공방에서 제작되는 푸레도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양산체제를 지양하고 소량 생산을 통해서 푸레도기의 완성도와 작품성을 높이며, 둘째, 옹기 제작에서 부차적으로 여기는 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장식성을 높이며, 셋째, 오지그릇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래식 푸레도기보다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넷째, 기존에 옹기를 제작하던 방식만 고수하지 않고, 다른 공예 종목의 기술을 응용하여 제작하며, 다섯째, 균등한 형태의 옹기를 제작하려는 기존 옹기 제작 방식과 다르게 낱낱의 푸레도기마다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이러한 공작옹기 공방의 푸레도기 제작은 재래식 푸레도기 제작기술과 자기 제작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옹기 제작 문화로 재창조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문화융합적 전형으로서 가치를 가진다고 보았다. 또한 앞으로 전승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 재창조의 경우에는 무형문화재 내에서도 병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bserves cases in which pottery-making traditions have been recreated by reproducing puredogi (bluish pottery), which is a type of pottery of which production was almost discontinued at a pottery workshop in the Gyeonggi area and discussions were made regarding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irst of all, observations were made of how pottery masters recreated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what reasons and purposes lie behind the recreations of tradition and discussions were made of the thoughts of pottery masters with regard to the recreation of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rom institutional aspects. After his visit to America, the research subject Bang Yeon Suk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recreated a more enhanced form of puredogi that people would want to possess,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existing pottery that simply emphasized practicality. Puredogi made in the Craft Pottery Workshop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rejects a mass production system and increases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work quality of the puredogi through small quantity production, second, it heightens decorativeness by placing importance on aesthetic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secondary in pottery-making, third, it is burn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earthenware to have quality that is higher than conventional puredogi, fourth, existing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are not held to and techniques of other craft types are applied for production, and fifth, unlik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of even form, each puredogi is made to have i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uredogi production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fuses conventional puredogi production techniques with porcelain production techniques to recreate a new form of pottery production culture and this has value as a new culture fusion model. Also, in the case of recreations of tradition that can provide positive effects from aspects of future transmission vitalization, opinions were presented that plans should be made for them to coexist with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 KCI등재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영업 관리자 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이윤수(Lee Yunsoo),이영주(Youngju Lee),조대연(Cho Daeyeon)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재창조 이론에 기반을 두고 영업 관리자의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보험사의 영업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8명(밀레니얼 세대 관리자 121명, 기성세대 관리자 77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영업 관리자의 객관적 직무 성과는 지점 목표비 달성률을 활용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과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업 재창조와 인지 재창조는 주관적 직무 성과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다집단 분석 결과, 관계 재창조가 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재창조와 직무 성과 간의 관계,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의 차이에 대해 HRD 관점에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objective and subjective job performance of sales managers based on the job crafting theor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This study surveyed sales managers of A insurance company and collected 198 responses (121 millennial managers and 77 old generation managers). As the objective job performance of the sales managers, the sales target achievement rate of the branch was utili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ed that task and cognitive craft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in the effect of relational crafting on subjective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HRD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 KCI등재

        중국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 柳宗元을 중심으로

        윤승준 한국고전문학회 2004 古典文學硏究 Vol.26 No.-

        Liu Zong-yuan柳宗元(773~819)'s literature was the greatest literary heritage of Chinese cultural area. Literary men of east asia had tried to learn and re-create his great works. His collection of works had been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Korea. Anthologies of classics like Go-mun-jin-bo古文眞寶, Tang-song-pal-ka-mun-cho唐宋八家文抄, which contained Liu Zong-yuan's great works, had been published and distributed also. Kim Kyung-hyun金擎鉉(1823~1906)'s "Old pine tree"老柏說 was written based upon "the biography of Gwak-tak-ta"種樹郭槖駝傳, and Choi Chung-sung崔忠成(1458~1491)'s "Miscellany"雜說 re-created "the biography of the greatest Carpenter"梓人傳. Also Rhym Sang-duk林象德(1683~1719) and Yoon Kee尹愭(1741~1826) re-created "the three notices"三戒, most famous allegory of Liu Zong-yuan. The formulas of re-creation were as following. At first, transmitting another meaning by reforming the point of view. Secondly, making different allegory by setting characters up. And making different allegory by figuring out the diverse situation. The allegories re-created by Korean literary men had served to broaden the meaning and give a variety to the figure of characters of Liu Zong-yuan's allegory. The characteristic of Liu Zong-yuan's allegory is the satire of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But those problems are common to all over the time and place. So there was no obstacles to re-create his allegories in Korea especially. 柳宗元(773~819)의 詩文은 한문문명권 공동의 문학유산으로서, 전범 학습의 주요 대상 가운데 하나였다. 12세기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수용되어 널리 읽힌 유종원의 시문은 개인문집으로 간행보급되는 한편, 古文眞寶, 文章宗範, 唐宋八家文抄 등 選集에 수록되어 유통되기도 하였다. 유종원 우언이 널리 수용되고 재창조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속에 담긴 현실풍자성 때문이었다. 특히 그가 창조한 우언의 형상은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녔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수용되어서도 자유로운 해석과 재창조가 가능하였다. 金擎鉉(1823~1906)의 <老柏說>은 유종원의 <種樹郭駝傳>을 실마리로 창작한 글이며, 崔忠成(1458~1491)의 <雜說>은 <梓人傳>을 재창조한 우언이다. <三戒>를 수용재창조한 우언으로는 林象德(1683~1719)의 <雜說二首>와 尹(1741~1826)의 <雜說三>이 있다. 유종원 우언을 중심으로 볼 때 중국 우언을 수용하여 재창조하는 방식으로는 ① 서술시각을 달리하여 새로운 우의를 전달하는 방법, ② 등장인물을 달리 설정하여 새로운 우언을 창조하는 방법, ③ 원작과는 정반대되는 이야기를 꾸며 새로운 우언을 창조하는 방법 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재창조된 우언은 소통과정에서 본래의 우언 형상 및 우의와 함께 중층의 형상과 우의를 창출함으로써 우언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더하는 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후보

        Poetics of Re-creation in Wallace Stevens’ “Notes towards a Supreme Fiction”

        Yoon Chong-Kook(윤종국)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6 No.-

        월리스 스티븐스의 재창조(Re-creation)시학은 최상의 허구(Supreme Fiction)를 만드는 과정을 시험하는 “최상의 허구를 향한 소고(Notes toward a Supreme Fiction)”의 장시에서 잘 나타난다. 스티븐스의 이 시학은 상상력의 3가지 기능 즉 변용적 유사작용(transformative resemblance), 해체작용 (de-creation), 그리고 이 상반된 두 기능을 결합시키는 통합작용에 기초하여 작용한다. 여기에 추가하여 시인의 자아의식의 원리가 움직인다. 재창조 양식은 해체작용과 변용적 유사작용 과정을 동시에 결합하여 마음속에 새로운 바램의 실재 즉 최상의 허구를 순간적으로 만들어낸다. 시인의 자아의식이 발동하여 만들어진 최상의 허구는 일시적이고 불안하게 되어 이를 버리고 시인은 계속하여 새로운 실재, 즉 허구를 마음속에 만들기를 기쁘게 반복한다. 이 재창조 과정은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해체의 상승작용, 둘째, 해체의 하강작용, 셋째, 이 상승작용과 하강작용의 조화, 넷째, 외적 탐구와 내적 성찰의 쌍방향 작용이다. 해체작용을 통해 “첫 사상(the First Idea)”에 시인은 도달한다. 즉 거짓의 실재를 정화하여 이것에 새로운 심상을 입혀 순간적으로 실재와 마음의 일치를 보며 시인은 한 순간 마음의 평화를 느낀다. 이 시에 등장하는 남녀의 사랑행위, 결혼 등의 심상은 재창조의 통합 및 조화 기능을 상징하며 여기에 필수적인 최종 행위자는 마음이며 회전하는 수정으로 나타난다. 결국 서로 상반되는 실재와 상상력, 변용적 유사작용과 해체작용을 한 순간만이라도 “총체적으로 조화(amassing harmony)”(CP 403)시키는 재창조 양식이 시인의 최종 시적 목표이자 순간적으로 마음속에서 만나게 되는 “우리존재의 중심(the central of our being)”(CP 380)이다.

      • KCI등재

        인천의 가치 재창조를 구현한 웹툰 개발 연구

        김성희(Kim Sung hee),하은영(Ha Eun 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인천은 168개의 섬과 천혜의 자연환경과 자유경제, 인천국제공항 등으로 교통, 국제 물류 및 문화 교류의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역사적으로도 한반도에 외국의 문물과 근대 문화를 맏아들이고, 한국(조선)을 세계에 알리는 관문 역할을 한 개항도시이다. 이 같은 과정의 산물은 ‘인천에서 볼 수 있는 최초의 것들’에서 보듯이 인천만이 가진 고유한 가치와 경쟁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발굴하여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진입장벽이 낮고 대중의 호응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웹툰을 활용하여 인천의 가치 자원을 찾아내고 고유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천 가치 재창조 공모사업’의 일환인 웹툰 <인당수를 아십니까?>를 중심으로 인천이 가진 고유한 가치인 지형과 역사 문화적 가치를 웹툰에 활용하여 지역 가치를 재창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인천 가치 재창조’라는 어휘가 나오게 된 배경과 의미와 사례를 살펴보고 활용된 방향과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웹툰을 활용하여 국내 지역 가치를 높인 사례를 분석하여, 인천가치 재창조 웹툰의 특성화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적으로 알려진 인천의 섬을 주 배경지로 한 심청전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심청의 딸인 효인, 효천과 용왕의 아들인 비추온과 미추홀 그리고 악의 축인 뺑덕어멈을 주인공으로 한 스토리를 창작하고, 웹툰을 개발하였다. 이는 인천의 주요 섬을 알리고, 인천만의 고유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cheon has 168 islands and wonderful natural environments. It is near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has is very accessible in terms of transportation, international logistics and cultural exchanges. Historically, it was the first open port city receiving foreign cultures and modern culture to the Korean peninsula that serves as a gateway to introduce Korea (Joseon) to the world. The outputs of this process shown in “Table 2: Things you can see in Incheon” are the original value and competitiveness of Incheon. However, they are neither well-known nor well-developed. Accordingly, I would like to utilize Webtoons which have low entry barrier and can identify the response of the public easily to find value resources of Incheon and to develop them into the original contents. This study focuses on Webtoon “Do you know Indangsu?” which was produced as a part of “Value Recreation Con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that recreates the value utilizi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value of Incheon. In the prefac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Value Recreation of Incheon” is reviewed. It also contains case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utilization. By analyzing the domestic cases that enhance the value of the area using webtoons, characterization of Incheon Value Recreation Webtoons is tried. This article uses ‘Shimcheongjeon’ , the background of which is islands of Incheon, as the motif. It creates a story using some new characters such as Hyoin and Hyocheon (daughters of Shim Cheong), Bichuon and Michuhol (sons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and Pangdeokeomeom, the axis of evil and develops a webto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d major islands and analyzed the original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이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 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희경,이지혜,오상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effect of authenticity of company’s CSV activities on the job crafting of the part-time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the job effectiveness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organization. [Methodology] Survey was conducted among part-time workers of two Korean companies from service industry. A total of 405 questionnaires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used to establish hypothesis based upon preceding researches and theories on CSV authentic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aft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were Macro Process 3.0, SPSS 25.0 and AMOS 25.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uthenticity of the organization’s CSV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rafting of the part-time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uthenticity of CSV activities and job crafting.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authenticity of CSV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The study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of corporation’s CSV activitie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drafting of part-time workers an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moderating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diating variable. Also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part-time workers’ job effectiveness, companies need to encourage CSV activities,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provide proper training and systematic suppor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 CSV활동의 진정성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재창조간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감성지능의 조절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비정규직근로자들의 직무유효성 향상 및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대기업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05부가 사용되었고,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 조직몰입, 직무재창조, 감성지능 등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최종 가설을 도출하였다. 수집된자료는 Macro Process 3.0, AMOS 25와 SPSS 25를 활용하여 각 변수들의 인과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은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재창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기업의CSV활동 진정성과 직무재창조에 정(+)의 매개효과가 있으며, 감성지능은 기업의 CSV 활동 진정성과 조직몰입 사이에 정(+)의 조절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가 함의하는 바는, 기업의 CSV활동 진정성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조직몰입 및 직무재창조에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 유효성을 향상시키기위해 CSV활동 장려하고,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제도 및 지원이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공공기관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공정성이 직무 재창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황은진 한국공기업학회 2022 공기업논총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재창조 이론에 기반하여 공공기관 구성원의 직무 재창조가 향상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공기관 A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4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을 바탕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재창조는 정(+)의 관련이 있었다. 또한, 조직공정성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여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긍정자본심리와 조직공정성 간 세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밀레니얼 세대의 상호작용적 공정성이 높을수록 직무 재창조가 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자본심리와 직무 재창조의 관계, 조직공정성의 효과, 밀레니얼 세대 효과등에 대하여 HRD관점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올바른 기독론적 예표론을 향하여

        황창기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본고의 목적은 성경해석과 적용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정확한 자리매김을 시도하였다. 오늘날 거의 모든 사람들은 예수님을 시공간에 제한된 인물로 전제하면서 성경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창조자 주님이 어떻게 피조된 시간과 공간에 묶일 수 있는가? 그 분 자신 [Person]은 온 교회적인 분이요, 만유적인 분이시다. 그래서 모세시대의 그리스도였고 [고전 10:4; 히 11:26] 오늘 우리들의 그리스도요[엡 2:5-6], 오고 올 성도들의 그리스도이시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독론적 예표 [모형]론, 특히 출[出]애굽 주제로 말하자면, 구속사적으로는 '원형' [antitype]이시면서 성경해석 및 적용상으로는 '원초형' [prototype]이시다. 따라서 이런 빛 아래서 볼 때, "성경의 사건들은 구원역사에 따라 시대별로 이해하고 해석하면서, 성도들의 삶에는 그리스도 중심적, 또는 그리스도 완결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는 새로운 작업 정의 [working definition]를 설정해 보았다. 그래서 주님께서 죽으시고 부활하심 [출(出) 예루살렘]이 만유를 변혁시킨 재창조로서 성찬식으로 제정된 점을 하나의 실례로 제시하였다. 동시에 성찬식은 변혁자로서의 성도가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재창조 행위의 근원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성찬식으로 구현된 '재창조'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창 1:2-2:4]과 무관하지 않다. 성찬식은 1) 주님께서 떡을 잡으시고, 2) 축사하신 다음에, 3) 떼어 (잔에 부어), 4) 이름을 붙여 (내 몸, 내 피), 5) 나누어 주시고, 6) 먹고 마심으로 거행된다. 말하자면 성찬은 '6가지 전형으로 된 주님의 재창조 사역'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5가지 전형으로 된 창조사역'에서 한 가지 더 추가된 셈이다. 곧 '축사'가 덧붙여진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성찬을 자주 시행할 것이며, 제상장된 성도는 먼저 주님께 감사 기도를 올려드리고 일을 시작하는, 그야말로 주님께 예배적 삶을 살아야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et the place of Jesus Christ using a Christocentric interpretation of the Bible with Christological typology. Most, if not all interpreters perceive Jesus Christ as a figure who is limited by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his existence is usually limited to the land of Palestine during the first century. However, Christ as the "Whole Church Person" unites His People in the church of the Old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In fact, He is the Person of the [panta] (1 Cor. 10:4; Heb. 11:26). For example, contrary to most interpreters who see the Mosaic exodus as the progenitor of all exodus, Jesus Christ's "Exodus from Jerusalem" should be viewed as the prototype of all Biblical exoduses [Luk.9:31].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saic exodus and Jesus' Exodus shuld be viewed not only a realtionship of type and antitype in the redemptive history, but also of type and prototype for the application of a Biblical interpretation. For Biblical interpretation and its application, I suggest the following model: One should interpret all biblical covenants chronologically using redemptive history, and apply them Christocentrically or Christotelically. To illustrate, consider the Lord's Supper administered in the way of a six-fold action of taking, blessing, breaking down and restructuring, sharing and consuming. Using a Christocentric or Christotelic application, we therefore view the Lord's Supper, remembering Jesus Christ's Exodus from Jerusalem (His death and resurrection), as Jesus's act of re-creation which consists of a six-fold pattern of human work. The six-fold pattern of human work is transformed from the five?fold pattern of God's original work of creation in Genesis 1:2-2:4. The added step of the new, six-fold pattern is " the giving of thanks" to Go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 KCI등재

        지역정보화의 회고와 방향성 모색

        김구(金求)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2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정보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정보화의 방향성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재창조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 수행되었던 지역정보화의 정책과 사업에 대한 성찰적 탐구와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역기능적 현상들 그리고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처방적 문제들에 대하여 규범적으로 접근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향성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주관적ㆍ심리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토대가 되는 사회적 자본 재창조를 강조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재창조 영역으로는 사회적 동질성과 이질성을 정보화와 네트워크로 융합함으로써 전통적 유대자본과 교류자본을 융합하고 확장시키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접근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지역정보화를 둘러싼 현상을 규범적이고 해석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기 때문에 처방성과 실천가능성의 관점이 아닌 향후 지역정보화가 무엇을 위해 추진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성찰적 입장에서 전개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통해 지역정보화가 무엇을 고민해야 할 것인가를 새로운 창과 마음으로 토론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i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creation of social capital as the future direction of regional informat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t approached normatively regional informatization policies and projects that were performed and adverse effects of social phenomenon taking place in South Korea, and about the prescriptive issues as required the future society. The direction of future regional informatization is suggested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proposed to fuse and to extend over traditional bonding capital and bridging capital through merging of informatization and networks as re-creation area of social capital. This paper is expected to become the starting point to debate concretely toward what is the future of regional informatization through an assertion discussed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