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방신학의 구원론에 포함된 개념들에 관한 고찰

        이복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Liberation theology is a representative theology of various political theologies and was formed through the state of political and economical oppression in Latin America. Therefore it is a theology which concentrates the Bible upon the theme of liberation from situations of oppression. Owing to the situation of Latin America, philosophical thoughts of humanism, secularism and optimism were added to it. The more concrete influences on it was theological elements as secular thoughts of liberal theology and the decisions of Vatican II in which the Roman Catholic churches emphasized the church's social activities. This Liberation Theology expressed many differences from orthodox teachings of many theological themes. Especially the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Liberation Theology's conception of salvation and orthodox teachings of salvation are distinct. Liberation Theology's conception of salvation emphasized salvation as political liberation in which social salvation, salvation of the whole man or of all present situations of man, universal salvation, and salvation within history were formed as its core points. Liberation theology's point of view of salvation concentrates on an improvement of social evils because of its conceptions of salvation as an accomplishment of an ideal society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en social evils are only a phenomenon or result of sin, so that Liberation Theology's salvation is not related with any solution to the essence of sin itself. In this trend Liberation Theology emphasized Jesus Christ as the liberator rather than the redeemer. Therefore the church's work for salvation is to do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ample of Jesus as the liberator. This teaching of Liberation Theology's salvation is different from the salvation which is given from God through Jesus. On that ground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true teaching of salvation to be proclaimed. 정치신학의 여러 신학들 가운데 대표적인 신학으로서 해방신학은 남미의 정치적이며 경제적인 억압의 상황에서 태동되었다. 따라서 억압받는 사람들을 억압의 상황에서 해방시킨다는 주제에 성경 전체를 집중시키는 신학이다. 해방신학은 남미의 특수한 상황을 토대로 인도주의, 세속주의, 그리고 낙관주의의 철학사상이 가미되었으며 더욱 더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신학적인 요소로서 당시의 로마 가톨릭 교회가 사회적인 역할을 새롭게 부각시킨 바티칸II의 결정과 자유주의 신학의 세속화 사상들의 흐름에 편성한 것이다. 따라서 해방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여러 주제들에서 정통적인 입장들과 다른 경향을 드러냈다. 특별히 구원론의 입장에서의 차이점도 현저한 것으로 정치적인 해방을 구원으로 부각시키면서 사회의 구원, 전인 혹은 모든 인간현실의 구원, 만인구원, 역사 내의 구원을 핵심 내용으로 강조하였다. 따라서 해방신학은 착취와 압제 문제를 해결한 이상적인 인간 사회와 삶을 이룩하는 구원의 개념을 가짐에 따라 악에 대한 개선에 초점을 두었다. 세상 악은 죄의 결과적인 현상으로 이해할 때 죄의 본질에 대한 해결이라기보다는 죄의 현상적인 요소의 해결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에서 예수 그리스도 역시 대속자로서 보다는 악에 대항하는 해방가로 부각시켰으며 이러한 해방가로서의 그리스도를 본으로 하는 해방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구원사역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해방신학의 구원론은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제공하시는 구원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구원에 대한 바른 복음이 선포되기를 소망한다.

      • 기독교대학교의 유형과 상황

        조성국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Comtemplation on the ideal and real Christian university model comes from both the Christian philosophical(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aim and func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ual reflection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ese reflections get into shape a theory in keeping accord with a specific Christian worldview. The typical Christian worldviews are (1) gratia contra neturam, (2) gratia supra naturam, (3) gratia juxta naturam, (4) gratia instar naturae, (5) gratia in anturam. A specific worldview gives birth to a type of Christian universities. Christian university models in the humanistic Western context, except the last, have progressed in the same order of the models in history, and the order has been tru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followed the process of the Westernization, that is, modernization and democracy. Noweadays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suffer from crucial identity crisis because of student application decline, financial problem as well as worldview conflict. The model of the Christian university in consonance with the Reformed worldview is "gratia in naturam". However, the successful administration of the Christian university depends on the extent of the church support in student supply, financial fund as well as prayer. Therefore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take the university size and the church support limitation into consideration. 기독교대학교의 유형탐색은 기독교교육철학(신학)적 반성 못지않게 특정 역사적 상황에 대한 기독교공동체의 반성에서 나왔다. 기독교철학(신학)적 반성과 상황적 반성은 역사 안에서 다양한 유형의 기독교세계관을 반영하였다. 기독교세계관의 주된 유형은 (1) "자연에 대립하는 은총", (2) "자연 위에 있는 은총", (3) "자연과 병행하는 은총", (4) "자연과 유사한 은총", (5) "자연을 관통하는 은총" 유형이다. 한 공동체의 내면에 작동하는 기독교세계관은 현실적 상황에서 그 유형을 따른 기독교대학교를 낳았다. 마지막 유형을 제외하고 이 모든 유형들은 상황이었던 서양역사의 발전과정에서 거의 순서대로 진행되었고, 그 유형의 진행순서는 서양의 영향으로 근대화와 민주화를 이루어온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인본주의와 경제중심주의가 더 강력하게 작동하는 21세기 상황에서 기독교 공동체가 취해야 할 기독교대학교 유형은 성경적 세계관에 일치하는 "자연을 관통하는 은총" 유형이어야 한다. 기독교공동체가 그 유형에 따라 기독교대학교를 구현하고 발전시켜가야 할 적극적인 소명과 과제를 갖지만 성공할 수 있는 기독교대학경영은 기독교공동체의 지원정도를 고려하면서, 또 그 지원정도를 확대하면서, 그 정도에 맞게 대학교의 규모를 조정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기독교공동체는 교회여야 한다.

      • 기독교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이해

        이복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3

        기독교의 사회봉사란 신자가 사회 속에서 다양한 섬김을 통하여 사회를 변혁하는 포괄적 활동임을 전재하고, 그러한 포괄적인 활동들 가운데 특별히 어려운 이웃을 돕는 봉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정리해 본다. 먼저, 성경이 말하는 사회봉사에 대한 의미는 성도의 연합체인 교회와 그리스도인 개개인이 그가 속한 이웃과 다양한 인간의 관계성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섬기는 삶과 가르침에 순종하여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신·구약 성경은 이러한 봉사에 대한 많은 실례들을 담고 잇어서 사회봉사는 신자가 피할 수 없는 고유한 삶의 양식(style)임을 깨닫게 한다. 그러나 인간의 영적인 차원만을 중시하는 극단적인 보수주의의 가르침과 이와 반대의 극단에 있는 사회개선 만을 강조하는 신학에 의하여 신자의 사회봉사가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수행되거나 이와 반대로 사회봉사만을 교회의 중심적인 과제로 강조하는 경향을 띄게되었다. 복음전도와 사회봉사의 관계에 대한 이해 역시 바른 신학적인 토대 위에 놓이지 못하여 사회봉사를 복음전도의 수단으로 이해하거나 혹은 사회봉사를 복음전도 자체로 이해는 경향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이해들은 신자가 사회봉사를 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신학적인 이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기독신자가 사회봉사를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수행할 수 있는 신학적인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들 수 있다 : 인간을 전인(全人)으로 이해, 기독교 선교를 복음전도의 차원이상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이 지니는 의미를 인간 삶에 모든 영역에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으로 이해, 그리고 봉사의 삶이란 성고의 삶에 잇어야 하는 고유한 양식(樣式)이라는 이해 등. 특별히 복음주의 여러 대회들은 지난날 사회봉사에 대한 바른 신학적인 이해의 부재로 소극적인 자세로 나타났던 것을 반성하면서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경향이다. 이러한 때에 신자 개인은 물론, 신자의 가정, 신자로 구성된 자선단체, 그리고 성도의 연합체인 교회가 바른 신학적인 이해 위에서 사회봉사를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 a wide sense, Christian social service can be understood as comprehensive activities by which Christians change society through their various services. This article especially deals with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Christian activitiesm for people in need, as a narrow sense of Christian social service. First, the Biblical meaning of Christian social service is to become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by doing social service to their neighbors. The Old and New testament speaks of many ways of social service and lets Christians know that social service shoul be an essential part of their living style. But both theologies which emphasize the human soul and ideal human society cannot rightly achieve Christian social service. A wrong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also makes Christians do their service in a negative direction. Because of these misunderstandings, Christians cannot say that their social service is done in the right Christian frame of mind. Thus we can name factors which can enforce Christian Social Service in a more direct way. These are: understranding man as a whole being, understanding Christian mission as a comprehensive task rather than evangelism, understanding the Kingdom of God as the execution of God's will on all dimensions of human life, understanding Christian social service should be an essential part of the Christian living style, and so on. These days, even evangelical christian groups emphasize the fact that Chritrians must do social service more positively, recognizing the fact tha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social service had not been right in the past. In conclusion every Christian, Christian family, Christian philanthropic organization, and church should do more social service in a direct way to improve their theological understanding.

      • Quo vadis, Theologia? :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ology

        전광식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6 고신신학 Vol.- No.8

        "Der Götze wackelt" - it is the title of Barth's collected writings published in the 1930-60's, but today not only 'Götze', but also 'die Theologie wackelt'. The reasons why the christian theology is staggering, are as followings: firstly, because dogmas and theology are generally 'kept out' in the contemporary pietism-and-spiritualism-oriented local church; secondly, because some scholars as H. Dooyeweerd(He says that our knowledge of God is not primarily gained in a theological way. Theology is theoretical knowledge. True knowledge of God and of ourselves is conserned with the horizon of human experience. It has a religious enstatic character)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II, 495) and N. Wolterstorff did not give a special status to christian theology, but considered it as a discipline of human sciences; thirdly, because religious relativists and pluralists with the Zeitgeist of postmodernism will not tolerate any theological dogmas which seem to be exclusive in character, to exist. In its origin, the concept 'theology' had been used in connection with greek mythology, before it was applied gradually to the christianity. What is Christian Theology, and how muse it be? Theology has the Biblical basis. Theology is not separated from the Biblical Faith and Confession. Theology is not separated from the Personality and Life of the Christian. Finally, theology is not separated from the Believer's Community. In its essential character and constituting elements, theology must be inevitably theologia revelata sive supranaturalis, and its supernatural nature is based on the Holy Scripture as the Word of God. The Reformed Theology comes from sola scriptura, is based on sola scriptura, and points to sola scriptura. The christian theology must be full of 'grace and truth' (Joh. 1:14), of Holy Spirit and Holy Scripture. The functions and purposes of theology are dual: firstly, theology has two functions for the church, that is, confessional-dogmatic function and function to provide foundations for christian worldview, thought and scholarship etc; secondly, theology has also two functions for the non-christian world, proclaiming(missionary) and apologetic-elenctic functions. In this function, the main aim of theology is to proclaim the Gospel of Jesus Christ toward the world. The only way of theology is Holy Scripture, the only way of theologisieren(theological activity) Holy Spirit. 1930년대에서 60년대에 이르기까지 칼 바르트(Karl Barth)가 행한 연설과 편지를 모은 모음집의 제명(題名)을 "Der Götze wackelt(우상이 비틀거린다)"고 했지만 오늘날 '신학이 비틀거린다' (Der Theologie wackelt). 신학이 비틀거리는 이유는 먼저는 교리와 신학이 교회에서 배척당하기 때문이요, 두 번째는 일부 학자들이 신학을 인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키기 때문이요, 셋째는 오늘날 상대주의와 종교다원주의의 시대정신이 교의적이고 배타적이 교리와 신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신학은 본래 이교 헬라적 배경에서 고대 신들의 이야기와 결부되어 사용되었지만 그후 점차 기독교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신학은 성경적 기초를 지닌다. 신학은 신앙 및 신앙고백과 분리되지 아니한다. 신학은 인격 및 삶과 분리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신학은 교회 공동체와 분리되지 아니한다. 신학의 출발과 구성요소에 있어서 신학은 오로지 계시적 내지 초자연적 신학(theologia revelata sive supranaturalis)이어야 하고 이러한 계시와 초자연성은 성격의 말씀에 근거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종교개혁의 신학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서 나오고 오직 성격 위에 서고 또 오직 성경을 지향한다. 신학의 구심점과 강조점에 있어서 신학은 성령님과 Context를 무시한 성경문자주의나, 오로지 Context 중심의 상황화 신학이 아닌 Text-Context-Text 형태의 신학이 되어야 한다. 신앙(fides)과 지식(scientia)의 문제에 있어서 신학은 하나의 학문으로서 존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문이 갖는 논리적 명료성과 합리적 체계성을 지닌 지식의 한 형태로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학문과는 다른 신앙적 작용이 수반되어야 한다. 신학의 구성에 신앙적 작용이 수반되는 것에 신학의 신학됨이 있고 또 여타의 학문과 구분되는 신학의 독특성이 놓인다. 신학은 '은혜와 진리'(요 1:14), 성령님과 성경으로 충만해야 한다. 신학은 이중적 목적을 지닌다. 신학은 "신앙의 학문", 즉 '신학(信學)'이기 때문에 그것의 목적은 이 신앙과 관련되어 전개된다. 신학의 첫 번째 목적은 신앙과 신앙인에 대한 것이요, 그것의 두 번째 목적은 불신앙과 불신자를 위한 것이다. 신학의 내부적 목적가운데 첫 번째는 교리체계화인데 이것은 신학의 교의적 기능, 구성적 기능(構成的 機能)이라 할 수 있다. 신학의 내부적 기능 가운데 두 번째는 기독교적 인생관과 세계관, 그리고 사상과 학문의 초석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신학의 외향적 목적과 기능은 불신자와 불신자의 세계를 향한 것이다. 이는 대개 불신자 세계의 영적 무지와 미신에 대한 비판과 아울러 복음을 소개하고 선포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 외향적 기능을 세분해서 얘기하면 선교적 기능, 변증적 기능, 견책적 기능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변증학에 있어서의 승리는 결코 지적인 승리에 있지 않는 것이다. 그것의 최종적 목표는 영적 변화와 영적승리이다. 신학의 유일한 길은 성경이고 신학함의 유일한 길은 성령님이시다.

      • 박형룡의 신학과 한국 장로교회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This article is an historical and interpretative account of the life and thought of Dr. Hyung-nong Park, who was most influential theologia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this article his life, teaching and christian career were examined in the stream of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He who was a 'doctor ecclesiae' nearly for 40 years, involved in theological conflicts from the 1930's to 1970's and pursued and succeeded in adhering to Orthodox theology, and fighting against increasingly prevailing liberalism in the Presbyterian Church. As a leading conservative forces, Dr Park established so-called Orthodox theology in Korean church, however, he is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Especially his break with the Kosin group in 1947 had signalled the failure of Korea's conservatives to find a common course of action, which resulted split of the churches who shares the same theological standpoint.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신학자였던 박형룡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신학이 어떠했는가를 고찰하면서 그의 생애와 사상, 신학교육이 한국장로교회에 어떧ㄴ 영향을 끼쳤는가를 추적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박형룡의 신학을 김재준, 한상동, 한경직 등 당대의 대표적인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하고, 그의 인간관계, 신학적 차이 등이 결과적으로 한국의 주된 장로교 분열로 발전한 사실에 주목하였다. 박형룡은 한국에서의 근본주의, 보수주의 혹은 개혁주의라고 이름 할 수 있는 정통신학의 정초를 놓고 이를 보지하는 일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한국교회 분열에도 적지 않는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박형룡은 그의 신학교육을 통해 한국교회 보수주의 신학형성에 커다란 자취를 남겼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그의 신학사상이 어떠했던가를 고찰하면서 한국장로교회에서의 그의 신학적 의의에 대해 점평하였다.

      • 칼빈의 "신의식"(Sensus Divinitatis)과 자연신학의 가능성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4 고신신학 Vol.- No.6

        The famous debate about the reality of general revelation and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etween Brunner and Barth is a revival issue in the current Evangelical circles, together with Calvin's interpretation of the Sensus Divinitatis and the discussion of the Reformed epistemology movement. Appealing to Calvin, Brunner went beyond confirming the reality and value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special revelation, inclined to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which Calvin had objected. On the other hand, Barth, also appealing to Calvin, went beyond disclaiming the natural theology of Roman Catholicism which is based on the Sensus Divinitatis and rejected so far as the reality of general revelation which Calvin had approved. In the Institutes, Calvin has obviously stated that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and semen religionis, God himself has implanted in all men an awareness of his existence and divine majesty, with God’s exquisite workmanship in the world. However, Calvin said that the perception of God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is not an innate or intuitional knowledge that is given naturally at birth to man. In his commentary on Romans, Calvin said that man after depravity is born not with the innate knowledge of God but only with the innate attitude of disobeying God. In the Institutes, the perception of God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is not an a priori cognition but an a posteriori cognition by observing and experiencing the natural world. The Sensus Divinitatis which Calvin had understood means not an innate knowledge which has a concrete concept but an innate faculty or an internal tendency which is given in man’s heart, actuated by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bout the order and features of the external world. Only when man, in the original state before his corruption, looks at God’s workmanship which is reveled in the creative world, can he move onward to recognize automatically without any reasoning and argument, through Sensus Divinitatis that has been implanted in our hearts, that God exists. What is the reason why theologians disagree with each other about the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ased on Calvin's Sensus Divinitati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did not examine cautiously whether the viewpoint of time, when Calvin refers to Sensus Divinitatis and knowledge of God, was before or after man’s corruption. And they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what God gave objectively and what man received subjectively. When Calvin discussed the man’s ability to understand God’s works shown in the natural world, he tried to explain it in terms of the original state of man, before his corruptio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of God through man’s Sensus Divinitatis before corruption, which Calvin stated, is only a “possibility in principle” but not a “possibility in reality”. Calvin has firmly denied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y stating the limitation of man that he cannot subjectively perceive the general revelation, by the noetic effects of sin, that God has objectively given to him. 브룬너와 바르트 사이의 일반계시의 실재성과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신학논쟁은 칼빈의 신의식에 대한 해석과 개혁주의 인식론 운동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오늘날 복음주의 안에서도 새로운 논쟁점이 되고 있다. 브룬너는 칼빈에게 호소하여 특별계시의 조명 하에 재해석된 일반계시의 실재성과 가치만을 인정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칼빈이 반대한 자연신학의 실제적인 가능성에로 기울게 되었다. 반면에 바르트도 역시 칼빈에게 호소하여 신의식에 근거한 로마교의 자연신학에 대한 부정에 머물지 않고, 칼빈이 인정한 일반 계시의 실재성까지 모두 부여하였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창조세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놀라운 솜씨와 더불어 하나님께서 신의식(Sensus Divinitatis)과 종교의 씨(semen religionis)를 통해 우리에게 하나님 자신의 존재와 신적 위엄에 대한 어떤 지각을 보편적으로 전달하신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였다. 그러나 칼빈은 그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지각은 출생 때부터 모든 인간에게 본래적으로 주어진 본유적 또는 직관적 지식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는 「로마서 주석」에서 타락 후의 인간은 하나님에 대한 본유적 지식이 아닌 하나님을 거역하는 본유적 태도를 지니고 태어날 뿐이라고 하였다. 「기독교 강요」에서도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지각은 선험적(a priori)이 아닌 자연세계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한 후천적인(a posteriori) 성격을 지닌다. 칼빈이 이해한 신의식은 어떤 구체적인 개념을 가진 본유적 지식이 아니라 창조세계의 질서와 여러 요소들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작용되는 인간의 마음속에 주어져 있는 본유적 능력과 내적 경향성을 말한다.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의 본래적 상태에서 창조세 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솜씨를 바라볼 때, 우리 마음속에 심기어진 그 신의식이 활성화되어 하나님이 존재하신다는 것을 의식적인 추론과 논증 없이 자동적으로 지각하는 자리에 나아 간다는 것이다. 칼빈의 신의식에 근거한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신학자들 사이의 상반된 견해가 드러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칼빈이 신의식과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언급할 때의 그 문맥에 나타난 시기적 관점이 인간의 타락 전인가 아니면 후인가를 신중히 검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님이 객관적으로 주신 것과 인간이 주관적으로 받은 것 사이의 구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칼빈은 자연세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논할 때는 타락 이전의 인간 원래의 상태에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칼빈이 언급한 타락 전의 인간의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 지식의 가능성은 “원칙적인 가능성” 일 뿐이지 “실제적 인 가능성” 을 말한 것은 아니다. 칼빈은 타락으로 인한 죄의 영향으로 영적 맹목에 빠진 자연적 인간은 객관적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그 일반계시를 주관적으로 올바로 읽어 낼 수 없 다는 인간의 한계에 대해 말함으로써 자연신학의 실제적인 가능성은 단호히 부정하였다.

      • 경건을 형성하는 신학교육 : 한국 장로교 신학교육과정의 인식변화를 위한 제안

        조성국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6 고신신학 Vol.- No.8

        한국 신학교육논의는 그 동안 신학의 성격과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하였을 뿐 신학교육의 본질적 구조에 대한 논의에 이르지 못했다. 그 결과 신학교육 분석과 평가의 카테고리는 경건과 학문, 이론과 실천, 신앙과 학문, 신학과 목회 등 본성적 갈등을 전제하는 이원론적 도식에 근거한 균형 추구였다. 개혁신학은 경건의 학문이므로 통전적이며, 신학교육은 경건을 형성하는 활동으로서 목표지향적인 교육활동이므로 신학교육은 기독교 교육학적 관점과 과목(신학)교육학적 관점에서 그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신학대학원의 신학교육은 교회와 목회의 패러다임에 맞춘 것이어야 하고, 경건의 형성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건을 형성하는 능력에 이르는, 학생의 형성과 구성에 맞춘 순서를 따르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신학교육과정에서 기초교육에 대한 몰입교육으로 시작하여 목회활동의 전문성을 구비시키는 일로 일관성 있게 심화,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신학대학원 중심 내지 신학대학원 독점의 신학교육으로는 신학교육의 목표달성이 불가능하고 비효율적이다. 신학교육은 신학대학, 신학대학원, 특수대학원, (일반)대학원 등 모든 과정의 목표와 기능을 인정하고 잘 활용할 때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교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기탐구와 전문사역의 교육은 신학대학원 3년 만에 완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Many discussions on Korean theology education have usually reflected on the character of theology and contemporary paradigms, not o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ology education. The category of analysis and estimation on theology education has aimed at the balance of polarized dualistic norms, that is, piety and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faith and learning , and theology and ministry, which are based on conflict or tension. Theology in Reformed tradition is a holistic learning of piety, and theology education is a goal-oriented educational activity for the forming of the piety. Therefore theology education can be effective to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goals, in the case that the curriculum i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subject(theology) education. Seminary education must be coherent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church and ministry. The procedure of curriculum must be also made in accordance with inner forming order of student's mentality and professional capacity. Concentrated teaching of fundamental subjects must be followed by equipment of ministry profession. Theology education exclusively focused on seminary education can not be effective to fulfill the ideal educational goals. Theology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the case that teachers of theology schools make use of all the other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as well as seminary course. Three year theology education can not be enough for self-investigation and ministry profession of promising religion leaders.

      • 개혁신학의 특성과 한국교회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한국 장로교는 개혁신학의 원리로부터 스스로를 멀리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칼빈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 신학의 핵심적인 원리와 주장은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로"(solus Christus), "오직 은혜로"(sola gratia), "오직 믿음으로"(sola fide),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soli Deo gloria)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오직 성경으로" - 개혁자들은 인간 이성과 교회전통을 앞세운 로마교와 새 계시의 가능성을 주장한 재세례파에 대항하여 오직 성경만이 신학과 신앙의 유일한 표준과 원천임을 강조하였다. 2) "오직 그리스도로" - 개혁자들은 보편구원론과 종교다원주의에 반대하여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의 성육하신 자기계시이며 유일한 중보자이심을 성경적으로 확정하였다. 3) "오직 은혜로" - 개혁자들은 로마교의 인간구원을 위한 신인협동설에 반대하여 인간은 전적 타락하고 무능하기에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4) "오직 믿음으로" - 개혁자들은 칭의를 개인의 영적 도덕적 진전에 대한 하나님의 보상이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그 순간에 하나님의 거룩함을 옷 입고 하나님의 완전한 의의 전가(imputation)가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그들은 인간의 선행과 성화의 노력이 구원(칭의)의 근거와 수단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5)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 개혁자들은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영광을 위한 철저한 하나님 중심의 삶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개혁신학의 새로운 부흥을 위해 1)개혁신학의 원전연구를 통해 칼빈의 신학 그 자체에 대한 정확하고 심도있는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 2)개혁신학은 오늘 교회의 목회와 신앙생활에 대한 현실 관련성을 추구하여 교회와 사회에 대한 주도적 영향력을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 3)칼빈과 역사적 개혁주의를 연구할 수 있는 모든 도서와 자료가 총괄 수집된 전문도서관을 구축하여 전문적인 학술연구워 세계적 기반을 형성해 가야한다. 4)개혁신학의 새로운 부흥을 위한 교회의 지원을 확대해 가야 한다. 개혁신학이야말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암울한 현실을 타개하고 밝은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 가장 올바른 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Korean Presbyterian Church started to exhibit a strong tendency to distance herself from the principles of Reformed theology. It is worthwhile to reflect upon the characteristic principles of Reformed theology in 5 point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gratia, sola fide, soli Deo gloria. 1) sola scriptura : Scripture alone was considered as the only standard for faith and thology by the Reformers against both the Roman Catholics arguing the priority of human reason and ecclesiastical tradition, and the Anabaptists arguing possibility of new revelations. 2) solus Christus : Jesus Christ alone was believed the self-revelation of God and confessed as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by the Reformed against universal salv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3) sola gratia : Human being was viewed as totally depraved and impotent to save himself by the Reformers and thus salvation was believed to be granted only by the sovereign grace of God against the Roman teaching of cooperation of the human being with God on the matter of salvation. 4) sola fide : As soon as man is united with Christ, he is clothed with perfect holiness of God and thus imputed with perfect righteousness of Christ. The Reformers believed that good deeds of human being and their effort ofr sanctification cannot function as foundation or instrument of salvation. 5) soli Deo gloria : The Reformers emphasized life centered on God for His sovereignty and glory in all areas of human life. For new revival of Reformed thrology in Korea four theses are now proposed' 1)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heology of Calvin with precision and depth by delving into his writings in their original languages (i. e. Latin and Frence). 2) It is necessary to recover a leading role in our church and society by the pursuit of its relativity to actual situations we face today in the realm of pastorate and spiritual life. 3) It is necessary to build a specialized library which can function as a basis for the study of Reformed theology. 4) It is necessary to buil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hurches and to devise a way to enlarge a financial support for the study of Reformed theology.

      • 교의학과 설교의 관계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2 고신신학 Vol.- No.14

        오늘 우리의 설교와 신학의 위기는 목회자의 "신학 없는 설교"와 신학자의 "설교 없는 신학"으로부터 발생한 것이다. 개혁주의 교회의 역사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신학과 설교의 통일성과 연속성이 깨어짐으로써 오늘 우리 교회의 혼란과 위기는 더욱 심화되어 가고 있다. 신학 없는 진보주의 강단은 경험과 이성을 강조하여 신앙의 본질적 규범과 원리를 상실해 가고, 신학 없는 복음주의 강단도 감정과 정서를 앞세우면서 신앙의 핵심적 강조를 잃어가고 있다. 그리고 신학교의 연구와 교육은 목회현장의 실제적 문제를 간과하고 교회를 위한 신학의 실천적 적용을 게을리 함으로써 이미 신학적 리더십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점차 교회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교회와 신학교의 위기 속에서 교의학자와 설교자는 상보적인 호혜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새롭게 힘써 견지해나가야 한다. 교의학은 설교를 감독하고 보호해야 하며, 설교는 교의학의 추진력과 평가기준이 되어야 한다. 교회를 위하여 교의학과 설교는 항상 서로를 어렵게 만들면서도 건강하게 세워주는 동반자의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그리할 때, 교회 강단의 권위와 능력이 회복될 수 있고 신학교의 교육과 연구가 쇄신될 수 있을 것이다. 교의학과 설교의 올바른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일이야 말로 오늘 우리의 교회와 신학교를 새롭게 하는 근원적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이러한 교의학과 설교의 상보적 관계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교리설교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반성이 필요하다. 먼저 개혁교회의 오래된 전통과 소중한 유산이었던 개혁자들의 교리설교의 유형과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 져야 한다. 동시에 현실 적합성을 가진 교리설교를 위해서 효율적인 작성 방법의 훈련과 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와 노력도 필요하다. 교리설교의 새로운 부흥은 신학과 설교 그리고 신학교와 교회의 실제적인 융합을 실현함으로써 현대교회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Crisis in today's preaching and theology stems from the preacher's "preaching without theology" and theologian's "theology without preaching". Confusion and crisis in today's church seem to be ever increasing as the unity and continuity between theology and preaching, functioning as the historical tradition in the Reformed church, break down onto pieces. The liberal pulpit without theology, while emphasizing experience and reason, have lost the essential rule and principle of faith. The evangelical pulpit without theology, while emphasizing experience, have also lost the essential points of faith. Furthermore, theological seminaries in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largely have ignored practical points in the pastoral world and have been very slow in applying teaching into practical need for the church. As a result, the seminaries already have lost their leadership for the church and distance between the two parties seems be increasing. Facing with such cirsis between them, dogmaticians and preachers should recover their mutual relationship and strive maintain it. Domatics should be supervising and protecting preaching while preaching should provide norms for evaluating dogmatics. Dogmatics and preaching should recover the mutual relationshup providing mutual health. By doing so, authority and power or pulpit will be recovered while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seminaries will be renewed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anew between the two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renewing both of the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pivotal importance of doctrinal preaching as a means to fulfill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dogmatics and preaching.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is required to carefully categorize the types and methods of the Reformers' preaching, which had been age-old tradition and treasured heritage in the reformed church.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reminded that we need to make ourselves ready in training for efficient preparation of doctrinal preaching relevant for today's reality. The revival of doctrinal preaching will practically unify theology and preaching, and the seminaries and the church. By doing so it will provide an excellent opportunity to overcome crises facing today's church.

      • 1960년대 한국교회의 토착화 논쟁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3

        한국에서의 신학 혹은 한국적 신학과 관련하여 1930년에 이어 1960년대에는 토착화론쟁이 전개되었다. 이 논쟁은 민족적인 것에의 추구라는 당시의 상황에 영향을 받은 신학적 토론이었고, 토론의 전개과정과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해 한국신학의 제고에 미치지 못했지만 나름대로 한국적 신학의 모색이었다는 점에서의 의의를 지닌다. 이 논문은 1960년대의 감리교 배경의 발티안과 불트마니안계 학자들이 중심이 된 토착화 신학논쟁의 전개과정을 정리하고 비평을 가한 논문이다. 1960년대의 한국교회의 토착화논쟁은 보수적인 혹은 복음주의적 인사들은 배제된 토론이었고, 이 토론을 통해 진보적 신학자들이 한국 신학을 주도하는 선취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ebate among Korean theologians in 1960' in connection with the rise of Korean theology was Indigenization Debate. This debate was influenced by the pursuing things nationalistic, so called cultural nationalism under the Par Jung Hee's dictatorial reign. This indigenization issue were discussed mainly by Barthian or Bultmanian scholars such as Sung Bum Yoon, Dong Shik Yu and Byung Il Jang who have Methodist background, accordingly Reformed or Evangelical theologians were excluded in this debate. Though by this debate liberal group gained theological initiative in scholarly world, it failde to ensure a successful consequences. In this paper the writer sketched indigenization debate in 1960's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to gain the main issues stated. Indigenization can be understood as contextulization, revision, inplantation, adaptation, or acculturation, however, in 1960's Korea, because of Dr Sung Bum Yoon's radical interpretation in relation with the myth of Tangun, the issue failed to gain further theological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