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화구축의 규범 구조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 분석: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에 대항한 규범 논쟁을 중심으로

        강수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4 No.-

        China's rise in the field of peacebuilding has sparked a lively debate about China's role in the existing normative order of liberal peacebuilding.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have largely looked into China's role through the dichotomous framework of challenger versus supporter, ignoring the nature and scope of its challenges against liberal peacebuilding.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norm contestation, this study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can help to understand China'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role beyond such a dichotomous framework.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this article analyzes China's approach to the normative structure of liberal peacebuilding, focusing on its normative contestations against liberal peacebuilding since the 2000s.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China's discourses and behaviors in the field of peacebuilding since the 2000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China's relevant policy documents, foreign ministry briefings, white papers, official speeches and statements, as well as the extensive reviews of relevant literature.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nce the 2000s, China has generally refrained from validity contestation against the normative basis of liberal peacebuilding. Second, however, China has been actively pursuing content contestation against the sequencing and content of peacebuilding by readjusting the priorities of the components of peacebuilding and incorporating a new element beyond liberal peace into the peacebuilding agenda. Third, China has also publicly raised on application contestation against the principles of implementing liberal peacebuilding, expressing clear opposition to peace solutions externally created or imposed. 평화구축 분야에서의 중국의 부상은 기존의 자유주의적 평화구축 규범 질서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활발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에 대항한 도전의 본질과 범위를 무시한 채, 도전자 대 지지자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할을 바라봤다. 본 연구는 규범 논쟁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그러한 이분법적 틀을 넘어서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의 전반적인 규범 구조에 대항한 중국의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틀에 기반하여, 2000년대 이후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에 대항한 규범 논쟁을 중심으로,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의 규범 구조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중국의 관련 정책 문서 및 외교부 브리핑, 백서, 공식 성명 및 발언문들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와 광범위한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2000년대 이후 평화구축 분야에서 중국의 담론과 행동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들을 보여준다. 첫째, 2000년대 이후 중국은 일반적으로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의 규범적 기초에 대한 ‘타당성 논쟁’을 자제해왔다. 하지만 둘째, 중국은 평화구축의 구성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재조정하고 자유주의적 평화를 넘어서는 새로운 요소인 ‘국제체제의 개혁(민주화)’을 평화구축의 의제에 편입시키는 방식으로, 평화구축의 순서와 내용에 대한 ‘내용 논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또한 셋째, 중국은 외부에서 만들어지거나 부과된 평화 솔루션들에 대한 분명한 반대를 표명하면서, 자유주의적 평화구축의 실행 원칙들에 대항한 적용 논쟁을 공개적으로 제기해왔다.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 KCI등재

        냉전과 일본의 자유주의

        장인성(JANG In-Sung)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9

        이 글은 ‘진보주의자’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냉전자유주의’를 해명함으로써 패전과 냉전 초기의 일본에서 영위된 진보적 자유주의의 실체를 해명한다. ‘민주’와 ‘평화’가 모색된 패전과 냉전 초기의 공간에서 일본의 자유주의가 냉전적 현실에 투사되는 양상을 마루야마의 리얼리즘과 내셔널리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와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의 두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가 근대일본의 자유주의의 시간적 계승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라면,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은 냉전 상황에서의 자유주의의 공간적 표출을 포착하는 것이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 표현된다. 마루야마는 냉전적 현실에 대응하여 ‘민주’와 ‘평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냉전 구조에서 생겨난 반공 논리에 근거한 새로운 형태의 파시즘을 비판하였고, 리얼리즘의 입장에서 평화를 모색하였다. 마루야마에게 냉전체제의 ‘두 개의 세계’를 벗어나는 길이 ‘중립’과 ‘평화’였다면, 파시즘을 벗어나는 길은 ‘공평한 판단’과 ‘자주적 결사’였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에서 주체는 ‘시민’보다는 ‘국민’을 지향하는 것이었고, 국민 형성을 지향하는 내셔널리즘은 ‘민주’와 ‘평화’를 위한 조건이었다. 마루야마의 비판적 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 작동하였다. This paper explains what Japanese progressive liberalism was in postwar Japan by clarifying Maruyama Masao’s “Cold War Liberalism,” focusing especially on his realism and nationalism searching for “democracy” and “peace” in the context of the early Cold War Japan. Maruyama’s Cold War liberalism can be grasped from two perspectives: how the Cold War defined his liberalism and how Maruyama interpreted the Cold War as a liberalist in postwar Japan. The liberal interpretation of the Cold War captures the spatial manifestations of liberalism in the Cold War while Cold War liberalism was to grasp the temporal succession of modern Japan. Maruyama revealed his liberal thinking by combining it to his idea of nationalism and realism. He was concerned about the reshaping of the fascist atmosphere provoked by anti-communism emerging from the Cold War confrontation structure. He sought “neutrality” and “peace” to overcome the so-called “two worlds” of the Cold War. And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fair judgment” and “autonomous association” to restrain the fascistic atmosphere in postwar Japan. For Maruyama, subjectivity aimed at the concept of “nation” rather than “citizen,” and nationalism was a condition for “democracy” and “peace” in postwar Japan. Maruyama’s critical liberalism worked through nationalism and realism.

      • KCI등재

        로컬평화의 전망과 한계: 포스트자유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강혁민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What is local peace?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ocal peace theory through the lens of ‘the local turn’ proposed by postliberalists. By doing so, it fosters the interest of the theory and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discourse. The author addresses that local peace is the emancipatory peace theory that reinterprets locality and local agency,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traditional peace discourse, for effective and justice peacebuilding strategies. It is also clarified that local ownership, the everyday, and relationship with global actors are the key features of the theory. Meanwhile,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romanticization of the local, binary perception of the local, and theorists’ double standards restrict the theory. The paper concludes that for local peace to be more emancipatory, theorists need to aim at value-neutrality and perform participatory methodology. 로컬평화란 무엇인가? 이 글은 포스트자유주의자들이 제안한 ‘로컬 턴’의 준칙에 입각해 로컬평화의 이론적 배경, 특징,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로써 국내에서 증대되는 로컬평화에 대한 논의를 열고 이 담론의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로컬평화가 20세기 평화인식과 21세기 평화구축에서 주변화되어 온 로컬리티와 로컬주체성을 효과적이고 정의로운 평화구축 전략으로 재해석한 해방적 평화이론임을 밝힌다. 그리고 분쟁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컬오너십, 로컬의 정체성과 행위문화가 발현되는 일상성, 글로벌 행위자들과 맺는 다양한 관계방식을 이 평화론의 주요 특징임을 설명한다. 한편, 필자는 로컬평화가 갖는 로컬에 대한 낭만화, 이분법적 인식, 이론가들의 이중 잣대가 이 평화론의 결정적인 한계라고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로컬평화가 해방적 평화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로컬에 대한 가치중립과 참여적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글을 마무리 한다.

      • KCI등재

        자유와 자본 그리고 평화구축에 대한 이론적 검토: 민주평화론과 자본주의평화론을 중심으로

        최종건,홍건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5 국제지역연구 Vol.24 No.2

        This article analyzes two peace theories from the liberal school of thought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Democratic Peace Theory and the Capitalist Peace Theory. We pay attention to how each theory deals with private property and political liberal and connect them to how each variable produces the pacifying effects on inter-state relations. In so doing, we introduce the capitalist peace theory and compare it with the democratic peace theory and delineate how each theory has its origin from Kant's perpetual peace and yet differ in their theoretical treatment of how peace can come about in international relations. All in all, we argue how the economic factors delivered by the capitalist peace can also be as powerful as democracy in explaining peace making in international relations. 본 연구는 개인의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자유가 국가의 분쟁적 행위를 어떻게 제약하는가를 민주평화론과 자본주의 평화론을 이론적으로 비교하는 연구이다. 민주평화론은 민주주의 체제를 가진 국가들은 분쟁을 하지 않는다는 명제를 도출했다. 민주주의 체제를 가진 국가들은 민주주의의 규범, 제도 그리고 이 둘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평화를 구축한다. 그러나 개인의 경제적 자유에 초점을 둔 자본주의 평화론은 자본주의가 민주주의 평화를 완성하기 위한 선제적 조건이며 민주주의보다 자유시장 경제가 국가 간 평화를 형성하는데 더 효과적이라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민주주의 평화론과의 유사성과 상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에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자본주의 평화론을 학계에 알려 국가의 행위와 평화를 분석하는 분석틀을 소개한다.

      • 국제연합(UN)과 국제평화

        최진우(Choi, Jinwoo)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국제연합(UN)은 국제평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기구다. 국제기구를 통한 평화의 유지 및 확산 방안은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사고와 맞닿아 있다. 유엔의 설립 목적은 원래 ‘소극적 평화’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전쟁의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극적 평화’ 기능이 추가되고 강화되고 있다. 유엔은 이제 국가 간 분쟁뿐 아니라 국내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인도주의적 위기상황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유엔에 대한 평가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국가중심적 무정부상태인 베스트팔렌적 국제체제 하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평화 기능을 발전시켜 가며 평화를 유지 및 확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Established following the reasoning of the liberalist thinking of international peace, the United Nations is purported to maintain, promote, and create peace among nations. Since its birth in 1945, the UN has performed and developed various peace functions. The original mission was largely to prevent war, namely, to preserve negative peace. Gradually, however, the UN’s peace functions expanded to the realm of positive peace so that not only the resolution of conflicts between states but intervention in the humanitarian crisis within a state also became important part of the UN activities. Whil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performance of the UN, it is doubtless that the UN has made enormous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peace through creative adaptation to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국제평화에 관한 이론적 소고:신자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박병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1

        The human race has persistently made efforts to secure pea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 modern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emerged with Peace of Westfalen in 1648, peace was turned from a situational concept into a group and relationship concept. In addition, two world wars and the Cold War vividly revealed confliction among humanity. Disappointment resulting from these wars gave the human kind a task to establish a peaceful international system. With the inception of the post-Cold War era and the 21st century, expectations of international peace have increased.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has spawned various conflicts of security, human rights, religion, poverty and environment and so, in reality, the issue has grown more complicated and multidimensional.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to prevent conflicts and to secure a peaceful situation with certain conditions by using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ies. For the purpose,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peace on the basis of realism and liberalism is investigated in the second chapter. Then, based on neoliberalism, conditions for world peace and peace concepts are studied in the third chapter. The meaning of the given concepts is summed up in the conclusion. Peace theoretician and antiwar activist A. J. Muste says, “There is no way to peace.” That is to say, peace cannot be attained without efforts and perfect peace cannot exist. In the relationship of nations, peace requires active cooperation among them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relative concep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eliminate confliction factors entirel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But, peace under municipal understanding through institutional cooperation will be possible. 국제사회에서 평화(Peace)를 정착시키려는 인류의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웨스트팔렌 평화조약(1648년)으로 근대 국가주권개념이 등장하면서 평화는 상태개념에서 집단과 관계개념으로 전이하게 되었다. 또한 두 차례의 세계전쟁과 냉전은 인류의 갈등적 행태를 여실히 보여 주었고, 이로 인한 실망은 어떻게 하면 평화로운 국제체제를 형성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인류에게 안겨주었다. 탈냉전과 새로운 21세기가 시작되면서 국제평화에 대한 기대는 높아 갔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더욱 다양한 갈등 문제-안보, 인권, 종교, 빈곤, 환경 등-들을 양산하면서 복합적이며 다차원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정치이론이 제시한 분쟁을 방지하고 평화로운 상태가 어떠한 조건에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 2장에서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국제평화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제 3장에서는 신자유제도주의를 바탕으로 평화적 조건을 먼저 살펴보고 평화개념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개념적 의미들을 요약하고자 한다. 평화이론가이자 반전활동가인 무스테(A. J. Muste)는 “평화에는 길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즉, 평화는 결코 노력 없이는 성취될 수 없으며 완전한 평화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가들의 관계에서 평화는 국가들의 적극적 협력이 필요하며, 또한 상대적 관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관계에서 분쟁요인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신자유제도주의가 주장하는 제도적 협력의 공간을 통해 상호 이해적 평화는 가능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과 변화

        김학재(KIM, Hak-Jae)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9

        왜 한반도에서는 평화를 구축하기가 어렵고, 반면 적대와 대립으로 회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질까? 이 글은 평화를 제도로 보고 제도 변화의 네 가지 유형 - 냉전적 평화, 탈냉전적 평화, 민주적 평화, 발전주의적 평화 - 을 개념화함으로써, 기존의 현실주의, 자유주의, 기능주의적 이론보다 한국에서의 평화 만들기 과정과 역사에 밀착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글은 한반도의 평화가 매우 부정적이고, 낮은 수준으로 제도화되었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회경제적 교류와 협력의 규모도 작고 유의미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정전체제인 판문점 체제가 애초부터 외부의 영향에 의해 수립된 부정적인 평화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차 외부의 영향보다 내부 행위자들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며 이를 긍정적 평화로 변화시키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졌고, 최근 한국에서 촛불혁명 이후에 정치연합 변동이 이루어지자 다시 평화프로세스가 재개되었다. 이는 민주 정부의 지배연합의 역량이 증대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점에서 민주평화론의 증거이기도 하고, 발전주의적 평화를 추구하는 지역 행위자들과의 이해관계 조합이 평화구축에 긍정적 토대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Why is making peace so hard and returning to confrontation relatively easy on the Korean Peninsula? By conceptualizing four types of institutional change - Cold War peace, Post Cold War peace, democratic peace, and developmental peace - the author suggests a better explanation of the peacemaking process in Korea than previous realist, liberal and functionalist approaches. The author argues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stitutionalised on a low level and in a negative way, and that the scale and density of socio-economic exchanges has been weak and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the Panmunjom Regime, as an institutionalized armistice, was originally a negative peace created by external influences. However, internal actors have attained increasing importance in changing it into a positive peace. Lately, however, all actors have faced the difficulties posed by domestic politics and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which has made them choose a passive and negative set of policies. The second round of peace process at the moment shows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motivations of South Korean democratic peace, North Korean and Chinese developmental peace mode of diplomatic position. New Cold War type of threat posed by the U.S. president of Trump may increse the importance of domestic actors of each engaged countries in North East Asia.

      • KCI등재

        더 나은 세계 만들기의 역설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미국

        조의행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이 연구는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이론적인 특성을 먼저 검토한 후 미국이 기획하고 작동시켜 온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행동 양식과 그 성격에 대해 논의를 했다. 자유주의는 인간의 합리적인 이성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세계관으로서 정치적, 경제적 및 신앙의 자유를 현실 세계에서 보장하고자 보호하고자 하는 제도로서 인간 공동체에 오랜 시간을 걸쳐 투사되고 기능했다. 법에 따른 통치, 권력의 분립, 사유 재산 보호, 언론의 자유 및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바탕으로 하는 대의제 등은 자유주의가 인류사에서 이룩한 긍정적인 성과는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원리와 가치는 「영구평화론」에서 알 수 있듯이 전쟁으로 얼룩진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게 한 실천 방안을 제공했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도 성공할수록 그 모순점이 두드러진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성공이 궁극적으로 미국 중심의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퇴조한 근본적인 원이라는 점을 논의했다. 즉,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제대로 작동될 수 있는 요인과 조건으로 미국의 강대국의 책임과 의무를 분석해 자유주의 원리와 가치를 교조적이지 않고 현실에 적합하게 응용했을 때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지속할 수 있게 작동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정의ㆍ평화ㆍ창조보전

        조현철(Cho, Hyun-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3

        “수도생활의 적절한 쇄신이란 모든 그리스도인 생활의 원천과 그 단체의 초창기 영감으로 끊임없이 되돌아가는 것이며, 또한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다”(『수도 생활 교령』 2항). 수도생활의 쇄신은 불변하는 수도생활의 원천에 언제나 충실한 채 변화하는 현실에 적응하는 것을 뜻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11월 21일에 ‘봉헌생활의 해’(2014.11.30-2016. 2.2)를 선포하고, 수도생활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며 수도자들을 격려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봉헌생활을 위한 여건이 전반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물질주의와 소비주의 그리고 개인주의는 봉헌생활의 정체성 유지와 사명 수행을 어렵게 하는 주요한 사회적 요인들이다. 언제나 그렇지만, 상황이 어려워질수록 수도자들에게 봉헌생활의 쇄신을 위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요청된다. 본고는 오늘의 현실에 적절히 응답하려고 하는 수도생활의 쇄신을 위한 신학적 성찰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첫째, 수도생활의 원천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하느님 나라에 대한 헌신으로 제시한다. 둘째, 오늘의 현실에서 하느님 나라의 구체적인 의미를 정의·평화·창조보전(JPIC)으로 제시한다. 하느님 나라의 구현은 세상에 대한 하느님의 의도가 실현되는 것이며, 하느님의 의도는 하느님의 창조질서에 새겨져 있다. 그렇다면, 하느님 나라의 실현은 창조질서의 보전에 있으며, 이것이 바로 정의이다. 그리고 평화는 정의의 열매다. 요컨대 수도생활 쇄신의 원리와 기본 방향은 정의·평화·창조보전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도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사회의 전반적 현실과 수도회의 현실을 신자유주의, 관계망 사회구조, 고령화와 성소 감소, 전통적 계층구조, 신자유주의의 영향, 사회적 위상 저하로 살펴본다. 넷째, 이렇게 파악된 현실의 맥락 안에서 수도생활의 쇄신 방안을 정의·평화·창조보전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도직 재검토, 현존 사도직, 십자가 중심의 수도생활, 친교의 수도생활이 수도생활 쇄신의 지침과 방안으로 제시된다. “The adaptation and renewal of the religious life includes both the constant return to the sources of all Christian life and to the original spirit of the institutes and their adaptation to the changed conditions of our time”(Perfectae Caritatis, no.2). The renewal of religious life means adapting to changing realities while remaining faithful to the wellsprings of religious life. On November 21, 2014, Pope Francis proclaimed ‘the year of consecrated life’(2014.11.30-2016.2.2), thereby emphasizing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religious life and encouraging religious. It is the case, however, that religious life is generally in considerable difficulties. The materialism, consumerism and individualism which prevail in our society are crucial social factors that make it har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religious life and fulfill its aims. Still, as is always the case, the more difficult the situation becomes, the more is the struggle and effort for the renewal of religious life demanded. This essay is a result of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renewal of religious life, reflections that seek properly to respond to today’s realities. It unfold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ife of Jesus, which is the source of religious life, is presented as dedication to the kingdom of God. Secondly, the concrete meaning of God’s kingdom in the context of today’s realities is presented in terms of 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JPIC). The realization of God’s kingdom is the realization of God’s intention for the world as imbedded in the order of creation. It consists, therefore, in the preservation of the integrity of creation. Justice means the preservation of creation, and peace is the fruit of justice. In sum, the principle and basic direction of the renewal of religious life can be regarded as focused on JPIC. Thirdly, we take a look at the realities of society at large and religious congregations themselves which have an influence on religious life, in particular: neoliberalism and networking social structure; aging and the decline in vocations; the traditional hierarchical structure of religious congregations;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and the decline of the social status of religious. Fourthly, in the context of these realities, we present measures for the renewal of religious life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JPIC. Concretely speaking, we propose as guidelines and a plan for renewal: the review of existing apostolates; the apostolate of ‘being together’; cross-centered religious life; and religious life of comm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