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안재형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do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otentials for new education examin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nterpreted: (1) The students come to engage in creative thinking, whereby they see the world from uncommon perspectives. (2) Motivated, the students build their confidence and design their future selves, thus experiencing the growth of their own selves. (3)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students learn to see an even bigger world. (4) The students encounter “alter egos” who share their interests and passion. (5)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monstrates the power to be free from a climate that emphasizes private/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ask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1) As for the curricula, while student-centered classes abou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eficient. (2)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ituated in an educational climate that stresses results over processes. (3)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는‘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통한 참여관찰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국내 최초의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 2014학년도에 진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였고, 인문사회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세 명의 학생, 수업을 담당한 한 명의 교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둘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의‘가르침’과‘배움’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첫째,‘창의적 사고’, 둘째,‘자아 성장’, 셋째,‘융합과 통합’, 넷째,‘흥미와 열정을 함께 나누는 또 다른 나’, 다섯째,‘사교육 풍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힘’이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이 안고 있는 한계와 과제를 첫째,‘넘치는 학생 중심 수업과 부족한 교사 중심 수업’, 둘째,‘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셋째,‘인문사회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부족’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 KCI등재

        인문학적 가치 탐색을 위한 어린이 철학교육

        박연숙(Park, Yeo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인문학의 위기는 이제 인문학 관련 학문들의 축소나 폐지에 머물지 않고 우리 사회 전반의 인문학적 가치의 상실로 심화되고 있다. ‘세월호’ 사건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우리 사회가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윤리의식마저 상실하고 물질적 가치를 인간 생명의 가치보다 우선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적 가치를 회복하는 것은 생명이 달린 문제이며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문제이다. 논자는 인간 존재의 의미와 인간다움을 탐색하는 인문학적 가치를 위해 철학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철학교육은 전통 철학자들의 지식 체계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함’으로서의 철학이다. 이는 자신은 아무 것도 모른다고 하면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탐구하는 소크라테스의 태도에 가깝다. 삶 속에서 누구나 직면하는 현상들과 문제들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철학함(doing philosophy),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철학교육이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사고력을 길러주는 철학교육이 어린 시절부터 가능하다는 주장이 1960년대 후반, 미국의 철학자 리프만(M. Lipman)에 의해 주장되었다. 리프만의 ‘어린이를 위한 철학(philosophy for children)’은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배려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단계별로 프로그램화되어 현재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리프만의 교재들이 사고력 교육에 치중하고 어린이의 사고 유형을 제한한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매튜스(G. B. Matthews), 마르텐스(E. Martens) 등에 의해 정형화된 교재 대신 어린이가 던지는 순수한 질문으로부터 대화로 풀어나가는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philosophy with children)’을 제안하였다. 논자는 이 두 흐름이 방법에 있어서 다르지만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는 마르텐스의 입장을 수용하고, 나아가 어린이 철학교육이 학생의 수준과 관심, 환경에 맞게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한다는 취지 하에 한국적 상황에 맞는 어린이 철학수업 개요를 제시한다. 본고는 어린이 철학교육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했지만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고 인문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령과 상관없이 ‘철학함’으로서 철학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함축한다. 철학함으로서 철학교육은 궁극적으로 인문학적 가치, 인간의 존재 의미와 인간다움을 지향하는 점에서 인문학 교육이기 때문이다. The oft-mentioned crisis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is no longer just a crisis of select university departments being reduced or closed down but one with much dire consequences in leading to the loss of humanistic values in our society as a whole. The Sewol-ho shipping tragedy of 2014 can be seen as a culmination of how even the minimum sense of moral duty as a member of society has given way to material values taking precedence over human lives. Within such a predicament, the recovery of humanistic values for our society has become a mission that will directly save lives in addition to affecting the quality of our lives. Amidst this background,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asserts the education of philosophy as an essential element that would lead to a search for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s well as what it means to be human. However, the philosophy education mentioned her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mere passing of knowledge systems as developed by traditional philosophers but a “doing philosophy,” which is much closer to the Socratic approach of perpetually researching and questioning for answers from a state of ignorance. The “doing philosophy” mentioned here, which constantly questions and deeply contemplates the common phenomena among members of society, is an effective method by which philosophy education will lead to the finding and understanding of humanistic values. In the late 1960s, American philosopher Matthew Lipman asserted that philosophy education can begin at an early age as a means to develop thinking skills.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focused on critical, car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was developed as a step-by-step program with stages ranging from preschool to high school. This system and curriculum, developed by Lipman and Ann Margaret Sharp at their own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IAPC), has since been translated into no less than 40 languages and have spread across the world. Nevertheless, critics have asserted that Lipman’s curriculum focuses excessively on thinking skills at the cost of potentially narrowing the patterns of thinking that may develop within a child. In line with this criticism, the likes of G.B. Matthews and E. Martens have proposed a “philosophy with children,” where dialogue becomes the vehicle (as opposed to standardized curriculum) by which the innocent questions of a child would be addressed.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argues that these two approaches are not necessarily at odds with each other. The author consequently presents an outline for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customized to the Korean context, developed as resul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ased upon the target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nterests, and environment. Although the current paper limits its arguments to the field of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the wider argument implied is that philosophy education based upon ‘doing philophy’ is necessary regardless of age when looking at the larger picture of finding humanistic values in our society and invigorating study of the humanities. ‘Doing philosophy’ itself is, at its core, humanities education due to its ultimate goals of understanding humanistic values, the meaning of life, and the nature of humanism.

      • KCI등재

        `인문학 교육` 개념의 뒤틀림 분석

        홍은숙 ( Eun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2

        오늘날 우리 사회의 인문학 열풍 속에서 교육에서도 인문학적 소양의 균형 있는 함양 내지 인문학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 교육의 성격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가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인문학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인문학 교육` 개념의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그 말의 애매성을 분석함으로써 인문학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한 개념 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서 드러난 인문학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 즉 강단인문학과 실천인문학의 대립을 살펴보면서 인문학의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둘째, 인문학 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고찰하면서, 인문학의 두 가지 대립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오늘날 `인문학 교육` 및 `자유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뒤틀리고 오해되어 왔는지를 밝힌다. 셋째, 인문학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기본 개념 틀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문학 교육의 여러 유형을 분석한 후, 그것이 인문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Nowadays we observe an ironical situation in which humanities fever goes together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fever emphasizes humanities education. However, it is not so clear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for better humanities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how `humanities education` has developed historically, analyzing the ambiguities of the concept of `humanities education` and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humanities education. The term `humanities` has a Greek origin, `paideia`, which was translated into the Latin word of `humanitas` in the Roman Empire. Humanities education, used interchangeably with `liberal education`, was sometimes regarded as education itself. However, the concept of `humanities education` or `liberal education` is not at all clear. It might be quite perplexing to teach `forms of knowledge` suggested in Hirst`s liberal education theory, in the name of humanities education. In chapter 2, I critically examined the crisis of humanities, distinguishing the practical humanities from academic humanities. Here the crisis of humanities is the crisis of academic humanities, while the practical humanities rather flourish. The case of Clemente Humanities Course shows the power of humanities, giving implications for humanities education. In chapter 3, I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umanities education`, revealing the conflict between two trends, `tradition of orators` and `tradition of philosophers` called by Kimball. In light of the historical examination, Hirst`s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is mistaken in many ways. Thus we do not need to follow Hirst`s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humanities education. In chapter 4, I pointed out some dilemmas embedded in the discussion on humanities education. I analyzed some conceptual ambiguities which cause these dilemmas,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humanities education. In light of the conceptual analysis of humanities education, we ne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for humanities education. Basically humanities education emphasizes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one`s life.

      • KCI등재

        교육의 인문성(人文性) 회복의 미래가치 탐색

        방진하(房眞河),곽덕주(郭德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사회공학적 접근의 기존 미래교육담론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인문적’ 교육이 가진 미래가치의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탐색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근대 (학교)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세 가지 대표적인 교육의 개념- 즉, 사회화, 학문 탐구, 자아 성장-을 미래 교육과의 관련 속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존 교육의 개념과 미래교육담론이 만날 수 있는 접점을 찾아본다. 이를 토대로 하여, 교육의 미래를 인문학과 예술교육을 통하여 민주적 소양을 갖춘 인간을 길러내는 데서 찾아볼 수 있음을 강조한 누스바움(M. C. Nussbaum)의 인문교양교육론을 인문적 미래교육담론의 한 사례로서 분석해 본다. 더 나아가, 누스바움의 논의가 사상적 근거로 삼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윤리학의 논의를 토대로 인문교양교육론이 지향하는 가치와 그 정당화 방식을 검토함으로써, 미래교육담론이 제안하는 미래 역량과 인문적 인간상이 일치하는 지점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인문성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활동 자체에서 생성되는 ‘현재적’ 경험이 되살아나야 함을 확인하고, 이러한 회복이 가진 미래 가치를 탐색한다.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work for a model of humanistic approach as a complementary alternative to the dominant educational discourse of the social engineering model for the future education. We first examine in relation to "the future education" the three distinctive concepts of education that have dominated the way we think of education: socialization, academic pursuit and self-development. This leads us into a need to find a new way of conceiving education which can connect these three concepts in a new way. Then we introduce as an example of this new way of conceiving education, Martha Nussbaum"s idea of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which aims at the fostering of democratic citizens. Finally we further develop and sketch out the characteristics of uniquely humanistic mode of thinking, described as "phronesis" by Nussbaum, which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specific manner of teaching-and-learning in the education of humanity. This is an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future education that can still keep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fresh while accommodating the various social and economic demands from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인문교학(人文敎學)의 실현을 위한 제언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文學 Vol.40 No.-

        本文旨在探索傳統時期人文敎學的詮釋之必要性。衆所周知, 韓國的大學敎育正面臨着從未有過的挑戰。甚至有不少人主張,爲了克服現代社會的劣根性及其慶端,應當廢除大學敎育。 筆者認寫,這一主張之根据主要來自以人文學爲核心的大學敎育觀。他們認爲,人文學的宗旨與 資本主義社會井不相符。誠然, 大學敎育以人文學爲核心這一觀点無可非議。 然而對于人文學之宗旨, 筆者則不敢苟同。他們所說的人文學之宗旨, 卽是指爲資本主義體制而産生, 爲資本主義體制服務、與資本主義社會向來不會産生任何根本性沖突與予眉的敎育。爲了矯正大學敎育的弊病, 我們應該首先探討“人文”這個詞的槪念及其功能。 本文共由五個部分組成。 第一章序言, 分析了現實與理想之關系。 第二章試圖重新解釋“現實”這個詞的槪念及其語義場, 提出了 “流動性、過程性之實體”的現實搬念。 第三章考察了傳統時期“人文”的槪念與本領。分三部分進行論述。第一部分考察了《禮記· 學記》及《大學》里所反映的傳統敎育觀。闡述了傳統敎育觀的核心井非“敎育”這一單向性講學, 而是在于“敎學相長”這一雙向的“授受學業”(educating & learning)。 第二部分硏究了孔子的人文觀念。 在以孔子爲代表的漢字文化團內, 解釋“人文”時認寫, 人文主要利用動詞來表達其內涵與實質。 第三部分分析了傳統時期人文槪念立足于“內在性”(immanent)的四維方法。通過上述考察, 我們可以了解到, 傳統時期的人文是“主體地建構現實”這一能動性槪念。 第四章 分析了上述人文槪念與大學敎育之間的關系, 對大學的本質與大學敎育之指向等問題提出了筆者的看法。 第五章 結論, 關明了傳統時期“尊師”這一敎學觀之价値及其現代之必要性。若要通過實現人文敎學來矯正大學敎育, 那?, 首先我們應該具備“尊師”和“敎學相長”的敎育環境與體系。

      • KCI등재

        ‘인문학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인문학과 교육 현장의 연결성 강화

        김봉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교육 Vol.63 No.1

        본 연구는 인문학과 교육 현장을 연결할 방안으로 예비교사의 인문학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 대학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문학 리터러시를 함양시키기 위한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여 인문학과 교과교육을 연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교사교육에서 인문학 리터러시의 학문적 개념화를 시도하여, 인문학과 교사교육의 학문적 접목 지점을 개척하는 것이다. 둘째, 예비교사 들을 대상으로 인문학 강좌를 개발⋅운영하여, 인문학과 교과교육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학 리터러시의 개념을 학문적으로 정당화하면서,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대학의 강좌 개발과 운영을 통해 실제적으로 교사교육에 기여하였다. 셋째, 대학 인문학 강좌의 교육 현장과의 연계성 부족을 개선하였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인문학 리터러시를 키울 수 있는 강좌를 경험하여 향후 교사가 되어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실천적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여섯째, 향후 교육과정 개편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program to cultivate the humanities 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as a way to connect the humanities and the educational field. To this end, the purpose was to connect humanities and subject education by developing and operating courses to foster humanities literacy for pre-service teachers at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Specifically, first, by attempting to academic conceptualize humanities literacy in teacher education, it is to pioneer an academic graft point between humanities and teacher education. Second, humanities courses are developed and operat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humanities and subjec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justify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literacy academically, a new research area was pioneered. Second, it actually contributed to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urses at univers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 lack of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field of university humanities courses was improved. Fourt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courses that could foster humanities literacy and helped them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as teachers in the future. Fifth, practical resear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ixth,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were presented.

      • 인문소양 강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안 - 중등을 중심으로 -

        신호재,이호중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인성교육에 있어서 교과교육을 통한 접근은 보다 근본적이고 본질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문소양 강화를 통한 도덕과 인성교육이라는 주제로 그 접근의 깊이를 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먼저 인문소양의 의미 탐색 및 인성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인문소양은 인간다 움에 대한 탐구로 인해 필연적으로 인성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도덕과 인문소양 교육원리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만들고 중등 도덕과 교과서들을 분석하면서 도덕과 가 실제 인문소양을 얼마나 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영역에 해당하는 비판 적 사고가 매우 강조되고 있어 다소 균형 잃은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인문소양 강화를 통한 도덕과 인성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 다. 첫째, 중등 도덕과 교과서에서 도덕과 인문소양 교육원리를 고루 반영한 통합적 접근을 견지하 되 학생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맥락주의적 입장에서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이 필요하다. 둘 째, 효과적인 인문소양 함양 및 인성교육 간 접점 형성을 위해 그리고 인문소양 강화를 통한 인성 교육을 위해 도덕과 중심의 교과 간 연계 및 융합 교육의 실행이 중요하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한중 인문학의 교육과 발전

        한용수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2 No.-

        인문학적인 소양을 갖추는 것은 창의적인 바탕을 마련하여 사회생활 활동에 필요한 분야이다. 그래서 인문학에 대한 학습은 무엇보다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다. 과거로부터 이어져온인문학에 대한 학습은 현재에는 더욱 여러 갈래의 세분화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분화된 인문학의 영역을 통해 사회의 여러 분야와 융합하여 발전되는 모습으로 나타날 때 인문학의 역할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인문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데 문사철(文史哲)로 대변되는 인문학의 범위 가운데 사학(史學)과 철학(哲學)으로 한정하여 특히 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교과과정의 변화와 발전된 내용을 살펴본다. 근대와 현대의 교육과정은 많은 변화가있다. 세분화된 교육과정은 졸업 후 다양한 분야의 취업 등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지식 중심의전달에 치우쳐 있는 단점도 있다. 현대의 대학교육은 학생들의 진로에 초점을 맞추어 나아가야하는 방향에 서 있으니 이는순수 학문연구와 취업을 위한 준비과정의 두 갈래 길에서 어느 한 길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어이에 대한 고민은 쉽게 해결될 것 같지 않다. 그러므로 인문학에 대한 교육 또한 큰 고민에쌓이게 된다.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양성의 교육을 위한 대학교육에서 우리는 다양한 전공을대학에서 개설하고 있다. 인문학은 무엇보다 비판적 사고, 창조적 사고와 통합적 사고를 길러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분야이다. 인문학이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으로 나타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ince humanities accomplishment is necessary for creative activities and social life, learning about humanities c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else. The studying of humanities has been subdivided to several fields from the past. The humanities shows its power obviously when its subdivided fields merged with many parts of the society and got developed. With an overview of the whole humanities curricula from the past, we found out that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can be the indications of humanitie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especially on the curricula of universities, to review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m. Modern humanities curricula have changed greatly. The graduates of subdivided humanities curricula got much more job opportunities. But the weakness is biasing towards inculcation of knowledge. Because the higher education in modern times must focus on the students' future, it seems that would be very difficult to choose between doing pure academic and preparing for career, so does the education of humanities. There are a wide range of majors opened in universities for the training of the human resources needed in our society. Humanities is the most important filed which can develop critical , creative, comprehensive thinkings and enrich our lives. We look forward to seeing the effective education of humanities.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인문학 교육 사례와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

        이승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1 No.-

        본고는 국내외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이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는 동시에, 디지털 네이티브로 정의되는 지금의 대학생에게 보다 실효성 있는 고전문학 교육을 제공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먼저 미국과 중국・대만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문학 교육에 접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경우 대학, 연구소, 도서관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주체로 기능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는 디지털 인문학 학위 과정 및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연구소와 도서관은 정기적・비정기적 워크숍 등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지원한다. 반면 중국과 대만의 경우 정부 주도로 디지털 인문학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외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종래의 인문학 탐구에 컴퓨팅적 방법을 적용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문학 교육에서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텍스트 분석, 전자지도 제작, 네트워크 분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이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을 필수화하여,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디지털 결과물을 제작, 발표하도록 하는 것은 공통적이었다. 다음으로 국내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학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시작 단계로, 방향성을 정립해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 고전문학의 소재를 디지털 인문학 강의에서 활용한 사례를 통해 교육의 난점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디지털 인문학 교육 사례가 지니는 시사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문학 작품과 그것을 둘러싼 맥락을 디지털 환경에서 표현하는 법을 교육할 것, 둘째,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분석하는 법을 교육할 것, 셋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확장성을 이용해 문학이 아닌 다른 것들과 겹쳐 읽기를 시도하고 그로부터 새로운 해석을 이끌어내는 법을 교육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기반 위에서 고전문학 데이터의 이해-구축-분석-시각화-해석의 데이터 처리 및 실습을 교육과정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으로서의 인문학 교육에 관한 고찰 -서울시 교육청 고전·인문아카데미 ‘고인돌(2013-2021)’ 사업을 중심으로-

        최은 ( Choi Eu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과 시민 Vol.6 No.-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주관하고 서울경제신문의 백상경제연구원이 기획과 실행을 맡은 고전인문아카데미 ‘고인돌’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각각 별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2013년 생애주기별 인문학 평생교육을 표방하며 출발했다. 학계에서 제기되는 인문학의 위기와 대중적인 인문학 열풍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평생교육은 흔히 백세 시대를 맞아 인간의 수명이 증가했으며, 1인 1직업 또는 ‘평생직장’ 개념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현실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지식과 정보의 변화속도가 빨라 학교 교육이 따라잡을 수 없으므로 국가경쟁력을 위해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이 나서서 계속해서 배움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평생교육과 교양교육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평생교육이 신자유주의시대 자기효능감이나 재생산과 취업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경계한다. 니체가 ‘힘에의 의지’를 가능하게 하는 ‘거리의 파토스’에 주목했듯이, 평생교육은 교양교육으로서 인간의 고유한 특성인 정신의 고양과 사회적인 인성의 추구, 민주시민의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교육과 고전적인 인문학 교육을 강조했던 니체와 마사 누스바움의 입장은 생애주기별 인문학교육으로서 고인돌의 프로그램에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고인돌’은 2020년부터 명칭을 ‘고전ㆍ인문아카데미 2.0’으로 바꾸고, 현재는 청소년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특화하여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위기와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병행 운영하면서 브랜드 인지도와 가치를 높이고 있기도 하다. 본고는 1기 고인돌 사업부터 기획과 운영총괄을 맡았던 백상경제연구원의 역할이 종료된 9기까지의 사업을 검토하고 지난 10여 년간 인문학 시민교육의 변화와 추이를 통해 도출한 학교 밖 공공교육으로서의 인문학 교육에 대한 전망과 제언을 첨부한다. ‘Koindol’, a classical humanities academy supervis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planned and executed by the Baeksa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of the Seoul Economic Daily, runs separate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providing lifelong humanities education for each life cycle in 2013. It was a time when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raised in academia and the popular humanities craze coexisted. Lifelong education tend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reality that human lifespans have increased as people approach the age of one hundred years, and the concept of ‘lifelong job’ is gradually disappearing. People say that because school education cannot catch up with the rapid 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ublic must continuously provide learning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scholars who study lifelong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 wary of lifelong education being used as a means of self-efficacy or reproduction and employment in the neoliberal era. As Nietzsche paid attention to the ‘pathos of the street’ that makes the ‘will to power’ possible, lifelong education is a liberal arts education that 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raising the spirit, the pursuit of social character, and nurturing democratic citizen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In that sense, the positions of Nietzsche and Masa Nussbaum, who emphasized art education and classical humanities education, provide meaningful insight into the dolmen’s programs as humanities education by life cycle. ‘Koindol’ has changed its name to ‘Classics and Humanities Academy 2.0’ from 2020, and is currently being specialized as a youth humanities program. In response to the crises and changes in the era of the corona pandemic, it is also increasing brand awareness and value by operating an online YouTube channel in parallel. This paper reviews the projects from the 1st ‘Koindol’ project to the 9th period, when the role of the Baeksa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which was in charge of planning and operation, was terminated. Prospects and suggestions for humanities education as out-of-school public education derived from changes and trends in humanities civic education over the past 10 years are attac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