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영향성 분석

        최지현,황서이,이유미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re not simply a fu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ities. It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that seeks to interpret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and to analyze socie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embers of the Chung-Ang Universi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who started and studied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search impact on the relationship with papers citing these achievements. As a result of extracting high-frequency vocabulary from a total of six research areas by adding the field of ‘pedagogy’ to the five research are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which are ‘relational communication, technology criticism, data analysis, socio-cultural studies, and ethical norms’. ‘Metaverse, AI, education, virtual, public language, and Korean’ were extracted in ‘relational communication studies’. In ‘technology criticism’ area, ‘AI, posthuman, digital, education, technology, and robot’, and in ‘data analysis’ area, ‘AI, machine learning, education, text mining, big data, and language network’ were identifi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In ‘socio-cultural studies’, there are ‘AI,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history, and digital humanities’, in ‘ethical norms’, ‘AI, ethics, robots, morality, technology, and education’ were, and in ‘pedagogy’, ‘AI, education, literacy, and liberal arts education’ were respectively extracted as a high-frequency vocabulary.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Although six years is not a long time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 academic discipline, it is meaningful because it confirms the position of a new academic discipline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umanities can no longer be understood as separate from technology; at this point in time,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being asked about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fforts are needed to more actively understand technology and convergence methods to protect human dignity and explore ways to build a healthy society. Thus, the current st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research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thinking and plan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인문학’의 연구 동 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인공지능인문학은 단순히 인공지능과 인문학의 융합이 아니 다. 인문학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시대를 해석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를 분석하고자 하는 융합적 학문 분야이다. 인공지능인문학을 시작하고 연구해 온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구성원의 연구 성과 중심으로 그 성과들을 인용한 논 문과의 관계 속에서 연구 영향성을 파악하고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인문학의 5개 연구영역인 관계소통학, 기술비평학, 데이터해석학, 사회문화 학, 윤리규범학에 교육학 분야를 추가하여 총 6개 연구영역에서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관계소통학에서는 ‘메타버스, AI, 교육, 가상, 공공언어, 한국어’가, 기술 비평학에서는 ‘AI, 포스트휴먼, 디지털, 교육, 기술, 로봇’이, 데이터해석학에서는 ‘AI, machine learning, 교육,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언어 네트워크’가 상위빈도 어휘 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학에서는 ‘AI, 디지털, 인문학, 교육, 역사, 디지털인문학’이, 윤리규범학에서는 ‘AI, 윤리, 로봇, 도덕, 기술, 교육’이, 교육학에서는 ‘AI, 교육, 리 터러시, 교양교육, literacy, education’이 상위빈도 어휘로 추출되었다.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인문학의 현재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였다. 6년이라는 기 간이 학문의 정착과 발전에 긴 시간은 아니지만 신생 학문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인문학은 더이상 기술 과동떨어진상태로이해될수없고, 인간과기계의경계에대한근원적물음을 던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서 기술, 그리고 융합의 방법을 더욱 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의 현재는 미래를 고민하고 계 획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저편 -인공지능인문학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김형주,이찬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3 No.-

        이 연구는 기초인문학의 토대 위에서 포스트휴먼 시대를 이끌어 갈 인공지능인문학의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인공지능인문학’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요소로 ‘인공지능’, ‘인문학의 내용’, ‘인문학의 방법’을 추출한다. 둘째, 소위 4차 산업혁명시대라 불리는 인공지능 시대의 휴머니즘으로부터 휴머니즘의 본령인 서구 근대 르네상스의 인문학 개념과 그것의 전사(前史)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읽는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의 시각을 쫓는 한편, 그들이 부지불식간에 전제하고 있는 전통인문학의 내용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의 방법론으로서 인문학의 본질적인 사명 중의 하나인 시대와 자기에 대한 반성적 역할을 앞에서 추출한 내용에 적용하여 전통인문학 분과위에 인공지능시대의 변화를 수용하여 재구조화된 인공지능인문학 5개 연구영역인 인공지능 기술비평학, 인공지능 관계⋅소통학, 인공지능 사회⋅문화학, 인공지능 윤리⋅규범학, 인공지능 인문데이터해석학을 도출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a kind of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To do this, we first classify the thre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s of humanities’, and ‘methods of humanities’. Second, we will examine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humanities from the humanism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o the Renaissance and modern times. Through this, they pursue the viewpoint of post-humanists who read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humanities that they are presupposing. Lastly, we apply the reflective role as a methode of humanities,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mission of that, to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previous one. Through this, we derive five par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re restructured by accepting the change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on the base of the traditional parts of humanities.

      • KCI우수등재

        인문콘텐츠의 확장을 위한 인공지능인문학 시론(試論)

        이유미(Yi, Yu-Mi)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라 일컬어지는 인공지능 시대에 새로운 인문학의 한 영역으로 정의하는 인공지능인문학이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한 인문학의 새로운 학문 영역인 인공지능인문학은 인문콘텐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콘텐츠가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년 가까이 발전해 온 인문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해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를 키워드로 발간된 논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인문콘텐츠의 정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 본연의 정신을 기술에 담아 새로운 형태의 인문학을 정의해 내고자 노력한 학문인 인문콘텐츠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인문학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방법론적 변화를 통해 나타난 학문 영역인 문화콘텐츠와 인문콘텐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인문학의 분야로는 인공지능 관계 · 소통학, 인공지능 데이터 해석학, 인공지능 기술 · 비평학, 인공지능 윤리 · 규범학, 인공지능 사회 · 문화학이 있다. 이들 학문은 결국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이해하고 진단하며,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AI 리터러시의 특징을 갖는다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umanities, which is a novel field defined as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AI, or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contents and AI humanities, which is a new discipline of humanities 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advances. AI humanities is seen as the expansion of the humanities-a set of disciplines that explores the human nature-in terms of cultural and humanities contents through the academic disciplines created through changes in methodologies. The field of AI humanities includes AI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I data analysis, AI technology criticism, AI ethics and norms, and AI sociology and culture studies. These academic fields fall within the realm of AI literacy, and they aim to understand and diagnose the era of AI, in addition to predicting the future, by studying and utilizing AI.

      • KCI등재

        “인공지능은 인문학이다”: 구성적 정보 철학적 관점에서

        박충식(Choong-Shik Park)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6 No.-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 지능을 가지도록 모색하는 컴퓨터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지능을 계산적 모델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 분야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공지능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오랜 학문인 문사철의 인문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더구나 인지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인지과학의 한 분야이기도 한 인공지능은 포괄적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또 다른 측면의 인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현재의 인공지능이 아직은 인문학적 인간 이해와는 많은 거리를 가지고 있지만 좀 더 발전된 인공지능을 위해서 인공지능은 인문학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고, 인문학 또한 좀 더 정교한 인간 이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반한 정보 철학이 인공지능과 인문학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편이 될 수 있다고 논의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branch of computer science that seeks to make machines have human intelligence. To this end, it is also a field of research to understand human intelligence as a computational model.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ities of Moon Sa-chul(Literature-History-Philosophy), a long-standing study to understand humans. Moreover, wit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cienc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has entered a new phase.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also an area of cognitive science, is another aspect of humanities that comprehensively promote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 think that although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still has a lot of distance from human understanding, for more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an understanding of humanities is essential, and for more sophisticated human understanding of humanities also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imagination. This study discusses that information philosophy based on constructivism can be a wa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itie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교양교육의 방향: 소통·공감 능력 제고를 위한 인문학적 교육콘텐츠의 확대

        김영애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0 한국융합인문학 Vol.8 No.4

        본고는 인공지능 시대 실질적 문맹률의 증가 현상이 학습자의 공감·소통 능력의 저하와 연관성을 지닌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양교육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평균적인 교육 복지와 수준개선에도 불구하고 공감 소통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그 기저에 인공지능 시대교양교육의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인공지능인문학의 가능성을 진단하여인공지능 시대 인문학 기반 교육콘텐츠를 확대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인공지능인문학의 핵심 내용은 바로 대체 불가능한 인간의 자질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확대 강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인문학 기반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확대가 필요하다. 실질 문맹률의 확산을 막고 공감 소통 능력을 강화하기위한 방안으로서 인문학적 콘텐츠를 확대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그것만이 인공지능 시대교양교육의 유일한 대안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 기계와 다른 인간만의 자질을 강화하는 것, 인간의 존재 가치와 존엄성을 지키는 방법 등 본질적인 차원을 상기하면 결국 가장 인간다운 상태를 회복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인문학의 본질이 자아와 세계에 대한 성찰에 있음을 기억하면서 인공지능 시대의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인공지능과의 바람직한 공존 방식에 대해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상상함으로써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존 가능한 세계에 대비해야 한다. 인공지능과평화롭게 공존하는 타자 존중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들 간의 이해와 합의가 중요하다. 인간이인공지능의 지식 습득 능력과 속도를 따라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인간 고유의 능력인창의성, 자율성, 비판적 감수성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양교육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 인공지능 철학 국내연구 동향 분석 ―인공지능 철학의 생장점에서―

        김형주 ( Kim Hyeong-joo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18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인공지능 철학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의 성과들을 분류,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인문학 사업단이 수행할 수 있는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나는 첫째 논문검색 사이트 RISS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철학’과 관련된 논문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고자 하였다. 검색어는 ‘인공지능, 철학’과 ‘인공지능, 윤리’를 사용하였다. 확보된 논문의 저자, 키워드, 발표년도, 초록 등을 토대로 R의 KoNLP와 Excle을 통하여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것이다. 둘째, 연구동향이 갖는 의미를 연구자의 시각에서 재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하겠다. 그 결과 나는 국내 인공지능 철학연구는 심리철학과 윤리학 기반의 연구로 양분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양분된 연구를 통합된 시각에서 연동하는 것을 ‘인공지능인문학’ 연구단이 이러한 연구의 흐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한다. 그 이유는 존재론 기반이 윤리학 구성의 적실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and classify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esenting a direc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project teams for their future studies. For this purpose, I searched many paper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the first article search site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y search terms were “artificial intelligence, philosoph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he R programming language is a programming language and software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ation and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ill be shown visuall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rends will be re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theresearcher .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domestic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divided into the philosophy of mind and ethics-based research.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flow of suchresearch by linking thetworesearc h types in an integrated way. This is relevant because ontology is based on the relevance of ethic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시의 윤리와 시적 정의 -인공지능인문학을 위한 제언-

        이경수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thics and poetic justice requested of poetry in the coming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is ultimately a sugges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First of all, this paper looks at the development of discourse on poetr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AlphaGo’. We discuss the ethics and possibilities of poetr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views of Richard Watson and Martha C. Nussbaum, with the critical min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writing poetry have to face reflective questions about ourselves and the society we have built. In particular, we seek to find the ethics and possibilities of poetry by invoking the spirit of poetry against defeatism, and by constantly generating a place of surplus which is not wholly occupied by semantics. In order to create a society that coexists peacefull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the effort of a poet as a creator but also poetry education, the enhanc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a consensus on a society where poetic justice is the model of law, institutions, and policies are important. 이 논문에서는 도래할 인공지능 시대에 시에 요청되는 윤리와 시적 정의를 사 유해 보았다. 이는 궁극적으로 인공지능인문학을 위한 제언이다. 우선 이 논문 에서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 이후 인공지능 시대 시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시 쓰는 인공지능이 우리 자신과 우리가 구축한 사 회에 대해 던지는 성찰적 질문과 마주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인공지능 시 대에 예견되는 시의 윤리와 가능성을 리처드 왓슨과 마사 누스바움의 견해를 토 대로 논의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패배주의에 반대하는 시의 정신을 환기하 는 것과, 의미화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는 바깥의 잉여의 자리를 끊임없이 발생 시키는 데서 시의 윤리와 가능성을 찾고자 했다. 또한 타자의 아픔에 공감하고 이들에게 목소리를 되돌려주는 일이야말로 시가 오랫동안 지켜왔던 정신이자 오 늘날의 시가 감당해야 할 중요한 책무임을 밝히고자 했다. 인공지능과 평화롭게 공존하는 타자 존중의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창작주체로서의 시인의 노 력도 중요하지만, 시 교육의 중요성, 시적 정의가 법과 제도, 정책의 모델이 되 는 사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합의 또한 중요하다.

      • KCI등재

        담론의 재현을 통해 본 인공지능 형상화에 대한 연구

        김휘택(Kim Huite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논문은 담론과 재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공지능이 담론을 기반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본고는 특히 인공지능이라는 실재하지 않는 대상을 재현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인공지능이라는 대상은 실재하는 물질로서의 실체가 아니라, 담론으로서의 실체임을 밝혔다. 담론은 언어행위이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언어행위는 선목적화된 미래를 제시한다.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은 선목적화된 미래로 존재한다. 진중권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재현 방식을 설명하는 데 좋은 실마리를 제공한다. 디지털 이미지는 사실 보다 증강된 사실을 우리 앞에 제시한다. 언어행위를 통해 만들어지는 담론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언어행위는 미래를 우리 앞으로 당겨 온다. 그 당겨 온 미래를 통해 새로운 재현물이 탄생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이를 영화 『엑스 마키나』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인공지능의 재현은 현실의 재현이라기보다는 미래에 대한 상상을 현실로 가져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가 그러하듯이 이러한 재현은 다른 개념의 리얼리즘을 관객에게 전달한다. 이는 또 다른 담론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and representation, and examines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presented on the basis of discourse. This paper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ow to reproduce the unreal o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an actual entity as a substance but a reality as a discourse. Discourse is a language act. language behavior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present a pre-purposed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consciousness that does not yet exist exists as a pre-purposed future. The discussion of digital image of Jin Jung-Kwon provides a good clue to explain the reproduction method of what does not yet exist. Digital images are presented to us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discourse created through language action. Language action brings the future forward to us. The new repetition is born through the future that has been pulled.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this through the movie “Ex-Machina”. The rep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movie is not a reproduction of reality, but rather a reflect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future. As with digital images, these representations convey a different concept of realism to the audience. This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nother discours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

        양해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4

        In the 21st century, the status of the human body is rapidly sha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tate of the ar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various names such as "the era of information revolution",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en given and the cyber space The emergence of cyber star, "the emergence of cyborgs that combine human and machine, and the breakthrough of cognitive scienc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are making the human body stand 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if the human race and the human race are referred to as trans-human, then the fourth componen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jor constitu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nthetic biology.do. The reason why we have seriously considered cyborg or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research is because of the position on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called the extended mind. This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grasped into two double characteristics as it is spreading in the expanded min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explores and produces machines that produce intelligent behaviors as part of a computer or software that drives them.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s a computational model for identify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mind as part of the cognitive science that scientifically explores the human mind.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further change the concept of human image and humanity in the future. This is what the humanities of the future will look like.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future and prospects of humanities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humanities. 21세기에 들어 새로운 최첨단 과학기술 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몸에 대한 위상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다. 이른바 21세기는 ‘정보혁명의 시대’, 디지털혁명의 시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등 다양한 명칭이 부여되면서 정보통신의 놀랄 만한 산물인 사이버스페이스와 사이버스타의 출현, “인간과 기계를 합친 사이보그의 출현 및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시한 인지과학 등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인간 신체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다. 이를테면 인간의 변형과 함께 해서 발생한 유사 인종이 공존하는 국면을 포스트휴먼, 그리고 인간의 증강현상을 트랜스휴먼이라 일컫는다면, 4차 산업혁명은 주요 구성자인 인공지능과 합성생물학은 미래사회의 도래를 재촉한다. 사이보그 혹은 인공지능을 철학적 연구주제로 진지하게 고려하게 된 이유는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이라는 인간정신의 본성에 대한 입장 때문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연구는 확장된 마음으로 파급되어 오면서 두 가지의 이중적 성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은 컴퓨터의 일부로서 지능적 행동을 산출하는 기계 혹은 그것을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를 탐구하고 제작한다. 둘째, 인공지능은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일부로서 인간 마음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규명하기 위한 계산적 모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향후 인간의 상(像)과 기존의 인간스러움이라는 개념을 한층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미래 인문학의 모습인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현재 인문학의 모습을 통해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인문학과 교양으로서 역사

        김기봉(Kim, Gi-B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7 No.-

        자연과학이 실재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라면, 인문학은 인간 존재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학문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가운데 오직 인류만이 자기 존재의 의미에 대해 묻는 존재이다. 인간 이외의 다른 동물은 주어진 자연을 살지만, 인간은 문화라고 불리는 자신이 짠 의미의 그물망에 매달려 사는 동물이다. 인간이 자기 존재의 의미를 만들고 의미의 그물망을 짜는 고유한 방식이 스토리텔링이다.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는 누구인지”의 집단 정체성을 의식화 하고, “어떻게 살 것인지”에 대한 삶의 오리엔테이션을 한다. 인간이 이런 ‘호모 나랜스(Homo Narrans)’라는 특성에 근거하여 인간 존재의 의미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 목적으로 인문학이 탄생했다. 인공지능의 탄생과 함께 인간 정체성에 관한 중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여겨졌던 계산과 생각 그리고 판단을 인간보다도 더 잘할 수 있는 기계가 출현하는 것은 이제는 시간문제로 여겨진다. 실제로 그런 인공지능의 등장하면 인류 종(種)이 멸망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문명사적인 위기에 직면해서 인문학은 “우리는 어디서 왔고,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라는 3 가지 큰 문제를 물어야 한다. 역사학은 인문학의 이 3 가지 물음에 대한 답을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을 탐구하고 조사하여 구성하는 이야기로 성립한다, 인공지능 시대 인문학의 3 가지 물음에 답하는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역사서술이 빅히스토리(Big-history)다. 빅히스토리는 우주가 탄생하는 빅뱅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서 세상 만물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역사로 포괄한다. 오늘의 역사가들이 이런 빅히스토리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분과학문의 벽을 허물고 교양으로서 역사로의 전환을 해야 한다. 인류 종(種)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사위가 던져진 인공지능 시대에 “역사가 어디로 가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빅히스토리가 이런 교양으로서 역사의 전형이다. If natural science studies about reality, Humanities reflect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Of all life forms on Earth, only mankind asks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while animals, unlike humans, live in a given nature, humans are animals that hang on the network of meanings created by their culture. Storytelling is a unique way of humans to creat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and to create a network of meaning. Humans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stories, while being conscious of the group identity of who we are and making a life orientation about how to live. Humanities have been born for the purpose of making stories about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Homo Narrans . With the birth of AI, a serious question about human identity has been raised. It is now considered as a matter of time for machines to emerge that can do calculations as well as make thoughts and judgments better than humans. Indeed, the emergence of such AI is raising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that human species will perish. Faced with this civilization crisis, Humanities must ask three big questions: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History is a story that explores and investigates what happened in the past to answer these three questions of Humanities. A history narrative that tells stories that can answer these three questions of Humanities in the era of AI is called “Big History”. Big History starts from the Big Bang when the universe was created, and it covers all stories about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order for today s historians to be able to write a Big History, it is necessary to break down the wall of the discipline and turn it into history as liberal arts.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I, a die is cast to determine the fate of human species. The Big History of exploring “ Hisoria, Quo Vadis ” at the crossroads of human civilization is an archetype of history as liberal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