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에서 바라보는 문화교육

        양해림 한국문화교육학회 200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 No.1

        문화교육에서 문화란 좁은 의미의 문화예술만이 아니라 신체적, 감성적, 윤리적 지적 복합능력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전승되는 삶의 방식이자 인간적 잠재력의 총체, 생명의 다양성에 따라 구현되는 인류학적 문화다양성 등 넓은 의미를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문화교육은 기존의 예체능 교육을 넘어선다. 그것은 지식, 인성, 예체능 교육의 관계를 재조직하여 인간능력의 역동적 복합성(문화적 리터러시)을 활성화하고, 파괴되고 있는 공동체적, 사회적 연대의 기초인 사회문화적 자원(민주적, 생태적 습성)을 재활용하려는 새로운 교육이다. 또한 문화교육을 한정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관점을 포괄한다. 첫째, 지식에의 안내와 문화유산의 감상, 현대문화생활에의 안내, 둘째, 문화가 확산되고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친숙화, 셋째, 문화유산들과 현대문화 간의 불가해한 연결과 동등한 존엄성의 인정, 넷째, 미적, 예술적 교육, 다섯째, 윤리적, 시민적 가치들의 훈련, 여섯째, 매체교육, 일곱째, 간문화적(intercultural)/다문화적(multicultural) 교육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문화교육의 다양한 목적 중에서 그 범위를 한정하여 먼저 문화의 개념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에서의 철학적 규정 및 장르 넘나들기, 미디어 영상문화교육, 문화다원주의와 관용의 문제들을 차례로 진단하고자 한다. In order to define cultural education we first need to define the term culture. Raymond Williams calls culture one of the two or three complicated words in the Englisch language. What is culture? First of all, culture can be used to refer to the things to be made by people. Then, What are made in culture? They are meanings. So we call culture signifying practice. But lived culture is culture as lived and experienced by people in their day-to day existence in a particular space and at a particular moment time. The people who have full access to the culture are those who lived and are living its structure of feeling. Cultural education means common language, institution, custom, practices, and traditions -a shared way of life for people living within certain territorial boundaries which reaches across the full range of human activities. Access to such a culture provides persons with cultural identity, a sense of who they, and others they identify with, are and thus a framework of shared meanings, value, and projects sufficient for meaningful options and choices. On what model should a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work? We have argued that their model, based an set of common values, without any common rank order among these values, is the best one. To be sure, each citizen of a multi-cultural state does a feeling of community identity, a we ideology, but it is desirable that each individual can have more than one such identit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

        양해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4

        In the 21st century, the status of the human body is rapidly sha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tate of the ar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various names such as "the era of information revolution",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en given and the cyber space The emergence of cyber star, "the emergence of cyborgs that combine human and machine, and the breakthrough of cognitive scienc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are making the human body stand 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if the human race and the human race are referred to as trans-human, then the fourth componen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jor constitu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nthetic biology.do. The reason why we have seriously considered cyborg or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research is because of the position on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called the extended mind. This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grasped into two double characteristics as it is spreading in the expanded min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explores and produces machines that produce intelligent behaviors as part of a computer or software that drives them.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s a computational model for identify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mind as part of the cognitive science that scientifically explores the human mind.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further change the concept of human image and humanity in the future. This is what the humanities of the future will look like.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future and prospects of humanities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humanities. 21세기에 들어 새로운 최첨단 과학기술 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몸에 대한 위상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다. 이른바 21세기는 ‘정보혁명의 시대’, 디지털혁명의 시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등 다양한 명칭이 부여되면서 정보통신의 놀랄 만한 산물인 사이버스페이스와 사이버스타의 출현, “인간과 기계를 합친 사이보그의 출현 및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시한 인지과학 등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인간 신체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다. 이를테면 인간의 변형과 함께 해서 발생한 유사 인종이 공존하는 국면을 포스트휴먼, 그리고 인간의 증강현상을 트랜스휴먼이라 일컫는다면, 4차 산업혁명은 주요 구성자인 인공지능과 합성생물학은 미래사회의 도래를 재촉한다. 사이보그 혹은 인공지능을 철학적 연구주제로 진지하게 고려하게 된 이유는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이라는 인간정신의 본성에 대한 입장 때문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연구는 확장된 마음으로 파급되어 오면서 두 가지의 이중적 성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은 컴퓨터의 일부로서 지능적 행동을 산출하는 기계 혹은 그것을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를 탐구하고 제작한다. 둘째, 인공지능은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일부로서 인간 마음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규명하기 위한 계산적 모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향후 인간의 상(像)과 기존의 인간스러움이라는 개념을 한층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미래 인문학의 모습인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현재 인문학의 모습을 통해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 ―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중심으로―

        양해림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3 No.4

        Neu-pragmatismusshermeneutik —Im Mittelpunkt dem Rorty's “Philosophie und der Spiegel der Natur”— Haerim Yang “Philosophie und der Spiegel der Natur”(1979) ist Richard Rortys bisher umfangreichstes und bedeutendstes Werk. Er hat zehn Jahre, von 1969 bis 1979, daran geschrieben. Dieses Buch versteht sich Generalabrechnung mit der neuzeitlichen Philosophie. Die Drei in Rortys Augen bedeutendsten Philosophen unseres Jahrhundertes, Wittgenstein, Heidegger und Dewey stehen für einen vollkommen andern Stil. Wenn Wittgenstein, Heidegger und Dewey von Rorty auf ein- und dieselbe Liste von Kronzeugen gesetzt werden, irritiert das nur solange, als nicht bedacht wird, was er durch diese Zeugen belaubigen lassen will. Hermeneutik und die von Rorty vertretene ganzheitliche, holistische Herangehensweise hängen eng miteinander zusammenen. Wir können einzelne Teile einer fremden Kultur, Praxis, Theorie, Sprache etc. nicht verstehen, ohne schon zumindest versuchsweise Vorgriffe auf ein Verständnis des Ganzen zu machen. Die Verwendung des Begriffs Hermeneutik verdankt Rorty weitgehend einem einzigen Buch: Gadamers “Wahrheit und Methode”(1960). Entscheidend ist seine Ersetzung des Erkenntnisbegriffs durch den Bildung. Rortys Kernthese lautet: Die Verknüpfung des Mentalen mit dem Fundamentalen ist der Hauptfehler der gegenwärtigen Philosophie. Diese Fehler began an der Wende zur Neuzeit mit Descartes, der das Mentale als eigene abgetrennte Dimension verstanden hatte. 【Stichwörter】Rorty, Gadamer, Neu-pragmatismus, Bildung, Dialog 문】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1979)은 지금까지 어느 저서보다 가장 광범위하고 중요한 저작이다. 특히 그는 1969-1979사이에 걸쳐 많은 저작을 남겼다. 이 책은 근대 철학과 함께 일반적인 해체로서 이해하였다. 로티의 관점에서 우리시대의 가장 중요한 세 철학자, 즉 비트겐슈타인, 하이데거, 듀이는 완전히 다른 스타일로 다가온다. 로티가 비트겐슈타인, 하이데거, 듀이를 동일한 선상에서 주요한 인물로 설정한 한 것은 그다지 임의적인 것이 아니기에 쉽게 혼란에 빠지지는 않는다. 로티에게 있어서 해석학은 전체주의적이고 전일주의적인 접근방식과 밀접히 연관된다. 우리는 최소한 전체의 이해에 대한 先개념 없이 낯선 문화, 실천, 이론들의 개별적인 부분을 이해할 수 없다. 로티는 해석학의 개념에 대한 적용을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1960)의 저서에서 의존하였다. 결정적으로 로티는 가다머의 육성개념을 통해 그의 인식개념을 설정하였다. 로티의 주요과제는 다음과 같이 진행 된다: 기초주의와 연관된 특징은 현대철학의 주요한 실패이다. 이러한 실패는 근대 이후로 데카르트가 정신과 육체를 분리한 차원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필자는 로티의 해석학을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맥락에 따라 필자는 로티의 철학을 “인식론에서 해석학의 전회, 반표상주의의 해석학, 통상적 담론과 비통상적 담론, 체계적 철학과 교화적 철학”을 구분하고 이것들을 차례로 살펴보고, 그가 의도하고자 하는 바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언어

        양해림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2 No.3

        Hermeneutisch Verstehen und Sprache bei Gadamer Haerim Yang Gadamers "Wahrheit und Methode" stellt die wohl bedeutendste, sicherlich wirkungskräftigste Leistung aus der Schule Heideggers dar. Den Ausgangspunkt bildet Heideggers Kritik der neuzeitlichen Wissenschaft, die die wirkliche Erfahrung des Menschen verfehle. Darin weiß sich Gadamer mit anderen Entwürfen verbunden, die die Wahrheit antiken Philosophierens gegen die Methode neuzeitlicher Wissenschaft zu bewahren suchen. Nun hat Gadamer gegenüber dem Historismus, vor allem Diltheys, zweifellos recht, und es ist imponierend, wie er aus dessen Aporien seine eigene Fragestellung entwickelt und durchführt. Es ist also konsequent, wenn die Analysen von "Wahrheit und Methode" ihren Abschluß in der Identifikation von Sein, Sprache und Selbst darstellen finden, wobei Sprache dann nicht mehr nur als die der Kunst oder Geschichte, sondern als allem Seinden zugehörig begriffen werden muß. Gadamer besteht, dabei Sprache nur als wirkliches Gespräch, als ein Dialog, als Frage und Antwort und als Wort und Antwort ihre innerste Wahrheit erhält. 【Stichwörter】Verstehen, Methode, Vorurteil, Hermeneutischen Erfahrung․ Wirkungsgeschichte, Geschichlichkeit des Verstehen 문】가다머의 보편적 해석학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발판으로 출발한다. 그의 해석학적 사유는 “모든 이해에는 항상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전제를 받아들인다. 가다머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을 토대로 하여 역사성과 언어성을 구체화시키고, 하이데거의 이해의 선구조에서 先파악함(Vorgriff)에 착안하고 있다.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이해가 존재이해이며 현존재의 자기이해라고 규정된다면, 인간에게서 선입견(Vorurteil)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겨난다. 가다머는 선입견을 이해작용으로 관련짓기 때문에 이해의 방해요소가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 의미로 받아들인다. 그는 선입견의 개념을 역사의 과정에서 드러난 이해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이해에 작용하는 선입견으로서의 역사를 영향사(Wirkungsgeschichte)라 부른다. 가다머에 있어서 영향사적 의식에 대한 역사이해는 언어에서 등장난다. 여기서 언어는 해석학적 경험의 매체가 된다. 따라서 가다머에게 있어서 언어의 문제는 해석학적 철학의 중심논제로 등장한다. 그는 언어에 대한 관심을 초기의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학에 영향을 받고 언어의 보편성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언어와 존재의 관계를 해석학적 단서로 파악할 수 있는 관점은 하이데거가 주장하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는 명제와 가다머가 “존재는 진리의 집”이라 언급한 표현에서 잘 나타난다. 따라서 필자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에서 중요한 열쇠개념으로서 작용하는 이해의 역사성, 영향사적 의식, 해석학적 경험의 매체인 언어를 중심으로 일별하고, 가다머 해석학의 영향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딜타이의 보편적 교육학 연구

        양해림 한국하이데거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1

        Wilhelm Dilthey (1833–1911) mentions educational regulations consistent with universally valid fundamental principles in his pedagogical lecture and pedagogical paper titled “On the Possibility of Universally Valid Pedagogy” (1888). In particular, he focuses on how universal pedagogy can be applied in field education. Here, he presents in detail the “purposes,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of education for very diverse peoples and times.” For him, pedagogy presented the most general regulatory conditions for the norms or universal rules of spiritual life. In other words, he sought to enhance the spiritual life of individuals by giving teleological characteristics to an already established cultural system—in this case, education. Dilthey deals with the educational system that was taken for grant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from the introduction of pedagog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o the great educationalist Herbart. The excellent pedagogical system emphasized by Dilthey should be able to present the purpose of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values of educational objects”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all peoples. Therefore, the author examines the contents of Dilthey's view of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universally—that is, the purpose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the value of the subject of education—by limiting it to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and ultimately 21. I would like to reexamine what education reform means in this century’s AI society from Dilthey’s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푸코의 남성주체에 관한 몸과 성의 담론:『性의역사』를중심으로

        양해림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31 No.-

        Foucault's Discourse on the Body and Sex in Subject of Male-Centering around History of Sexuality 문】흔히 21세기를 소비사회라 부른다. 이러한 소비사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호는 몸이라고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부터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몸과 성에 대한 몸의 담론이 크게 확산되면서 예술 문학 생명복제 성형수술 유전공학 스포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20세기 후반 들어 몸은 지금까지 남성중심의 가부장제를 극복하려는 페미니스트들의 일련의 실천 활동의 노력으로 학문적으로도 개념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여성들의 이러한 사회 구성적 입장에서 몸과 성에 관한 담론은 미셸 푸코의 저서『성의 역사(I, II, III)』와 합류하면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푸코는 서구의 남성철학자들과는 다르게 인간의 성과 몸에 관심을 보이면서 성과 몸이 사회적 담론이 됨을 밝혔다. 그는 몸과 성이 단순한 성인 남녀의 담론이 아니라 남성들의 거대한 권력조직과 연결되고 있다고 보았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지금까지의 남성중심적인 성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푸코의 눈을 통해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