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결형 {-삽} 이형태의 분포 변화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고는 근대국어 시기에 등장하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 환경을 살피고 그 변화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먼저 종결형 {-삽}의 이형태 ‘-삽’, ‘-압’, ‘-잡’의 분포 환경을 17~19세기까지 세기별로 살피고, 이를 통해 드러난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9세기에 ‘-잡’이 실현되던 환경에서 종결형이 이형태 ‘-삽’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19세기에 이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와 시기 상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18세기 선어말어미에서 일어난 변화의 영향으로 뒤이어 종결형에서도 같은 환경에서 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19세기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삽’으로 단순화하는 변화가 완성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ㄴ, ㅁ’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압’ 으로 단순화를 겪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종결형에서는 ‘-삽’ 분포 환경에 ‘-잡’이 공존하는 반작용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화자 겸양의 선어말어미 {-삽-}에 기원을 둔 태생적인 문제로 인해 본래 이형태 ‘-잡’의 세력이 매우 미미하기도 했지만, 종결형의 경우 이형태 ‘-잡’이 선어말어미보다 빨리 소멸의 길로 접어들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and the ending {-sʌb}, which appeared in early modern Korean, with the aim to examine its changes.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of the ending {-sʌb}, which are ‘-sʌb,’ ‘-ʌb,’ and ‘-jʌb,’ by century, from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y. The changes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the allomorphs we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 in which ‘-jʌb’ was realized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replaced with the allomorph ending of ‘-sʌb,’ which show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jʌb’ to ‘-sʌb’ took plac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time difference with the pre-final ending was caused as the changes in the pre-final end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led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ending ‘-jʌb’ to ‘-sʌb’ under the same environment.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us a period when the allomorph of the ending ‘-sʌb’ was simplified into its allomorph ‘-sʌb.’ Second, although records do not confirm which allomorphs of either ‘-sʌb’ or ‘-ʌb’ were distributed after /n/ and /m/,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sʌb’ that was realized. In other words, the allomorph ‘-ʌb’ had already been reduced to be distributed after vowels and /r/, and was thus simplified into ‘-sʌb’ after /n/ and /m/, where ‘-ʌb’ would have been originally distributed. Third, the reaction, through which ‘-jʌb’ would have coexisted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for ‘-sʌb,’ did not take place in the endings. While it was because the allomorph ‘-jʌb’ lacked the power, as it originated from the addressee-honorific pre-final ending {-sʌb-}, this paper also posited that in the case of the endings, the allomorph ‘-jʌb’ disappeared faster than the pre-final ending.

      • KCI등재

        이형태의 성격과 이형태교체의 유형

        김유범 ( Kim Yu-pum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에서는 이형태들이 지닌 성격과 이형태들의 교체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을 논의해 보았다. 먼저 이형태의 성격과 관련해서는 형태들의 형태소 귀속 문제와 이형태 간의 외형적 거리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형태소 귀속 문제는 공시적 차원의 검토와 이형태 체계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형태 간의 외형적 거리 문제는 개별 형태소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형태소의 역사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이형태교체의 유형은 음운론적으로 조건된 교체와 비음운론적으로 조건된 교체로 나누어 각 교체 유형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형태와 이형태교체에 대한 쟁점과 관련해서는 이형태와 상보적 분포, 이형태교체와 통사론적 조건을 논의했다. 음운론적으로 조건된 이형태들의 경우 상보적 분포를 엄격히 지키는 반면, 문체론 및 화용론적으로 조건된 이형태들의 경우에는 상보적 분포가 절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언어에서 통사론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교체의 예들을 볼 수 있는데, 어순이나 타동성 여부, 문장 유형 등 통사론적 조건의 내용은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haracter of allomorph and the types of allomorphy alternation and to discuss some relevant problems. Firstly, mentioning how to let morphs appertain to morphemes, it is necessary to have a synchronic and systematic view relating to allomorphs. Talking about the external distance problem between allomorphs, besides, it could be variable according to each morpheme and related to historical change of relevant morphemes. Secondly, we have examined the types of allomorphy alternation in the dimension of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and non-phonologically conditioned ones on the base of various discussions so far. Lastly, we have discussed the problems of allomorphs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as well, allomorphy alternation and syntactic condition.

      • KCI등재

        POI 이형태 데이타베이스 구축 시스템

        양승원(Seung Weon Yang),이현영(Hyun Young Lee),왕지현(Ji Hyun 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3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찾기 위하여 목적지의 이름, 분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들 중에서 목적지의 이름을 사용한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공급사에서 제공하는 POI DB에 등재된 이름을 정확히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편의상 축약된 명칭이나 일반적으로 불리어지는 명칭 등으로 POI 검색을 시도하므로 검색이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름으로 검색 할 때 검색 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는 이형태 DB 구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원 DB의 POI 명과 연결되는 이형태를 생성하여 DB화한다. 우리는 이형태의 생성을 위하여 약 650,000 개의 개체를 가지고 있는 원 DB의 POI 명으로부터 모은 패턴을 분석하여 이형태의 유형을 7 가지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유형을 토대로 일정한 패턴이 존재하여 자동화가 가능한 유형들에 대하여 577개의 규칙을 만들어 자동으로 이형태를 구축하였다. 규칙으로 만들기가 어렵거나 빈도수가 적은 개체들에 대해서는 수동으로 이형태를 구축하였다. 생성된 비율은 전체 POI DB의 35.8%에 해당하며 구축한 이형태 DB를 사용한 검색 성공률은 89%이었다. People use various information for searching POI in the navigation system such as name, category, address, phone number. Most of users use name and category to search their POI. They don't know exact name in POI DB provided by Maker. They use abbreviated or generalized name as key word for searching POI.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hit ratio has been very low. In this paper, We suggest a extra DB_construction system for raising the hit ratio. It generates allomorphes DB link to the POI name in original DB. We classified the POI names in original DB into seven types of allomorph by analyzing the gathered patterns from the POI DB which has over 650,000 entries. For auto_generating the allomorphes, we made 577 rules based on the classified types. And we generated the allomorphes manually for the entries which are difficult to make the rule and has low frequency. The generated allomorphes account for 35.8% of all original DB. The hit ratio is 89% under suggested system.

      • KCI등재

        국어 형태소와 이형태의 관계

        송창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problems about the morpheme and the allomorph in Korean. Most of the Korean linguists regarded that allomorphs of the morpheme {palk-} were /palk-/ in ‘palkeun’, /pak-/ in ‘paktta’ and /pang-/ in ‘pangneun’. And they regarded that allomorphs of the morpheme {-eoss-} which represented the past tense were /-eoss-/, /-ass-/ and /-yeoss-/. Both of these are entirely different in that the former corresponds to the phonetic form and the latter is irrelevant to the phonetic form. If we consider that the phonetic forms corresponds to the allomorphs, then allomorphs of the morpheme {-eoss-} can be /-eoss-/, /-ass-/, /-yeoss-/, /-eot-/, /-at-/, /-yeot-/, /-eon-/, /-an-/ and /-yeon-/. To solve this issue, I examined the allomorphs of ‘be’ verb in English and the allomorphs of the possessive adjective in French. Then I looked over the deletion, the contraction, and ‘n’ addition in Korean. Therefore I made a suggestion that we need not regard the phonetic alternations as allomorphs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orphology and the phonology. So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xcluding the phonetic forms which could be explained by the phonological rules from the allomorphs. I insisted that we had to exclude the phonological phenomena while we discuss the morpheme and the allomorph, because not the morphology but the phonology deal with the phonological phenomena which occurred on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morphemes. 이 연구에서는 국어 형태론에서 논란이 되어왔던 형태소와 이형태 사이의 관계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 ‘값’이 환경에 따라 [값], [갑], [감], [깞], [깝], [깜]으로 발음되는 것을 이형태로 다루어 왔다. 그렇지만 영어에서 ‘be’ 동사의 이형태로 설정하는 /am, are, is/, 프랑스어에서 1인칭 소유 형용사 /mon, ma, mes/가 환경에 따라 다른 음성 형태로 실현되기는 하지만, 이들을 이형태로 처리하지 않는다. 특히 프랑스어의 의문문에서 3인칭 단수 대명사가 동사 뒤에 위치할 때 ‘t’를 첨가하는 현상에 대해 실제 발음형을 이형태로 설정하는 관점에서는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이형태의 범위에 대한 문제점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국어의 몇 가지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으’ 탈락과 ‘ㄹ’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를 검토하였는데, ‘쓰-, 살-’에서 ‘으’나 ‘ㄹ’이 탈락한 ‘ㅆ-, 사-’를 이형태로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음운 축약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축약된 형태에서 이형태를 설정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음운 첨가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첨가된 음운을 두 형태소 중의 어디에 상정할 것인지가 문제가 되었다. 그리고 실제 발음형을 이형태로 보는 관점은 ‘맛있다, 멋있다’에서 벽에 부딪히게 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밭일’에서처럼 합성어가 형성될 때 ‘ㄴ’ 첨가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실제 발음형을 이형태로 다루는 관점이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이 연구에서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일어나 는 음운 현상은 음운론의 소관 사항임이 분명하기 때문에, 음운 규칙이 적용된 결과로 생기는 음성형은 이형태를 논의할 때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 새로 보기

        김건희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8

        본고에서는 단순히 몇 가지 예시의 나열에 그쳤고, 기존에 이견 없이 받아들여졌던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이형태의 원형적인 유형인,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 예시를 확충하고, 특히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보충법적 교체(PCSA)’을 비롯한 Paster(2006, 2016)의 이형태 분류 개념을 수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건과 유형을 구분하며 어근과 접사 부문의 적용 양상 등을 살펴 이형태 분류 체계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언어유형론적 관점의 국내외 이형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i) 음운론적 이형태 교체도 특정한 형태소의 선택과 관련된 형태론적 관점(어휘론적 조건)이 작용하는 것과 (ii) 단일한 이형태 ‘유형’도 하나 이상의 이형태 ‘조건’을 동시에 가지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y and establish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allomorphy based on the condition and type(form). Specifically the phonologically conditioned suppletive allomorphy is adopted and multiple underlying form is proposed in the allomorphy type on the basis of paster(2006, 2016). The application scope of alternation is respectively discussed in root and suffix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dition and type(form) must be emphasized in the classification of allomorphy. Most of all, the morphological viewpoint which show the preference on the specific morpheme is appeared even in the phonological allomorphy selection. Furthermore the single type allomorphy is conditioned simultaneously by more than one of the factors, in the case of ‘eulo/lo’ alternation, phonologically conditioned(by consonant or vowel) and lexically conditioned(by ‘ㄹ’ ending root).

      • KCI등재

        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

        박재연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이 논문은 한국어 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보충법이 이형태 논의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재확인하고 기존의 논의에서 보충법으로 다루어 온 문법 현상을 두 종류로 구별하였다. 즉 보충법적 이형태를 발생시켜 이형태 교체 논의에서 다룰 수 있는 현상과, 넓은 의미에서 보충 현상을 보이되 보충법적 이형태를 상정할 수 없는 현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의미적․화용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 개념의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형태 성립의 기준으로 의미의 동일성 기준을 엄밀히 적용한다면 의미적 조건에 의한 이형태 개념은 성립할 수 없다. 이형태 교체에 의미적 조건이 개입된다면 이미 그것은 의미 기능을 달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각각 ‘주-’, ‘않-’과 이형태 관계에 있다고 논의되어 온 ‘달-’과 ‘말-’은 의미를 달리하는 별개의 단어로 보아야 한다. 화용적 조건에 의한 교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논의도 있으나 화용적 가치가 다른 것은 문체적 차이에 의한 유의어로, 음운 규칙의 수의적 적용에 따른 것은 자유 변이 형태로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선어말어미 {삽} 이형태의 분포 변화

        박부자(Pakh Bu-ja)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6 No.-

        본고는 15세기 국어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가 근대국어 시기를 거치면서 어떠한 변화를 겪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혀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기저형을 기준으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의 기능에 따라 {?}의 이형태 실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선어말어미 {?] 이형태의 분포 변화와 관련된 양상을 /?/으로의 단순화, /?/ 환경에 공존하는 /?/, /?/ 환경에 공존하는 /?/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으로의 단순화는 16세기에 주체 겸양의 {?}이 ‘ㄴ, ㅁ’ 뒤에서 /?(> ?)/이 아닌 /?/으로 나타나면서 시작되었지만, 주체 겸양의 경우 19세기에 이형태 /?/은 거의 사라지고 /?/과 /?/이 어휘화 과정에 참여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반면 화자 겸양의 {?}은 17세기에 ‘ㄴ, ㅁ’ 뒤에서 /?/으로 나타난 이후 18세기에 /?/의 분포가 더욱 확대되어 본래 /?/이 분포하던 환경에서도 /?/이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를 전후해서는 화자 겸양의 {?}이 ‘ㄹ’ 이외의 자음 뒤에서 /?/으로 이형태가 통일되었다. 이와 같이 /?/으로의 단순화가 16세기에 ‘ㄴ, ㅁ’ 환경에서 시작된 것은 ‘Δ’의 변화로 남부방언형인 ‘ㅅ’형이 유입된 데에 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반면 ‘ㄹ’ 뒤에서 /?/으로 단순화하지 않은 것은 ‘ㄹ’ 말음 어간이 다른 자음 어간과 달리 모음 어간과 활용 양상을 같이 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 분포 환경에 공존하는 /?/은 화자 겸양의 경우 /?/으로의 단순화가 반영된 것이며, 주체 겸양의 경우는 단순히 /?/으로의 단순화에 이끌려 나타난 현상으로 /?/이 /?/으로 단순화하지 않았다. /?/ 분포 환경에 공존하는 /?/은 주체 겸양의 경우이든 화자 겸양의 경우이든 /?/>/?/ 변화에 대한 반작용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의 이형태가 단순화하여 자음 환경에서 /?/으로만 실현된 것은 화자 겸양의 기능을 하는 경우이다. 주체 겸양의 {?}은 선어밀어미로서는 자취를 감추고 자음 환경에서는 /?/이 어휘화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주체 겸양의 경우에는 {?}이 선어말어미로서 자격을 상실함으로써 이형태가 /?/으로 단순화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of allomorphic forms of the prefinal ending {s?p} and the causes between the fifteenth century and tile twentieth century. The simplification to {s?p} begins with me addressee honorific form {s?p} when /z?p(>?p)/ appears as /s?p after 'n(ㄴ), m(ㅁ)' in the sixteenth century. This allomorph /s?p/ in tile addressee honorific form almost disappeared by the time of the nineteenth century although /z?p/ and /?p/ barely survived as the constituents of lexicalization. Meanwhile, a speaker's polite form {s?p} appeared as /s?p/ after 'n(ㄴ), m(ㅁ)'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ook the place of /z?p/ as the consequence of the expansion of /s?p/ in the eighteenth century. Close to the tum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humble form {s?p} was combined to /s?p/ after a consonant with the exception of '1(ㄹ)'. This paper has suggested mat the simplification to /s?p/ after 'n(ㄴ), m(ㅁ)' in the sixteenth was possibly caused by the addition of me southern regional form 's(ㅅ)' in place of 'z(Δ)'. However, this does not seem to be the case for the humble form {s?p} after '1(ㄹ)' because, unlike the other verb stems ending with a consonant, the verb stems ending with '1(ㄹ)' were conjugated in the same manner as those ending with vowels. As for /s?p/ appearing in the place of /z?p/, the speaker's polite form /s?p/ reflects me simplification to /s?p/; but, the addressee honorific form /s?p/ was merely drawn to the simplification to /sop/ without simplifying the original form /z?p/ to /s?p/.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z?p/ in the place of /s?p/ is attributed to the hypercorrection in the process of simplifying /z?p/ to /s?p/ regardless of the different types of honorific forms.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외래어 이형태 생성을 위한 확률 문맥 의존 치환 방법

        이재성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2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exact match, needs preprocessing or query expansion to generate transliteration variants in order to search foreign word transliteration variants in the documents.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method to generate other transliteration variants from a given transliteration. Because simple rewriting of confused characters produces too many false variants, the proposed method controls the generation priority by learning confusion patterns from real uses and calculating their probability. Especially, the left and right context of a pattern is considered, and local rewriting probability and global rewriting probability are calculated to produce more probable variants in earlier stage.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method was very effective by showing more than 80% recall with top 20 generations for a transliteration variants set collected from KT SET 2.0. 완전 일치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외래어 이형태를 검색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외래어 이형태를 자동 생성하는 전처리나 질의어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외래어가 입력되면, 이를 근거로 실제 사용될 만한 외래어 이형태들을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혼동 자소를 단순하게 치환하는 방법은 불필요한 이형태를 과도하게 생성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문서에 사용된 외래어 이형태들로부터 혼동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확률로 계산하여 생성 순서를 조절하였다. 특히, 혼동 패턴에서 좌우문맥을 고려하고 지역 치환 확률과 전역 치환 확률을 계산하여 조기에 많이 사용하는 이형태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KT SET 2.0에서 추출한 이형태 데이터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상위 20개의 생성으로도 평균 80% 이상 찾아내어 이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였다.

      • KCI등재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의 형태론과 음운론

        최명옥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rphology and phon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Previous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have two problems. One problem is that those studies fail to determine the morpheme of each ending. Another problem is so that they could not explain the process which derives allomorphs from morpheme. I suggested solotuions of the problems in this paper. One is to determine the morphemes of conjugation endings, which are the unique morphemes and complex morphemes, based on the analyzing methods in Structual Morphology and the method for setting up the underlying forms in Generative Phonology. Another is to explaine the process which derives the allomorphs from the morpheme based on the methods which explain the phonological process in Generative Phonology. In other words, the allomorphs of a unique morpheme derive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o the morphem in phonologial component. On the other hand, each lexicalized allomorph that consisted of the complex morpheme is selected by the lexical selection rules in syntacticㆍsemantic component firstly. After then, the allomorphs of the lexicalized allomorph which is selected derive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o the lexicalized allomorph in phonological component. 이 논문은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에 대한 형태론과 음운론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 한국어 곡용어미에 대한 종래의 형태론에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곡용어미의 형태소를 설정하지 못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형태소에서 이형태들이 도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그들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했다. 하나는 구조주의 형태론의 형태분석 방법과 생성음운론에서의 기저형 설정 방법을 바탕으로 곡용어미들의 형태소(단일형태소와 복합형태소)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생성음운론에서 음운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을 바탕으로 형태소로부터 이형태들이 도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단일형태소의 이형태들은 음운부에서 단일형태소에 음운규칙이 적용됨으로써 도출된다. 한편 복합형태소를 구성하는 각 어휘화한 이형태는 먼저 통사ㆍ의미부에서 어휘선택규칙에 의해서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어휘화한 이형태의 이형태들은 음운부에서 어휘화한 이형태에 음운규칙이 적용됨으로써 도출된다.

      • KCI등재

        이형태교체의 조건과 중세국어 이형태교체의 몇 문제

        김유범(Kim Yu-Pum)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In this paper I treat with mainly two kinds of contents. To begin with I suggest the existence of syntactically conditioned allomorph(briefly ‘syntactic allomorph’) through nice data in middle Korean, and secondly I critically examine some controversial issues on which a noted scholar gave his own opinion formerly. The issues are concretely as follows: alternations of honorific prefinal ending [-ŋi-] and [-?si-]. By and large the conditions of allomorphic alternation may be roughly classified into phonologically conditioned one and non-phonologically conditioned one. In case of non-phonologically conditioned on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elucidate the concrete types of it. Several data in middle Korean encourage me to set up a new type of non-phonologically conditioned one, that is syntact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Some controversial issues on which a noted scholar gave his own opinion remain unsettled yet. I pointed out the mistakes he had made in his former paper and emphasized even more serious attitude on dealing with linguistic data. In addition I mentioned one more issue associated with allomorphic alternation according to k-deletion. The identity of circular maker ‘ㅇ’ is of vital importance in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inventories of middle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