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배일기에 기록된 가족 사별(死別)과 유배객의 심적 상태 : <적소일기>와 <신도일록>을 중심으로

        조수미(Cho, Su-mi)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5

        유배라는 형벌을 이해할 때 그것이 갖는 정치적 의미에 지나치게 집중하게 되면, 그 형벌이 살던 곳에서의 추방, 가족과의 격리 등을 동반하는 일상의 파괴였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유배가 가진 징벌적 성격은 가족 구성원을 강제로 이산(離散)시킴으로써 유배객과 그 가족들에게 가하게 되는 정신적 고통에도 그 중요한 본질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약행의 유배일기 〈적소일기〉와 이세보의 유배일기 〈신도일록〉을 대상으로 하여 일기에 나타난 가족 이산, 특히 사별(死別)의 정황과 그 기록 속에 드러나는 유배객의 심적 상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유배일기에는 대체적으로 유배객이 부고장을 받는 것으로 가족과의 사별에 대한 서술이 시작된다. 평상시와 같았다면 오히려 부고장을 다른 이들에게 보내주어야 하는 입장의 유배객들이, 오히려 뒤늦은 부고를 통해 가족의 죽음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지는 상장례 절차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다른 이를 통해 전해 듣고, 유배객 본인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정황들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서술 속에서 발견되는 유배객들의 두드러진 심적 상태는 자책(自責)과 여한(餘恨)이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가족의 죽음에 자신의 유배가 직·간접적으로 그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 때문에 느끼는 괴로움은 자책으로 이어지고, 장례 절차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는 유배객으로서의 처지는 되돌릴 수 없는 여한을 남기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유배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일대 사건 앞에서 그 징벌적 특성이 부각 된다. 가장 가까운 이를 절망과 기다림 속에서 죽음으로 이끌기도 하고, 영원한 이별 앞에서도 방관자로 머물 수밖에 없도록 하는, 일견 매우 가혹한 형벌이었던 것이다.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meaning behind punishment of exile, it is easy to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a destruction of daily life accompanied by the expulsion from one’s place of residence and isolation from one’s family.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n forcibly dispersing family members was the main sourceof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amongpeople in exile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ntal state of those in exile by focusing on the circumstances of family separation, especially during bereavement, by referring to exile diaries such as Kim Yak-haeng’s 〈Jeoksoilgi〉 and Lee Se-bo’s 〈Sindoilrok〉.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when an exile received news about the death of his family he experienced self-blame and regret. This desperate pain of believing that his exile may have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death of his family leads to self-blame, Further, being an exile who cannot properly participate in the funeral process creates an irreversible sadness. Thus,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s significant in the major event of death in the family. The cruel punishment, of exile not only leads one’s family to death while they wait in despair but also forxes exiles to remain as bystanders eternal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them. Thi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why exile was chosen as the second most severe punishment right after the death penalty.

      • KCI등재

        유배인 심노숭의 孤獨과 文筆로써의 消愁 -유배일기 『南遷日錄』을 중심으로-

        김영진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7 No.-

        Some of Sim No-sung's literary works such like sentimental prose and poem, already have introduced to the public. He had been exiled to Changgi county from 1801 to 1806, and he wrote his diary without omission during that period. In this paper, I studied the aspect of loneliness found in his literature, especially focusing on his journal. As the first step, I investigated the political reason of his exile. And then I researched Namch’ŏn Ilnok and Sanhae p’ilgi by textual studies. Sanhae p’ilgi is a selected collection of Namch’ŏn Ilnok. In the second place, I introduced the aspect of loneliness in his literature, and his creating activity. In fact, the loneliness in his literary works is nither outright nor massive. However, as he stick to his delicate emotions during his entire life, we can find his loneliness and sentiments from his journal. He tried to solve his loneliness and pain by creating literature. He wrote every phase of his exile life in journal, and he sent it to his home. Furthermore, he translated it into the Korean alphabet for his mother. Sometimes he exchanged his journal for his brother's journal. He wrote the products, things, historical feature, political situations, and scenery in his journal with free touch. And his journal itself was a high standard literary work. I will look for his uniqu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with other writers. And the connections with Su shi(蘇軾) and Yuan Zehn(元稹) also is an important task. 孝田 沈魯崇(1762~1837)은 아내에 대한 悼亡詩文을 대표로 하는 感傷的인 글들이 기존에 소개되었었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1801년부터 1806년까지 機張縣에 유배되었는데 유배생활을 빠짐없이 일기로 남겼다. 본고는 심노숭의 유배일기를 중심으로 小品 작가의 문학에서의 孤獨의 표출 양상을 考究해보고자 쓰여졌다. 그 기초 단계로서 심노숭이 유배에 처하게 된 가문적, 정치적 내력과 유배일기 『南遷日錄』 및 이것의 選錄인 「山海筆戱」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2장과 3장에서 우선 알아보았다. 「山海筆戱」는 『南遷日錄』에서 총 551話를 選錄한 것이다. 4장에서는 流配人 심노숭의 고독의 양상과 그 消遣 方法으로 택한 ‘문필’ 활동을 소개하였다. 사실 심노숭 유배일기에서 확인되는 심노숭의 孤獨은 全面的이지도 않고, 큰 분량을 차지하지도 않는다. 다만 感情의 여린 선을 그 어떤 문인보다 강하게 가지고 있던 인물이기에, 유배일기에도 특유의 孤獨과 感傷이 종종 드러나 있다. 이를 소개해보았다. 심노숭은 유배지의 고독과 고통을 다양한 글쓰기 작업 즉 ‘文筆’로 해소했다. 일기의 형식으로 생활의 모든 것을 담아 고향으로 보냈는데 모친을 위해 諺文으로 번역하기까지 했다. 아우의 일기와 交換도 겸하였다. 그의 일기 속에는 유배지의 낯선 風光과 事物․物産, 역사와 인물, 자신이 겪은 政爭과 당대의 정치 상황이 상세하게 적혀 있다. 수준 높으면서도 감동력 있는 人物記事, 事件記事, 문예성 있는 잡록 등 자유로운 문체의 名文들이 탄생했다. 향후 심노숭 유배일기를 동시기(이옥, 김려 등)의 유배문학 및 선후의 유배문학과 대비 고찰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심노숭 문학에의 깊은 영향으로서의 蘇軾․元稹과, 불교․도교조차 자신의 삶과 생활에 밀착시킨 심노숭의 독특성 등도 향후 考究의 대상이다.

      • KCI등재

        유배 배행일기의 서술전략 연구

        조수미(Su-mi Cho)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0

        유배 배행일기는 유배되신 아버지나 할아버지 혹은 스승의 유배길을 아들이나 손자, 제자 등이 배행하고 그 경험을 기록한 일기를 말한다. 유배인과 배행인의 관계적 특수성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대개 유배인과 배행인은 정서적으로 매우 긴밀히 연결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배 배행일기는 배행인 개인의 경험과 소회를 아무런 목표와 의도 없이 기록하기만 한 것은 아닐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다. 배행 일기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서술목표는 유배되신 어른들의 진정한 ‘신원(伸冤)’을 위해, 유배의 부당함을 인정받고 그분들의 훼손된 명예를 회복하는데 필요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대표적인 유배 배행일기들이라 할 수 있는 〈남행록〉, 〈북천일록〉, 〈창구객일〉을 살핀 결과 그러한 서술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유배의 빌미가 되었던 상소문의 내용과 상소문을 작성하게 된 경위 등을 상세히 설명하는 ‘직접적 해명의 서술전략’과 유배길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 유배길에 나선 어른들에 대한 호의적 평가를 전하고 그분들의 당당한 태도와 인품을 서술하는 ‘간접적 해명의 서술전략’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접적 해명의 서술방식은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원을 위한 근거 확보에 기여한다. 간접적 해명은 비록 무죄를 직접적으로 증언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죄’유배를 납득시킬 수 있는 공감의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서술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신원을 위해 유배 배행일기에 어떤 서술전략이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가까이는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다른 유배일기를 이해할 단서를 얻고, 더 나아가서는 역사를 두려워할 줄 아는 인간의 보편적 감정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iary of a Man Who Followed Exile is a diary that records the experience of a father, grandfather, or teacher who is going to exile by a son, grandchild, or disciple. As can be guessed from the relational peculiarity of the exile and the accompanist, the exile and the accompanist are inevitably very closely connected emotionally. Therefore, the diary of the exile does not merely record the experience and the subconscious of the individual without any purpose and intention. The ultimate goal of the diary is to claim the injustice of exile and to restore their damaged repu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Namhaengnok〉, 〈Bukcheonilrok〉, and 〈Changguekil〉, it was found that narrative strategies of direct explanation and indirect explanation were used to achieve such narrative goals. The descriptive method of direct clarification contributes to securing the basis for identity by providing diverse and rich information. Indirect explanation is not an objective basis, but it is a very intense and effective narrative strategy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sympathy that can convince innocent exile.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what narrative strategies were used in the exile diary for identity, we can get clues to understand other exile diarie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furthermore, we can identify the universal emotions of human beings who are afraid of history.

      • KCI등재

        유배압송일기 「북정일기(北征日記)」 연구 - 유배인과 압송관의 갈등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

        조수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2

        ‘Bukjeongilgi’ is Manhoe Kwon Deuk-gi’s Exile convoy diary. This is a record of the convoy Ryu Young-kyung. The development of the conflict could be summed up as ‘the occurrence of conflict-the deepening-the effort to resolve the conflict -the end.’ In general, even if the escort officer, which did not have any antipathy toward the exile in the first, conflicts begin when the schedule of the exile falls apart. And at some point, the exile and the escort officer are emotionally at odds. However, as the schedule for the exile draws to an end, a sense of solidarity is formed between the exile and the escort offic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mmon goal to arrive safely at the exile site. Manhoe was an elegant Confucian Scholar and an academic scholar, but it was not easy for him to carry out his duties as a convoy. He honestly recorded the negative emotions(anger, self-reproach, abandonment, etc.) he felt while leading an exile 「북정일기」는 만회 권득기(1570~1622)가 압송관의 자격으로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류영경(柳永慶, 1550~1608)을 유배지 경흥(慶興)으로 압송할 때의 일을 기록한 유배압송일기(流配押送日記)로서, 유배압송관의 처지와 입장, 심리를 매우 구체적으로 증언하는 흥미로운 자료다. 본고는 「북정일기」가 가진 유배압송일기로서의 내용상 특징에 주목하였다. 특히 유배노정에서 발생하는 유배인과 압송관의 갈등 전개 과정이 압송관의 입장에서 어떻게 기록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압송관의 임무 수행과 관련된 구체적인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북정일기」에 나타난 압송관 만회와 유배인 류 승상 일행의 갈 등의 전개 양상은 ‘갈등 발생-갈등 심화-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갈등 종결’로 요약할 수 있었다. 갈등의 중심은 유배 일정과 관련된 문제들이었다. 정해진 유배 일정이 어긋나기 시작하자 갈등이 시작되었고, 감정적으로 대립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유배지에 무사히 도착해야 한다는 공동의 목표가 있기 때문에 갈등 발생과 동시에 둘 사이에는 일종의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의 의지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배객 류 승상과 압송관 만회 가운데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양보나 주장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배 노정 전반에 걸쳐 압송관은 정해진 임무 수행을 위 해 주어진 권한 내에서 융통성을 발휘하기도 하였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배일기 『太和堂北征錄』에 기록된 ‘꿈’의 양상 연구

        조수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Exile is a special punishment of the middle ages. Occasionally Exile has left mental scars on the yangban. Taehwadang, Lee Kwang hee(이광희) spent three years exiled on Myungchen. When he was exiled, he wrote a diary. It's 『Taehwadangbukjungrok』. This book tells the story of a dream 52 times. It was very overwhelming. He dreamed a dream often go back to the House. It reflects the absence of hope and reality. And he also dreams of unknown meaning together. He was willing to predict the future through dreams. And he dreamt of success through the Gwageo Exam. So he often dreams of go to Gwageo Exam. But above al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he was obsessed with a dream, because sense of isolation, feeling a deprivation, moreover anxiety for death. Obsession with a dream is a way of revealing and overcoming the emotional trauma. 『Taehwadangbukjungrok』 gives good implications for Exile Diary studies. 『太和堂北征錄』은 태화당 이광희(李光熹)가 을사년(1725년)부터 정미년(1727)까지 3년 동안 함경도 명천에 유배되었을 때의 일을 기록한 유배일기이다. 필자는 유배객들의 정신적・심리적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징후 중 하나가 바로 그들의 꿈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작품은 그러한 꿈들을 매우 많이 기록한 유배일기이다. 그의 유배일기에 기록된 꿈에는 두 가지 결핍의 층위가 개입하고 있었다. 첫 번째 결핍은 유배로 인해 촉발된 것으로서 결핍의 내용은 가족과의 이별, 고향에서의 격리이다. 이러한 결핍의 상황으로 인해 그는 끊임없이 집에 돌아가 가족을 만나는 꿈을 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기의 전반부에 집중적으로 이런 꿈이 등장한다. 그러나 결핍의 해소가 예상되는 상황인 해배가 확정되자, 더 이상 이러한 꿈은 일기에 기록되지 않았다. 두 번째 결핍은 태화당이 평소에 늘 품고 있었던 오래된 결핍이다. 바로 급제와 입신을 속 시원히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갈망인 것이다. 이 결핍은 유배 여부를 떠나 상존하던 결핍이었다. 이런 결핍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꿈인, 과거를 보러 가는 내용의 꿈은 일기의 전・후반에서 모두 발견된다. 그런데 유배생활이 기약 없이 길어지면서 입신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짐에 따라 귀양을 떠나는 꿈이나 과거장에서 답안지를 잃어버리는 것 같은 절망적인 양상의 꿈이 일기의 후반부에 주로 집중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요컨대 유배라는 사건은 조선의 양반들에게 새로운 결핍 상황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기존의 결핍 상황을 악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배로 인한 이러한 심적 풍경의 변화는 결국 유배객의 작품세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유배실기에 나타나는 유배 경험에 대한 글쓰기와 삶 살기 -『 남해견문록』과『 적소일기』를 중심으로

        윤인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spects of the exile experiences in Yu Eui-yang’s Namhaemungyeonrok ( 南海見聞錄 ) and Kim Yak-haeng’s Jeoksoilgi ( 謫所日記 ) . To this end, examine how Yu Eui-yang and Kim Yak-haeng narrative experiences in exile in Namhaemungyeonrok and Jeoksoilgi , and discuss different writing strategies. Even in the same exile, the intensity and context of the suffering of the event can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how to recognize suffering and how to write’ rather than to write in response to the suffering of exile. Yu Euiyang, who appears in Namhaemungyeonrok , shows desire to live a new life while practicing her old identity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and anxiety of exile. On the other hand, Kim Yak-haeng, who appears in Jeoksoilgi , makes narrative in hopes that the family will sympathize and remember her life in the despair experienced in exile. Through this, he finds the possibility of life to remember the suffering and anxiety of the exile he experienced. Through these writings, Yu Eui-yang and Kim Yak-haeng would have hoped to re-establish their life on the exile, And in the process, they would have lived through writing in response to the suffering of exile. 본고는 유의양의 『남해견문록』과 김약행의 『적소일기』를 대상으로 유배 경험에 대 한 글쓰기 양상에 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남해견문록』과 『적소일기』에서 유의양 과 김약행이 유배지에서의 경험을 어떻게 서사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 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글쓰기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동일한 유배라 할지라도 그 사건이 주는 고난의 강도와 맥락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유배의 고난에 대응하여 글을 쓴다는 것 자체보다는 ‘고난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글을 쓰고 있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남해견문록』에 나타나는 유의양은 유배 죄인이 라는 세상의 인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스스로가 생각하는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 해 노력하며, 그러한 경험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통해 유의양은 유배의 고난과 불안 에서 벗어나 이전 정체성을 실천하며 새로운 삶을 살아가려는 자기의 테크놀로지를 보여준다. 이에 반해 『적소일기』에 나타나는 김약행은 유배지에서 경험한 절망 속에 서 자신의 삶을 가족들이 공감해주고 기억해주기를 바라며 경험을 서슬한다. 이를 통 해 김약행은 자신이 경험한 유배의 고난과 불안을 가족들이 기억해줄 것이라는 바람 의 맥락에서 삶의 가능성을 찾아나간다. 이러한 글쓰기를 통해 유의양과 김약행은 유 배지에서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의미화하고, 이렇게 의미화한 삶을 다른 사람들이 읽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단순한 유배죄인이라는 낙인을 넘어서 새롭게 인식하기를 바랐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들은 유배의 고난에 대응하는 글쓰기를 통해 삶을 살아 나갔을 것이다.

      • KCI등재

        이세보(李世輔)의 국문 유배일기 『신도일록(薪島日錄)』 연구

        정우봉 ( Woo Bong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19세기의 대표적인 시조작가의 한 사람인 李世輔(1832~1895)의 국문 유배일기 『薪島日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특징적 면모를 밝히고, 일기 ``문학``으로서의 위상과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신도일록』은 국문으로 창작된 유배일기라는 점에서 이세보의 또 다른 작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 일기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문학적 성취가 높은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아울러 『신도일록』에는 이세보가 창작한 한시 2수와 국문 시가 작품 4편이 실려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되어야 한다. 『신도일록』에는 유배 여정에서의 견문과 유배지의 풍속 인심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신도일록』에서는 화자가 겪은 견문과 사건 등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데에 주력하기 보다 화자의 내면에 자리한 복잡 미묘한 주관적 감정의 양태들을 다채롭게 표출하는 데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자기독백적 어조, 가사체 서술방식의 원용, 의문형과 감탄형 종결어미의 빈번한 사용, 한시와 국문시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운문과 산문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작품 구성 방식 등은 『신도일록』이 지니는 주관화, 내면화의 작품적 성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문학적 장치이다. 그리고 이 점은 전시대 일기문학의 전통, 특히 남평조씨의 『병자일기』에 보이는 성과-자기 독백적 어조의 활용, 내면 심리와 감정의 섬세한 표현 등-를 계승한 것이며, 『신도일록』을 일기문학으로서 높이 평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병자일기』와 『신도일록』은 자기 독백적 언술을 통해 화자 내면의 심리와 갈등을 매우 섬세하게 포착하였던 점에서 공통된 지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점은 조선시대 국문일기의 다른 작품들, 예컨대 金若行의 『적소일기』, 柳袗의 『임진록』과 『임자록』, 박조수의 『남정일기』와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This thesis was focused on explaining some characteristics of Lee Sebo`s Sindo Diary which was written in Korean during his exile. And I was concerned about status and meaning within diary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do diary was concerned about expressing the inner side and multiple emotion of narrator. The narrator showed us an interior monologue. And narrator in Sindo diary usually think of the past. He usually use the techniques of autobiographical retrospection. It is important charateristics which distinguish between Korean diaries written by Hangul and Korean diarie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 believe that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indo diar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diaries in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diaries as a branch of literature.

      • KCI등재

        李世輔의 국문 유배일기 『薪島日錄』 연구

        정우봉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This thesis was focused on explaining some characteristics of Lee Sebo’s Sindo Diary which was written in Korean during his exile. And I was concerned about status and meaning within diary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do diary was concerned about expressing the inner side and multiple emotion of narrator. The narrator showed us an interior monologue. And narrator in Sindo diary usually think of the past. He usually use the techniques of autobiographical retrospection. It is important charateristics which distinguish between Korean diaries written by Hangul and Korean diarie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 believe that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indo diar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diaries in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diaries as a branch of literature. 이 논문은 19세기의 대표적인 시조작가의 한 사람인 李世輔(1832~1895)의 국문 유배일기 『薪島日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특징적 면모를 밝히고, 일기 ‘문학’으로서의 위상과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신도일록』은 국문으로 창작된 유배일기라는 점에서 이세보의 또 다른 작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 일기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문학적 성취가 높은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아울러 『신도일록』에는 이세보가 창작한 한시 2수와 국문 시가 작품 4편이 실려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되어야 한다. 『신도일록』에는 유배 여정에서의 견문과 유배지의 풍속 인심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신도일록』에서는 화자가 겪은 견문과 사건등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데에 주력하기 보다 화자의 내면에 자리한 복잡 미묘한 주관적 감정의 양태들을 다채롭게 표출하는 데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자기독백적 어조, 가사체 서술방식의 원용, 의문형과 감탄형 종결어미의 빈번한 사용, 한시와 국문시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운문과 산문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작품 구성 방식 등은 『신도일록』이 지니는 주관화, 내면화의 작품적 성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문학적 장치이다. 그리고 이 점은 전시대 일기문학의 전통, 특히 남평조씨의 『병자일기』에 보이는 성과–자기 독백적 어조의 활용, 내면 심리와 감정의 섬세한 표현 등–를 계승한 것이며, 『신도일록』을 일기문학으로서 높이 평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병자일기』와 『신도일록』은 자기 독백적 언술을 통해 화자 내면의 심리와 갈등을 매우 섬세하게 포착하였던 점에서 공통된 지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점은 조선시대 국문일기의 다른 작품들, 예컨대 金若行의 『적소일기』, 柳袗의 『임진록』과 『임자록』, 박조수의 『남정일기』와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 KCI등재

        일기 소재(所載) 한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미선 한국시가문화학회 2023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52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research status and present the tasks in studying Sino-Korean poems found in diaries. By doing so, it seek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Sino-Korean poems in diaries. Research on Sino-Korean poems found in diaries has started relatively recently, and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19 papers on 17 different diarie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ith 2 papers in the 2000s, 10 papers in the 2010s, and 7 papers up until May 2023 in the 2020s. Various diaries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including war diaries, daily life diaries, travel diaries, exile diaries, official diaries, and scholarly diaries, all of which contained Sino-Korean poems. Additionally, research on these Sino-Korean poems and their significance in portraying the inner thoughts of the diarists during the tumultuous period of early 20th centur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also identified. Research on Sino-Korean poems in diaries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value and utility of diari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aries examined for this research represent only a small portion of the entire collection. Therefore, to further promote the study of Sino-Korean poems in diaries,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have been identified. First, a systematic survey of Sino-Korean poems in diaries should be conducted. Second, information on Sino-Korean poems in the diaries included in the diary-related DB should be provided. Third, academic conferences by theme related to Sino-Korean poems in the diary should be held. 본 논문에서는 일기 소재 한시에 대한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그 과제를 제시하여, 일기 소재 한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일기 소재 한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17종의 일기에 대한 19편의 논문을 확인하였다. 2000년대 2편, 2010년대 10편, 2023년 5월까지인 2020년대 7편으로 발표 논문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었다. 먼저 조선시대 일기 중 전쟁일기, 생활일기, 기행일기, 유배일기, 관직일기, 강학일기 등 다양한 일기에 담긴 한시 및 그에 대한 연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던 격동적인 시기 일기 속 저자의 내면을 담은 한시 및 그에 대한 연구를 볼 수 있었다. 일기 소재 한시 연구는 일기의 가치를 높이고 활용성 증대에 기여한다. 그런데 연구 대상이 된 일기는 전체 일기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일기 소재 한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로, 일기 소재 한시 연구의 과제를 정리하였다. 첫째, 일기 소재 한시에 대한 체계적인 현황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일기 관련 DB에 일기 소재 한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일기 소재 한시 관련 주제별 학술대회가 개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