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스 홉스와 존 로크의 근대철학이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의 자유의지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에드워드 윌리엄스(1750-1813)의 An Essay on the Equity of Divine Government and the Sovereignty of Divine Grace와 A Defence of Modern Calvinism을 중심으로

        유정모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omas Hobbes’ (1588-1679) and John Locke’s (1632-1704)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formed doctrine of free will in the late eighteenth and the early nineteenth centuries.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achieve the goal by examining the works of Edward Williams (1750-1813) who positively accepted Hobbes’ and Locke’s philosophical ideas to explain and defend Reformed orthodox theology.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ies of Hobbes and Locke on Williams’ doctrine of free will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discarding traditional Aristotelian faculty psychology, Williams presents his view of human free will on the basis of Lockean faculty psychology. Consequently, unlike Reformed orthodoxy which identifies the nature of human freedom with spontaneity and alternativity, Williams explains it focusing only on human spontaneity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tellect and will. Thus, for Williams, human freedom is only freedom from coercion or compulsion. Secon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Hobbes and Locke, Williams also argues that unlike traditional Reformed view, human will is not self-determining power and never be indifferent in nature at all time. Finally, William’s understanding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follows closely that of Hobbes and Locke. Consequently, since Williams denies the freedom of contrary choice and the existence of genuine contingency in the world, and explains human actions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absolute causal necessity, his doctrine of free will strongly implies deterministic nature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Hobbes and Locke. 본 연구의 목적은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와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의 근대 합리주의 철학이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의 자유의지론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개혁파 신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주의 자유의지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홉스와 로크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던 에드워드 윌리엄스(Edward Williams, 1750-1813)의 저작을 연구함으로써 월리엄스의 신학에서 나타나는 개혁파 신학과 계몽주의 철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다음과 같은 내용은 그의 자유의지론이 홉스와 로크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윌리엄스는 개혁파 정통주의가 따랐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능력심리학 대신에 로크의 능력심리학을 근거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논의를 펼쳐 나간다. 그 결과 자발성과 대체성으로 인간 자유의 특성을 이해한 전통적 개혁신학의 입장과는 달리 윌리엄스는 지성과 의지 사이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 없이 의지의 자발성에만 초점을 두고 인간의 자유를 설명한다. 따라서 윌리엄스는 인간의 자유를 단순히 ‘강압이 없다는 의미에서의 자유’로 이해한다. 또한, 윌리엄스는 로크와 홉스의 영향 아래서 기존 개혁주의의 설명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는 자기 결정적이 아니며 중립적인 성격을 전혀 갖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필연성(necessity), 및 우발성(contingency)과 같이 인간의 자유의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윌리엄스의 이해는 홉스와 로크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윌리엄스의 자유의지론은 기존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와 세상의 질서에서 우발성의 존재를 부인하고 모든 것을 절대 필연적 관점으로 해석함으로 말미암아 홉스와 로크의 사상과 매우 유사한 결정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엘리엇과 윌리엄스 비교 ―서한문의 차이와 「주검의 매장」, 「봄과 모든 것」의 “낯설게 하기”

        김양순 한국T.S.엘리엇학회 2021 T.S. 엘리엇 연구 Vol.31 No.3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봄과 모든 것』은 실험적인 추동력으로 모더니스트 시의 새로운 출발을 보여준 작품이다. 혁신적인 시도라는 공통 기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윌리엄스는 후속 세대에 끼치는 엘리엇의 영향을 부패와 독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본 연구는 이 두 작가의 서한문을 읽고 엘리엇과 윌리엄스의 서로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며, 『황무지』의 제1부, 「주검의 매장」과 『봄과 모든 것』의 첫 번째 시작품, 「봄과 모든 것」을 비교한다. 특히 쉬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 개념을 염두에 두고, 본고는 “삶의 감각을 회복”하기 위해 엘리엇과 윌리엄스가 어떻게 봄의 풍경을 제시하고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는지 면밀하게 분석한다. 「주검의 매장」은 여러 종류의 인유, 불명확한 화자들, 구절 간의 불안정한 관계 등으로 독자의 지각을 낯설게, 느리게, 어렵게 한다. 「봄과 모든 것」은 일상적인 풍경 가운데 세부적인 것들을 하나씩 하나씩 세심하게 보도록 독자를 천천히 이끌어가면서, 익숙한 대상들을 낯설게 느끼게 한다. 윌리엄스는 “낯설게 하기”의 방식으로 행갈이, 분리된 구문 등을 사용하여, 시행의 단위와 감각의 단위 간의 긴장을 꾀하는 것이다. 엘리엇과 윌리엄스가 종종 대척적인 작가로 간주되지만, 1920년대의 다양한 모더니즘을 회고해 볼 때, 문학의 맥락을 확장하고, 새로운 지각의 방식을 탐구한 점에서 그들은 유사한 도전적인 흐름의 핵심 인물인 것이다.

      • KCI등재

        비극성을 성찰하는 신학 ― 로완 윌리엄스의 비극적 신학에 대한 논쟁과 비평

        차보람(Boram Cha)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3 No.-

        로완 윌리엄스는 고전신학의 언어와 문법을 창조적으로 해석하는 흐름을 주도하는 신학자다. 그의 신학을 관통하는 여러 특징들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세계의 비극성에 대한 깊은 성찰이다. 그의 신학은 세계와 인간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의 신학에서 인간 실존의 비극적 현실, 즉 슬픔과 죄책, 심판과 회개, 상처와 애도 등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근거로 삼위일체론, 인간론, 영성과 제자도 등에 대한 이해가 형성된다. 하지만 그의 신학이 가진 비극적 특징에 대한 의문과 비판이 존재한다. 비극적 세계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슬픔과 애도에 과도하게 천착한 나머지, 세계의 비극성에 앞서는 평화와 선함의 존재론적 우선성 그리고 세계의 비극성을 가로지르는 기쁨과 안식의 종말론적 선포 등에 대한 성찰이 약화되거나 사라진다는 우려들이 제기되었다. 말하자면, 세계의 근원적 비극성에 대한 지나치게 날카로운 인식이 되려 복음의 가치들을 약화시키거나 비극성에 종속시킬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이 부분이 윌리엄스의 신학에 대한 가장 중요한 논쟁들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먼저 로완 윌리엄스의 비극적 신학의 특징들을 분석한 다음, 위 논쟁에 기여하기 위하여 요한복음에 대한 그의 비극적 독해를 비판적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Rowan Williams is a prominent theologian who leads the current trend of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language and grammar of classical theology. Among the many characteristics that penetrate his theology, the most significant is a deep reflection on the tragedy of the world. His theology begins with a tragic perception of the world and human life. In his theology, Trinitarianism, anthropology, spirituality and discipleship are formed upon the tragic reality of human existence, namely sadness and guilt, judgment and repentance, brokenness and mourning. However, there are questions and criticisms about the tragic characteristics of his theology.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reflection on the ontological priority of peace and goodness ahead of the tragic status quo of the world and the apocalyptic declaration of joy and rest breaking across the tragic reality will weaken or disappear. In other words, an overly agonised perception of the world’s fundamental tragic reality may undermine the values of the Gospel proclamation or subordinate them to the tragic aspects of the world.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ongoing debates around Williams’s theology.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s tragic theology, and then critically analyze his tragic reading of the Gospel of John to contribute to the debate above.

      • KCI등재

        토니 윌리엄스의 재즈 드럼 연주 특징 분석

        김진홍(Jinho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이 연구는 포스트 밥 시대를 대표하는 드러머 토니 윌리엄스의 재즈 드럼 연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포스트밥 시대 연주 특징을 살펴보고, 마일즈 데이비스 대표곡 So what을연주한 토니 윌리엄스와 지미콥의 연주를 비교 하여 토니 윌리엄스의 연주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주 비교 분석을 위해 마일즈 데이비스의 So what 곡의 지미 콥과 토니 윌리엄스 채보하였다. 다음으로 채보를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그렉 비조넷 인터뷰 자료를 통해 독창적인 연주법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토니 윌리엄스는 하이헷 풋, 콤비네이션 주법을 통해 음악적 풍성한 공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블러쉬다 주법을 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드럼 연주자들이 보다 발전된연주력을 갖고, 청중들에게는 보다 질 높은 음악과 포괄적인 음악적 관점이 제공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jazz drumming characteristics of Tony Williams, a drummer who represents the post-bop era.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ostbop era playing, and then compared Tony Williams' and Jimmy Cobb's performances of Miles Davis' representative song So what to derive Tony Williams' playing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performance comparison, we transcribed Jimmy Cobb and Tony Williams' performance of Miles Davis' So what. Next, we analyzed Greg Bizonet's interviews to identify his original performan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ony Williams uses hi-hat feet and combination articulations to create a sense of musical space. He also developed the blush metho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many drummer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ovide audiences with higher quality music and a more comprehensive musical perspective.

      • KCI우수등재

        Williams on Having “One Thought Too Many”: A Re-examination

        Changwon Sung(성창원)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6

        윌리엄스는 부인과 낯선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그리고 어느 한 쪽만 구할 수 있을 때) 남편이 도덕적 허용 가능성을 인지하면서 부인을 구한다면 그는 “하나만 생각해야할 순간에 너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윌리엄스는 이를 공평성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도덕이론에 대한 반론(이른바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으로 제시한다. 이 반론은 관련 논의에서 매우 자주 인용되곤 하지만 그 요점은 그만큼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본고의 주된 목표는 이 반론에 대한 두가지 오해를 불식시켜 그 포인트를 공정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첫째,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에 대한 전형적인 대응은 공평성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이론)을 수용하는 사람들도 실제로 행위 하는 시점에는 그것에 명시적으로 호소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울프에 따르면 이런 대응은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의 요점을 오해한 것이다. 윌리엄스는 행위자의 동기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내용은, 행위를 하는 시점이든 아니든, 도덕적 허용 가능성이라는 생각을 반드시 담을 필요가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둘째, 주어진 사례에서 부인을 구하는 남편의 동기가 오직 하나의 생각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윌리엄스가 가정했다고 보는 철학자들이 있다. 그들은 일상적 행위자의 동기가 작동하는 방식이 그의 논의에서 지나치게 협소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대응 또한 윌리엄스의 입장을 오해한 것이다. 그는 사람들의 동기적 내용이 각자의 성품과 계획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그런 가정을 할 이유가 없다. 필자는 “너무 많이 생각함” 반론을 이렇게 유연하게 이해하더라도 그 효력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인다. Bernard Williams contended famously that if an agent thinks it is morally permissible to save his wife from danger when a stranger is also in peril, and only one of them can be saved, he has had “one thought too many.” Williams raised this “one thought too many” objection to impartial moral theory. One of the primary intentions of this paper is to dismiss some misunderstanding of the objection so that it receives the fair treatment it deserves. First, one standard response to the “one thought too many” objection is that even those committed to impartial morality do not generally appeal to it at the time of action. However, this rejoinder is based on a misguided view of the objection, because Williams argues that the full content of a person’s motivating cognition, whether at the time of an action or otherwise, need not include the idea of moral permissibility. Second, those who believe that the charge of “having one thought too many” is identical to the notion of “one and only one thought” may complain that William’s contention is based on an unduly restricted view of human psychology. However, the proponents of such a view ignore that Williams does accept that people’s motivations can be as dissimilar as their characters and projects. I demonstrate that this in no way undermines his basic insights vis-à-vis the indictment of impartial morality.

      • KCI등재

        ‘A는 φ 할 이유가 있다’에 대한 두 종류의 해석

        최민영(Minyoung Choi) 한국현상학회 201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4 No.-

        윌리엄스는 ‘A는 φ 할 이유가 있다’라는 형식의 진술에 관하여 외재적(external) 해석을 거부하고 내재적(internal) 해석을 지지한다. 그는 가장 단순한 내재주의 정식화를 ‘흄의 아류 모형’으로 명명하고 이것을 보완 및 수정한다. 그리고 ‘A는 자신의 실제 동기의 집합 안에 있는 동기로부터 건전한 숙고 과정에 의해 φ 할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때에만 φ 할 이유가 있다’라는 내재주의 정식화를 완성한다. 그러면서 외재적 해석이 가능하려면 “사태를 올바르게 고려하여 이유 진술을 믿고 그것 때문에 동기를 획득해야” 함을 입증해 보일 것을 요구한다. 맥도웰은 윌리엄스가 상정한 외재적 해석을 거부하고 대안적인 외재적 이유 정식화를 제안하면서 ‘교육(upbringing)’과 ‘전향(conversion)’을 예로 든다. 그러나 맥도웰이 적절하게 교육된 자로 염두에 두는 ‘프로니모스(phronimos)’의 행위 이유는 설명적 측면과 규범적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 행위자 A의 행위 이유로 전환되기에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행위 이유는 특정 행위자의 동기 및 숙고적 제약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설명적 이유와 규범적 이유는 분리되지 않는다. 이 둘을 분리할 경우 별도의 합리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외재주의 자가 원하는 ‘합리성’의 자리는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A는 φ 할 이유가 있다’라는 사람들의 발화 안에서 발견되는 ‘이유’만이 있을 뿐이다. Concerning the statement of form, ‘A has a reason to φ’, Williams rejects an external interpretation and supports the internal interpretation. He modifies the internal reason of the simplest formulation named as ‘sub-Humean model’, so that complements a formulation that ‘A has a reason to φ only if A should φ (or a conclusion to φ) by a sound deliberative route from the motivation that he has in his actual motivational set.’ He, on the other hand, asks an externalist that the agent should acquire the motivation because he comes to believe the reason statement, and that he should do the latter, moreover, because, in some way, he is considering the matter aright. McDowell rejects Williams’s assumed external interpretation and suggests an alternative external reasons formulation, challenging Williams’ claim that only internals reason is true. He suggests ‘upbringing’ and ‘conversion’ as examples of the fact that the external reason statement is true. However, McDowell’s reason for action of ‘phronimos’ seems to be difficult to be transformed into agent A’ s reason for 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from the aspect of explanatory reason and normative reason. The reason for the act is dependent on the motive and deliberative constraints of the particular agent and therefore the explanatory reason and the normative reason are not separated. McDowell’s external interpretation assumes another normative reason, separate from the explanatory reason. Another rationality is required when separating the two reason. However, there is no place for rationality that externalists want, and there is only a reason to be found in people’s utterances that ‘A has a reason to φ’.

      • KCI등재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경계 정체성(Border Identity)과 세계문학

        최성희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코기토 Vol.- No.103

        레이먼드 윌리엄스는 ‘문화 유물론자’로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그의 웨일즈인으로서의 정체성이 가진 의미는 진지한 비평의 영역에서 간과돼 오곤 하였다. 그러나 그의 글과 사상에서 웨일즈인으로서의 정체성은 매우 중요한 비중으로 차지하며, 이는 언어 및 문화이론뿐 아니라 세계문학에 대한 그의 입장과도 연결된다. 윌리엄스의 정체성에 대해 ‘경계 정체성’(border identity)이라 이름 붙일 수 있는데, 이는 대략 2가지의 경계를 오가는 그의 체험과 의식을 드러낸다. 하나는 웨일즈와 영국의 경계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과 연관된 시골과 도시의 경계이다. 윌리엄스의 경계 정체성은 그의 저작들을 읽을 때 기존의 관점과 달리 통합적 관점을 적용할 필요성을 상기시킨다. 그것은 기존에 강조되어 오던 마르크시즘적 유물론적 사유와 웨일즈인으로서의 그의 의식을 접목해서 살피는 관점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적 관점을 회복할 때에라야 ‘세계문학’ 에 대한 그의 관심과 견해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을 터이다. 이 논문에서는 윌리엄스의 ‘경계 정체성’이 그의 세계문학론과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그의 주된 개념 중 하나인 ‘느낌의 구조’(structure of feeling)를 매개로 언어와 문학에 대한 생각의 흐름을 짚어보고자 한다. Raymond Williams has been primarily known as a ‘cultural materialist’, but his identity as a Welshman has often been seriously overlooked in the realm of critical analysis. However, his Welsh identity occupies a very important place in his writings and thoughts, and it connects not only with his theories on language and culture but also with his stance on world literature. Williams’s identity could be termed as a ‘border identity’, which reveals his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navigating roughly two boundaries. One is the boundary between Wales and England, and the other relates to the rural and urban divide. Williams’s border identity reminds us of the need to apply an integrative perspective when reading his work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iewpoints. This perspective would merge his previously emphasized Marxist materialist thought with his Welsh consciousness. Only by restoring this integrative approach can we properly understand his interest and views on ‘world literature’. In this paper, we aim to explore how Williams’s ‘border identity’ connects with his theories on world literature, using one of his key concepts, ‘structure of feeling’, as a medium to trace his thoughts on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사무엘 윌리엄스의 《聊齋志異》번역 고찰

        최형섭 한국중국소설학회 2023 中國小說論叢 Vol.69 No.-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ranslations of Liaozhaizhiyi by Samuel Wells Williams(1812-1884). Williams, along with Karl Gützlaff(1803-1851), was the first to translate and introduce Liaozhaizhiyi to the West. He was a protestant missionary in the United States, came to China in 1833 and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field of print and publication. In 1877 he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became the first professor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t Yale University in 1881. Williams published a Chinese textbook called Easy Lessons in Chinese(1842) in Macau. In this textbook, he presented translations of several Liaozhaizhiyi works along with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His early interest in Chinese novels can be seen as derived from practical purposes such as acquisition of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life and culture. Next, Williams systematiz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s about China that had been listed in fragmentary forms through The Chinese Repository in The Middle kingdom(1848). Chapter 12 of this book dealed with ‘polite literature of the Chinese’. Here, while discussing Chinese novels, he presented translations of the two works of Liaozhaizhiyi. As Williams’s experiences such as reading and translations of Chinese novels accumulated, he developed into a stage where he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ovels and Liaozhaizhiyi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novel history. Finally, Williams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work of Liaozhaizhiyi called “Revenge of Miss Shang Sankwan” in The Chinese Repository(1849) Vol.18 No.8. Overall, his translations of Liaozhaizhiyi were a relatively faithful to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 although there were some mistranslations, which showed a different level from Gützlaff’s brief introduction of the plot of stories. In addi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his translations played a nourishing role in the publication of H.A.Giles’s Liaozhaizhiyi in 1880. 이 논문은 사무엘 윌리엄스(Samuel Wells Williams, 1812-1884)의 《聊齋志異》번역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작성되었다. 윌리엄스는 귀츨라프(Karl Gützlaff, 1803-1851)와 함께 《요재지이》를 처음 서구에 번역 소개한 사람이다. 미국 개신교 선교사였던 그는 1833년 중국에 온 후, 인쇄 출판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877년그는 미국으로 돌아가1881년부터는 예일대학교 최초의 중국어문학 교수를 지냈다. 윌리엄스는 《Easy Lessons in Chinese(拾級大成)》(1842)라는 중국어 교재를 마카오에서 출판하였다. 이 교재에서 그는 다수의 《요재지이》작품들을 원문과 함께 번역 소개하고 있다. 초기 그의 중국소설에 대한 관심은 언어와 문자 습득, 중국인의 삶과 문화 이해와 같은 실용적인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윌리엄스는 《The Middle Kingdom(中國總論)》(1848)에서 《중국총보》를 통해 파편적인 형태로 나열되어 있던 중국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체계화하고있다. 이 책 제12장은 중국의 순문학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그는 중국소설에 관해 논하면서 《요재지이》두 작품을 번역 수록하고 있다. 중국소설 번역과 독해 경험들이 축적되면서, 윌리엄스는 문학사⋅소설사적 관점에서 중국소설과 《요재지이》의 특징을 파악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윌리엄스는 1849년에 간행된《中國叢報》Vol.18 No.8에 <商三官>이라는《요재지이》작품을 번역 게재하였다. 전반적으로 그의 번역은 일부 오역이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원문에 충실한 번역으로, 귀츨라프가 줄거리를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과는 다른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의 번역은 1880년 자일스의 번역본이 나오는 데 있어서도 자양분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공동체에서 개인의 선택에 대한 탐구: 윌리엄스와 레일턴의 온전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태수,김덕삼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4 No.-

        [연구 목적] 공동체에서 개인의 선택에 대한 문제를 윌리엄스와 레일턴의 온전성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윌리엄스의 ‘온전성 위협 논변’과 이에 대한 레일턴의 반론,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일상의 문제와 적실성을 고찰하면서, 다수의 이익을 위해 소수를 희생하는 문제를 탐구한다. [연구 내용] 본고에서는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공동체 안에서 공동체와 개인 사이의 문제를 탐구한다. 특히 윌리엄스의 ‘온전성(integrity) 위협 논변’과 이에 대해 ‘세련된 결과주의(sophisticated consequentialism)’를 표방하는 레일턴의 반론을 중심으로 논한다. 검토를 위해 우선 윌리엄스의 ‘온전성 위협 논변’을 살펴본다. 이어서 이에 대한 레일턴의 반론을 개인적 차원의 반론, 비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반론, 레일턴 대안의 적실성으로 구분하여 알아본다. 끝으로 윌리엄스의 ‘온전성 위협 논변’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즉, 온전성 제한의 문제, ‘소극적 책임’에 대한 반론의 문제 및 그 밖의 문제에 대하여 논한다. [결론] 본문에서는 공동체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공동체와 개인 사이에서 공리주의가 표방하는 최선의 이익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 다루었다. 그 결과, 온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는 일반적 딜레마 상황에서는 그에 따른 논의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고 결론을 내리지만, 심각한 위험 상황이라면 객관적 공리주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서 자신의 온전성과 남을 잘되게 하는 최선의 결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윤리적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차선의 최선일 것으로 평가했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dividual agency within a community, focusing on integrity as discussed by Williams and Railton. It explores Williams' integrity threat argument, Railton's counter-arguments, and their practical relevance in everyday challenges, addressing the moral dilemma of sacrificing some for the greater good. [Contents] This paper examines the community-individual agency relationship within a utilitarian framework, specifically Williams' integrity threat argument and Railton's sophisticated consequentialism counter. Starting with Williams' argument, it explores Railton's counterarguments categorized as personal, non-personal, and social. We assess Railton's proposed alternatives, shedding light on issues within Williams' argument, including integrity limits, the passive responsibility argument, and other pertinent problems.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potential conflicts within communities and explores reconciling collective well-being with individual interests in utilitarianism. It suggests that open consultation should determine actions when individual integrity is threatened. However, in severe peril, objective utilitarianism may offer a pragmatic solution while nurturing ethical consideration for one's integrity and the well-being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