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고생의 월경곤란증 실태 및 그 영향 요인

        김송순,김향수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는 여고생의 월경곤란증의 실태를 파악하고 수면장애, 스트레스, 불안, 식습관, 월경곤란증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 재 여고생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2일~11월 6일 총 4주 동안 총 16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 Program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곤란증과 수면장애(r=.531, p <. 001)와는 강한 순 상관관계를, 스트레스(r=.349, p <.001), 불안(r=.300, p =.003)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를, 식습관(r=-.205, p =.041)과는 약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면장애, 월경기간, 월경주기, 불안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39.5%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고생의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수면의 질을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월경기간 및 월경 주기를 정상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determine high school girls' the status of dysmenorrhea and to look into influencing factors about how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leep disturbance, stress, anxiety, dietary habit have an effect on dysmenorrhea. Our collected data consisted of 160 high school girls living in B metropolitan city. The study period lasted four weeks, going from Oct 12 to Nov 6, 2020. The resulting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21.0 version to analyz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rrelated factors of dysmenorrhea included sleep disturbance(r=.531, p <.001), stress(r=.349, p <.001), anxiety(r=.300, p =.003) and dietary habit(r=-.205, p =.041). The prevalent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are sleep disturbance, menstrual periods, menstrual cycles, and anxiety.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reduce anxiety, try to regulate menstrual periods and menstrual cycle in order to relieve high school girls' dysmenorrhea.

      • KCI등재

        운동선수의 월경곤란증이 월경주기에 따른 난소 및 스트레스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권영우 ( Young Woo Kwon ),박승한 ( Seung Han Park ),류호상 ( Ho Sang Yoo ),이종삼 ( Jong Sam Lee ),양승환 ( Sung Hwan Yang ),오광진 ( Kwang Jin Oh ),김진해 ( Jin Hae Kim ),어수주 ( Su Ju Eo ),김진형 ( Jin Heung Kim ),권광선 ( Kwan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운동선수의 월경곤란증이 생리주기(월경기, 분비기)에 따라 난소호르몬(estrogen, progesterone)과 스트레스호르몬 (cortisol, catecholamines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대상자는 21명을 대상으로 월경곤란증의 선수군(n=7), 월경곤란증이 없는 선수군(n=7), 대조군으로 월경곤란증이 없는 일반인 (n=7)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난소호르몬의 경우 전체적으로 월경기에 비하여 분비기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p<.001), 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과 epinephrine은 생리주기와 집단에 따른 차이나 변화가 없었다. 그렇지만 norepinephrine의 경우 월경곤란증을 가진 선수군의 월경기 수치가 분비기 수치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월경곤란증이 없는 선수군의 월경기 수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난소호르몬은 집단에 따른 차이나 변화가 없었으나, 스트레스 호르몬인 norepinephrine의 경우 월경기의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보다 명확한 연구의 구명을 위해서는 운동중과 운동형태와 강도,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ysmenorrhea on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ovarian hormone (estrogen, progesterone), cortisol and catecholamines (epinephrine, norepinephrine) during menstrual cycle in athletes. Twelve one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and composed of athletic group with- and without dysmenorrhea (n=7, respectively), without dysmenorrhea (n=7) and non-athletic control group without dysmenorrhea (n=7). Venous blood sample was obtained during menstrual- and secretory phase. Blood ovarian hormo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ecretory phase compared to menstrual phase in all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groups. Blood cortisol and epinephrine concentration did not show any change with menstrual cycle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groups. Bloo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menstrual phase compared to secretory phase in athletic group with dysmenorrhea but athletic group without dysmenorrhea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menstrual cycle. Stress hormon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 during menstrual cycle except norepinephrine which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menstrual phase compared to secretory phase on athletic group with dysmenorrhea. In conclusion dysmenorrhea can not effect ovarian hormone during menstrual cycle but partially influenced to stress hormone. Further study needed to elucidate the exact mechanism of those hormone about dysmenorrhea related to the degree of dysmenorrhea and correlation between ovarian and stress hormone.

      • KCI등재

        여대생의 생활패턴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향수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활패턴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생활패턴의 변화를 통한 건강관 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19년 11월 18일-29일까지 총 2주 동안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중 월경곤란증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총 133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곤란증과 일반적 식습관(r=-.441,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통의 역 상관관계를, 나트륨 식행동(r=-.214, p=.013)과는 약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일반적 식습관(β=-.457)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흡연(β=.175), 음성통화(2시간 초과)(β=.163)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29.3%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대생의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긍정적인 식습관, 금연생활 및 스마트폰 음성통화시간은 2시간 이내로 사용 할 것을 권장하는 등의 건강한 생활패턴으로의 변화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determine how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fe patterns have an effect on dysmenorrhea and to provide the basis about healthy care programs through changing life patterns. We collected 133 data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ysmenorrhea attending J university. The study period lasted two weeks, going from Nov 18 to Nov 29, 2019.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rrelated factors of dysmenorrhea included dietary habits(r=-.441, p<.001), salt-related dietary(r=-.214, p=.013). The prevalent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are dietary hibits(β=-.457), smoking(β=.175), and phone calls(<2 hours)(β =.163).Therefore, it will be needed patterns of healthy lifestyle including positive dietary habits, non-smoking, phone calls (less than 2 hours) to relie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dysmenorrhea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 KCI등재

        청소년의 월경 태도,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에 미치는 영향

        오재우,송지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월경에 대한 태도 중 폐쇄성, 정적 수용,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의 5항목과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인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고등학생 여학생 126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대상자의 월경 전 증후군 점수는 22.48점, 월경곤란 증은 4.66점이었으며, 월경양이 많을수록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 점수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월경 전 증후 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폐쇄성과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9%이었 다. 또한 정적 수용과 신체 증상은 청소년의 월경곤란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66.3%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openness, positive acceptance, physical symptoms, reaction, and emotional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and academic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A questionnaire of 126 high school girl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subject's premenstrual syndrome score was 22.48 points and dysmenorrhea was 4.66 points,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mount of menstruation, the higher the scor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Factors affecting premenstrual syndrome were openness, physical symptoms, reaction, and emotional sensitivit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9.9%. In addition, positive acceptance and physical sympto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nd explanatory power was 66.3%.

      • KCI등재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유산소 운동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 ( Sang Duk Oh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오상덕.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유산소 운동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17-424, 2011. 최근 월경곤란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방안으로 운동요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월경 시 적당한 강도의 운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많은 통증 유발정도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절한 운동 강도와 운동량을 구명함으로서 월경곤란증 완화에 효과적인 운동요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함께 연구대상인 일차성 월경곤란증을 가진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운동 요법을 제시하여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월경곤란증 및 월경통 유발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월경통증의 시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설문을 통해 월경곤란증 점수가 70점 이상이고 VAS로 측정한 월경통증이 5 cm이상인 자를 사전 선발한 후,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대 여대생 50명을 선정 월경곤란증 및 통증 여부를 의료기관 여성검진센터를 방문 진단 후 본 연구에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유산소 운동; VO2max 50%, 에너지소비량; 200 kcal, 400 kcal)을 통해 제시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VAS(Menstrual Pain point, Dysmenorrhea point)는 에너지소비량 별 운동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변화는 유의 차 없었으나, VAS(Menstrual Pain point)는 운동기간(p<.01)효과에서, VAS(Dysmenorrhea point)도 운동기간(p<.001)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GE2, PGF2α, TXB2 모두 에너지소비량 별 운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변화는 유의한 차 없었다. 하지만 PGE2는 운동기간(p<.001), 상호작용(p<.01)효과에서 PGF2α는 운동기간(p<.01)효과에서 TXB2는 운동기간(p<.001)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h, S. D. The Effects on Menstrual Pain of Aerobic Exercise into the Energy Expenditure. Exercise Science. 20(4): 417-424, 2011. Exercise treatment as a method of caring has a dysmenorrheal is on the rise in order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and it is reported that an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gives positive effects and lessen the degree of induction of pain. This survey would look into moderate intensity and amount of exercise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xercise treatment, and influences of how treadmill walking exercise according to energy expenditure affects to the causing factors of dysmenorrheal and menstrual pain by presenting an exercise treatment for a period of long time to women in her twenties has a primary dysmenorrheal as subjects of investigation. Select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their twenties got over 70 points and 5 cm through VAS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 Select 50 students among them understood the object and accepted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urvey. The results through the method (aerobic exercise; VO2max 50%, energy expenditure; 200 kcal, 400 kcal of survey are as follow. VAS (Visual Analogue Scale, Dysmenorrhea Point) was reduced as exercise period prolong. VAS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period (Visual Analogue Scale; p<.01, Dysmenorrhea Point; p<.001). PGE2, PGF2α, TXB2 was increased as exercise period prolong. PGE2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01) and interaction (p<.01). PGF2α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1). TXB2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01).

      • KCI등재

        20대 여성의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른 자세 정렬과 족저압 균형에 대한 비교

        박시은(Sieun Park),김다정(Da-Jeong Kim),최유림(Yoo-Rim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월경곤란증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인체 대칭성과 균형에 중점을 두어 진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라 자세 정렬과 족저압 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월경곤란증을 가진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라 경증그룹과 중증그룹으로 구분하여 자세 정렬과 족저압 균형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월경곤란증과 자세 정렬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월경곤란증 정도에 따라 어깨높이 비대칭성 각도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골반 및 무릎 정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월경곤란증 점수(MDQ)와 어깨높이 비대칭성 각도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621, p<0.005)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월경곤란증과 어깨관절의 부정렬이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월경곤란증을 가진 여성에 대한 척추 정렬에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determining the cause of dysmenorrh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ostural alignment and ba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osture alignment and foot pressure balance according to the dysmenorrhea degree. The subjects were twenty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who had pain caused by dysmenorrhea. According to the degree of dysmenorrh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mild and severe groups. In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houlder height asymmetry angle between the mild and severe groups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lvic and knee joint alignmen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ysmenorrhea score (MDQ) and shoulder height asymmetry angle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ysmenorrhea symptom and asymmetric alignment of shoulder are related. To analyze these factors,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ysmenorrhea and spinal alignment.

      • KCI등재

        부천지역 직장여성의 월경곤란증과 월경전증후군 실태조사

        김태희 ( Tae Hee Kim ),박황신 ( Hwang Shin Park ),이해혁 ( Hae Hyeog Lee ),정수호 ( Soo Ho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경기도 부천시 지역의 직장여성들에서 월경전증후군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인지도와 의료상담 및 치료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공개강좌 후 설문지를 통해 5개 기업 289명의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중 답변이 부족한 경우나 다른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배제한 후 170명을 대상으로 월경주기, 규칙성, 월경곤란증의 정도, 진통제 복용여부, 월경전 증상의 빈도, 기간 등을 평가하였다. 건강 강좌 전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인지 여부와 상담유무도 조사하였다. 결과: 월경전증후군의 유병률은 세계건강보건기구의 ICD-10에 의한 진단기준으로 74%, 미국산부인과학회의 진단기준으로 38%였다. 월경전 증상은 빈도 순으로 볼 때 더부룩함, 분노나 화남, 체중증가, 잠을 설침, 집중력 장애, 졸림, 오심 구토의 순이었다. 월경전증후군은 월경량이 정상인군에 비해 과량인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월경주기나 월경곤란증의 정도, 진통제 복용 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인 94.1%가 월경전증후군에 대해 모르는 상태였고, 6.3% 정도가 의사와의 상담한 병력이 있었다. 결론: 월경전증후군은 매우 흔하며 특히 직장여성들의 직장에서의 활동과 업무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에 반해, 대부분의 직장여성들은 월경전 증상 및 월경전증후군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의학적 상담 및 치료도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속적인 건강 강좌와 교육을 통해 월경전증후군에 대해 알리고 효과적인 의학적 치료를 유도한다면 향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 판단된다. Objective: We wan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ysmenorrhea and premenstrual syndrome (PMS) among the career women of Bucheon City and their knowledge of and ability to seek treatment regarding their dysmenorrhea and premenstrual syndrom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premenstrual symptoms was conducted for 289 career women. The cycle of menstruation, the regularity, the amount of menstruation and the intensity of dysmenorrheal were assessed and the sympto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intensity and persistence. Women`s awareness of PMS and the physician consultation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approximate prevalence of PMS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Classifi cation of Disease (ICD-10) and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riteria was 74% and 38%,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symptoms of PMS were abdominal bloating, anger, weight gain, sleep disturbance, attention deficit, drowsiness, nausea and vomiting. PMS wa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the large amount of menstruation (P = 0.017) and there was no signifi cant relation with the cycle,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and the use of analgesics. Most of the women (94.1%) had no knowledge regarding the terminology pertaining to PMS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Conclusion: PMS occurs frequently and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tivity of career women. However, career women have little knowledge about PMS and they only infrequently consult their physicians. Physicians should educate and inform career women about PMS and this can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women.

      • KCI등재

        무용전공 여고생의 월경현상 및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도정님(Jung Nim Do)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여고생을 대상으로 월경현상(초경 시작 시기, 월경주기, 월경량, 월경기간), 월경 전 후의 신체적, 정신적 증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무용전공별 월경곤란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여 규명하고자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로, 한국무용 88명, 발레 78명, 현대무용 34명을 대상으로 피험자 모두에게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Moos, 1977)기초로 재작성한 19문항 설문지(김효정 등, 2002)중 15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의 전공하는 무용과 무용경력에 따라 월경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x²(Chi-square)검증과 교차분석,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특정 무용전공이 월경현상의 변화나 월경곤란증의 감소한다고 해석하기는 무리가 따르므로 무용전공별 월경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인 측면 뿐 아니라 월경곤란증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들을 포함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regarding the time period of their first menstruation, menstrual cycle, amount, period, and their physical, mental conditions before and after menstru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ch issues on the menstrual distress experienced in each field of dance majo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88 Korean dance majors, 78 ballet majors, and 34 comtemporary dance majors enrolled in dance departments at art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region, with their consent. The subjects answered to 15 questionnaires from re-formulated 19 questionnaires in the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oos, 1977) format, and the compil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As for the analysis method, I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menstrual symptoms depending on each field of major and the career of the dance major students, I conducted x²(Chi-square) tests, cros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pecific fields of dance major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any considerable effect on the changes of menstruation or the degree of menstrual distress. Therefore, I believe tha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menstruation and each field of dance major,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research not only regarding the mental aspects but also including the hormone secretion that influence the menstrual distress.

      • KCI등재

        무용전공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월경현상과 월경곤란증에 관한 비교

        도정님(Jung Mm Do) 한국무용과학회 200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0 No.-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대학 무용과에 개학 중인 경력이 10년이상의 무용전공자로, 한국무용 58명, 발레 48명, 현대무용 20명과 충북지역의 C대학의 디자인 전공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Moos,1977)를 기초로 재작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의 x2(Chi-square) 검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월경현상(월경상태, 월강주기, 월경량)의 특성, 월경 전·중의 신체적·정신적 중상을 전공여부, 전공발로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 후 생리통의 시작 시기는 일반대학생이 초경 후 1년미만이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2년 후에서는 무용전공대학생이 24.4%로 높게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한국무용이 1-2년 후가 2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월경주기는 23-35일에 무용전공대학생 59.3%, 일반대학생 5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현대무용이 6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월경량은 보통이다가 일반대학생이 71.8%, 무용전공대학생이 53.7%로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현대무용이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월경곤란증에 나타나는 신체적 중상은 전공여부와 전공별에 상관없이 월경전 증후군으로 하복통(18.9%), 유방팽만감(14.6%), 식용증진(10.6%), 복부팽만감(8.6%), 요통(9.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경중 증후군으로는 하복통 (21.4%), 요통(11.1%), 복부팽만감(10.6%), 유방팽만감(8.6%), 피로(8.0%)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월경곤란증에 나타나는 정산적 증상은 전공여부와 전공별에 상관없이 월경 전 증후군으로 신경 예민(25.2%), 분노, 짜증(16.4%), 잦은 감정 변화(13.7%), 우울(13.5%), 불쾌감(7.8%)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경 중 증후군으로는 신경 예민(27.4%), 불쾌감(17.0%), 분노, 짜증(15.7%), 잦은 감정의 변화(15.2%), 우울(10.1%) 순으로 나타났다. 6. 월경곤란증으로 인해 약물 복용여부는 가끔한다에 일반대학생 35.2%, 무용전공대학생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복용 안한다가 현대무용에서 3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때 무용이 월경현상의 변화나 월경 곤란증을 감소한다고 해석하기는 무리가 따르므로 무용과 월경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인 측면뿐 아니라 월경곤란증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들을 포함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Following research is conducted by the dance maj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andhas over 10 years of experiences in the related fields. Research has conducted a survey, which is regenerated based on MDQ, on 58 Korean dance students 48 ballet students, 20 modern ballet students, and 113 design major students of C university in ChongJu area Research studied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phenomenon and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of before and middle of menstruation; then it investigated the results by comparing the effects between different majors with using chi-square test of SPSS WIN 11.5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elow. 1. Statistics show that 34.2%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initial mens-truation symptoms within a year after the first menstruation which is the highest, 24.4% of dance major students experienced initial menstruation symptoms 1-2 years after the first menstruation Between the different majors, it appears that the highest statistic is 25.5% of Korean dance students who experienced initial menstruation symptoms 1-2 years after the first menstruation. 2. The length of menstruation was determined to be 23-35 days with dance major stud-ents scoring 59.3%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scoring 59.0%. Between the different majors, the modern dance students have scored the highest with 65.0%. 3. The amount of menstruation was determined to be normal with general university stud-ents scoring 71.8% and dance major students scoring 53.7%. Between the different majors, the modern dance students have scored the highest with 60.0%. 4 Physical effects of a menstruation were determined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stud-ents' major. Physical symptoms before a menstruation are abdominal cramps (18.9%), breast tenderness (14.6%), incrase in appetite (10.6%), bloating (10.2%), and lumbago (9.1%). Physical symptoms during a menstruation are abdominal cramps 214%), lumbago (11.1%), bloating (10.6%), breast tenderness (8.6%), and exhaustion (8.0%). 5. Mental effects of a menstruation were also determined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students' major. Mental symptoms before a menstruation are paranoia (25.2%), anger or irritability (16.4%), frequent change of emotion (13.7%), depression (13.3%), and unpleasantness (7.8%). Mental symptoms during a menstruation are paranoia (27.4%), unpleasantness (17.0%), anger or irritability (15.7%), frequent change of emotion (15.2%), and depression (10.1%). 6. Statistics considering whether or not taking a medical supplements to relive symp-tons show that the students who occasionally take the medicine scored thehighest with general university students scoring 35.2% and dance major students scoring 28.5%. Between the different majors, the modern dance students who answered no have scored the highest with 35.0%. Research indicates that sur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darting can reduce the change or symptoms of a menstruation,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cing and menstruation and also through investigation on ejection of menstruation related hormones is necessary.

      • KCI등재

        여대생의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가 월경특성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최연아,이신영,김민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by female college students'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For this, the data was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 232 female college students into a non-exercise group(n=158) and exercise group(passive exercise group n=25, 1~2 times per week, and active exercise group n=49, more than 3 times per week). For data progressing, 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cross tabulation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OVA, and a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use of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 except exercise characteristics. Secondly, as a result of variation analysis by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there was no main effect on the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there was no effective interaction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tress level, but in case of stress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ive interaction on sleep duration(p<.001)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stress level(p<.001).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 variables,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had no correlations with major variables, but stress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leep duration(p<.001). The menstrual period had no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ge of the first period(p<.05), but menstrual period(p<.05). The Dysmenorrhea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level(p<.001) and menstrual pain(p<.001), but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leep duration(p<.01).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alleviate stress in developing programs of prevention and relief from menstrual pain and dysmenorrhea. 본 연구는 여대생의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가 월경특성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대생 232명을 운동 비참여군(n=158)과 운동참여군(소극적 참여군 n=25, 1~2일/ 주, 적극적 참여군 n=49, 3일 이상/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분석결과, 운동특성을 제외한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분석결과, 운동참여 빈도의 주효과 및운동참여 빈도와 스트레스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의 경우, 수면시간(p<.001)과월경곤란증(p<.001)에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결과, 운동참여 빈도는 주요변인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는 수면시간과 부적상관(p<.001)이 나타났다. 월경기간은 월경주기와 정적상관(p<.05), 초경나이와 부적상관(p<.05)이 나타났고 월경곤란증은 스트레스(p<.001)와 월경통증(p<.001)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수면시간(p<.01)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추후 월경통증 및 월경곤란증 예방 및 완화 운동 프로그램 개발 시 스트레스를 완화 시킬 수 있는 운동 중재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