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최은주(Choi, Eun-j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본고는 과거 선비 개인의 일상에서 여행의 의미가 어떠했는지 그리고 당시 선비들이 여행을 통해 여행 장소와 공간을 어떻게 인지하였으며 또 동시에 어떤 감성을 발휘하고 형성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이 여행을 통해 형성했던 공간 감성에 있어 일정한 공통분모가 존재했었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여행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우리가 주지하듯 명산유람의 취미와 오락 위주의 탐승 차원도 많았지만, 또 어떤 여행은 일상의 영위 속에서 할 수 밖에 없는 여행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科行이라든가 人事다니기 또는 벼슬살이와 관련된 각종 여정 등은 선택하고 계획해서 하는 여행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 속에서 여행은 생활이 부여하는 동기 또는 계기를 통해 각종 양상으로 형성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여행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들의 생활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살펴본 결과,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은 자신들의 생활 세계를 토대로 상호자극의 관계에 있었다. 그들의 공간감성은 축적된 기행시문을 매개로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이되거나 또 확산되었으며, 때로는 공감대라는 테두리 안으로 파고들며 폐쇄성을 띠기도 했다. 이러한 공간감성은 여행체험에 대한 욕망을 부추겼고, 실제 여행체험은 다시 공간감성을 자극하여 기행시문으로 형상화된다. 이 순환의 과정에서 여행자들은 혈연·학연·지연 관계에 의해 장소와 공간에 대한 감성의 계보를 조직한다. 특히 청량산·도산·지리산·화양동과 같은 어떤 특정한 공간들은 선현의 자취로 인해 상징성이 매우 두드러졌으며, 이 상징성은 지속적으로 후인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공간감성의 소통과 경계를 만들고 있었다. 여행의 형태는 여행자 개인의 삶과 연동되어 있다. 여행범위부터 장소와 시간에 대한 결정과 선택은 생활 현실과 대단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생활 현실이라는 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개인성이 두드러지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계파와 집단의 보편성도 존재하므로,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의 여행 모습에 공통적 양상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은 일정한 타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The journey of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was consisted of various forms. It was not only for leisure and going sightseeing as we noticed already but also for the journey that they have to go around to lead their everyday life. The latter types of journey were going on a trip to take Gwageo,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o visit people, and to be in the government service, and these types were not planned the itinerary or chosen to go on a trip. The journey in their life was made up of various aspects through the motive or the opportunity that their life granted. It is why we have to focus on their life style to look through the journey of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and also it is why we have to approach this point of view to come closer to their space sensitivity. This thesis is mainly focused on what the travel means to the scholar's personal life in the past and how their space sensitivity is formed. Then, this article was tried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re was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space sensitivity to the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urney and the space sensitivity of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as on the mutual stimulus relation, Their space sensitivity with their travel essay was spread and diffused by developing a bond of sympathy, sometimes it showed the closeness by snuggling into the bond of sympathy. These space sensitivity was incited the desire to the experience of travel,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travel again gave shape to the travel essay by simulating their space sensitivity. The travelers form the pedigree of space sensitivity by the relation between blood ties, school ties, and regionalism during this cycle of process. Especially, certain places such as Cheongryang mountain, Do mountain, Jiri mountain, and Hwayang-dong were exceptional its symbolism by the traces of the ancient sages, and this symbolism continuously influenced on future generations and was making boundary and communication of the space sensitivity. The type of journey is linked with individuals' life, because the decision and choice based on the range of journey, place, and time were extremely sticked to the reality of the life. And,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ity in the reality of life is very remarkable, on the other hand, th universality of clique and group exists. Therefore, the judgement that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the common aspect of their travel style could have the validity.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최은주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The journey of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was consisted of various forms. It was not only for leisure and going sightseeing as we noticed already but also for the journey that they have to go around to lead their everyday life. The latter types of journey were going on a trip to take Gwageo,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o visit people, and to be in the government service, and these types were not planned the itinerary or chosen to go on a trip. The journey in their life was made up of various aspects through the motive or the opportunity that their life granted. It is why we have to focus on their life style to look through the journey of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and also it is why we have to approach this point of view to come closer to their space sensitivity. This thesis is mainly focused on what the travel means to the scholar's personal life in the past and how their space sensitivity is formed. Then, this article was tried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re was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space sensitivity to the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urney and the space sensitivity of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as on the mutual stimulus relation, Their space sensitivity with their travel essay was spread and diffused by developing a bond of sympathy, sometimes it showed the closeness by snuggling into the bond of sympathy. These space sensitivity was incited the desire to the experience of travel,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travel again gave shape to the travel essay by simulating their space sensitivity. The travelers form the pedigree of space sensitivity by the relation between blood ties, school ties, and regionalism during this cycle of process. Especially, certain places such as Cheongryang mountain, Do mountain, Jiri mountain, and Hwayang-dong were exceptional its symbolism by the traces of the ancient sages, and this symbolism continuously influenced on future generations and was making boundary and communication of the space sensitivity. The type of journey is linked with individuals' life, because the decision and choice based on the range of journey, place, and time were extremely sticked to the reality of the life. And,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ity in the reality of life is very remarkable, on the other hand, th universality of clique and group exists. Therefore, the judgement that Yeongnam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the common aspect of their travel style could have the validity. 본고는 과거 선비 개인의 일상에서 여행의 의미가 어떠했는지 그리고 당시 선비들이 여행을 통해 여행 장소와 공간을 어떻게 인지하였으며 또 동시에 어떤 감성을 발휘하고 형성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이 여행을 통해 형성했던 공간 감성에 있어 일정한 공통분모가 존재했었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여행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우리가 주지하듯 명산유람의 취미와 오락 위주의 탐승 차원도 많았지만, 또 어떤 여행은 일상의 영위 속에서 할 수 밖에 없는 여행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科行이라든가 人事 다니기 또는 벼슬살이와 관련된 각종 여정 등은 선택하고 계획해서 하는 여행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 속에서 여행은 생활이 부여하는 동기 또는 계기를 통해 각종 양상으로 형성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여행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들의 생활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살펴본 결과,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은 자신들의 생활세계를 토대로 상호자극의 관계에 있었다. 그들의 공간감성은 축적된 기행시문을 매개로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이되거나 또 확산되었으며, 때로는 공감대라는 테두리 안으로 파고들며 폐쇄성을 띠기도 했다. 이러한 공간감성은 여행체험에 대한 욕망을 부추겼고, 실제 여행체험은 다시 공간감성을 자극하여 기행시문으로 형상화된다. 이 순환의 과정에서 여행자들은 혈연·학연·지연 관계에 의해 장소와 공간에 대한 감성의 계보를 조직한다. 특히 청량산·도산·지리산·화양동과 같은 어떤 특정한 공간들은 선현의 자취로 인해 상징성이 매우 두드러졌으며, 이 상징성은 지속적으로 후인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공간감성의 소통과 경계를 만들고 있었다. 여행의 형태는 여행자 개인의 삶과 연동되어 있다. 여행범위부터 장소와 시간에 대한 결정과 선택은 생활 현실과 대단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생활 현실이라는 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개인성이 두드러지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계파와 집단의 보편성도 존재하므로, 조선후기 영남 선비들의 여행 모습에 공통적 양상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은 일정한 타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 인지적 즐거움과 감성적 즐거움은 자전거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부정책지원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강재구 한국관광서비스학회 2015 한국관광서비스학회 학술대회 Vol.- No.26

        본 연구의 감정은 인지적 즐거움과 감성적 즐거움 그리고 자전거 여행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여행자극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며 또한 이러한 감정들이 자전거 여행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정부 정책지원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그 영향효과를 모두 발현가능하며 통합되어 질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감정은 인지적 즐거움과 감성적 즐거움으로 구분되고, 인지적 즐거움은 여행자극과 환경적인 감각적 자극을 통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정책지원의 조절역할이 더 영향 받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 자전거 여행자 감정은 인지와 감성은 서로 유기적 관련하에서 연계될 수있음을 보여주고, 국민여가문화에서 인간의 감정자극이 자전거 여행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정부 정책지원은 국민여가와 레저문화 수준을 한 층 더 높은 여가문화생활에 대해 긍정적이며 이를 제시하고 있다. 여행자의 감정에 관한 새로운 관점과 자전거 여행자 행동의도 유발에 보다 구체적 정부 정책지원 논의가 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근대 조선의 수학여행과 기행문 쓰기의 방법

        조윤정 ( Yun Jeong J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8 No.-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총독부 발행 조선어독본에 제시된 수학여행지 관련 글들의 특성을 살피고, 당시 발행된 여행안내서와 민간독본의 내용을 참고하여, 학생들이 교지와 신문에 발표한 기행문의 의미를 고찰한다. 근대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수학여행지 관련 글들은 대부분 기행문과 서간문 형식을 띤다. 이 글들은 수학여행의 장소를 소개하되 조선의 정체된 역사성이나 일본과의 유사성, 일본에 의해 이루어진 근대화의 측면들을 부각하는 양상을 보인다. 학생들이 수학여행 중에 읽었던 여행안내서 역시 일본식 오리엔탈리즘을 내포한다. 그러나 최남선이 편찬한 『시문독본』과 강매가 저술한 『중등조선어작문』은 조선총독부 발행의 조선어독본이나 여행안내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미(美)의 묘사, 장소와 정서의 조화, 주관의 응시 등이 나타난다. 당대 학생들의 기행문 쓰기의 방식은, 관찬 조선어독본과 여행안내서에 내포된 식민담론에 대한 대타의식과 함께 당시에 유행했던 민간독본의 참조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학생들은 기행문에서 공간을 재현하되 교과서의 이념으로부터 일탈한다. 그들은 조선의 역사와 식민지적 현실을 응시하는 가운데 비판의식과 비애, 수치심을 노출하거나, 민족을 위해 기도하는 장면을 서사화한다. 이와 같은 글쓰기는 고적조사사업과 조선여행을 둘러싼 제국의 지정학이 은폐한 것들을 의도적으로 노출하고, 수학여행의 공공성을 재구성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수학여행기는 지식의 교섭과 길항 속에서 조선총독부 발행의 조선어독본의 내용을 탈전유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related to destinations for school trips as re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20s and considers the meanings of travel essays published in school magazines and newspapers by referring to travel guides and textbooks. In the articles and travel guide, Japanese orientalism applied. However, in Simundokbon (時文讀本) and Jungdeungchoseoneojakmun (中等朝鮮語作文), we found a description of beauty, harmony between places and sensibility, and gazing upon subjectivity, all of which are difficult to find in textbooks and travel guid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method of travel essay writing by students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extbooks by a private individual who lived during the age and by investiga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opposition of students against colonial discourse as contained in their books. Students deviate from the ideology of the textbook while reproducing the places in the travel essays. They depict criticism, grief and shame or describe scenes in which praying for the Chosun people is done while viewing the history of the Chosun and the colonial reality. This type of writing intentionally exposes aspects which are concealed by the geopolitics of the Japanese Empire surrounding investigations of historic spots and school trips. And the writings reconstitute the publicness of school trips. Therefore, the travel essay can be thought of as the result of the ex-appropriation of textbook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negoti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ideologies.

      • KCI등재후보

        제주 여행기의 감성 극대화와 노마디즘 서사

        김유석(Kim Yu seok)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여행기는 기존의 체제와 관습에서 자유로워진 여행자가 시간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며, 낯선 장소에서 새로운 ‘나’와 만나려는 시도의 기록이다. 우리의 국내 여행기 중 다수를 차지하는 제주 여행기는 제주에 매혹된 여행자들이 수차례 방문과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제주 여행기는 일반적인 여행기와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여행기는 일회적 여행에 기반 해서 쓰기 때문에 장소성이 부각된다. 제주 여행기는 수차례 방문 과정에서 장소에 대한 경험이 입체적인 시간성을 얻는다. 제주 여행기들이 담으려는 감성은 아름다운 풍경이 촉발한 것을 넘어 과거와 현재의 연관 속에서 파생되기 때문에 극대화된다. 제주 여행기에서는 ‘떠남-귀환’이라는 전통 플롯에 따른 서사를 찾아볼 수 있다. 육지 대도시의 폭력적 생존 경쟁을 거부하는 여행자들은 제주를 여행하며 새로운 삶을 모색하고 변화된 자신을 만나려했다. 이들이 만나는 것은 원시 생명력, 아름다움, 평화, 공존, 본래적 자기의 회복이다. 체제에 저항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철학적 노마디즘은 한 인간이 여행이라는 시공간의 변화 속에서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유기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며 구현된다. 장소 체험에서 비롯한 극대화된 감성과 노마디즘 서사는 한 장소에 대한 애정인 ‘장소애(場所愛, topophilia)’의 결과다. 많은 제주 여행기는 장소와의 긴밀한 유대감이 희귀해진 이 시대에 ‘진정한 장소감(場所感)’을 되살려냈다. Travelog is a record of an attempt to meet a new me in a strange place, sensitive to changes in time by a traveler who is free from the existing system and customs. Jeju travelers who were attracted to Jeju left Jeju travels based on their visits and stay experiences several times. Jeju travelog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travelog. The placeness of the general travelog is highlighted because the general travelog is based on one-time travel. Jeju Traveler gets three-dimensional time experience in the place during several visits. The emotions that Jeju travellers are trying to contain are maximized because they are derived from past and present associations beyond what beautiful scenery has triggered. In Jeju Travelog, we can find the narrativ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lot called Leave – Return . Travelers who refused to compete for violent survival in land metropolis traveled to Jeju to seek new lives and meet themselves. What they meet is primitive vitality, beauty, peace, coexistence, and restoration of original self. Philosophical nomadism, which tries to resist the system and form a new identity, is realized by forming an organic story as a person becomes the main character in the time and space change of travel. The maximized sensibility and nomadic narrative from the place experience are the result of place affection (‘topophilia’), which is affection for a place. Many Jeju travelogues revived a real sense of place in this era when close ties with places became rare.

      • KCI등재

        낯설음과 낯익음의 경계 - ‘열하일기’의 감성적 지평

        金璟鎬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1 No.-

        이 글은 연암 박지원의 ‘열하(熱河)’로 은유되는 낯선 중국 여행기록을 통하여 첫째, 세계와 인간에 대한 사유와 인식의 전환적 동력을 확인하고 둘째, 그러한 세계 인식의 철학적 의미를 ‘겪음의 감성적 지평’에서 고찰한다. 열하 여행이라는 체험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박지원이 여행 중에 겪게 되는 경험이 어떠한 감성을 촉발하고 사유에는 어떠한 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박지원에게 있어 열하 여행은 ‘열하’라는 낯선 타자로서의 인문지리적 공간과 익숙하면서도 오래된 낯익은 상상의 공간 중국을 접속시키는 ‘통합의 체험적 시간’이다. 낯설음과 낯익음이 공존하는 감성적 경계의 영역은 신체화된 경험(embodied experience)으로 직조된다. 열하의 낯섦 속에 공존하는 낯익음의 통합과 불일치의 경험을 통해서 박지원은 오래된 자신의 정체를 확인하는 계기적 시간을 만들고, 그러한 발견적 지점을 통해 자신의 사유를 재구성한다. 결국 박지원은 낯설음과 낯익음의 감성적 조우를 통하여 자신과 세계에 대한 균열의 지점을 확인하고 새로운 지평을 모색한다. 필자가 ‘열하일기’를 통해 탐구하고자 하는 것도 바로 이 지점이다. 这篇文章要通过燕严朴趾源所写的日记在日记里所记载的热河就是用隐喻表达陌生与熟悉共存的中国分析转换思维和感性的原动力, 亦即以哲学的角度考察他的感性体验。这篇文章聚焦于活生生的‘热河旅行体验’, 探索燕严在旅游中所体会的经验如何激发他的感性, 也如何呈现他的思维轨迹。 对朴趾源而言, 热河旅游可以说是使所谓‘热河’的他者即陌生的人文地理学性空间和熟悉又长久的想象空间联接的一种‘体验融合的时间’。陌生和熟悉共存的感性领域织造并重新组成体现的心态。朴趾源通过在热河里共存的陌生与熟悉之间产生的融合和不一致的经验, 造成能确认身份的时间以及通过那发现再次组成自己的思维。陌生与熟悉的感性遭遇成为能确认身份的机会, 并成为自我反省的动机。如此, 本人通过燕严的热河日记想要所探索的。

      • KCI등재

        여성의 이국 체험과 감성의 지리학 - 1950-70년대 해외기행문을 중심으로 -

        임정연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3 No.-

        이 글은 1950-70년대 여성 해외 기행문을 대상으로 여성의 이국체험 방식을 규 명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세계 지리적 상상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젠더지리학의 입장에서 여성이 타문화를 이해하고 번역하는 시각과 방식에 주목 함으로써 여성 기행문이 윤리적인 문화번역 텍스트로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탐 색하고자 한 것이다. 해방 후 모윤숙과 김말봉은 서구 세계에 대한 견문과 답습이라는 목적에 종속 된 관제 여행에서 ‘여성 외교관’으로서 특화된 임무를 수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이들의 기행문에서는 민족 집단을 대변하는 공적 글쓰기 틈새로 불연속적이고 비균질적인 젠더 글쓰기의 단서들이 포착된다. 이들은 여성 고유의 체험과 전방위 적인 감각으로 수집한 증거들을 통해 ‘상상된’ 미국이 아니라 ‘경험된’ 미국을 서 술한다. 이들의 여행기는 외부성의 사유에 기반해 미국이라는 고정되고 보편적인 상(像)으로 환원되지 않은 모습들을 포착하고 있다. 이 같은 접근법은 지정학적 역 학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민족적 위계나 대결의식에서 벗어나 세계를 보는 눈(seeing eye)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탈-로컬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1960-70년대 손소희와 손장순의 여행은 주유(周遊, journey) 혹은 만유(漫遊) 형태 의 여행을 표방한다. 이들의 여행기는 각 나라의 대중적 정체성을 복제하는 대신 장소 ‘내부’의 ‘풍경’과 친밀한 접촉을 맺고 교감함으로써 구체적인 ‘생활’을 발견 하고자 한다. 여러 나라 사람들을 만나 관찰하고 교유한 덕분에 각 나라와 도시는 고정된 표상에 갇히지 않고 생생하고 역동적인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었다. 이들 의 글쓰기는 파편화된 감성과 지식으로 권위를 해체하는 여성 여행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여성 기행문은 관계의 상호성에 기반해 세계-지식을 재구성하고 ‘감성의 지리학’을 구현하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searching for the women's experience method of foreign country, displayed in 1950-70s' woman foreign country travel essay, through this, investigating how women's world geographical imagination was realized. After liberation, Mo, Yunsook and Kim, Malbong performed a specialized duty as 'woman diplomats' in 'governmental travel', which aimed at traveling and experiencing. Nevertheless, their travel essays were remarkable in respect of its characteristic of discontinuous and irregular gender writing, rather than official writing. Their travel essays describe 'experienced' America, not 'imagined' America. Here, America reveals its poly-layered appearance, which was not reverted to a fixed and universal reflection(像). This approach method shows de-local possibility, in respect that it can have a seeing eye to observe the world by escaping from national consciousness of confrontation. Son, Sohee and Son, Jangsoon's travel in 1960-70s has the characteristic of 'journey'. These travel essays tried to seek a concrete life through closely contacting the landscape of 'inner' place and communing with it. Due to this reason, each place could be restructured as the dynamic meaning, instead of being shut up in a fixed symbol. Their writing shows ethical character of woman travel essay, which deconstructs authority with fragmented sensitivity and knowledge. Woman travel essay realizes an emotional geography which newly composes the world based on reciprocality of relationship.

      • KCI등재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ä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조강석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Jung Ji-Yong's early poems can be viewed by terms of sensible(ästhetisch) appropriation of modernity. In early poems, Jung Ji-Yong tried to decode modern signs(signe) which h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Also, he tried to express the results of decoding of modern signs through familiar images he could recall easily. The odd signs of modern experiences were interpreted by the work of sensible imagination. The travel by train or voyage across the sea, both of which could be regarded as typical representaions of modern life experiences, was well appropriated by his sensible imagination in Jung Ji-Yong's early poems. Meanwhile, Jung Ji-Yong could make himself feel more familiar with the advent of modern culture. 정지용의 초기시는 주체가 감성에 주어진 낯선 자극들에 감성적으로 대응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 과정 속에서 주체는 근대적 자극들을 새로운 것으로 변별적으로 인지하게 만드는 어떤 것이 근대를 인지하고 해석하려는 과정의 근저에 놓여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은 순수 과거로서의 고향이었다. 우리가 정지용의 초기시에서 기차 여행 체험이나 항해 체험을 다룬 시들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다룬 시들을 별개의 것으로 간주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새로운 것들 속에서 과거의 것을 그리워하는 것이 아니라 낯선 것들을 새로운 것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조건이 그의 근대 체험 속에 공존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정지용이 근대를 감성적으로 전유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좀 더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지용은 낯선 기호들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순수 과거를 요청한다. 현재나 과거의 고향이 아니라 순수 과거로서의 고향은 그의 근대 체험의 감성적 전유 과정을 작동시키는 근원이다.

      • KCI등재

        춘천지역의 대중가요를 통해 본 노랫말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의 상관성 -스토리가 있는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 창출-

        이학주(Lee, Hak-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7

        본고의 목적은 특정 장소를 대상으로 써진 춘천지역의 노랫말 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의 상관성을 추출해 보는데 있었다. 이에 두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 춘천지역 대중가요의 노랫말에 등장하는 장소성과 노랫말쓰기이다. 대중가요는 지역의 이미지메이커와 무형문화 브랜드로 작용한다. 이에 장소와 노랫말이 관광과 관련을 가진다는 전제로 논의 하였다. 노랫말이 써진 장소와 노랫말에 담긴 내용은 그 장소를 찾은 관광객에게 새로운 느낌을 불러낼 수 있다. 이 느낌을 본고에서는 작사가의 감성과 관광객의 공감으로 나누었다. 작사가는 해당 장소에 자신의 관점을 투영하여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그 이미지를 작품으로 형상화 한다. 관광객들은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가면 장소가 주는 느낌과 노랫말의 내용을 대응시켜 감상 한다. 이때 작가의 개인 감성이 대중적인 공감으로 작용한다. 둘째, 춘천지역 대중가요의 노랫말과 관련한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창출이다. 관광객이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갔을 때 느낄 수 있는 감성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고찰했다. 대중가요인 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재현성(再現性)이 높다는 데서 착안했다. 관광객이 노랫말이 써진 장소에 갔을 때, 노랫말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환상과 신비감을 갖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 방법은 노랫말의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관계를 살려 이야기마케팅을 하자고 했다. This 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ultural contents and the poem of local public song of Chuncheon. First, it studies the poem and the locality. A popular song is an image maker and intangible cultural brand of local area. It studies assuming that the poem of a song is related with the place. The place in a poem and the context in the poem should wake up new feelings in tourists of the place. It deals with the sensibility of the poet and the sympathy of tourists. The poet visualizes the image he gets in his view about the place. Tourists appreciate the feeling of the place and the context of poem visiting the destination about which the poem was written. Each personal feeling makes up public sympathy. Second, it studies the visit of the place and the creation of emotional mood. It studies the way to create the emotional mood visiting the place with a poem. It assumes that a public song has a high reproductivity. Visitors should have the feeling of mystic wonders. Story marketing makes it possible coordinating the poem and the context.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관광에 대한 인식과 태도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과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배소현,이수안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6

        This study used big data to conduct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on individual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wellness tourism. From October 8th, 2018 to October 7th, 2021, web documents containing keywords such as 'wellness tourism' and 'wellness travel' were collected from Naver, Daum, and Google. A total of 23,770 documents were used to analyze keywords frequency, TF-IDF, N-gram, degree centrality, CONCOR, and sentiment analysis after duplicated posts and meaningless words were remov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words most frequently appearing and having high TF-IDF values were mentioned in the context of wellness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nd development, purposes and types of wellness travel, and information on domestic wellness tourist spots. Words associated with wellness, tourism, tourism destinations, selections, and so on played critical roles in the network, according to degree centrality measures. Six clusters emerged from CONCOR analysis, including core attributes, projects, wellness tourism development, and so on. Finally, sentiment analysis revealed that people had a generally positive impression of wellness tourism.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wellness tourism perceptions and aids i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o revitalize wellness tourism. 이 연구는 웰니스 관광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그에 대한 전반적인 감성을 알아보고자 빅데이터를 이용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웰니스 관광’과 ‘웰니스 여행’이라는 키워드로 2018년 10월 8일부터 2021년 10월 7일까지 3년 동안 게시된 웹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중복 게시글, 의미 없는 단어들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총 23,770건의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어 빈도, TF-IDF, N-gram, 중심성, 군집분석(CONCOR),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웰니스 관광 연관어로 국내 웰니스 관광지의 선정과 개발, 웰니스 관광의 목적과 유형, 웰니스 관광지 정보 등에 관한 단어들이 상위권에 노출되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 웰니스, 관광, 관광지, 선정 등의 단어들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CONCOR 분석 결과 웰니스 관광 핵심 속성, 웰니스 관광 사업, 웰니스 관광상품 개발 등과 관련된 6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웰니스 관광의 감성분석에서는 긍정어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된 웰니스 여행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숨겨진 인사이트를 찾아내고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