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禪의 관점으로 본 한글시의 영혼

        김인수(Kim, Inn-S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이 연구는 한글시의 영혼은 禪精神으로 산다는 것을 밝혔다. 조윤제는 “은근과 끈기”가 한국문학의 특질이라고 보았지만, 필자는 그것도 禪에서 나온 한국인의 정서라고 보았다. 선사의 한문시가 禪詩이다. 그리고 유학자의 한문시도 대부분 禪的이다. 그러나 그 禪은 주로 生老病死와 衣食住를 초월한 物我一體가 주제이다. 그리고 吟風弄月의 서정이 아주 짙다. 민중의 禪은 선사의 禪과 다른 점이 많다. 이 민중의 禪을 禪外禪이라고 보는 이도 있는데, 한글시는 바로 이 민중의 禪에서 나왔다고 보았다. “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 - 이런 민중의 희망이 民衆禪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선사의 禪과 민중의 禪을 특별히 구분하지는 않았다. 다만 선사의 禪과 달리 민중의 禪은 生老病死와 衣食住를 그대로 수용했다는 특징을 강조했다. 선사이든 민중이든 禪은 色卽是空 空卽是色으로서의 현실을 因緣生起로 파악한 마음이므로, 민중의 禪도 선사의 禪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보았다. 禪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儒·佛·道·巫·모더니즘을 수용하고 융합한 한국문화의 원천이며, 한글시의 動機로 보고, 禪의 관점에서 한글시를 선별하여 다양한 주제로 해석했다. 지금까지 기독교의 영혼으로 성공한 한글시는 보이지 않는다. 한글시의 영혼은 서양의 創造神과 같은 절대적인 것에 구속될 수 없고, 특히 원죄의식과 같은 자기비하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시의 영혼은 어디까지나 자유의 영혼이다. 그리고 이 영혼이야 말로 현대문명에 만연된 허무주의(Nihilism)를 치유할 수 있는 영혼이라고 결론을 이끌었다. In dieser Arbeit habe ich versucht, eine typische Seele der konreanischen Gedichte von der alten Zeit bis zur heutigen gegenwartigen Zeit zu finden. Die Seele ist vom Schamanismus(巫), Buddhismus(彿,) Konfuzianismus(儒), Taoismus (道) und der Moerne, besonders vom Zen-Buddhismus(禪) beeinflusst. Wenn man fragt: wovon lebt die konreanische gedichtliche Seele?. Ich anttworte: Sie lebt vom Zen(禪)-Geist. Ja, man kann sagen,: Schamanismus(巫) ist eine typische ostasiatische und koreanische Volksseele. Trotsdem hat der Schamanismus(巫) den Zen(禪) auf die typische Seele der koreanischen Gedichte nicht vereinigt, sondern er ist gegensatzlich in den Zen(禪) aufgesaugt worden. Der Zen(禪) saugt alle auslandische Kultur von China, Indien, und Westlander auf und ist die koreanische Volksseele geworden. Der Zen(禪) regt als Motiv die Seele im koreanischen Gedichte von der alten Zeit bis zur heutigen gegenwartigen Zeit an. Es ist mir ganz darauf aufmerksam, dass der Zen(禪) den westlandischen kirchlichen Gott nicht akzeptiert hat. Der Zen(禪) ist keine Exzistenz, kein Gott, keine Substanz(Bestand) und keine Zauberrei. Nach meiner Meinung ist der Zen(禪) frei davon. Er ist weder transzendental noch beharrlich beim wirklichen Leben. Die Seele, die mit dem Zen (禪) angeregt worden ist, will sich dem Gott nicht untergeordnet worden sein. Sie will immer vom Sinn unabhangig sein. Man kann sagen: Der typische Seele der konreanischen Gedichte lebt bestimmt und sicher im Zen(禪)-Geist.

      • 진단용방사선표준화사업 : 진단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측정기 교정을 위한 기준 X선(Ⅱ)

        오헌진,박기정,이현구,김귀야,함창곡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X선 측정기에 대한 교정은 Cs-137 선원의 661.6 keV 에너지에서 수행하고 에너지 틀성곡선에 따라 보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방사선진단분야를 비롯한 X선 사용분야에서 정도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정확한 X선 선량측정을 위한 정확한 교정정수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실제 사용하는 X선의 에너지 범위에서의 교정이 요구되고 았다. 각국의 국가표준기관에서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준 X선을 사용하고 있는론, 국제표준차기구tISO)에서 정한 기준 X선므로 통합되어가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ISO narrow specEfurn 계열끈 기준 X선을 확립하기 위하여 고순도의 알루미늄, 납, 구리 및 주석 필터를 정확한 두께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확립된 기준 X선의 균일도(field uniformity)는 눈3 %"1고, 산란선의 영향은 검출되지 않았다. 선질을 평가하기 위한 1차 및 2차 반가층 측정결과, 1차 반가층은 ISO 4037-1 규격과 1.8~4.9 %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으며 2차 반가층은 0.O~4.9 % 범위 내에서 일치함들 확인하였다. 본 면구에서 ISO 규격을 만족하는 narrow spectHrn계열의 20 tV, 린 kV, 30 Kv기준 X선을 확립하였으며, X선 측정기의 교정검사 및 X선 표준조사에 사용될 것이다. Calibration of X ray dosimeters have been performed at 661.6keV gamma ray of Cs-137 and corrected with energy dependence curve. As the importance of dose assurance was recognized in diagnostic radiology etc., accurate calibration factors determined at the practical X ray energy range are required for more accurate dosimetry. Each national standards laboratory developed their own X reference radiation for calibration. X reference beams specified in ISO standard are on unifying trend as a internationl reference beam. 3 low energy X reference beams of narrow-spectrum series specified in ISO 4037-1 we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r inherent filtration adjusting and additional filtration, high purity Al metal plates were processed to 10×10 cm plate with accurate thickness. Field uniformity of established X reference beams is ±3% and the contribution due to scattered radiation is negligible(not detectable). HVL measurements for evaluating the beam quality of established X reference radiation revealed that the first HVLs in given filtrations agree within 1.8∼4.9% and second HVLs satisfied requirements in ISO 4037-1 i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and can be used for calibrating X ray dosimeters and standard irradiation.

      • 한-일 간 3선(先) 논쟁에 관한 소고

        이종원(Lee, Jong-Won) 대한검도학회 2018 대한검도학회지 Vol.29 No.1

        우리나라에서 검도본을 수련할 때 ‘선선의 선’이라는 생소하고도 어려운 개념에 봉착하게 된다. 일본에서는 “검도본 1, 2, 3, 5본은 후도가 ‘선선의 선’으로 선도를 이긴다”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본은 ‘후의 선’이라고 하는 명확한 규정은 없지만 대부분의 검도 인들이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 이 두 경우는 외형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이론상으로는 분명히 다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일 간 검도본의 ‘선’에 관한 인식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제기된 네 가지의 대표적인 주장(즉, 미야모토 무사시, 이종림, 타카노 사사부로, 전일본검도연맹)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앞 두 주장은 현상 또는 동작 기준으로 제기된 것이고, 뒤 두 주장은 동작과 정신을 한 이중기준으로 하고 있다. 스포츠적 측면에서 보면 동작중심의 앞 두 주장이 타당하며, ‘선선의 선’ 개념이 없는 이 둘은 사실상 같은 것이다. 이 두 주장이 스포츠과학적으로 옳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선선의 선’ 개념을 내포한 일본검도형을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검도형과 스포츠검도가 공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선선의 선’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각 유파의 전통을 계승한 검도본 즉 일본검도형의 정신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필자는 향후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세계검도인이 객관적으로 또한 과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연구를 기대하면서 과도기적인 기간에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선선의 선’을 보다 광의의 개념인 한국의 ‘선의 선’ 개념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1, 2, 3, 4, 5본은 후의 선으로 종전과 같이 두더라도 후도의 기세에 눌려(또는 압박을 받아) 선도가 할 수 없이 치고 들어오는 6, 7본은 후도가 ‘선선의 선(또는 선의 선)’으로 승리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에 대한 논의 또한 제안한다. When practicing Kendo Kata in Korea, we are confronted with the strangely difficult concept of "sensen no sen". In Japan, "Kendo Kata 1, 2, 3, and 5 say that the shidachi wins uchidachi (the person who initiates the move in order to teach the principles of the techniques) by "sensen-no-sen". In Korea, however, the most Kendoists recognize that all Kendo Kata are ‘go-nosen’ even though there are no clear regulations. These two cases do not seem to be largely different in appearances, but they are clearly different in theory.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clar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Kendo Kata’s sen"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purpose, four main arguments are advocated in Korea and Japan (i.e., Miyamoto Musashi, Rhee Jong-rim, Takano Saaburo, and All Japan Kendo Federation) we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former two arguments are based on the criteria of appearance and/or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wo arguments are based on the two criteria, the movement and the spirit. In terms of sports perspectives, the two arguments, which are focused on the motion, are valid, and the two without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are virtually the same. Even if these two arguments are right in sports science, the problem is that we can not explain Nippon Kendo Kata that contains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Therefore, the only way for Nippon Kendo Kata and sports Kendo to coexist is to admit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In Korea,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ept the spirit of Nippon Kendo Kata, which succeeded the traditions of each Kendo style in Japan. Therefore, the author expects that the world"s Kendo people will be able to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ccept the rational research tha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in the future. However,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 author proposes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in Japan into the concept of ‘sen no sen’ in Korea which is a broader concept. Furthermore the author argues that Kendo Kata 1, 2, 3, 4, 5 would be classified into the concept of ‘go no sen’, but the shidachi (the person in the position of learning the techniques) of Kendo Kata 6, 7 might win by ‘sensen no sen’ because the uchidachi is compelled to attack under the pressure of the shidachi. The author also suggests a discussion on this.

      • 선리(船里) 명문와 고찰

        김규동,성재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keeps artefacts (many of them are merely fragments, although they are valuable as historical materials) collec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ing 389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in Seon-ri, Gwangju after the great flood of 1925, 337 of which contain inscriptions. However, their archaeological context has long been unclear due to a lack of detailed investigations or excavations. Some roof tiles are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Place name)受國蟹口船家草 (Sugukhaeguseongacho)," which c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e following: "(Place name) is requested to receive the roof tiles that we are dispatching. They were produced at a (Government-run) kiln near the ferry at the estuary of the river (whose name is associated with crabs)." Thus, it is thought that the place where the roof tiles were produced was Seonri, Gwangju and that they were supplied to the places whose names were stated. A total of twenty place names (for which the roof tiles were produced) inscribed on the roof tiles have been confirmed by the record in the section titled Jiriji (Geographical Book)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y include areas around Bukhansan Mountain in Seoul, as well as in Yangpyeong, Anseong, Suwon, Gwacheon, Gimpo, Yangju, Goyang, Paju, Pocheon and Hanam in Gyeonggi-do and Incheon; Cheolwon; Gaeseong, Jincheon. Seon-ri roof tile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the mid-8th century (place names were changed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zones in 757) and the early Goryeo Period based on their patterns, changes in the inscriptions, and the place names inscribed upon them. The places to which the roof tiles were supplied generally correspond to the scope of Hanju, one of the nine provinces of Unified Silla. Thus, the roof-tile kiln in Seon-ri, Gwangju is thought to have been a state-run production center that supplied roof tiles from Hanju. The Chinese character 國('Guk') inscribed on the roof tiles corroborates this fact.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oof til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하거나 지표 채집한 유물 중 대부분 편으로 잔존하고 있는 자료적 성격의 유물을 보관·관리해 왔다. 선리 기와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1925년 을축년대홍수 이후 발견·수습한 것으로 모두 389점에 이르며, 이 중 337점에서 명문이 확인된다. 하지만 수습에만 거치고 주변에 대한 정밀조사나 발굴조사 등을 실시하지 않아 유적의 성격이 밝혀지지 않았다. 기와에는 ‘(지명)受(國)蟹口船家草’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이는 ‘게내천 또는 게와 관련된 명칭의 하천 입구에 있는 나루터 부근 국영(가마)에서 제작한 기와를 보내니 (지명)에서 받아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중 ‘해구(蟹口)’는 게와 관련된 명칭의 하천 입구라는 의미로 기와 발견지 일대가 현재도 게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기와 가마가 위치한 곳을 당시에는 ‘해구(蟹口)’라 불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생산지는 ‘해구(蟹口)’, 즉 선리가 되고 공급지는 명문 앞에 있는 각 지명들이 됨을 알 수 있다. 기와에 남아 있는 지명 즉 기와의 공급지는 『삼국사기』 지리지 비정을 통해 모두 19곳이 확인되는데, 이들의 현재지명을 비정한 결과 서울의 북한산 지역과 경기도의 양평·안성·수원·과천·김포·양주·고양·파주·포천·하남과 인천, 강원도 철원, 황해북도 개성지역, 충청북도 진천지역 등으로 확인되었다. 선리 기와는 문양과, 명문의 변화, 기와에 새겨진 지명이 통일신라지명과 고구려지명이 혼재되어 있는 점 등으로 보아 75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지명 개명이 완료된 시점인 8세기 중후반부터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 초까지 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서울·경기·인천·강원도 철원·황해도 개성 등 공급지역의 범위가 통일신라 9주 중 하나인 한주(漢州)의 범위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어 선리의 기와가마는 한주를 공급지역으로 하는 관영공방으로 생각된다. 이는 기와의 명문에 새겨져 있는 ‘국(國)’을 통해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선리 기와가마가 한주의 관영공방이었을 가능성은 통일신라 당시의 기와 생산과 유통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仙」과 甑山사상의 특징 및 그 도교성에 대해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6 No.-

        生命이란 인간이 철학하게 되는 여러 가지 난문 중에서도 가장 핵심에 있는 의문이다. 한국학의 사유세계 속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해명이 시도되어졌다. 그 가운데 한국철학의 세계 속에서 우리는 ?仙?이라 부를 그 무엇을 통해, 생명에 대한 하나의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다. ?仙?이란 한국문화의 중추적인 세계 속에 담겨진 한국자생의 사상이자 철학의 세계를 의미한다. 이는 神話의 시대로부터 나타나, 한민족에 의해 전승 보존 유지되어 내려와 오늘에 이르고 있는 한국인의 자기의식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의 연원은 모든 것을 하나에로 귀일시키는 ?한사상?적인 특질을 갖고, 인간의 내적 정체성을 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그 신앙적 특질로서 巫神敎적인 자기성격을 지니는 것이다. 이는 그래서 古仙道 또는 古神敎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이후의 변천을 통해 한국도교와의 만남ㆍ불교와 무속과의 결합 그리고 조선단학과 민족종교사상으로 이어진 國仙과 화랑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다만 이는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언제나 잊혀지고 핍박받은 한국인의 기층적 사유세계로 존재함으로써 오늘 현재 그 남겨진 맥락을 이어가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존재성과 사상성은 여전히 뚜렷한 자취를 남기고 있으니, 이를 통해 우리는 ?仙? 그리고 한국인의 자체적인 생명사상에로의 탐색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仙?의 맥락 속에서 가장 특기할 것은 甑山의 사상세계이다. 그는 ‘참 동학’의 세계를 주창하는데, 실로 이는 무속의 자체적인 세계를 긍정한 것이며, ?仙?의 빛나는 흐름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속에서 한국적 생명사상의 세계는 보다 명확해지고 있다. 그것은 존재와 생사 그리고 관계성과 영원성의 원리라고 할 그 무엇이다. 동시에 이는 생사의 等價的 이해와 神明의 존재를 통한 精誠과 至誠의 정신세계를 밝혀주고 있다. 그리고 증산은 일심으로 ‘하나됨의 원리’를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한국적 하나 됨의 철학세계를 담보하고 있다. 곧 인간의 生老病死나 천지의 生長斂藏이나, 일년 4계절의 春夏秋冬은 다 그대로 자연으로 존재하고 있다. 아니 이들은 그대로 자연일 따름이다.생사 또한 그와 같다. 그렇기에 이러한 자연을 그대로 따르고 긍정함을 통해서, 인간은 천지와 합일하고 그로써 영원한 세계의 흐름과 운동에 함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그대로 ?仙? 사유 즉 不死와 長生의 자기세계가 되며, 또한 한국문화 속의 無往不復之理, 그리고 도가의 返者道之動과 같은 궤적을 그리는 생명에의 이해가 되고 있다. The problem of life is an essential question in philosophy. So many answers on the life problem have been given to the human-beings from ancient times. Also, Korean have had a kind of solutions in its own way. One of them can be traced into the theory of the Sun(仙). The Sun(仙) is a supernatural being and immortal being. It seems like to the sun and the light. So, I call it as <the Sun(仙)>. The principle of the Sun (仙) is based on the Korean myths. And Korean myths have become an origin in Korean-ism. So, we can say that the Sun(仙) is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the Korean philosophy. The Sun's nicknames are Ko-Shinkyo(古神敎) or Ko-Sundo(古仙道) or PungRyu-do(風流道) etc. The Sun(仙) means the light, free and immortal man. It is the dualistic oneness, that is the Sun(仙) has the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homogeneously. In principle, the core of Sun's life theory is the eternity, forth and liberty. So, we can say that the mans who have acquired its faculties are the Sun(仙). The life of the Sun(仙) is a powerful movement and everlasting existence. The Sun's inheritance is not broken in the history of Korean-ism. This connections have had the Korean-Shaman and the National-Sun(國仙). And they made the groups, that is the monastic life(?家), Korean Taoism, Tanhak (丹學) and modernistic National Religions of Korean-ism. Finally, we can find the real Sun's world in JeungSan, which is one of Korean based religion. In Jeungsan, we can find the principle of the ‘living, growth, riping, conclude(生長斂藏)’ and the theory of complete. This principles are the nature of natures. In order to understand its principle, we must know the holy ghosts and the theory of mutual life saving. So, the living is the moving and power of the nature. And, in its principle, also the life and death are the phenomena of the nature. Thus, it can be said that JeungSan have succeeded successfully the true nature of the Sun(仙). The principles of JeungSan and the Sun(仙) will be an unique alternative in the new milllenium.

      • KCI등재

        선한 삶의 의미와 선 학습의 방법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박재주 ( Jae Joo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이성적 원리를 소유하고 그것에 순응하는 영혼의 활동을 탁월하게 시행하는 것이 인간의 선이자 행복인 것이다. 여기서 이성적 원리에 순응하는 영혼 활동의 탁월성이 도덕적 덕이다. 선한 삶을 사는 사람은 개별적인 것과 관련하여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숙고와 선택의 과정을 통해 결정한다. 선택은 이성과 올바른 욕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성과 욕망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실천적인 삶이 행복하고 선한 삶인 것이다. 그런데 진정한 도덕교육은 옳음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선함의 습득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적 덕이 무엇인지를 알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덕에 따라서 행위하고 정서를 가지는 선한 삶을 사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진정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선한 행위와 정서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래서 선한 삶을 살아가는 선한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의 출발점은 도덕적 덕내지 적절성(=중용)에 대한 앎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앎의 내용은 어떤 상황에서 실행되는 어떤 행위와 정서가 적절한 것인지를 아는 것이다. 행위와 정서가 그 상황에서 적절한 것이라는 점을안다는 것은, 사실에 대한 앎만이 아니라 무슨 이유로 그 행위와 정서가 적절한지, 즉 이유에 대한 앎도 포함되어야 한다. 그런데 덕스러운 행위와 정서 실행 교육의 내용인 도덕적 덕과 다양한 실기교과들의 내용인 기술들은 유사하다. 기술의 경우에서처럼, 선한 삶을 살기 위해 덕을 따르는 선한 행위들을 실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술들의 경우와 도덕적 덕들의 경우는 일치하지 않는다. 기술들은 그 자체로 그것들의 좋음을 가지기 때문에 적절한 행위들의 적절한 실행만을 요구하지만, 도덕적 덕은 선한 행위들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들로 지식, 선택, 성품을 요구한다. 기술은 외부적인 조건만을 가지지만 도덕적 덕은 외부적인 조건과 내부적인 조건을 함께 지닌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즐거움과 괴로움 그리고 부끄러움이 도덕적 판단에서 동기를 유발하는 힘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덕스러운 사람들은 그 행위들이 덕스럽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덕스러운 행위들을 즐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드는 것은 덕스러운 행위들과 연계되는 즐거움이 아니고, 오히려 포악한 행위들과 연계된 괴로움과 처벌의 두려움이다. 그들은 괴로움과 처벌들의 두려움을 내면화시킴에 의해 도덕적 발달에 진전할 수 있다. 그들은 잘못된 행위에 처벌을 받음으로써 그런 행위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다. 부끄러움은 성품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정서이며, 열정들에 몰두된 실수들을 고치게 하고, 고상하고 정당한 것에 익숙해지게 만든다. The excellence of executing the soul’s activities with rational principles is the moral virtue, and the human life in accordance with it is the good and happy life. The man who leads the good life always decides through deliberation and choice what he should do and what he shouldn``t do. The choice is made up of the combination of reason and correct desires. The happy and good life of human being is such practical life. Therefore, the true moral education must be aimed at not knowing of rightness but learning to be good. Through the true moral education, we can make the students become not knower about moral virtue but good man by doing and feeling in accordance with moral virtue. Then the knowing of the propriety of actions and emotions in a broad variety of circumstances is the starting point of putting the good actions and emotions into the habitual practices and becoming good person. The knowing of the propriety of actions and emotions is not only the knowing of the facts(=the that) but also the reasons(=the because) of the propriety. And moral virtues as the substance of learning to be executor is similar to arts as that of practical skill subjects. As in a case of practical skill subject, virtuous actions and emotions must be done to lead a good life. However, the both cases of practical skill subject and moral education are not entirely similar. The arts require proper practice of proper actions, but moral virtues require knowledge, choice, and firm and unchangeable character as the conditions of executing the good actions and emotions. That is, the arts are made up of only extrinsic conditions, but the moral virtues are made up of intrinsic and extrinsic conditions. And according to Aristotle, not only the pleasure but also the pain and the shame has power of motivation in the moral judgments. The virtuous men take the pleasure in their virtuous actions because of knowing their actions to be virtuous. However, making the many men to be virtuous is composed of more the pain and fear of punishment connected with the vicious actions than the pleasure connected with virtuous actions. They can lead to moral development by internalization of the pain and fear of punishment. They feel shame and embarrassment on themselves acting badly by getting punished for bad actions. Thus the shame is the significant emotion in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character, and correct shortcomings immersed in passions, familiarize with the noble and just things.

      • KCI우수등재

        선 수행에 나타난 분심(憤心)과 자비에 대한 소고

        오용석(Oh Yong Su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선 수행에서 나타난 분심(憤心)의 개념을 타자구제라는 자비행의 측면에서 논의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우선 분노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관점에 주목하고 그러한 특징이 선 수행에서 나타나는 분심의 개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분노와 관련된 연구에서 공분(公憤)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으며 선 수행의 분심에도 이러한 특징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공분이란 공적 정당성을 가지고 중대한 결함을 시정하고 대응하려는 반응으로 분노의 긍정적이며 실천적인 측면이다. 이러한 특징은 선 수행에서 나타난 분심의 개념과 연관된다. 선 수행에서 분심은 생사에 대한 자각과 타자구제에 대한 원력에 의해 추동되는 것으로 공분의 성격을 갖는다. 논자는 선 수행에서 나타나는 분심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선수행자의 분심으로 이러한 분심은 수행자가 수행을 해 나가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이것은 생사에 관한 자각과 타자구제의 원력 속에서 성장하는 발심의 동력이다. 특히 생사의 문제에 대한 자각에서 출발하나 그 자각이 추구되는 보편적인 장면은 삶 속의 관계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한 수행자의 생사 발심은 선의 실천이라는 역사적인 실천과 타자의 역동에 참여하는 타자구제로 확대된다. 둘째는 이미 깨달음을 얻은 선사의 분심이다. 선사의 분심은 타자구제에 대한 자비의 원력과 맞물려 제자의 깨달음을 촉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선사의 분심은 깊은 자비심의 표현으로 일종의 순수한 분노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선사들의 분심이 상호관계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선사의 분심은 현실에 대한 공분을 통하여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공분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때 공분이 가진 정당성의 확보는 선사 자신의 독단적 주장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역사적 요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사회적 실천성을 갖는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meaning of Endeavoring Heart (憤心) through Seon (禪, Zen) practice with the Compassion (慈悲) of Mahayana Buddhism. For these studies, I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anger and come to the result that Justifiable anger (公憤) has a relationship with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Seon (禪) Practice. To prove these, I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about this. First I discussed that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Seon (禪) practice is a sort of justifiable anger (公憤), because it is driven by awareness of birth and death with a wish to awaken to the Bodhi-mind. The practice of Seon (禪) basically contains an implement of the compassion emphasized by Mahayana Buddhism. Next I discussed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master who has become enlightened already. First,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禪) master has a characteristic to help the disciples out of compassion. Second,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禪) master tends to be expanded to justifiable anger determined by the historical needs of society at the time. To conclude, I examined the positive aspects of anger in Seon (禪) practice with justifiable anger (公憤), and came to understand compassion (慈悲) of Mahayana Buddhism in Seon (禪) practice.

      • KCI등재후보

        예술 창작과 선(禪)

        김현숙 ( Hyeon Suk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1

        우리는 선(禪)이란 단어를 흔히 사용하고 그 개념을 어렴풋이 느낌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선에 관해 공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선 사상의 역사와 정신에 대한 질문에 대답은 할 수 있지만, 선을 한마디 말로 정의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선은 스스로의 체험에 의한 깨우침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불교에서는 ``문자를 앞세우지 않는다`` 라는 뜻의 불입문자(不立文字)를 논하고 있으며, 선이 ``말로 표현이 될 때,그것은 이미 선이 아니다`` 라고 한다. 우리가 명상을 통해 알수 있는 선(禪)은 무엇이며, 명상이란 무엇인가? 명상이란 생각이 멈추거나, 생각하지 않고 있을 때시작된다고 하는데, 언제나 끊임없이 모든 것에 생각을 하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생각을 멈추라는 말에 의문을 갖게 된다. 서양에서는 선(禪)의 뜻을 명상(meditation)으로 번역하고, 일본식 발음을 따라 젠(zen)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선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철학적인 의미로 해석되며, 프랑스의 일상 생활 속에서, ``soyez zen(쑤와이에 젠)``은 ``침착해라``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철학적인 의미에서, 명상과 선이 예술 작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의 의미와 그 선의 근원인 디아나(dhyana)를 구성하고 있는 삼매, 사마타(samatha)와 비파샤나(vipasyana)의 의미를 살펴본다. 우리를 편안하고 고요하게 해주며, 생각을 잠시 멈추게도 해주는 제임스 튀렐(James Turrell)의 작품, <몰입(Mol-Ip)>과 김현숙의 작품, <고요(Calm)>에서 우리는 사마타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행하는 사람들이나 내면의 세계를 연상시키는 Giusseppe Penone의 작품, <베르사이유의 삼나무(Versailles di Cedre)>에서 비파샤나의 의미를 해석해 본다. 또한 명상하는 사람들을 연상케하는 필립 라메트(Philippe Ramette)의 작품, <비이성적인 관조(Comtemplation irrationnelle)>에서는 선(禪)과 예술 작품, 그리고 명상과 예술 행위와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선(禪) 사상처럼 말로 표현되지 않는 여러 쟝르의 예술 작품들은 우리에게 다양한 의미를 전한다. 때로는 작품의 의미들은 선 사상이 전수되었던 방식처럼 마음과 마음을 통해 (이심전심 以心傳心) 그 의미가 전달 되기도 하고, 이해할 수 없는 선사들의 선문답이나, 혹은 달을 가리키는 부처님의 검지를 바라보는 것 처럼,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앞서 가는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알아채지 못할 때도 있다. 선은 명상을 통한 스스로에 대한 공부이며, 매 순간마다 새로움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예술가들이 개인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들의 작품이 현실 자체,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바라 볼 줄 아는 현명함을 담고 있다면, 그 예술 작품들은 선 사상과 비교될 수 있다. 더욱이 디아나(dhyana)의 의미처럼, 묵상과 몰입 속에서 이뤄지는 작품 제작과 순간적인 직감에 의한 예술창작 행위는 어딘가 선 사상과 닮아있다. We usually use the word Zen (禪) and we know vaguely about the sens,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scribe in short words to express the sense of Zen. Even we study of the Zen, be able to answerthe history and spirit of Zen, but it will not be easy to define the thought of Zen in simple words. Because the Zen is enlighten by our own experience. Moreover Buddhist saying 불입문자 burip munja (不 立文字) which means ``the word can``t precede the Zen`` and also they say ``when Zen represents by words, it``s not already Zen``. What is Zen through we know by meditation, and what is meditation? Thismeditation is thinking stops, starts when you are stops or not thinking. We will have a question about stops thinking, because we live in a constant thinking status about all of the things. In the West, the meaning of Zen is translated meditation, and used as Zen accor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Also Zen interprets a philosophical sense rather than a religious significance. In daily life in French, ``soyez Zen (be Zen)`` is used to mean ``calm down``. In a philosophical sense, to learn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with a work of art and Zen, meditation, we search the meaning of Zen and the origin (source) of Dhyana, and we are explored a signification of configure the Dhyana that Samatha and Vipasyana. We look at the meaning of the Samatha in the works, Calm of Hyeon-Suk Kim and Light leading of James Turrell that makes us comfortable, quiet and also stopping to think. And we interpret the meaning of Vipasyana in the works Versailles di Cedre of Giusseppe Penone that evoke inner word, and Also we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en and artworks, the meditation practices and the acts of the artists, in the works Comtemplation irrationnelle of Philippe Ramette that reminds those who meditate and perform. Like Zen, diverse genres of artworks which does not express in words, propose a variety of signification to us. Sometimes, the meaning of artworks allows to deliver us the way of transmission of Zen, through 이심전심 isim junsim (以心傳心heart to heart, mind and mind). And sometimes, such as the baffling dialogue of Zen Master, or such as looking at the index finger of Buddha pointing to the moon, we are also unable to perceive the intentions of the artists, because their thoughts go too far ahead than our thought. The Zen is studied for themselves through meditation, to recognize the now, at the moment and newness of each moment. So even if artists were not affected personally by the Buddhism, if their works contains a wise mind that know to look at the reality and reality as they are, artworks can be compared to Zen. Moreover, as significance of Dhyana, artistic creations that are produced through contemplation, and concentration, and, act of creation artistic by momentary intuition are similar somewhere to a Zen.

      • KCI등재

        선(禪)은 변증법인가?-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과 자유의지-

        이찬희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1

        성철 스님의 1981년 종정 취임 당시 법어인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화두(話頭)는 깨달음에 대한 논리적이고 교리적인 설명을 초월하여 깨달음을 직접 지시하는 선(禪)의 정신을 잘 나타내 주는 말이다. 그런데이렇게 원래 사량(思量)과 분별(分別)을 허락하지 않는 선(禪)의 화두를 이론적인 설명을 통해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禪)의 화두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을 시도한 기존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고형곤의 선의 세계를 고찰하고, 그의 시도의 적합성을 변증법의부정성의 원리에 내포한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의 한계라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화두를 철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또 다른방법으로 셸링의 긍정철학이 가진 유용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선(禪)의 입장에서는 교(敎)의 방법을 통한 깨달음에의 길에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이라는 한계가 있음을 일심이문(一心二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찰하였다. 하지만 일심이문 또한 근원적인 이항(二項)성에 의거한 사변적인 논리라는 점에서 궁극적인 분별과 부정성에서 벗어나지 못한점을 언급하였다. 나아가 천태종의 일심삼관(一心三觀)에 내포된 삼항(三 項)성을 검토하면서, 선(禪)적 깨달음에 대해 삼항성에 의거한 설명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삼항성에 내재한 자유의지 관념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헤겔의 변증법적 해석과 셸링의 긍정철학적 해석,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의 차이점을 밝히며 진행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해석의 차이의 근원으로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일심(一 心)과 이문(二門)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며 언어와 언어 이전, 사고와 사고이전의 깨달음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심(一心)과 이문(二門)의 관계에서 과연 서양 근대 독일관념론 철학적 의미에서의 자유의지 개념 또한포괄하여 설명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여기에 내포한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천태종의 일심삼관(一心三觀)에서 보이는 삼분법(三分法)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이항(二項)적인 논리를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입장에서 선(禪)이 탄생한 이유는 중론(中論) 등에서 대표되는 불교 논리의 근본적인 틀인 이항(二項)적 성격의 한계에서 기인한 바가크다. 이 또한 실질적/내재적 삼항(三項)이 아닌, 근원적으로 내재된 이항성(二項性)의 전개인 형식적 삼분법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일심(一心)이 삼문(三門)일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삼항(三項)적 논리에 의한 인식론과 존재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과제가 생긴다. Monk Seongcheol (性徹) said, “Mountain is mountain, water is water.” This well represents the spirit of Zen (禪) that directly instructs enlightenment beyond logical and doctrinal explanations. Howev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these topics (話頭) of Zen (禪) through theoretical explanations. In this study, Ko Hyung-gon (高亨坤)’s ‘World of Zen (禪)’ was considered as an existing representative example that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lain the topic of Zen (禪). In addition, the suitability of his attempt was critically reviewed, due to its limitation of the fundamental dualism implied in the principle of negativity of dialectics. In addition,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Schelling’s positive philosophy were considered as another way to interpret these topics philosophically.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of dualism in the path to enlightenment through the method of teaching. This study considered this point through the discussion of ‘One Mind and Two Gates (一 心三門)’. However, ‘One Mind and Two Gates (一心二門)’ also failed to escape the ultimate discrimination and negativity, in that it was a speculative logic based on the fundamental binary nature. Additionally, the validity of the explanation based on triangulation was critically examined for Zen enlightenment while reviewing the triangulation implied in Cheon Tae-jong (天 台宗)’s ‘One Mind and Three Views (一心三觀)’.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free will inherent in the three stars was examined. These attempts were made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Hegel’s dialectical interpretation, Schelling’s positiv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nd Heidegger’s ontological interpretation. Furthermore, as the source of this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一心)’ and ‘Two Gates (二門)’ of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 乘起信論)’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transfer, thinking and realization before thinking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of free will exists in the philosophical sense of modern German idealism in the W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一心)’ and ‘Two Gates (二門)’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One Mind and Three Gates (一心三門)’ was explo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undamental dualism implied here. To this end, he pointed out the fundamental binomial logic inherent in ‘One Mind and Three Views (一心三觀)’ seen in Cheontaejong (天台宗)’s ‘One Mind and Three Gates (一心三門)’. From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the reason for the birth of Zen (禪) is largely the limitations of the binomial na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Buddhist logic represented by ‘Mūlamadhyamakakārikā (中論).’ This is also because the formal triad, which is the development of the inherent binary star, cannot be avoided, not the actual/internal triad. For this reason, there is a tas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based on trinomial logic through the possibility that the ‘One Mind (一心)’ can be a ‘Three-Gate (三門)’. Through this, the task of simplification arises in the area of how to reach realization beyond thought, beyond the fundamental binary star. Like the binomial dialectic of identity and negativity, the task is not the binomial ontology of identity and difference, but the Korean trinomial ontology and epistemology that appear in the theory of ‘Three natures (三才...

      • KCI등재

        선(線)의 심미적 기원 고찰 -숭배의 대상에서 예술의 도구로

        지승학 ( Seung Hak Chi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선``(線)이 가진 의미의 기원을 추적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선의 조형적 가치를 선사이미지에서부터 자연의 원리를 함축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선에 대한 질문을 위해 선사이미지를 언급해야하는 이유는 타당성을 지닐수 있게 된다. 동굴벽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선은 자연을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 자연 속에 동물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이 자연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다는 가설은 동물에 대한 묘사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그들이 동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은 동물을 관찰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동물과 자연에 대한 관찰은 하나의 패턴을 읽어낼 수 있게 하였다. 그들은 변화무쌍한 자연 속에서 일정한 규칙을 발견하게 된것이다. 이를 가브리엘 타르드의 논의를 통해 규명하자면 ``유사와 반복``의 발견이라 할 수 있다. 유사와 반복이 자연이 가진 질서로 인식되면서 이를 가장 명료하게 인식 할 수 있게 도와준 것이 바로 선이다. 선의 담론이 포괄적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특히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유사와 반복이 선으로 표현되었을 때 자연이 지식의 대상이 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지식의 대상이 된 자연은 곧 기술적 표현으로 승화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하나의 규칙과 질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심미적 가치를 갖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과정이며 이를 증명하는 것이 바로 선인 것이다. 선에 대한 담론의 한 부분은 기원에 대한 다양한 물음으로 구성된다. This paper, as part of efforts to track the meaning of origin with "line", is to be analyzed on the figurative value with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Questions about the line are also a question of origin. A line which can be found in cave paintings targeted the nature. Therefore, animal in its nature has an important meaning. Hypothesis that lines connect the nature can be found in the description for animals. In particular, the ability that they can draw the animals is the meaning that they have observed animals. The observation of Animal and nature was set to be able to read one pattern. But they are supposed to discover certain rules in nature. As the discussion of this Gabriel Tarde, it is a discovery of "similarity and repetition" in the nature. The thing which helped most clearl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nature is just lines. The reason that the line discourse can be comprehensive is the very point. Through these understanding, what we will be known is that the nature becomes the subject of knowledge as long as ``similarity and repetition`` is represented by the line. Nature to be the subject of knowledge immediately is to be artistic expression. This is an indication of whether it has one of the rules and how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for the order. The discourse of the line is composed of various questions of origin. ``The line``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 about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