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사상의 우주론 연구

        김귀만(金貴滿)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우주의 근원에 대한 탐구가 인간의 본질을 밝히는 데 우선되어야 함은 이미 여러 종교사상의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역시 우주론적 접근이 요청된다. 우주론은 철학의 영역에서 형이상학의 범주에 속한다. 그리고 그 주된 방법은 우주를 생성의 관점과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현대의 과학적 우주론은 형이상학적인 부분을 다루지 않지만 물리법칙을 넘어선 영역인 우주의 근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종교적 고찰이 필요하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의 체계는 크게 우주의 생성과 구조를 다룬다. 대순사상의 우주생성론은 구천상제의 대순을 기반으로 한 창조론에 가깝다. 그리고 우주는 삼계라는 구조를 지닌다. 천·지·인의 삼계(三界)는 천지가 인간을 낳아 쓰고자 하는 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인간은 무심코 이 우주에 던져진 존재가 아니라 천지의 기획에 의해 의도적으로 출현한 존재이다. 이것이 바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시작점이 된다. 그러나 인류의 교만은 삼계의 혼란을 불러와 결국 우주적 진멸상태에 봉착한다. 삼계의 역사(役事)를 위해 탄생한 인류는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한 채 좌절하게 되지만 구천상제의 대순에 의해 삼계의 질서가 회복되고 인존시대가 도래해 다시 우주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우주가 탄생하고 변화하는 그 근원에는 대순이라는 궁극적 실재의 역사가 자리한다. 그리고 그 대순이라는 우주적 가치가 인간에게 내재되니 그것이 바로 인존(人尊)으로 드러나게 된다. 인간은 인존이라는 현실태를 지닌 가능태로 거듭나게 되며, 이것이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이라 할 수 있겠다. It has been suggested in various studies of religious thoughts that the source of the universe must be explored first in order to discover the human nature. This is the same for defin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a cosmological approach is the first step. Cosmology is in the category of metaphysics in philosophy. The main way to study cosmology is to see how the universe was originated and become into this structure. Of course the current scientific cosmology do not deal with metaphysical views. However, we need a religious view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universe, which goes beyond the rules of physics.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in large deals with the birth and evolution and structure of the universe. Cosmogony of Daesoon thought is close to creation doctrine based on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by Gucheon Sangje(Supreme God) through His Daesoon(Great Itineration of Three Realms). Here, the universe is made of Three Realms: Heaven, Earth, and Humanity. In Daesoon thought, this three-world structure of the universe had been formed to give birth to humanity and use them for heavenly purpose. Therefore, human beings were not just thrown to the universe but they were intentionally born according to the plan of heaven and earth.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owever, the arrogance of humanity brought chaos in Three Realms and in the end made the world fall on the verge of universal annihilation. Then humanity, who were originally born for fulfilling the great universal purpose, became frustrated as they became unable to achieve it. At this time of crisis, Gucheon Sangje made Daesoon around the Three Realms to restore order, open the era of Human Nobility, and let human beings to play their roles for their existence. Under the phenomenon of birth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is the universal work called Daesoon which became the principle of ultimate reality. Also, the universal value of Daesoon is given to humanity, who will then manifest the value by enhancing themselves to the state of Human Nobility. Through the Daesoon of Gucheon Sangje, human beings are reborn into the potentiality that contains actuality of Human Nobility. I would say this is the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 KCI등재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귀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4 대순사상논총 Vol.48 No.-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meaning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ith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 form of discourse of that has emerged from Daesoon Jinrihoe’s perspective on ecology.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pplies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to ecology in order to explain how Sangsaeng,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ethical system for humans, can be applied to the realm of ecology such that it extends its scope of application to include non-human beings. Interdependence, when applied to ecology, is formed via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Such relationships can b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and the type of interdependence that emerges can be competitive, predatory, parasitc, and symbiotic.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ends negatively, it can still exert a positive effect on the ecosystem. Consequently, all of these produce a type of ‘dependence’. However, relationships that end negatively can generate grievance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angsaeng ethics, this type of interdependence is to be avoided. Therefore, by way of contrast, ecological Sangsaeng may include both relationships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relationships of predation, parasitism, and competition in so far as there no grievances. Ecological theory requires a perspective that enables an underst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an integrated way that does not separate them. One view of universe, known as Cheonji-saengin-yongin (Heaven and Earth give produce humans make use of them)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fro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Heaven and Earth take humans as the basis of their existence, and only after humans discover the law of nature and the sacredness behind it can a deep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be established. However, as modern humans emerg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collapses as they destroy nature and lower the authority of Shindo (divine order).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 Sangsaeng (the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is the solution to reestablish the interdependence that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The practice of Haewon Sangsaeng through Gongbu rituals is the way to restore interdepe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process of humans achieving Dotong (mastery of the Dao) through religious practices is the practice of Boeun Sangsaeng, and humans will be reborn into Injon (Human Nobility or ‘divine humans’) with ecological nature and enjoy an eternal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ure. In summary, Sangsaeng 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is the idea and practice of allowing nature and humans to restore their interdependence and live on eternally.

      • KCI등재

        15∼17세기 관요 백자 명문의 변화와 그 배경

        김귀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7

        官窯는 司饔院의 分院으로 왕실에서 사용하는 백자의 제작을 전담하였다. 1467년을 전후하여 경기도 광주에 관요가 설치되면서 왕실용 백자의 제작은 관영 수공업 체제로 편입되었다. 관요가 설치된 이후 17세기까지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에는 ‘天·地·玄·黃’銘, ‘左·右(+干支+숫자)銘’ 등의 명문이 일정기간 동안 표기되다가 소멸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명문이 표기·변화·소멸되는 과정을 당시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天·地·玄·黃’銘白磁>는 관요가 설치된 1467년경부터 156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天·地·玄·黃’의 명문체계는 천자문 자호의 순서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조선시대에 일정한 기준으로 무엇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백자에 표기된 ‘天·地·玄·黃’銘도 司饔院에서 왕실용 백자의 제작·수납·출납을 일원적으로 담당하게 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표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左·右’銘白磁>는 1560년대부터 169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그리고 1606년부터는 ‘左·右’銘에 干支가, 1626∼1627년부터는 숫자가 차례로 부가되었다. ‘左·右’銘은 백자의 제작분반, ‘干支’는 제작년도, ‘숫자’는 제작월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은 백자의 제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관요 백자의 명문이 ‘天·地·玄·黃’銘에서 ‘左·右’銘으로 변화되는 것은 관요의 운영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조선 정부는 관요의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자 백자의 제작단계에서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구분하는 방향으로 관요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左·右, ‘干支’, ‘숫자’가 순차적으로 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左·右’銘白磁>는 1690년대를 기점으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17세기 후반 백자의 품질이 향상되고, 관요에 민간 수공업적 요소가 공식적으로 수용되면서 관요의 운영체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는 1560년대 이후 강화되었던 관요에 대한 관리·감독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左·右’銘이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royal kilns were set up under the auspices of the Saongwon (司饔院) in order to exclusively produce white porcelain used by the royal famil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in 1467 of the royal kiln at Gwangju, Gyeonggi province,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for the royal family was incorporated into the state run crafts production system. Inscriptions comprising the characters ‘cheon (天), ji (地), hyeon (玄), hwang (黃)’ or ‘left (左), right (右) (+ kanji (sexagenary cycle, 干支) characters and a number)’ were used on white porcelain produced at the royal kil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then gradually went out of use.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inscriptions were made, changed and went out of us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rst, ‘天·地·玄·黃’ inscriptions were made on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from 1467, when the kilns were first established, to the 1560s. In the Joseon period, such characters were used to mak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certain categories. Thus, it is assumed that ‘天·地·玄·黃’ came to be used because the Saongwon wished to establish a unity in the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Second, ‘左·右’ inscriptions were used from the 1560s to 1690s. Kanji characters were later added at around 1606, and numbers came to be added gradually in 1626~1627. ‘左·右’ indicated which team had made the porcelain, the kanji characters marked the year of manufacture, and the numbers indicated the month and day of manufacture. In other words, these inscription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of the white porcelain. The transition in the nature of inscriptions used on the white porcelain, from ‘天·地·玄·黃’ to ‘左·右’, was close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s. As many problems began to appear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s, the government strengthened management at the production stage in order to clarify responsibilities. This led to the gradual use of the ‘左·右 (+ kanji characters and number)’ inscriptions. Finally, ‘左·右’ inscriptions no longer appear on white porcelain from the 1690s. This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porcelain and a change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 which shifted from a state run to privately run crafts production system. Thus, with the strengthened supervision of the royal kilns, they were able to ease regulations on the 左 and 右 production teams, causing the inscriptions to gradually disappear.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15~16세기 內需司의 왕실 관련 銘文磁器 생산과 한계

        김귀한(Kim, Kwi-Han) 중앙문화재연구원 2021 중앙고고연구 Vol.- No.35

        이 글은 문헌과 물질자료를 통해 15~16세기 내수사(內需司)의 왕실 관련 명문자기(銘文磁器) 생산과 한계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1467년경 왕실 소용의 그릇은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 인 관요(官窯)와 내수사에 의해 이원적(二元的)으로 공급되었다. 왕실에서 소비하는 자기 가운데‘국용(國用)’은 관요에서, ‘내용(內用)’은 내수사에서 생산하였다. 하지만 언제 어떠한 이유로 내수사에서 왕실 관련 명문자기를 제작하였는지, 왜 내수사의 제자(製磁) 활동이 중지되었는지에 대한관심은 부족하였다. 백자는 세종대 어기(御器)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세조대는 그 수요가 한층 증대되었다. 백자의소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1464년 횡간(橫看)이 제정되었고, 1465년 공안(貢案)이 개정되었다. 왕실은 이전에 비해 사적으로 사용하는 그릇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을 것이다. 이에 따라 1464년경 내수사에 사기장을 두고 ‘大’·‘中’·‘世’·‘處’명 자기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내수사는 사기장 6명만 소속되었다. 백토(白土)나 시지(柴地) 등도 공급받지 못하여 백자 소비 확대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는 한계가 있었다. 16세기 왕실의 재정 수요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왕실 관련 명문자기는 15세기 후반에 집중적으로제작된 이후 생산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1501년 신유공안(辛酉貢案) 가행조례(可行條例)에 보이는 전용(轉用)과 가정(加定)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왕실은 늦어도 1490년경부터 사옹원의 백자를내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흐름은 1501년 신유공안 제정을 기점으로 일반화되었다. 왕실은 1501년 이후 감결(甘結)을 통해 사옹원의 물품을 공급받았다. 15세기 말~16세기초 관요는 체제가 안정되면서 왕실의 백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내수사 사기장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내수사는 1460년대 왕실 내 백자의 사적 수요를 담당하기 위해 요업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신유공안의 가행조례가 적용된 1501년을 중심으로 한 15세기 말~16세기 초 내수사에 의한 자기 번조는 정지된 것으로 보인다. 내수사와 사옹원에 의한 이원적 백자 공급 체제는 사옹원으로 일원화된것으로 판단된다. By around 1467, the white porcelain used by the royalty was supplied both by Gwanyo(官窯) which were branches(分院) of the Saongwon(司饔院) and Naesusa(內需司). The items for national use(國用) were produced by Gwanyo, and those for internal use(內用) by Naesusa. White porcelain was selected for King Sejong’s bowl(御器), which is why its demand soared. However, after Hweng’gan(橫看) was enacted in 1464, and as the Gong’an (貢案) was revised in 1465, it became more difficult to reliably obtain white porcelain for the royalty’s personal use. Following this, it is estimated that in 1464, Porcelain with Inscription (銘文磁器) were produced potters who belonged to Naesusa Only six Potters belonged to Naesusa, and because they were not provided with white clay (白土) and Siji (柴地), there were limitations in being ab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rising demand for white porcelain. The production volume for prestigious porcelains for royals declined after peaking in the late 15th century.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Junyong (轉用) and Gajung (加定), found in the government’s fiscal reform measures called Sinyugong’an (辛酉貢案) Gahaengjoriae (可行條例) of 1501. The royalty was supplied with white porcelain for internal use by the Saongwon, before and after 1501. At the time, Gwanyo had been stabilized in its structure, available to meet the royals’ demand for white porcelain. This is believed to have gradually diminished the role of Naesusa’s Potter. As a result, it is supposed that between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he dual white porcelain production by both Naesusa and Saongwon was consolidated by the Saongwon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김귀,이경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한국은 삼국시대 이래로 ‘삼교(三敎)’의 영향아래 놓여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삼교’라는 표현과 함께 ‘삼도(三道)’라는 술어가 한국의 신종교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대순사상에서는 ‘유불선’과 함께 ‘관왕(冠旺)’이라고 하는 종교적 경지에 대한 언급이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삼교’와 ‘삼도’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에 착안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관왕’이라는 경지를 이해하며, ‘삼도관왕’의 관점에서 종교로서의 불교와 종교적 원리로서의 불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동양전통에서 ‘도’와 ‘교’ 그리고 서양전통의 ‘종교(Religion)’ 개념을 확인하고, 근대 시기 한국의 종교가를 중심으로 퍼진 ‘삼도’라는 술어가 동양과 서양의 종교를 포괄적 원리로 말하기 위한 관점으로서의 ‘삼도론(三道論)’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전경』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내용에서 불도 혹은 불교문화적인 의의를 불보살 신앙과 불교교리, 승려 그리고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대순사상의 불도관 특징을 불지형체(佛之形體)로서의 불도, 불지양생(佛之養生)으로서의 불도 그리고 불도 종장(宗長)으로서의 진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는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대순사상의 위상은 불도나 불교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불도가 지닌 ‘형체’ 혹은 ‘양생’의 특징을 하나의 축으로 한 관왕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종교현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의 불교를 불도의 원리 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being swept away by spiritual movement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s, Korea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 Teachings”. But during the modern times, the word “The Three Daos” began to be widely used alongside the expression “The Three Teachings” within various circles of New Korean Religions. Regarding this, Daesoon Thought is particularly noteworthy due to its description of the religious realm spoken of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figurehead of that realm, the “Gwan-wang (Crowned 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distinction no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eachings” and “The Three Da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Gwan-wang” in Daesoon Thought and to facilitate the study Buddhism as both a religion and a religious principle within the context of “The Gwan-wang of the Three Daos”. Chapter Ⅱ, details the conceptions of “Dao” and “Teaching”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Religion”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chapter includes a discussion of how the word “The Three Daos” could be approached as a “Theory of the Three Daos” that explains the relig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comprehensive principles. Chapter Ⅲ goes through descriptions in the Jeon-gyeong of Buddhistic faiths, doctrines, monks, and templ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Dao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as contained in the Jeon-gyeong. In chapter Ⅳ, the Buddhist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is clarified in three ways: the Dao of Buddhism as the “substance of form”, oneness as “growth and nurturing”, and “Jinmuk” as the leader of the Dao of Buddhism. From this discussion, it is shown that research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is a crucial avenue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Daesoon Thought is not irrelevant to the Dao of Buddhism or to Buddhism proper, but Daesoon Thought should instead be understood as pursuing the state of Gwan-wang (Crowned King), which has the Dao of Buddhism as an axis characterized as “the substance of form” or as “growth and nurturing”. Also, 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by which the various aspects of Buddhism as a modern day religious phenomenon of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inciple of the Dao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