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 고찰

        정수현 ( Su Hyeon Jeong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서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가 나타난 구문들을 분석하여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로 ‘-아-’를 설정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국어에서의 ‘-오-’는 이미 소멸의 과정 안에 놓여 있기 때문에 연결어미, 종결어미에 쓰인 ‘-오-’는 상당 부분 소멸되었지만 명사구 내포문 구성에 쓰인 ‘-오-’의 기능은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만하다. 그렇지만 형태소적 분포 환경이 동일하다면 연결어미이든, 종결어미이든 모든 동명사형 어미 ``-ㄴ, -ㄹ, -ㅁ’ 앞에 오는 ``-오-``는 기원적으로 동일한 형태소이고 따라서 동일한 원리로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형태소 분석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면 선어말어미 ``-오-``와 분포가 같은 이형태들에 대한 접근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선어말어미 ``-오-``는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할 때 ``-샤-``로 실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시다’와 ``시다’가 선어말어미 ``-오-``와 함께 실현될 때 ``이쇼/쇼/이슐/슐’로 나타난다. 따라서 선어말어미 ‘-시-’와 어간에서의 ‘시-’는 선어말어미 ‘-오-’와 결합할 때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 ‘-오-’는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할 때 ‘-아-’로 바뀌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현대 국어의 ‘계시다’의 옛말인 ‘겨시다’ 또한 고려해 볼 만한데, ‘겨시-’를 어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겨시다’의 분석에 관하여서는 존재를 나타내는 ‘겨다’에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하여 쓰이다가 굳어져 ‘겨시다’가 되었다는 견해가 있는 만큼 ‘겨시다’의 특성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 선어말어미 ‘-더-’, ‘-거-’가 선어말어미 ‘-오-’와 실현될 때 ‘-다-’, ‘-가-’로 나타난다. 이때, 2장에서 살펴보았던 선어말어미 ‘-오-’가 다른 선어말어미와 결합할 때에 ‘-아-’로 실현될 수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면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로 ‘-아’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 ‘-가-’ 구문은 연결어미, 종결어미에서 많이 보이며, 각 구문을 분석해 보면 주어가 일인칭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것을 인칭으로 설명을 한다면 명사구 내포문 구성에 관여하는 ‘-오-’와는 다른 설명 방법을 취해야 한다. 따라서 동일 형태소에 관한 설명은 같은 원리로 설명되어 야 하기에 ‘-다-’, ‘-가-’ 구문에 대한 설명은 ‘-오-’가 소멸해 가는 과정 안에서 설명할 수 있다. 내포문을 구성하는 데에 관여하던 ‘-오-’가 연결어미, 종결어미에서 먼저 소멸하면서 내포문 안에 두었던 초점, 강조의 서법만을 남겨 두게 되어 일인칭이 주어로 나타나는 구문에 중점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으로 짐작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llomorph of the prefinal ending “-O-” appearing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nd to establish such a different form as ``-a-`` (-아-). Since medieval Koran language is already in the process of losing “-O-”, “-O-” used in connection endings and conclusion endings have considerably faded, but the function of “-O-” used in the composition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can be clearly defined. However, if the morphemic distribution environment is identical, “-O-” before gerund endings, whether it is a connection ending or a conclusion ending, is originally the same morpheme, and should thus be explained with the same principle. With this morpheme analysis, an appropriate approach can be made to these forms with the same distribution of prefinal ending “-O-”. When the prefinal ending “-O-” is combined with the subject-respecting prefinal ending “-si-”(-시-), it is realized into “-sha-”(-샤-). And, when “isida”(이시다) and “sida”(시다) ar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O-”, it becomes “ishodoe/shoedoe/ishyul/shul”(이쇼/쇼/이슐/슐). Thus, when the prefinal ending “-si-” and “si” in a word stem ar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O-”, it can be realized differently. When the prefinal ending “-O-” is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si-”, it may be changed into “-a-”. Likewise, “gyeosida”(겨시다), the ancient form of “gyesida”(계시다) in modern Korean language, may be considered, because “gyeosi-”(겨시-) can be regarded as the word stem. However, there is a view that regarding the analysis of “gyeosida”, the existence indicator “gyeoda”(겨다), combined with the subject-respecting prefinal ending “si”, was used and settled down, consequently becoming “gyeosida”(겨시다), so it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gyeosida”. When the prefinal endings “-deo-” and “-geo-”(-더-, -거-) are realized together with the prefinal ending “-O-”, they result in “-da-” and “-ga-”(-다-, -가-). Likewise, as discussed in Chapter 2, if it is kept in mind that when the prefinal ending “-O-” is combined with a different prefinal ending, it can be realized into “-a-”, then “-a-” can be set as a different form of the prefinal ending “-O-”. Sentence structures involving “-da-” and “-ga-” can be significantly found in connection endings and conclusion endings, and an analysis of these sentence structures reveals that the subject is the first person in many cases. However, if this is explained in terms of person, an explanation method should be used differently from that of “-O-” which concerns the composition of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s. Thus, since the same explanation principle should apply to identical morphemes, the sentence structures involving “-da-” and “-ga-” (-다-, -가-)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O-” fading. “-O-”, which concerned the composition of embedded sentences, faded first in connection endings and conclusion endings, leaving only focal and emphatic moods existing within embedded sentences, and allowing it to significantly appear in sentence structures where the first person was the subject.

      • KCI등재후보

        과거 선어말 어미에 관한 연구

        강지훈,황경수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of the past sentence ending through examples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and to discuss the irregular forms of past sentence endings {-deo-}, {-geo-}, and {-eot-}. To this end, we confirmed and organized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through the principle of binding (integration relationship). The preceding elements are combined with the stem of the verb, the descriptive case particle ‘-ng i’, the past sentence ending ‘-euri-’, i-type vowels, stem endings /i/, /r/, verb stem ‘-eo ha-’, and auxiliary verb suffixes. We confirmed that the following elements include declarative sentence endings, dependent connective endings, past sentence endings for raising subject honorifics, imperative mood endings, adjective endings, and dependent nouns. The article analyzed and discussed the irregular forms of past sentence endings {-reo-}, {-da-} of past sentence ending {-deo-}, and {-eo-}, {-a-}, {-yeo-}, {-ya-} of past sentence ending {-geo-}, and {-at-}, {-Yeot-}, {-yat-} of past sentence ending {-eo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inding through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s past sentence ending {-deo-} was dominant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through exampl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ast sentence ending {-eot-} was used as a past sentence ending from the 17th century to modern Korean and combined with the past sentence ending {-deo-}.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용례를 통하여 과거 선어말 어미의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확인하고, 과거 선어말 어미 {-더-}, {-거-}, {-엇-}의 이형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합의 원리(통합관계)를 통해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확인하고 정리했다. 이들의 선행 요소는 용언의 어간, 서술격 조사 ‘-이-’, 선어말 어미 ‘-으리-’, i계 모음, 어간 말음 /ㅣ/, /ㄹ/, 용언의 어간 ‘ᄒᆞ-’, 사동 접미사 등이 결합 되며, 후행 요소로 평서형 종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청원법 어미, 관형사형 어미, 의존 명사 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과거 선어말 어미 {-더-}의 이형태 {-러-}, {-다-}와 과거 선어말 어미 {-거-}의 이형태 {-어-}, {-아-}, {-여-}, {-야-} 및 과거 선어말 어미 {-엇-}의 이형태 {-앗-}, {-엿-}, {-얏-}을 결합의 원리에 따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용례를 통해 국어의 과거 선어말 어미 {-더-}가 우세한 양상을 보이며, 이에 대립하는 과거 선어말 어미 {-거-}가 있다는 그간의 논의를 반증할 수 있었다. 과거 선어말 어미 {-엇-}은 17세기부터 시작하여 근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선어말 어미로 과거 선어말 어미 {-더-}와 결합 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거 선어말 어미 {-더-}, {-거-}, {-엇-}과 이형태를 정리하고 논함으로써 개별로 다루어지던 과거 선어말 어미를 종합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상 형태 ‘-(으)리-’의 쟁점과 전망

        이병기 국어사학회 2018 국어사연구 Vol.0 No.27

        이 논문은 선어말어미 ‘-리-’의 역사적 변화 모습을 고찰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석독구결과 향가에 나타나는 ‘리’의 모습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기원적인 구성에 형식명사 ‘이’가 결합되어 있지 않았을 개연성과 선어말어미로서의 지위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15세기를 중심으로 중세국어 ‘-리-’의 분포와 형태, 그리고 기능을 살펴보았다. 중세국어에서 ‘-거-’, ‘-더-’ 등의 선어말어미는 ‘-리-’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중세국어의 기형적 명사문에 나타나는 ‘-리-’까지를 고려하면 중세국어 ‘-리-’ 역시 선어말어미와 선어말 구성의 두 성격을 모두 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선어말어미와 선어말 구성이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중세국어 ‘-리-’는 현대국어 ‘-겠-’의 주요 기능인 ‘추정’과 ‘의도’는 물론이고, 주로 ‘-ㄹ 것이-’가 나타내는 ‘예정’의 기능을 모두 가진다. 이중 ‘예정’은 시간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시제적인 성격이 강한데 종교적 믿음 세계 안에서 예언과 당위적 문맥이 많이 표현되기 때문에 이러한 ‘예정’의 기능을 보이는 ‘-리-’가 많이 보인다. 4장의 ‘-리-’의 쇠퇴와 관련하여서는 형태적으로 ‘리’가 ‘ㄹ’로 줄어들고 결국에는 연결어미나 종결어미의 일부로 녹아드는 것과 다른 선어말어미나 선어말 구성으로 대체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리-’에 관한 직간접적인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아직 정밀하게 고찰되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는데 특히 ‘-리-’의 쇠퇴 과정에 대한 더욱 정밀하고 통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pre-final ending ‘-리 (ri)-’ and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Chapter 2 examines ‘-리 (ri)-’ appearing in meaning-indicator-system Kugyol(Seogdok Kugyol) and hyangga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이(i)’ not being combined (with ‘-리 (ri)-’) in the original construction and the uncertain status of ‘-리 (ri)-’ as an pre-final ending. Chapter 3 reviews the distribution, form, and function of Middle Korean ‘-리 (ri)-,’ with a focus on the 15th century, In Middle Korean, such pre-final endins as ‘-거 (geo)-’ and ‘-더 (deo)-’ come either before or after ‘-리 (ri)-.’ If ‘-리 (ri)-’ appearing in awkward noun sentences in Middle Korean is considered, it can be said that both the pre-ending feature and the final-ending feature are also included in ‘-리 (ri)-’.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annot be distinguished because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pre-ending and the final-ending. Moreover, Middle Korean ‘-리 (ri)’ has not only ‘probability’ and ‘intention’, which are the main functions of Contemporary Korean ‘-겠 (gyett)-,’ but also ‘prospective’, which is the function of ‘-ㄹ 것이 (l geosi)-.’ Among these, ‘prospective’ is more of tense showing a temporal locaton, and prophesies and context of duty are expressed frequently in the world of religious belief. Accordingly, ‘리 (ri)-’ with the function of ‘prospective’ occurs frequently. As for the decline of ‘-리 (ri)-’, the chapter suggests that, in form, ‘리 (ri)’ is contracted to ‘ㄹ’. becomes ultimately part of the conjunctive ending and the final ending, and is replaced with other pre-final endings or pre-final constructions. Finally, the article stresses that, although ‘-리 (ri)-’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directly and indirectly, there still is a room for a closer examination of it and, in particular, a need for a more precise statistic research on the historical process of its decline.

      • KCI등재

        선어말어미 ‘-돗-’의 연구사와 쟁점

        이승희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선어말어미 ‘-돗-’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및 아직 해결되지 않은 쟁점들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선어말어미 ‘-돗-’의 의미 기능 및 형태에 대한 기존의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선어말어미 ‘-돗-’의 의미 기능에 대해서는 대체로 ‘강조’와 ‘감동’ 또는 ‘감탄’을 표시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데, 다만 ‘강조’와 ‘감동, 감탄’의 본질이나 차이를 좀 더 상세히 밝히는 것이 남은 과제이다. 선어말어미 ‘-돗-’의 이형태는 ‘-돗/롯-’, ‘-도/로-’, ‘-옷-’, ‘-ㅅ-’으로 정리되고 있으나, ‘-돗/롯-’, ‘-옷-’에서 ‘ㅅ’을 분리하는 문제 등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3장에서는 ‘ㅅ’의 분리 가능성에 대하여 전기 중세국어 시기까지는 ‘ㅅ’이 독자적인 선어말어미였을 개연성이 있지만 최소한 15세기 이후로는 ‘-돗/롯-, -옷-’에서 ‘ㅅ’을 분리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였다. 또한 3장에서는 ‘-노소-, -도소-’를 별도의 선어말어미로 인정하는 문제, 1인칭 문장에서 ‘-리로-’와 선어말어미 ‘-오-’의 결합이 제약을 보이는 문제, 선어말어미 ‘-돗-’의 이형태들이 수의적으로 교체하는 듯 보이는 ‘공존형’의 문제를 다루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nd issues about the pre-final ending ‘-dos-’. In chapter 2, I show the research results on the meaning and the allomorphs of the pre-final ending ‘-dos-’. Generally it is agreed that the pre-final ending ‘-dos-’ represents ‘emphasis’, ‘impression’ and ‘exclamation’, even though we still have the problem that the semantic differences among ‘emphasis’, ‘impression’ and ‘exclamation’ should be explained more clearly. As for the allomorphs of the pre-final ending ‘-dos-’, it is common that ‘-dos/ros-’, ‘-do/ro-’, ‘-os-’ and ‘-s-’ show complementary distribution. However the issue is that the ‘s’ of ‘-dos/ros-’ and ‘-os-’ can be isolated or not. In chapter 3, I show that the ‘s’ ‘-dos/ros-’ and ‘-os-’ could not be isolated in late medieval Korean even though it might have been an independent morpheme until early medieval Korean, and ‘-noso-’ and ‘-doso-’ could not be identified as the allomorphs of ‘-dos-’. Also I address the combination restriction of ‘-riro-’ and the pre-final ending ‘-o-’ which represents the subject is the first person, that is the speaker, and the issue of coexistent forms, which the allomorphs of ‘-dos-’ show optional alternation instead of complementary distribution.

      • KCI등재

        선어말어미 - 시 - 의 문법 교육 내용 검토

        오현아(Oh, Hyeon-Ah)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고에서는 일상 언어에서 청자 높임의 기능을 하는 선어말어미 ‘-시-’의 사용을 주체 높임으로만 한정하여 볼 것인가 아니면 청자 높임 기능까지 확장하여 볼 것인가라는 문제의식 아래 7차 국정 문법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선어말 어미 ‘-시-’관련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어말 어미 ‘-시-’관련 교육 내용을 1) 주체 높임 한정 기술, 2) 상대 높임 종결 어미와의 결합 양상 설명 부재, 3) ‘-시-’의 중복적인 서술어 결합 양상 설명 부재로 특성화하여 기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실제 언어 사용 양상 중심의 선어말어미‘-시-’의 교육 내용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주체 높임에 한정된 선어말어미 ‘-시-’의 기능을 언중들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에서의 화자의 의도를 존중해 청자 높임 기능까지 확장 기술한다. 이때, 여격과 호응을 이루는 청자 높임의 기능과 호칭어와 호응을 이루는 청자 높임 기능을 구분해 기술할 수도 있다. 둘째, 선어말어미 ‘-시-’의 결합 여부에 따른 상대 높임 등급을 분화해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대 높임 등급 중 ‘해체’와의 선어말 어미 ‘-시-’의 결합형에 따른 일반적인 높임 기능과는 다른 낮춤과 비꼼의 기능에 대해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인적자원부(2002), 박영목 외(2012), 윤여탁 외(2012)에서는 선어말어미 ‘-시-’ 결합형으로 ‘하오체’, ‘해요체’만 제시되고, 이남호 외(2012), 이삼형 외(2012)에서는 선어말어미 ‘-시-’ 결합형이 일체 제시되지 않아 일관된 기술이 필요하다. 셋째, 하나의 문장에 서술어가 여러 개 등장하는 경우 ‘-시-’의 중복적인 결합에 대해 명시적으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표준 언어 예절의 진술은 언중들을 혼란스럽게 할 여지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의 중복적인 서술어 결합 양상에 대해서 교육인적자원부(2002 : 176)에서 높임의 정도와 관련한 탐구활동으로만 다루고 있을 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박영목 외(2012), 윤여탁 외(2012), 이남호 외(2012), 이삼형 외(2012)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문법 교육 내용 마련이 필요하다. Taking issue on whether we should limit the use of the prefinal ending -si-, which has a function of hearer honorification in ordinary language, only to subject honorification, or extend its function up to hearer honorification, this paper reviews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this prefinal ending in the 7th national grammar textbook and the reading and grammar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describing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the prefinal ending -si-,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1) the subject honorification limited description, 2) lack of the account of the aspects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is prefinal ending and the hearer-honorific final ending, 3) lack of the account of the aspects of the overlapped combination between the prefinal ending and predicates. With such discussi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prefinal ending -si- be reorganized from aspects of the actual use of language. First, the functions of -si-, which have been limited to subject honorification, are extended up to hearer honorification with the observation of language users’ intention in their actual language use. Here, describing this prefinal ending, one can divide its hearer honorification function into its agreement with dative arguments and agreement with vocative elements. Second, the hearer honorification levels need to be more ramified on the basis of the occurrence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addition, the prefinal ending’s functions of humbling and sarcasm, which are different from common honorification functions, due to the combination between the prefinal ending and the hearer honorification level represented by the final ending ?eo. Considering that only the hearer honrification levels represented by ?o and ?eoyoare present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02, Park et al. 2012, and Yun et al. 2012, while no forms combined with -si- is ever shown in N-H Lee et al. 2012 and S-H Lee et al. 2012, a consistent description is desirable. Third, when multiple predicates occur in a sentence, a clear criterion should be presented on the repetitive combinations of -si-. The current statement in the standard language manners is likely to confuse language users. Also, as for such repetitive combinations of -si- with predicates, since Park et al. 2012, Yun et al. 2012, N-H Lee et al. 2012, and S-H Lee 2012 does not deal with them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ut onl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02:176) addresses them in explorative activities related with the levels of honorification, we need to provide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related with this issue.

      • KCI등재

        15세기 관형화 구성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정수현 ( Su Hyeon Jeong ) 겨레어문학회 2012 겨레어문학 Vol.48 No.-

        이 연구에서는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에 나타난 구문들을 중심으로 하여 15세기 관계화 구성에서의 선어말어미 ``-오-``의 개재 여부의 성격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선어말어미 ``-오-``를 명사구 내포문 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큰 맥락 안에서 명사구 내포문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선어말어미 ``-오-``가 개재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만 선어말어미 ``-오-``를 명사구 내포문 표지로서 인정할 수 있는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여러 과제들 중 하나가 바로 관형화 구성에서의 예외들이며 그 중 가장 예외가 없다고 여겨지는 관계화 구성에서의 분석이다. 선어말어미 ``-오-``가 명사구 내포문을 구성하는 데에 관여하며, 절을 이루어 완전한 문장으로 인식되어 내포되는 경우나 동작주체를 설정할 수 있을 때 관형형어미에 선접되고 단순히 수식 기능만을 하게 될 경우에는 선접하지 않을 수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Jespersen이 말한 Nexus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개념으로 junction과 대립되는 개념이다. "the rose is red"는 두 개념으로 "the red rose"는 두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개념인 junction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junction과 nexus의 개념은 선어말어미 ``-오-``의 쓰임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이유는 junction은 생명이 없는 경화된 연결이며, nexus는 생명을 가진 연결로 설명하였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을 간략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형화 구성을 이루는 구성에서 안긴문장의 수식어가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일 경우에는 그 목적어가 되는 명사가 안은문장에서 문장 주성분으로 기능할 때 선어말어미 ``-오-``가 개재한다. 반면에 관형화 구성에서 안긴문장과 안은문장의 기저에 공통된 명사가 안긴문장의 주어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선어말어미 ``-오-``가 개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osition of the prefinal ending ``-O-`` in the 15th century determiner composition based on the sentence structure appeared in < Seokbosangjeol> and < Wolinseokbo>. The prefinal ending ``-O-`` gets involved in composing NP embedding sentence, and when it forms a clause and is recognized and embedded as a complete sentence or when the principal agent of movement can be set up, it is attached to the determiner-type ending, and when it functions simply as modifier, the possibility that it may not e attached is open. This is the concept of the nexus mentioned by Jespersen, which is the competing concept of junction, "The rose is red" was explained as two concepts and "the red rose" was explained as junction which is one concept composed of two elements. The reason that concepts of junction and nexus appear to be related to the prefinal ending ``-O-`` was that junction was explained as a hardened connection without life, and nexus was explained as connection that has lif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tructure constituting determiner composition, in the case that the modifier of held sentence is a verb that takes an object, the prefinal ending ``-O-`` can be interposed when the noun that becomes an object functions as a main ingredient in the holding sentence, and even if the noun that becomes the subject of the held sentence is common in the base of the holding sentence, it is possible that the prefinal ending ``-O-`` is not interposed.

      • KCI등재

        15세기 비전형적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의 출현 배경에 대하여

        김정인 ( Kim Jung-in )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8

        15세기 용언 어간과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 중 비전형적 형태인 ㅆ형은 ① 해당 음소의 지위가 불안한 상황에서 겸양법 선어말어미의 결합 양상이 이전 시기의 교체에 기반하였거나(ㅿ), ② 자음군인 어간 말음이 음절말 중화로 인해 일관된 형태로 출현하지 않거나(ㅺ), ③ 음절말 중화를 통해 예상되는 어간의 형태와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으로부터 예상 가능한 어간 형태가 불일치하는(ㅎ) 등으로 인해 각 용언 어간과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이 불투명할 때 출현한다. 반면 순수한 ㅅ이 말음인 어간의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은 전형적 표기형(ㅅ/ㅅ형)으로 나타나는데 해당 결합형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이 투명하기 때문이다. ㅈ(ㅊ) 말음의 용언 어간이 ‘-□-’과 결합할 때에는 ㄷ/ㅈ형, ㅉ형이 확인된다. 15세기 이전의 교체 양상을 유지하는 겸양법 선어말어미의 교체와 15세기 새롭게 출현한 음절말 중화가 적용되어 ‘좃□-’ 등의 결합형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언어사용자에게 혼동을 초래하였다. 이에 이들은 순수한 ㄷ을 말음으로 가지는 용언 어간과 ‘-□-’과의 결합형에서 포착되는 ㄷ/ㅈ연쇄에 대응되는 표면형[tts]를 유추적 토대로 ㄷ/ㅈ형, ㅉ형을 도출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형태가 도출되는 것은 언어사용자 간 해당 용언 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 차로 인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이 서로 다른 두 가지(전형적, 비전형적) 형태로 출현하는 것은 언어사용자 간 해당 결합형과 관련한 형태론적 인식 차 때문으로 보인다. In Korean, the ㅆtype, seen in 15<sup>th</sup> century conjugated forms with object honorific endings, arises due to the forms in situations where the position of the some phoneme(ㅿ) is unstable might have been based on replacements from previous periods, difficulties in morphological awareness of the stem coda due to neutralization(ㅺ), and discrepancies between expected stem forms from neutralization and conjugated forms with object honorific endings(ㅎ). Verb stems ending in a pure ㅅ sound use the typical ㅅ/ㅅtype as their recognition is clearer. For verb stems ending in ㅈ (ㅊ) combined with -□-, the final sound becomes ㄷ (ㄷ/ㅈtype) due to historical combining patterns and neutralization. The emergence of the ㅉtype resulted from language users observing the ㄷ/ㅈ alternation, causing potential confusion. The preference for the ㅉtype likely stemmed from the unstable recognition of verb stems. This presents a historical perspective on verb conjugation in Korean.

      • KCI등재

        선어말어미 "-오-"와 언어 변화의 상관성 -의존명사 "ㄷ" 구문을 중심으로-

        정수현 ( Su Hyeon Jeong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 ‘.’ 가 함께 쓰인 구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0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는 명사구 내포문에 거의 필 수적으로 나타나며, 그리고 그 분포는 동명사형어미 ‘-ㄴ, -ㄹ, -ㅁ’의 앞이다. 또한 15세기 문헌을 살펴보다 보면 명사구 내포문이 아니라 연 결어미, 종결어미에 쓰인 ‘-오-’도 발견할 수 있다. 명사구 내포문과 어 미에 쓰인 형태소와 분포가 같다면 우리는 그 둘 사이의 상관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세국어에서 ‘-오-’는 명사구 내 포문을 구성하여 명사성을 가지게 하는 요소로 기능하면서 강조, 초점 등의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며 쓰이다가 ‘-오-’의 소멸로 명사성을 잃어 가면서 부사화, 접속문화하여 양태적 기능만을 갖도록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 형태소가 쓰이는 환경에 있어서 명사성을 잃으면서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의 이유를 내포문 구성에서의 ‘초점’에서 얻을수 있다. 의존명사 구문에서도 선어말어미 ‘-오-’는 나타난다. 그러나 그 출현 여부는 의존명사의 성격에 따라 빈도가 다르다. 의존명사를 목록을 다음 과 같이 제시하면서 명사성이 강한 보편성 의존명사 구문일수록 선어말 어미 ‘-오-’가 필수적으로 결합한다. 의존명사 ‘.’가 ‘이’와 결합한 ‘디’ 는 15세기 문헌에서 많은 수가 ‘-오-’를 선행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오 -’와 의존명사 ‘.’가 통합한 구문은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의 문 법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한 중심에 서 있는 구문일 수 있다. 실제로 15세기 문헌에서 의존명사 ‘.’가 주격조사, 지정사와 쓰인 구문에서는 ‘-오-’가 없이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이 ‘-올디, -온디’ 구문은 15세기 이후의 문헌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다른 말로 교체되는 현상까지 보인다. 이는 아마도 다른 구문에서 쓰인 ‘-오-’가 소멸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라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볼 수 있 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prefinal ending "-O-" that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nd the dependent noun "ㄷ" were used together. The prefinal ending "-O-",which appear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ppear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almost requisitely, and it is distributed before the verbal formendings "-n, -l,-m." And whe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s examined, the prefinal ending "-O-", which was used in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rather than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can also be found. If the distribution of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rpheme used in the endings, we can think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result, "-o-" in medieval Korean makes up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and functions as the element enabling it to have noun natur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modal meanings such as emphasis and focus and loses noun nature due to the extinction of "-O-" and becomes adverbial or conjunctive sentence, and can change to have only the function of modality. The prefinal ending "-O-" can also appear in the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But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ependent noun. As shownin the catalogue of the dependent nouns presented as follows, the universal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which is of strong noun nature, is requisitely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O-”. The word “디” which is dependent noun “.” combined with “이” appears invariably before “-오- ”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ccordingly,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O-” is combined with the dependent noun “.” can be the sentence structure that stands in the middle of the grounds that explain the grammatical process of the prefinal ending “-O-” and the dependent noun. Actually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dependent noun “.” is used with the subjective case postposition, seldom appears without “-O-”. But the “-올디, -온디” sentence structure seldom appears in the literature after the 15th century and sometimes it is replaced with other words. This can be presumed that probably it dis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extinction of “-O-” that was used in other sentence structures.

      • KCI등재

        한국어 선어말어미의 심리어휘부 표상

        이찬영 형태론 2023 형태론 Vol.25 No.2

        한국어 선어말어미의 심리어휘부 표상 방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점화 어휘 판단 과제’와 ‘자기 조절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선어말어미의 유형’과 ‘어간의 사용 빈도’,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간 결합 빈도’의 세 가지 요인에 따라 선어말어미가 어휘부 내에서 독자적 표상을 지닐 가능성이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한 결과, 고빈도 어간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저빈도 어간과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독자적 표상을 가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어말어미의 유형 및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간 결합 빈도는 선어말어미의 독자적 표상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활용형 전체가 표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화자의 심리어휘부는 표층어휘부와 심층어휘부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활용형은 대부분 표층어휘부에 저장되고 어간과 어미는 심층어휘부에 저장되며, 고빈도 용언 어간이 포함된 일부 활용형의 경우에는 정도성을 지닌 채 어간과 어미로 분리되어 활용형과 함께 표층어휘부에 저장될 수 있는 어휘부 모형을 상정할 수 있다. A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 and a 'self-paced reading task'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in the mental lexicon of Korean prefinal endings. We observed the extent to which prefinal endings are likely to have their own representation in the lexicon according to three factors: 'type of prefinal ending,' 'frequency of the stem,' and 'frequency of conjunction between pre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 and found that prefinal endings with high-frequency stem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their own representation than those with low-frequency stems. The type of prefinal ending and the frequency of conjunction between pre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ikelihood of being represented independently, and the entire conjugation was more likely to be represen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Korean speakers' mental lexicon has a dual structure of a surface lexicon and a deep lexicon, in which all lexical conjugations are stored in the surface lexicon, and some conjugations containing high-frequency stems are separated into stems and endings and stored in the deep lexicon, where they function as objects of reference.

      • KCI등재

        개화전환기 선어말어미의 문법화에 대하여

        황국정 ( Kukjeo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선어말어미의 형태나 기능변화는 어말어미 가운데에서 형태와 기능변화와 관련시켜 고찰하지 않을 수 없다. 한 개의 선어말어미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환경은 제약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 형태가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도 변화가 시작되는 일정한 제약이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하여 변하는 과정을 통해 서상법 체계 내에서 유기적으로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선어말어미의 형태나 통합양상의 사적 고찰에 있어 어말어미와의 연계성 속에서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세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한 개의 선어말어미가 어떤 종류의 문장종결법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형태나 기능의 변화하는 양상이 다를 수가 있다. 둘째, 선어말어미(서실법) ‘-니-’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니-’의 실현은 대부분은 ‘-는 법이다’로 대체되는데 ‘-었-, -더-’ 등 다른 선어말어미와 통합한 경우는 ‘-니-’가 실현되지 않고, ‘-ㄴ다/-는다’로 변하는 경우는 복문구성에서 선행절이 가정의 연결어미 ‘-면’일 경우만 가능하다. 셋째, ‘-느니라’의 원칙법의 성격은 서실법과 함께 어울려, 시상법 체계를 이루어 당시의 서법 체계의 변화를 일으켰다. This study aimed at checking the grammar chang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era in Korean pre-final e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grammar changes which is four results. At first, one pre-final endings would change the systems in moods. Second, ‘-ni (니)-’ could be ‘-nɨn bəbida (-는 법이다).’ The thilrd, both moods and tense final-endings would can respectively. For examples, ‘-ətt- (었)’, ‘-tə- (더)’, etc. On finally, the tense systems can be change the prefinal endings. controlling the effects interchange of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era in to the 1930’ materials in writte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