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

        김정화,윤용순,정복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4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on arm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Methods : Eighteen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chronic hemiplegia over 12 months after a stroke attack were included. They receive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without FES for 4 weeks, and then undertook FES on a hemiplegic arm daily for 20 minutes a session, five days a week, for an additional 4 subsequent weeks. Four channels of FES worked sequentially for such motions as eating. The outcome was assessed using a manual muscle test for arm strength, dynamometer, and pinch gauge for grip and pinch power; the upper extremity subset of the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 for hand function; and CMS10 measuring system for motion analysis at baseline, after 4 weeks and then again after an additional 4 weeks of post-treatment. Results : In a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session without F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finger or arm strength, and FMA (p>.05). In the FES session,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ment of arm strength, finger strength, and motor function by FMA after 4 weeks of treatment (p<.05). Furthermore, mo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movement qualities on most parameters of pronation-supination movement, hand tapping, and finger tapping motions after 4 weeks (p<.05). Conclusion : FES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arm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over 12 months after a stroke attack.

      • 거울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윤인진 ( In Jin Yoon ),정지인 ( Ji In Jung ),김두리 ( Du Ri Kim ),박미정 ( Mi Jung Par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거울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3개월 미만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 상자들은 3주간 30분씩 주 5회 고식적 작업치료를 받았고, 거울치료 적용군은 추가 적으로 20분씩 주 5회 거울치료를 받았다. 치료 시작 전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 수준 을 알아보기 위해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MMSE)을 시행 하였고, 치료 전후 상지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Fugl-Meyer Assessment(FMA), Manual Function Test(MFT)와 Box & Block Test(BBT)를 시행하였다. 결과: 거울치료 적용군의 중재 전후 상지 기능을 비교해 본 결과, MFT의 상지의 운 동 항목, 파악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꿈치/아래팔 항목, 손목 항목, 손(손가락)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비적용군의 중재 전후 상지 기능에서 는 MFT의 상지의 운동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꿈치/아래팔 항목, 손(손가락)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거울치료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상지 기 능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MFT의 상지의 운동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 꿈치/아래팔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고식적 작업치료만 적용해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이 향상되지 만, 거울치료를 함께 적용할 경우 상지 기능 향상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작업치료를 진행할 때, 치료 환경, 시간, 환자의 특성과 기능, 동기 등을 고려하여 거울치료를 적용한다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Objective: To evaluate of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 30 acute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15) or control group(n=15).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standard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day, 5 times/week, for 3 weeks. But only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articipated in mirror therapy for 20 minutes/day. The K-MMSE FMA, MFT, and BBT were used to assess the cognitiv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houlder items, grasp items and total score of MFT,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wrist items, hand(finger) items and total score of F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the shoulder items, total score of MFT, and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hand(finger) items, total score of F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houlder items, total score of MFT, and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total score of FMA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tandard occupational therapy and mirror therapy a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Especially, additional mirror therapy is more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 KCI등재

        상지신경가동화기법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차현규,오덕원,조혁신,기경일,심선미,박현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상지신경가동화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20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졸중 환자를 실험 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받았으며, 실험군에게 추가적으로 상지신경가동화기법이 10분 동안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상지 평가 도구는 상지 운동 능력 평가(양적/질적), 상지 기능 검사(시간/기능), 장악력이 포함되었다. 측정은 중재 전, 4주 후 2번 실시하였다. 중재 후 실험군에서 상지 운동 능력 평가(양적 /질적), 상지 기능 검사(기능), 장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또한 대조군에서는 상지 운동 능력 평가(양적/질적)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두 군 간의 중재 전과 중재 후의 상지 기능 평가 비교에서 상지 운동 능력 평가(양적/질적), 상지 기능 검사(기능), 장악력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이는 상지신경가동화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upper limb nuerodynamic mobilization technique on perceived upper limb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20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control group (CG), with 10 patients in each group. All subjects received a routine physical therapy. The mobilization technique of the upper limb neurodydnamic was performed for 10 min in the case of the EG subjects. The upper limb assessment tools of this study involved the motor activity log(MAL) (Quantity/Quality), manual function test(MFT) (Timing/Function), grip strength. The measurements were recorded 2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after 4 week the intervention. In the case of the EG subjects, the variables measured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ly differed from MAL Quantity/Quality) and MFT (Function), grip strength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p < .05). Also, in the case of the CG subjects, the variables measured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ly differed from MAL (Quantity/Quality) (p < .05).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Quantity/Quality) and MFT(Function), grip strength at post test between the 2 groups (p < .05). The findings indicate that upper limb neurodynamic mobilization technique exerts a positive effect on upper limb function in patient with post stroke-hemiparesi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재훈,조영남,채수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3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이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0명의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을 받는 실험군 15명과 비과제중심 상 지 운동을 받는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었다.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과 비과제중심 상지 운동은 6주 동안 주 4회 30분 동안 실시하였고, 치료 중재 전ㆍ후 환측 상지 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K-WMFT와 Purdue pegboard test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FIM 을 시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 집단과 비과제중심 상지 운동 집단의 각 치료 중재 전ㆍ후 환측 상지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환측 상지 기능에 대한 치료 전ㆍ후와 집단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 집단과 비과제중심 상지 운동 집단의 각 치료 중재 전ㆍ후 일상생 활활동 수행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대한 치료 전 ㆍ후와 집단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환측 상지 기능은 운동 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과제 지향적 상지 운 동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 회복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에 효과적임 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Thirty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a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non-task oriented movement therapy a control group(n=15). Both groups received the usual occupational therapy. In addition,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a control group received non-task oriented movement therapy, for 30-min sessions 4 times every week during 6 weeks.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both groups was assessed using a Korean Wolf Motor Function Test(K-WMFT) and Purdue pegboard test. Assessment of both grou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group and the non-task oriented movement therap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while interaction e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groups for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p <.05). Seco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the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group and the non-task oriented movement therap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while interaction e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groups for ADL performance ability(p <.05). Third,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DL performance ability related with motor function(p <.05). It is deemed that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can be usefully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as a therapeutic method to improve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asks according to functional levels of patients.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안승헌 ( An Seung-heon ),박창식 ( Park Chang-si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8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는 체간 조절 검사(Trunk Control Test, TCT),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체간 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Trunk Control, PASS-TC), 수정된 체간 장애 척도(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 mTIS)를 상지 기능 평가는 Wolf 운동 기능 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퓨글 마이어 상지 검사(Fugl Meyer Assessment-Upper/Extremity, FM-U/E)를 이용하였다.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 수행에 미치는 요인 분석과 상지 기능 구분( FM-U/E: 만점 66점, 51∼65점: 경미한 장애/ FM-U/E=0∼50점: 중증 또는 경증 장애)을 위한 체간 조절 평가의 변별력은 수용자 작업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선별 기준값과 우도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체간조절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mTIS-동적 항목(체간 외측 굴곡)과 협응(체간 회전)이 (설명력 37%) WMFT에 영향을 주었고, mTIS-동적 항목(42%)이 FM-U/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지 기능 수행 예측을 위한 최적의 선별 기준값은 mTIS-협응 >2.5점, mTIS-총점은 >7.5점이었다. mTIS-총점이 상지 기능 수행(FM-U/E: 51∼65점)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 mTIS 총점이 >7.5점인 경우 ≤7.5점인 환자들에 비해 0.16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들은 여전히 체간 조절 결핍과 상지 기능에 장애가 보인다. 따라서 체간 조절은 상지 기능 회복과 유의한 관련이 있으므로 체간 조절의 외측 굴곡과 회전 훈련은 강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nk control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evaluation of trunk control in 87 stroke patients was conducted using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trunk control(PASS-TC), 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mTIS), and the evalu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conducted using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nd Fugl-Meyer Upper Extremity(FM-U/E). This study calculated the selection criteria value and the likelihood ratio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to analyze the factors by which trunk control affects the performance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identify the discriminant power of trunk control evaluation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classification [FM-U/E (66 points in full scale) = 51-65 points (minor disability) / FM-U/E = 0-50 points (severe or mild dis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by which trunk control affects upper extremity function, it turned out that mTIS-dynamic items (lateral trunk bending) and coordination (trunk rotation) affected the WMFT (explanatory power of 37%) and that mTIS-dynamic items (42%) affected FM-U/E. The optimal selection criteria value for the predic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performance were mTIS - coordination > 2.5 points and mTIS - total score > 7.5 points. t turned out that the patients with mTIS total score > 7.5 points was 0.161 times higher than the patients with ≤7.5 points in mTIS - total score, which is a predictor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performance (FM-U/E: 51-65 points). Stroke patients are still deficient in trunk control and they have an impaire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onclusion, trunk control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pper extremity function recovery, and thus, lateral trunk bending and rotation training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편마비 아동의 환측 상지의 운동 및 감각기능에 미치는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효과

        전혜선,고명숙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뇌손상으로 인한 편마비 아동들에게 10주 동안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환측 상지의 운동․감각능력 및 일상생활에서의 환측 상지 사용 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 or ABA design)로 설계되었으며,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뇌병변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17주간 실시되었다. 총 17주의 연구기간은 3주간의 기초선 1기간, 10주간의 치료 적용기간, 4주간의 기초선 2기간(치료후 관찰기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치료 기간 동안 대상 아동들에게 주 5회, 하루 5시간동안 강제유도 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치료 전․후의 환측 상지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두점 인식능력과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촉각 검사, 멜버른 검사를 실시하였고, Motor Activity Log(MAL) 중 아동에게 적용 가능한 20항목을 발췌한 부모작성일지를 사용하여 환측 상지 사용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대상자별로 측정된 상지의 운동 및 감각기능과 일상생활에서 환측 상지 사용 빈도의 평균값을 기술 통계적으로 제시하고 시각적 그래프를 통하여 기초선, 치료기간과 치료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편마비 아동의 상지 운동 및 감각기능과 일상생활에서의 환측 상지 사용 빈도가 치료 전에 비해 향상되었고, 이러한 치료 효과는 치료종료 후 1개월까지 유지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장시간의 건측 상지 운동 제한에 따른 거부감으로 인해 아동에게 적용하기 어려웠던 기존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문제점을 개선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적용시간을 각 아동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활용한다면 임상 재활치료에서 편마비 아동의 기능회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MCIT) on fine-motor function, or the sensory and functional use of an affected upper extremity in daily activities. Methods : Four children with hemiparetic upper extremity caused by brain injuries were trained by MCIT for ten week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ies of the subjects were restrained by a specially designed hand splint or a mitten for five hours a day, five days per week. For two hours out of the five-hour restraint period,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was intensively trained 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al tasks, which were individually structured to emphasize use of the affected arm. A single-subject design with A-B-A reversal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affected limb motor ability was evaluated by Melbourne Assessment. Sensory abilities of the hemiparetic upper limb were assessed, using monofilaments and two-point discrimination tests. Results :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affected limb motor test scores of all four subjects in the baseline period were respectively improv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 was maintained during a one-month follow-up period. The sensibility of two-point discrimination and light touch and pressure was also improved after MCIT. In addition, the parents of all four children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began to use the paretic upper extremity more frequently in daily functional activities at hom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ssumption that MCIT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to improve the sensory and motor abilities of hemiparetic children, and that it also increases the frequency of functional use of the hemiparetic hands of brain-injur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MCIT method is especially beneficial to these children by reducing th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forceful restraint of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To optimize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by CIT, the restriction period per day should be decid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 KCI등재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근주입 후 상지 운동기능 개선 효과

        노세응,서은진,정복희,주민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2

        목적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근 주입 후 상지 운동기능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환측 상지의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심지굴근, 천지굴근에 보툴리눔 독소를 각각 25 단위 주사하였다. 평가는 주사 전, 주사 2주 후와 8 주 후의 상지 기능 변화 및 동작 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지의 경우 수정 에쉬워스 척도와 도수 근력 평가, 뇌졸중 상 지 기능 평가, 수지의 파악력 및 측면 집기력을 평가하였고 정량 분석을 위하여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하여 손 목관절의 최대 굴곡-최대 신전, 손바닥 두드리기, 검지 두드리기, 30cm 추적운동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 후 마비측 수지의 파악력, 측면 집기력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손목관절의 신 전, 수지의 신전 근력, 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의 관절운동범위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 및 손바닥 두드리기와 검지 두드리기 동작에서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폭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 되었다(p<.05). 결론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환측 상지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박미정,윤인진,정지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의 적용이 상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2010년 3월부터 동년 9월까지 A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환자 들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46명을 각각 23명씩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중재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자들은 3주간 30분씩 주 5회 작업치료를 받았고, 추가적으로 RECK MOTOmed viva2를 이용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 혹은 과제 수행을 통한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를 3주간 30분씩 주 5회 동안 받았다. 상기 기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전, 후에 Fugl-Meyer Assessment(FMA), Manual Function Test(MF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1.22±12.35에서 25.26±11.88로, MFT의 총점이 33.17±22.83에서 41.52±23.69로 향상되었고(p<.05),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은 FMA의 총점이 22.22±12.48에서 26.39±10.84로, MFT의 총점이 33.52±21.83에서 42.22±21.67로 향상되었다(p<.05). 결론 :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군과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군의 상지 기능 향상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대근육 기능 또는 소근육 기능과 같은 상지의 특정 기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기능 향상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mparison of effects o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using RECK MOTOmed viva2 and task oriented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e subject were hospitalized in A Medical Center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10 for rehabilitation. 4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and included in selection criter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3 patients involved i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23 patients involved in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ies with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or task oriented exercise were given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An assessment of their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made using a Fugl-Meyer Assessment(FMA) and Manual Function Test(MFT). Results :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of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was 21.22± 12.35 to 25.26±11.88 in FMA, and 21.22±12.35 to 25.26±11.88 in MFT(p<.05).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was 22.22±12.48 to 26.39±10.84 in FMA, and 33.52±21.83 to 42.22±21.67 in MFT(p<.05). Conclusion :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group and task oriented exercise group. Also, both the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and the task oriented exercise lead improvement of gen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rather than specific function as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

      • KCI등재

        자세 변화에 따른 기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정겨운,백지영,이성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This study aimed to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on func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posture changes. Thirty stroke patients with a duration longer than 6 month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5 patients each selected randomly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Functional activities in standing and sitting postures were conducted for 8 weeks with them. FMA and CMS-10 were used to study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while posture changes in ADL were measured using MBI and MAL,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ison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after functional activites according to posture hang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group(p < .05). FMA, CMS-10, MBI, MAL used to study changes in functional movement of upper extremity for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 .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can be seen that functional activities in the standing posture had effects on enhancement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that functional activities in the standing posture applied to stroke patients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of treatment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본 연구는 자세 변화에 따른 기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선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의 기능적 활동을 1일 1회, 30분씩, 주 5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FMA와 CMS-10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은 MBI와 MAL을 사용하여 측정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자세 변화에 따른 기능적 활동 후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서 선 자세군은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운동각, 운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5), 일상생활동작의 변화는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5),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및 운동각, 운동범위, 일상생활동작의 전후 변화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본 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에서의 기능적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선 자세에서의 기능적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윤인진 ( In Jin Yoon ),김두리 ( Du Ri Kim ),박미정 ( Mi Jung Par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 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A 병원에서 2013년 3월부터 동년 12월까지 뇌졸중으로 진단 받아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 환자들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군과 전통적 작업치료군으로 나누었다. 중재 전후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MFT, FMA, BBT, K-MBI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3주간 주 5회 60분 동안 진행되었다. 결과: 중재 전 두 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변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전통적 작업치료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도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직 치료 시간에만 비마비측을 제한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적 작업치료도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작업치료를 진행할 때, 치료 환경, 환자의 특성과 기능, 동기 등을 고려하여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다면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32 stroke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Seoul A Medical Center from March to December, 2013 were randomly divided into mCIMT group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OT) group. The MFT, FMA, BBT and K-MBI were used to evaluat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The intervention were applied 5 times a week for 60 minutes during 3 weeks. The mCIMT group was only limited on their unaffected side during treatment. Result: Before intervention, both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rvention were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in acute stroke patients not only mCIMT but also traditional OT. So, when applied the intervention to acute stroke patients, we could be considered mCIM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