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원형을 활용한 모바일 기능성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이영숙(LEE YOUNG-SU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5

        본 연구는 사천왕(四天王)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였다. 현재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하여 모바일콘텐츠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한국적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게임콘텐츠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속화 되어있는 한국불교문화에 등장하는 사천왕(동방 지국천왕, 북방 다문천왕,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을 고찰하고 한국형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콘텐츠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4종을 현대화하여 재조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천왕(四天王) 4종 캐릭터를 게임콘텐츠에 적합하도록 2등신 SD 캐릭터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사천왕캐릭터와 불교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천왕(四天王) 틀린그림찾기 모바일 기능성 게임의 기획과 개발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불교문화의 콘텐츠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전통문화의 저변확대 및 한국토착 전통문화로 소통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불교문화캐릭터를 개발하여 게임콘텐츠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하여 한국 전통 캐릭터 개발 및 게임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대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oduced the serious game based of Sacheonwang for the smart phone.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has expanded the contents market. However the game content made of various Korean traditional cultures is just few. According to this problem, it considered Sacheonwang (Dongbang Jigukcheonwang, Bukbang Damuncheonwang, Namban jungcheonwang, Seobang Gwangmokchoenwang) and tried to develop the serious game application of smart phone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t modernized the 4 types of Sacheonwang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t was created to super deformed characters. It suggested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game using Sacheonwang character and the Buddhist image. This study looked at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and developed the Buddhist civilization and applied on the game contents to exte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teract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therefore, will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characters and the game content using the research of the Buddhist cultural elements.

      • KCI등재

        四天王寺 出土 碑片의 形態學的 檢討

        최장미(Choi, Jang-Mi)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5 No.-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초기 당나라와 전쟁을 하던 신라가 호국의 목적으로 절을 짓고 문무왕 19년(679)에 완성하였다고 전한다. 금당 앞에 2기의 목탑을 동 ? 서로 배치한 통일신라 쌍탑가람의 첫 번째 사찰인 사천왕사는 신라 통일기 건축 · 미술 · 불교문화사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사천왕사 석비는 龜趺-碑身-?首의 형태를 완전하게 갖춘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사천왕사 중문지 남편에는 龜頭가 없어진 2기의 龜趺만 잔존해 있다. 귀부에 세워졌던 비석은 비록 훼손되었지만 조선시대부터 여러 학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조선시대 이래 현재까지 사천왕사 서귀부에는 문무왕릉비가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동귀부에는 비석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아 신문왕릉비나 사적비 등이 세워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2011년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사천왕사지 발굴조사에서 새롭게 2종류의 碑片이 확인됨에 따라,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져 갔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성과는 비문의 판독과 그에 따른 내용 해석에 집중되어 있었을 뿐, 비석의 개체수나 原型을 추정할 수 있는 형태학적인 측면은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비석의 정간 및 글자의 형태학적인 면을 중점적으로 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비석은 모두 3종류로, 각각은 문무왕릉비, 사천왕사 동귀부에서 발견된 비(2011년 출토), 그리고 서쪽 석교 상부에서 발견된 비편(2011년 출토)으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이다. 출토된 비편은 단편이기 때문에 비문을 통한 내용이나 성격규명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며, 향후 더 많은 자료가 확인되어 비문의 내용과 비석의 제 위치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It is historically said that Sacheonwangsa was a temple built with the purpose of patriotism in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a when Sila went into war against the Tang Dynasty in China, and it was completed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ule (A.D.679). Sacheonwangsa was the first temple of Unified Sila"s Ssangtapgaram (twin-pagoda temple), in which two wooden pagodas were located toward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in front of Geumdang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and it has many significant historical aspects in studying the architecture, art and Buddhist cultural history of the period when Sila was unified. The tombstone of Sacheonwangsa is assumed to have been complete in the form of Gwibu-Bishin-Yisu at first, but at present, there are only 2 Gwibu (turtle-shaped socles) left with Gwidu (turtle heads) missing in the southern section of Sacheonwangsa Jungmunji. Despite its partial damage, the tombstone standing on the turtle-shaped socle has constantly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up to the present, Munmu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Munmu) has stood up at the western Gwibu of Sacheonwangsa, but the true nature of the tombstone in the eastern Gwibu was not clarified, resulting in having assumed there might have been Shinmun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Sinmun) or monuments. In 2011,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ducted an excavation research for Sacheonwangsaji, and newly discovered 2 kinds of tombstone fragments, which made the academic circles more interested in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Sacheonwangsa have focused on the deciphering of epitaph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but there was a tendency to overlook its morphological aspects used to assume the number of tombstones or prototyp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all the tombstone fragments having been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so far, by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aspects of patterns and characters engraved in the tombstone.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found out there are a total of 3 items of tombstone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and divided them by location, one for Munmuwangleungbi, the other one discovered in the eastern Gwibu of Sacheonwangsa and the last tombstone fragment dis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stern stone bridge (including the tombstone fragment stored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are so small that it is hard to verif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by deciphering the epitaph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uch more data can be confirmed in the future in order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epitaphs and find out the right locations of tombstones.

      • KCI등재

        조선후기 사천왕도(四天王圖)의 제작과 봉안 양상

        심영신 ( Shim Yeoung-sh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이 글은 조선시대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조성된 12건의 사천왕도의 제작과 봉안양상을 고찰한다. 1758년에 그려진 <고운사 사천왕도>는 현재 전하는 독존의 사천왕도 가운데 가장 올라가는 작품이다. 독존의 사천왕도는 사천왕 네 구가 네 폭의 화면에 그려져 천왕문에 봉안되는데 기존의 사천왕조각을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그림이 조각을 대신하게 된 데에는 종교적인 이유와 함께 경제적인 배경이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천왕문에 봉안했던 사천왕도는 의식이 행해질 때 야외로 옮겨 의식에도 쓰였던 것으로 짐작되므로 종교적인 기능상의 변화가 있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불사후원의 주체가 바뀐 것 또한 고려할 사항으로 보인다. 17세기 이후 왕실의 불사 후원이 현격히 감소하고, 양란 이후 사찰에 대한 경제적인 핍박 이 심해지자 불교계에서는 승려의 개인재산과 사찰계, 그리고 일반민을 대상으로 한 보시를 통해 불사를 모색하게 된다. 사찰이 불화 조성의 주체가 되면서 왕실이나 양반층에서 후원했던 기복을 위한 불화와는 달리 사찰의 면모를 갖추는데 중요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게 되고 사천왕도는 그러한 범주 에서 제작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사찰 전각에도 군도 형식에서 독립한 독존의 사천왕도가 후불탱 좌우에 봉안된다.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도와는 달리 두 구를 한 폭에 그려 좌우 두 폭이 일조를 이루는 형식이다. 천왕문 사천왕도가 독립적인 예경의 대상으로 조성된 데비해 전각 봉안 사천왕도는 권속의 의미로 봉안된 것으로 보인다. 종교적인 기능이나 용도상의 변화에 의한 독립이 아니라 불전의 물리적인 변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는 까닭이다. 즉 전각 내부에서 의식을 거행하게 되자 불상과 신도의 위치가 가까워져 불상에 대한 외경심을 높이기 위해 불단의 높이를 높이게된다. 이에 따라 불화를 걸어야 할 후불벽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불화는 자연스럽게 가로가 길어지게 된다. 결국 화면의 좌우 양끝에 위치하는 사천왕을 아예 독립시켜 배치하는 방식으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문루에 봉안한 사천왕도는 해남 대흥사 침계루에 유일하게 남아 있다. 한폭에 두 구를 함께 그렸으므로 전각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구성이다. 그러나 두 구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여 네 구를 완전하게 표현하고 있고, 두 폭이 서로 마주보는 배치인 점에서는 천왕문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천왕도는 20세기 초반에 그려졌기 때문에 사천왕도를 문루에 봉안했던 이전의 전통을 이어 그림만 새로 조성한 것인지 문루에 봉안하는 형식 자체가 20세기 초반에 시작되었는지는 앞으로 밝혀져야 하겠다. This paper considers 12 sets of Lokapala paintings produc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 Gounsa Sacheonwang Paintings > produced in 1758 are the earliest work of Lokapala. paintigns consecrated at Lokapala gates, Buddha halls, or pavilions in Buddhist monasteries. 1 set of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is composed of 4 canvases, while one at Buddha halls or pavilions is composed of 2 canvases, one of which has two Lokapalas. The reason why Lokapala represented in paintings instead of sculpture is probably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and religious use. Royal households of Joseon less patronized on Buddhism, as Neo-confusionism became deeply rooted as the national ideology from the 17th century. Therefore monks themselves patronized paintings appropriate for the religious use of monasteries. The themes were different from paintings patronized by the royal households for their well-being.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seemed to be moved to the courtyard to be used as protectors of the ritual. Lokapala paintings at Buddha halls and pavilions did not have independent position as the object of worship. Instead they kept service as retinue of Buddhas in the paintings on altar. Height of altar at Buddha hal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as decreased and width of Buddhist paintings hung on the altar has increased. The architectural change probably made Lokapala at the four corners in the main Buddhist paintings independent from the paintings. Only one Lokapala painting is extend today at pavilion of Daeheungsa in Haenam. Because the painting was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do not know yet the way Lokapala paintings consecrates at pavilion was new or old tradition, which would be the next theme to be considered.

      • KCI등재

        四天王天과 神遊林의 시각적 구현-경주 낭산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의 도상해석-

        한재원(Han, Jae-won)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경주 낭산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은 7세기 후반 통일신라의 미술과 교학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명랑과 유가명승 12인의 ‘문두루법’의 설행과 이를 통해 唐軍을 물리쳤다는 『삼국유사』 명랑신인조의 문헌기록은 사천왕사 건립의 호국적 성격을 보여준다. 그런데 ‘문두루법’의 소의경전인 『관정경』에는 사천왕사의 조영과 녹유신장벽전의 배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내용은 찾을 수 없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녹유신장벽전 신장상의 존명에 대해 사천왕, 팔부중, 신왕 등으로 파악하였지만, 2012년에 완료된 발굴 결과에 따라 그 도상을 단정하기 더욱 어렵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대 신라에서 수미산으로 인식되었던 경주 낭산의 장소성에 근거하여 사천왕사가 도리천으로 간주되는 선덕여왕릉 아래 ‘사천왕천’을 표상하는 종교적 장소로서 설립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낭산 남쪽 神遊林에서 시작되는 사천왕사의 진입로는 완만한 구릉을 따라 사찰의 중심 영역으로 이어지면서 남섬부주에서 수미산으로 오르는 과정을 건축적으로 구현했다고 보았다. 사찰 경내에 세워진 목탑 기단부의 녹유신장벽전에 대해서는 『구사론』 분별세품에 설명된 3종의 천중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마카라와 용으로부터 비롯되는 신장벽전의 문틀 너머 천중이 있는 위치는 밀폐된 감실이 아닌 사천왕천의 넓은 공간임을 밝혔다. 이 공간의 전이는 신장상과 문틀 사이의 여백에 새겨진 飛雲文과 花文 등으로 암시되고 있다. 끝으로 사천왕사 건축과 조각이 보여주는 정치하고 복잡한 상징체계는 당시 신라왕실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유가・유식승들이 창안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은 역사적 기록을 증명하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불교 미술의 독자적인 의미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통일신라 초기의 매우 중요한 유물의 하나이다. The Green-glazed Tiles of Guardian Deities of Sacheonwangsa Temple in Nangsan, Gyeongju, is a representative relic showing the new trend of art and teaching of Unified Silla in the late 7th century. The preaching of the "Munduru Act" of Myeongrang and 12 famous monks, and the documentary records of the Myeongrang Shin In-jo of the Samguk Yusa that defeated the Tang army through this show then ationality of the Sacheonwangsa Temple. However, in the Abhisheka Sutra, the scripture of the Munduru Act, there is no content direct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e Green-glazed Tiles of Guardian Deities. In previous studies, the names of the Green-glazed Tiles of Guardian Deities were identified as the Four Heavenly Kings, the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and the Spirit Kings, But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sults completed in 2012, it becam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its identity. In this paper, it was argued that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as a religious place representing the world of the Four Heavenly Kings under Trāyastriṃśa. This is based on the location of Nangsan Mountain, which was recognized as Mount Meru in the Silla Dynasty. In addition, the access road of Sacheonwangsa Temple, which starts at Shinyurim Forest in the south of Nangsan Mountain, leads to the central area of the temple along a gentle hill, realizing the process of climbing from Jambūdvīpa to Mount Meru. As for the Green-glazed Tiles of the wooden pagoda of Sacheonwangsa Temple, the possibility of among three types of deities described in Abhidharmakośa-bhāsya was suggest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location of 3 heavenly deities beyond the door frame of the Green-glazed Tile, which originated from makaras and nagas, is not an enclosed room, but a large space of the world of the Four Heavenly Kings. The transition of this space is implied by clouds and flowers appearing in the margins in the door frame. Finally, it was estimated that the precise and complex symbolic system shown by the architecture and sculptures of Sacheonwangsa Temple was created by Yogachara school monks who maintain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illa royal family at that time. The Green-glazed Tiles of Sacheonwangsa Temple are not only data proving historical records, but also very important relics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which show the independent semantic structure of Buddhist art.

      • KCI등재

        新羅中代成典寺院과 密敎 : 중대 國家儀禮의 視覺化와 관련하여

        윤선태(Yoon Seon-Tae) 韓國古代學會 2015 先史와 古代 Vol.44 No.-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당(唐)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밀교승 명랑(明朗)의 주도 하에 창건되었다. 신라는 금광명경(金光明經) 에 기초한 기존의 사천왕호국신앙(四天王護國信仰)과 달리 거기에 관정경(灌頂經) 의 오방신(五方神)과 문두루비법(文頭婁秘法)을 결합시키는 밀교적(密敎的) 작단(作壇)을 설행(設行)하였다. 명랑과 혜통(惠通)이 가지고 온 새로운 밀교적 작법(作法)은 신라를 지켜줄 무수한 천왕(天王), 신왕(神王), 용왕(龍王) 등의 모습을 직접 현현(顯現)시켜오감으로느낄수있도록하는보다대중적이고, 감각적인밀교의식(密敎儀式)이었다. 양지(良志)는 사천왕사 목탑의기단부에 사천왕천(四天王天) 아래3개의층급(層級)에살았던 야차(夜叉), 존신(尊神) 등을 재해석하여 야차와 신장(神將)으로 형상화하고, 목탑의 계단(階段)을 밟아 탑신에 올라가는 길을 기단에 배치된 3개의 층급을 지나 사천왕천에 도달하는 길로 이미지화하였다. 일연(一然)이 이를 ‘팔부신장(八部神將)’이라고 한 것은 후대의 ‘팔부중(八部衆)’ 그 자체를 말한 것이 아니라, 이 신장들이 천왕(天王)을 도와 불법을 수호하는 그의 권속(眷屬)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양지는 천왕의 권속과 야차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신라인들의 눈앞에 현현시켜, 보이지 않는 사천왕의 더욱 강력한 힘을 확신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사천왕천 아래 3개 층급의 야차들이 사천왕의 발 아래에서 분리되어 탑의 기단을 장식하고있다는사실도중요하다. 이로 인해 계단을 통해 이 목탑의 기단 위로 올라간 신라의 왕자(王者)가 소조신장상벽전(塑造神將像壁塼) 위의 테라스를 걷거나, 벽전위에 서있을경우, 그는 단순한 왕자가 아니라 3층급의 야차를 밟고 서있는 사천왕과 동격이 된다. 이처럼 사천왕사 목탑 기단의 벽전에는 중대권력을 정점화(頂點化)하려는 양지의 또 다른 언설(言說)이 숨어있었다. 문무왕은거대 제국당(唐)의공격 앞에서도 사천왕사의 불교의례를 통해 절대적인 중심성을 회복했고, 밀교적 작단(作壇)으로 피어난 사실적인 소조상들은 그것을 모두가 보고 느끼게 하는 장(場)이었다. 사천왕사 위 낭산(狼山)에 있었던 선덕여왕의 장지(葬地)가 도리천(忉利天)으로 표상되었듯이, 사천왕사는 수미산 정상의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 경계 지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결국 사천왕사는 신라 왕경(王京)의 남방 끝에 불과한 공간이 아니라, 밀교의례 속에서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이며, 이곳은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이 지키는 불국토의 경계 지점이었다. 이후 봉성사(奉聖寺) 창건으로 시작되는 밀교승 혜통이 주도한 신문왕대의 새로운 성전사원체제는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으로 수호되는 신라 불국토를 더욱 시각적으로 표상하여 왕경의 사방(四方)으로 성전사원을 확대해나간 과정이었다. 왕경의 사방에 의도적으로 배치된 성전사원(成典寺院)들은 국가의례(國家儀禮)의 장(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수행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곳은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접점이고, 지방인이 왕경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왕경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신라 국토 전체를 압축적으로 상징한다. 신라 중대왕권은 기본적으로 당과의사대적인관계를유지하려한점이있지만, ‘태종(太宗)’무열왕의 묘호(廟號) 문제로 알 수 있듯이, 대제국인 당과의 싸움에서 얻었던 자신감 또한 잃지 않았다. 성전사원에 기초한 신라의 독자적인 국가의례는 ‘호국(護國)과 왕실(王室)의 영속(永續)’을 기원한 중대왕권의 의지 속에서 창출되었으며, 중대왕실은 그러한 의례를 통해 신라국가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그것을 지배하는 자신의 절대성을 시각적으로 과시하려 하였다. Sacheonwangsa temple(四天王寺) was established by Esoteric Buddhist monk Myeongnang(明朗) to repel Tang's attack. The style of Esoteric Buddhism Myeongnang and Hetong(惠通) brought was more public, sensory Esoteric Buddhist style in order to feel with the five senses by directly showing the figures of the heavenly king, spiritual king, and dragon king and so on. Yangji(良志) realistically embodied the subordinate of the heavenly king and Yaksa and led to confirm stronger power of the four heavenly kings by revealing the figures in front of Silla people. Meanwhile, it is important for Yaksa to be decorated not at the beneath of the feet of the four heavenly kings but at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At the wall of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of Sacheonwangsa, there is another intention of Yangji to make an issue of the important power. King Munmu recovered his power against Tang through Buddhist ritual of Sacheonwangsa, and the realistic images decorated with Esoteric Buddhist style were the symbols Silla people saw and felt it. The burial site of Queen Seondeok located at Nangsan(狼山) beyond Sacheonwangsa symbolizes Trāyastriṃśa(忉利天), so Sacheonwangsa was regarded as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climbing to Trāyastriṃśa at the top of Sumisan mountain. Sacheonwangsa is eventually not the simple space at the south end of the capital but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in Esoteric Buddhist ritual. It is the boundary spot of Buddhist land under heavy guard of the gods of five directions and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n the new Seongjeonsawon system begun with the building of Bongseongsa temple(奉聖寺)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led by Esoteric Buddhist monk Hetong, was more visually typical of Buddhist land Silla kept by the four heavenly kings and expanded Seongjeonsawa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capital. Seongjeonsawon at the four directions was the contact point connecting the capital and provinces, the entrance local people come in the capital, and the starting point the capital spreads out into the four directions. At this point, it compressively symbolizes the whole land of Silla. Keeping the submissive relationship with Tang basically,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was full of confidence since the victory in the battle with Tang. The national ritual of Silla's own based on Seongjeonsawon was created in the will of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pray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 and permanence of the royal family'. The royal family became the center under the heaven and visually displayed their absoluteness through such ritual.

      • KCI등재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김동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3 No.-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riginal structure and layout of Sacheonwangsa (四天王寺) Temple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in 679 during the Silla Dynasty by examining the ruins, which was confirmed by excavation research, and to examine the roof tiles and bricks (瓦塼) used in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views in detail the composition of the construction of temple, and by examining relics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aims to confirm that Sacheonwangsa Temple was thoroughly planned and designed. First, at the time of Sacheonwangsa Temple’s foundation, the main Geumdang building from the early period (先代金堂), a wooden pagoda (木塔), the Danseokji site, where Buddhist ceremonies are believed to have taken place, and the corridor (回廊) were buil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ch Buddhist shrine was allocated all by applying a regular rule from the time of its design. It can be known that the central zone was built over a space measuring 20.5×22m, within which the main Geumdang (金堂) building, wooden pagoda and Danseokji site were all built.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futur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criteria for Sacheonwangsa Temple. Next, this study sorts out relics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among the relics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and reviews in detail the bricks with green glaze (綠釉壁塼) and arabesque-patterned bricks (唐草文塼), the eaves of roof tiles (瓦當) and green-glazed relics, which are representative features of Sacheonwangsa Temple. It is estimated that the roof files and bricks (瓦塼) used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were made by the same group of craftsmen exclusively for the temple. 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It is noteworthy that, in terms of the temple’s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Buddhist shrine (i.e. the processing of foundation stones) and the materials used to decorate the corresponding Buddhist shrine (i.e. the production of bricks with green glaze and arabesque-patterned bricks) were planned and produced in a close relationship. This leads one to assume that there was a general command unit or division of some sort that controlled the construction of Sacheonwangsa Temple at that time, and that it had not only a construction design but also a detailed plan, including the materials to be used in the construction work, and detailed designs and measurements. 본고에서는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구를 통해 679년 사천왕사 창건가람의 구조를 추정해보았고, 아울러 사천왕사 창건가람에 사용되었던 瓦塼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창건가람의 구성과 창건기 유물을 통해 사천왕사가 철저한 계획성과 의도성에 의해 造營되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사천왕사 창건기에는 선대금당, 목탑, 추정단석지, 그리고 회랑 등이 건립되었으며, 각 불전들은 모두 설계 당시부터 일정한 규칙을 적용해 배치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단위면적 20.5×22m의 공간을 이용하여 중심사역이 마련되었고, 그 안에 금당과 목탑, 그리고 추정단석지 등의 중심건물이 건립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치는 향후 사천왕사 조영척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음은 사천왕사지 출토 유물 중 창건기 유물을 선별해 보았다. 목탑 기단의 재료로 사용된 녹유벽전과 당초문전, 각 건물 지붕에 장엄된 암・수막새, 그리고 사천왕사의 가장 표지적 유물인 녹유유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창건가람에 사용된 瓦塼들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장인집단에서 만들어졌으며, 오로지 사천왕사를 위해 專用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천왕사 조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천왕사 조영계획에 있어 불전의 건축(지대석 가공)과 해당 불전에 장엄되는 재료(녹유신장벽전과 당초문전 제작)가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서 함께 기획・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당시 사천왕사 조영을 총괄하는 지휘부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지휘부는 건축 설계 뿐만 아니라, 건축에 이용될 資材의 세부디자인과 규격까지 포함하는 정밀한 설계계획안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執弓矢’ 호법신장상 연구

        전민숙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6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addresses to the posture of holding a bow and arrows. The initial appearance of the image could be traced back to the Buddhist drawings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ārtha in Gandhāra in the Gandharan Region, in which the figure with holding a bow and arrows leads Siddhartha out of the palace. The icon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is regarded as the eldest case in the East Asia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ity in terms of characteristic and status in the Buddhist figures. Generally speaking, a set of eight figures on Buddhist Guardians could be defined as either Buddha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or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in the era of the Unified Silla.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s such as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Stone Seated Buddha the Pedestals of Cheongnyangsa Temple, Hapcheon and Gilt-bronze Octagonal Reliquary from excavated at Gwang-yang, Tokyo National Museum the iconograph are expressed and, also, a similar image is found in the sutra named AtabaguGuikshinjangsangbulldari-gyeong(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 interpreted into chinese version in the era of Yang Dynasty, in which it is obvious that a bow and arrows belongs to Gubanda(鳩槃茶). He is under the hierarchy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he is a member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From the late ninth century, the iconograph is expressed in the drawing of the Four Devas in China, spreaded into various areas of Buddhist arts in Goryeo Dynasty. The icon appears in the image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the Unified Silla, and from the late ninth and tenth century, it moves into the image of the Four Deva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the major cases of the iconograph are discovered in buddhist stupas and monk stupas and expanded into other areas such as paintings and artificial crafts in the late period. There are four patterns of applying the icon to buddhist art objects in Goryeo Dynasty. The first pattern addresses to holding a bow and arrows with hans; the second is the image of tieing or hanging a bow and holding arrows in a hand, the third is the posture of drawing a bow, and the final pattern is holding a bow without arrows.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s frequently adopted in drawings of the Four Devas in Goryeo Dynasty, and considered a periodical style from the late ninth century in the East Ais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very initial articulation with highly possible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s discovered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執弓矢’는 활과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 무기를 들고 있는 상은 집궁시상이라고 일컫는다. 간다라지역의 불전도 가운데 유성출가상에는 집궁시상이 등장하는데 궁을 나가는 싯타르타 태자를 안내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도상은 이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동아시아에서는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에 집궁시상(執弓矢像)이 출현한다. 사천왕사지 목탑의 기단부 면석으로 제작된 녹유신장벽전은 지금까지 사천왕, 팔부중, 신장, 신중상이라는 의견이 개진되었지만 정확한 도상에 대한 이름을 명명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상이 8구로 나타나는 도상은 불타팔부중과 사천왕팔부중으로 나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과 합천 청량사지 석조여래좌상 대좌 그리고 국립동경박물관 소장 전 광양출토 금동사리탑 등에서 집궁시상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상들의 공통점은 갑옷을 착용하고 천의 자락을 날리며 화면을 구성하였지만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불타팔부중 가운데 삼면육비(三面六臂), 삼면팔비(三面八臂)의 도상의 특징을 가진 아수라(阿修羅)는 보이지 않는다. 경전 가운데 『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에서 활과 화살을 지물로 들고 있는 도상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양대(梁代)에 번역된 이 경전에는 구반다(鳩槃茶)의 지물이 활과 화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구반다는 사천왕팔부중의 하나의 권속이기에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도 제시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집궁시상은 9세기 후반부터 중국에서도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며, 다양한 불교미술 분야에서 폭 넓게 나타나 시대양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집궁시상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으로 나타나다가 9세기 말 10세기 초에 사천왕의 존상 속에서 집궁시상이 표현된다. 집궁시상은 고려전기에는 승탑을 중심으로 출현하며, 후기에는 불화 또는 금강령과 같은 공예품에서 그 흐름을 찾아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집궁시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활과 화살을 손으로 잡고 있는 자세, 두 번째로 활을 팔에 끼던지 걸고 다른 한 손에 화살을 든 자세, 세 번째로 활을 잡아당긴 자세 그리고 네 번째로 활을 생략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집궁시상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양산 신흥사 대웅전 벽화까지 시대적으로는 천년의 시대를 아우르는 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尊像)으로 고려시대에는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면서 10세기부터 14세기에 가장 왕성하게 도상으로 채택되어 그 명맥을 이어나간다. 또 집궁시상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까지 동아시아에 9세기 후반부터 출현하는 시대양식을 갖고 있으며, 이 상의 출발점은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이 높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이 그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막고굴 335호굴 유마경변의 도상분석을 통한 사천왕 도상 연구

        주수완 ( Soo Wan J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이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성립된 갑옷을 입은 사천왕 도상 및 괴수형의 팔부중 도상의 연원이 인도의 항마성도 도상에 등장하는 마왕(파피야스) 및 마군의 도상에서 기원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인도미술에 등장하는 사천왕은 “사천왕봉발” 불전장면에서처럼 무장형이 아니라 왕공귀족으로서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는 무장형으로 변모하게 되는데, 그 원인도 마왕의 도상을 사천왕의 도상으로 차용한데서 비롯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이 돈황 막고굴의 초당시기 335호굴의 <유마경변>이다. 지금까지 사천왕으로 해석되어온 도상은 문수·유마의 대담장면 중에서 유마거사의 뒤편에 아수라상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만약 이 도상이 사천왕이라면, 사천왕은 문수보살 쪽에 위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유마거사 쪽에 위치해있는지 의문이 든다. 실제 중당 이후의 막고굴 유마경변 중에는 문수보살 뒤편에 별도의 사천왕이 등장하고 있어서, 유마와 문수 뒤편에 각각 사천왕이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더더욱 유마거사 뒤편의 무장형 인물을 사천왕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들 무장형 인물들이 칼과 보탑을 드는 등 사천왕의 특징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실질적으로는 유마거사가 항복시킨 마왕들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그렇게 되면, 문수보살 주변에는 문수보살과 동행한 나한들과 함께 제왕도 모티프로 표현된 천왕이 묘사되어 있고, 유마거사 아래에는 그가 평소에 제도한 수많은 세속인들이 묘사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인도의 “항마성도”를 주제로 한 불전도에서도 마군들은 한편으로는 석가모니를 공격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합장하며 항복하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를 통해 단순히 마군을 퇴치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항복시키고 이후에는 『사익범천소문경』에서처럼 마왕이 스스로 불법을 수호하겠다고 서원하는 모습으로도 등장하게 된다. 특히 북위시대 항마성도를 묘사한 막고굴 254·263굴 벽화를 보면 석가모니를 공격하는 마군들이 앞 열에는 무장형 마왕, 뒤에는 괴수형 마군들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도는 마치 우리나라 영산회상도의 사천왕과 팔부중의 배치와 매우 유사한 구도로 보인다. 한편 항마성도 장면을 묘사한 불전설화 속의 마군의 묘사를 통해 팔부중의 도상적 연원이 이미 이들 마군들의 모습에 내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도의 마왕·마군 도상은 직접적으로 중국의 도상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겠지만, 마군의 도상이 “유마경변”에서처럼 항복한 마군으로 발전하고, 이어서 “사익범천소문경”과 같이 불법을 수호하기로 서원한 마군으로 계승되었다가 점차 사천왕·팔부중이라는 불타 입멸 후 불법을 수호하는 대표적 존재로서 정착되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This essay is written to advance a hypothesis that the iconography of Four Heavenly Kings(Caturmaharaja) depicted as armed warrior and the monster shaped Eight Deva Guardians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scene of Buddha`s defeat Mara the king of demon(Papiyas). The original shape of Four Heavenly Kings were aristocrats as appeared in the scene of “Four Heavenly Kings offer the Buddha`s Bawl”. But it is changed as armed warrior during the pass of Central Asia to East Asia. This phenomenon seems to be caused that Central and East Asian artist adopted the iconography not from Indian Four Kings image but from Mara the king of demon. The Vimala-Kirtinirdesa-Sutra Tableau in Buddhist Cave no.335 of Dunhuang Mogaoku shows this process very well. A group of warriors standing behind the Vimalakirti with Asuras has been regarded as Four heavenly kings. But if it is really Four heavenly kings, it is doubt that why they are staying with Vimalakirti instead of Manjusr`. In effect, real Four Heavenly Kings appears behind Manjusri after Middle Tang period(中唐) and another Four heavenly Kings group continually exist behind Vimalakirti. In this case, it is obviously that the group behind Vimalakirti is not Four heavenly kings. So even the group behind Vimalakirti seems as Four Heavenly Kings according to a distinct sign as jewel stupa, this group should be interpreted as other existence. This essay is trying to explain this group as Mara and Asura with demons. Especially, in the Vimala-Kirtinirdesa-Sutra, Mara and his demons are appeared to knuckled under to Vimalakirti`s occult power. On this suggestion, the concept of two groups under Vimalakirti and Manjusri. While the group under Vimalakirti can be explained as many peoples and demons whom Vimalakirti had relieved, the group under Manjusri can be explained as Buddha`s disciples and Heavenly king accompanied by the Bodhisattva. In visual, the armed warriors group and demons behind Vimalakirti are very similar to the shape of Mara and his demons on the wall painting in Mogaoku cave no.254 & 263 which are depicted the scene of “Attack of King Mara”. In this scene, Mara and some demon kings are described as an armed warrior in front of monster shaped demons. These kings and demons seems remind us buddhist guardians in Mt.Grdhrakuta(Vulture Peak, 靈鷲山) Assembly tableau. In addition, this essay compared the monster shaped demons in the narrative scene of “Attack of King Mara” with Eight Deva Guardians appeared in Buddha`s preaching scene. And this comparison confirmed that the origin of Eight Deva Guardians can be derived from the demons of King Mara. We can imagine that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Mara and demons are slowly changed as their defeat and surrender to Buddha made them as symbolic guardians of Dharma after his Nirvana.

      • KCI등재후보

        신라 사천왕사 관련 불교문화원형 발굴과 활용 방안

        이재수(Lee, Jae-soo)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5 No.-

        사천왕사는 호국불교의 출발점에 위치하고 있다. 679년 신라가 당나라의 침입을 당해 국난을 이겨내기 위하여 창건되었다. 본 논의는 사천왕사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 가운데 불교문화 원형의 발굴과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사천왕사라는 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중층적인 면모를 어떻게 발굴하고 오늘날에 살아 숨쉬게 할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사천왕사의 역사와 유물에 담긴 다양한 상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현재에 되살리고 발전시켜 앞으로 미래에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가 사천왕사에 담긴 다양한 문화원형이 우리 눈앞으로 되살아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논자는 사천왕사에 담긴 역사를 이야기로 풀어내고, 과거의 역사를 담고 있는 유물과 유적을 디지털로, 이미지로 확장해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해 사천왕사에 담긴 다양한 가치를 현재와 미래에 활용해내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Sacheonwang-sa Temple (四天王寺) can be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belief that Buddhism is the guardian of the nation. The Sacheonwang-sa was founded in 679 during the Silla Dynasty (57 BCE-935 CE) to help confront a national crisis caused by the invasion of Tang China. This paper focuses on the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s of original Buddhist architecture and artifacts that are being discover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 note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Sacheonwang-sa and studied how to excavate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the temple in order to restore it to active use. The intention is to restore Sacheonwang-sa to its original state by reconstructing as much as possible whatever cultural artifacts and architecture are discovered there. These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rchitectural features, artifacts, texts, teachings, artwork, etc. Our hope is that these discoveries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Sacheonwang-sa so that it may reclaim its status in modern Korea and become a part of our lives. It is my hope that the history of Sacheonwang-sa Temple can be reconstructed to the extent that digital technology and computer graphics can be used to depict it and even an accurate historical narrative can be created to pass on for posterity. These discoveries are also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possible applications in the tourism sector.

      • KCI등재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과 배치형식 고찰

        김경미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1

        사천왕을 그린 불화에서는 조선 전반기에 多聞天이 드는 지물에 변화가 생긴다. 고려시대까지 부처의 오른편에서 塔을 든 다문천 왕은 조선 전반기에 들어와 琵琶를 드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대 『大方廣佛華嚴經(1330~1336년)』 변상도에서 확인 된다. 불화에서 다문천이 드는 탑이 몽구스(寶鼠)로 변하는 지물의 변화는 티베트 사찰인 哲蚌寺, 吳屯寺, 白居寺에서 처음 벽화로 나 타난다. 조선에서도 원각사지십층석탑 1층 탑신 〈석가설법도〉에서 지물의 변화를 보이는 새로운 배치의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다. 그 러나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탑과 비파를 든 사천왕의 위치는 좌우가 혼용되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티베트계 사천왕 의 영향으로 대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티베트계 사찰벽화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이전의 중국 내륙에서 나타나는 사 천왕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티베트계 사찰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에 나타나는 사 천왕 도상이 티베트계에서 연원을 가지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사천왕상의 지물과 위치가 새로운 도상이 확산되는 현상과 더불어 일정기간의 도상 혼용 현상에 대해 그 원인과 이유를 당시 유통되었을 판본을 중심으로 찾고 자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묘법연화경경변상도(명 1432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사천왕 도상과 『제불세존여래보살존자명칭가곡 (1417년)』의 사천왕 도상은 다른 형식을 보여 준다. 이것은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는 경전임에도 서로 다른 판본의 존재를 확인 시켜 준다. 그러므로,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사천왕의 지물이 다른 두 가지 판본의 경변상도에 의해 도상의 정형이 확 보되지 않은 과도기의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티베트불교미술이 중국 내륙에 전파되면서 전통적인 중국 사천왕 도상과 티베트계 도상의 혼용이 명대 지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전환기 미술이 조선 전기에 유입된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조선 전반 기 사천왕의 다양한 도상 현황은 일괄적인 도상이 정착된 시기가 아닌 다양성을 보여주는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 하겠다.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four devas, there is a change in the paper material of V aisravana(多聞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Until Goryeo Dynasty, Damuncheonwang, who holds a tower(塔) on the right side of Buddha was changed to the form which holds a mandolin(琵琶)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change was first checked in Byeonsangdo in the Yuan period 『The Avatamska Sutra(大方廣佛華嚴經, 1330~1336)』, however the actual paper material change in the Buddhist painting is found first as a mural at the Tibetan temples, Cheolbangsa(哲蚌寺), Odunsa(吳屯寺), Baekgeosa(白居寺), which showed the change of tower which Vaisravana held into mongoose. In Joseon Dynasty, also, new distribution of the four devas appeared first, which showed the change of paper material in the first floor roof-stones of Wongaksaji sipcheung seoktap, 〈Seokgaseolbeopdo〉.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our devas which held a tower and a mandolin consistently appear in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mixing on the left and the right. This means the possibility that the paper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four devas might be flexib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ust like reflecting this, painting image of the four devas in illustration of 『saddharma-pundari-ka-sūtra(Ming 1432,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llustration of 『Jebulsejonyeorae-bosaljonjamyeongching-gagok(제불세존여래 보살존자명칭가곡, 1417)』 has opposite position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henomenon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Joseon had a transitional characteristic which did not secure the fixed form of painting image by illustration of two copies where paper materials of the four devas were different, which characteristic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 of art in the transition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