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성인 분노척도와 에니어그램

        최영자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22 에니어그램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분노가 에니어그램 힘의 중심과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여 그에 따른 적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성인 분노척도와 한국형에니어그램성격유형검사를 사용하여 한국 성인의 분노를 분노사고, 분노정서, 분노행동으로 세분하여 전체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에니어그램에 의한 힘의 중심별, 성격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와 근거를 보고하고자 하였다.본 조사를 위한 자료수집 방법은 2021년 9월 17일부터 2022년 3월 18일까지 H연구소의 1단계 이상 교육에 참여한 약 8,000여 명에게 이메일로 연구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하여 설문에 응답한 2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니어그램 힘의 중심별 분노척도의 차이는 분노사고 전체요인과 분노사고 요인 중 비합리적 신념 요인이 힘의 중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변인 중 힘의 중심별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 결과, 분노사고 전체요인은 감정중심이 사고중심보다 높았으며, 비합리적 신념 요인은 감정중심이 사고중심과 본능중심보다 높았다. 그리고 에니어그램 유형별 분노척도의 차이는 분석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 성인의 분노를 측정할 때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한국 성인 분노척도를 사용하여 분노사고, 분노정서, 분노행동까지 다양한 분노의 요인 전체를 고르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둘째, 에니어그램 성격의 힘의 중심 에너지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분노요인을 제거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ger of Korean adults varies depending on the center energy of Enneagram force and personality type, and to develop an appropriate anger control program.For the purpose, The anger of Korean adults, using the Korean Adult Anger Scale and the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est, was measured by subdividing it into anger thought, anger emotion, and anger behavior. We report the result and the reason whether the anger of Korean adults varies depending on the center energy of power and personality type.For data collection, from September 17, 2021 to March 18, 2022, an e-mail explaining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was sent to about 8,00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age or higher education at H Research Center, and 206 peopl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alyzed.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anger scale by center energy of Enneagram showed that the total factor of anger thoughts and the factor of irrational belief among the factors of anger though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enter of force.The result of the post-hoc test to determine the specif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entral energy of power showed that, in the overall factors of anger thinking, the emotion-centered energy was higher than the thinking(head)-centered energy and, in the irrational belief factor, emotion-centered energy is higher than thought(head)-centered energy and instinct-centered energy.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anger scale according to the Enneagram typ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n measuring the anger of Korean adults, various anger factors including angry thoughts, angry emotions, and angry behaviors should be appropriately measured using the Korean Adult Anger Scale, which has been proven reliable and valid.Second, an anger control program that removes the anger factor that occu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centered energy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should be developed.

      •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조인영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6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만 4세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창의적인 사고기법을 통한 인성교육 활동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8명이며, 10주 동안에 총 8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 의 배려적 사고에 대한 사전과 사후검사를 위해 이춘희(2007)가 개발한 면접형식의 유아평가도구를 사용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배려적 사고의 5가지 하 위요인 중 규범적 사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 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are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s with the six thinking hats skill affects the caring thinking of children aged 4 years; its significanc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skill.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48 children aged 4 years attending a public kindergarten(not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N Ku, Seoul, Korea and the experimental treatment of 8 sessions was done for 10 weeks.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as the early childhood evaluation tool in the form of child interview developed by Lee Chun-hee(2007) for pre and post test of children’s caring think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s with the six thinking hat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 factors(value-giving, emotional, behavioral and empathic thinking) except normative thinking of children’s caring thinking. In conclusion, care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s with the six thinking hats skil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children’s caring thinking.

      • KCI등재

        쟁점중심교육에서 ‘내용과 방법의 딜레마’와 적정화

        한광웅(Han Kwang W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4

        쟁점중심교육에서 ‘내용과 방법의 딜레마’를 명백히 나타내는 사례가 1930년대 교화를 둘러싼 사회재건주의자와 Dewey의 논쟁이다. 사회재건주의자는 내용의 주입을 통해 특정한 가치의 내면화를 주장한 반면, Dewey는 지적 방법의 습득을 통해 사회가 지성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회재건주의자나 Dewey 모두 쟁점중심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사고의 습득을 궁극적 목적으로 여겼으나, 내용과 방법 중 어느 한쪽으로 경도되는 서로 다른 학습방식을 옹호하였다. 이런 쟁점중심교육에서 ‘내용과 방법의 딜레마’는 내용지상주의와 방법지상주의에 기초한 쟁점중심교육이란 두 가지 편향을 낳고 있다. 내용지상주의가 쟁점인식의 결과인 내용지식을 교육의 목적으로 정당화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반면, 방법지상주의에 기초한 쟁점중심교육은 규준, 규칙, 절차를 마치 공리처럼 체계화하여 쟁점을 인식하려 한다. 두 편향은 공통적으로 지식을 실재의 재현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일란성 쌍둥이 형제와 같다. 두 편향을 바로잡고 ‘내용과 방법의 딜레마’ 해결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 쟁점중심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지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적정화가 요구된다. 쟁점중심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적정화는 쟁점을 소재로서 규정하고, 절차에 강하게 얽매인 경화된 방법의 의미를 보다 연화된 의미로 재개념화하여 사고의 습득을 설명하려는데 있다. 소재로서 쟁점과 방법인 사고로 집약되는 내용과 방법의 적정화의 핵심은 사고과정의 경험이다. 사고과정의 경험은 쟁점중심교육에서 ‘내용과 방법의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The dilemma of content & method in the Issue-Centered Education give rise to two bias which are content supremacism and method supremacism. The content supremacism based issue-centered approach excessively latch onto content knowledge as the result of issue cognizance that is justified for educational end. The method-supremacism based issue-centered approach have foundation with specific criterion, rule, procedure that is systematized like as an axiom. Two bias is similar with monovular twins because these are commonly taken knowledge as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It is need to rationalize content&method in the Issue-Centered Education for solution to the dilemma of content&method. Rationalization of content&method mean that provide issue as material and explain the experience of thinking process utilize a term of way than method which is imbued with the method-supremacism. The core of rationalization is experience of thinking process. The experience of thinking process provide a clue to solve the dilemma of content&method in the Issue-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및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 간 관계

        이경화,이소현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reflective thinking, play support cap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ap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on play support cap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apabilit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infant and child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and public, corporations, private,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reflective thinking, play support 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play support 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play support cap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ve thinking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lay support capability by 66%.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ve think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44% of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to support play and the ability to practice play-oriented education, but also confirmed that it is a very influential predictor. Through this, it suggests that support for reflective thinking of infant teac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support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actice the play-oriented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고, 놀이지원 역량,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놀이지원 역량과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에 대해서 반성적 사고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의 평균, 놀이지원 역량,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의 평균은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성적 사고, 놀이지원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성적 사고는 놀이지원 역량을 66%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성적 사고는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을 44%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놀이지원 역량과 놀이중심교육실천 역량에 유의미한 상관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매우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 교육 현장에서 놀이지원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해서 영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이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장선영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S 대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 및 반성적 사고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능력이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비판적 사고력이 정보활용능력 다음으로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능력과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능력도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er-related variables(communication ability, leadership,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information literacy) influencing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in a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Another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ich of thes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erner's reflective think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instrument gathers from 148 undergraduate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Kore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ultiple reqression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wo variables were indicate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nd information literacy were proven to b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모브랜드 자산 수준이 확장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그 매개 과정에 관한 연구

        송환웅,여준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모브랜드의 자산 수준, 모브랜드와 확장제품간 유사성 수준이 확장평가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 지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고자산브랜드의 경우 유사확장과 비유사확장 모두에서 브랜드중심의 사고 경향으로 인해 확장평가가 비슷하게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저자산브랜드 역시 유사, 비유사 확장 모두에서 브랜드중심 사고가 일어나면서 평가는 비슷하게 낮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중자산브랜드의 경우 유사확장에서는 브랜드중심 사고로 평가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비유사확장에서는 제품중심 사고로 인해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실증하기 위해, 3(모브랜드자산수준: 고/중/저) × 2(모브랜드-확장제품간 유사성: 유사/비유사)의 집단간 디자인을 설계하여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실험1에서는 내구재제품인 자동차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증하였으며, 실험2에서는 서비스인 호텔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증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 아울러 실험2에서는 확장제품평가시의 사고유형을 테스트하여 확장평가시의 인지적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넓혔는데, 고자산브랜드의 경우 긍정적 방향의 브랜드중심사고, 저자산브랜드는 부정적 방향의 브랜드중심사고, 중자산브랜드의 경우 유사확장에서는 긍정적 방향의 브랜드중심사고, 비유사확장에서는 부정적 방향의 제품중심사고가 각각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ddressed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parent brand's equity level and parent-extension similarity level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As differed from previous researches of brand extension, we first incorporated three different levels(high vs. moderate vs. low) of parent brand equity classified by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 of Keller(1993) and its interactive effects with parent-extension similarity(similar vs. dissimilar) on extended product. Additionally we raised the issue of underlying cognition during extension evaluation with the distinguishing of brand-focused versus product focused thinking toward extension across different similarity conditions. Specifically, we predicted that there is no evaluative difference between similar extension and dissimilar extension in the condition of high-equity parent brand due to focused on higher reputation or image of parent brand during the extension evaluations. Also in the context of low-equity parent brand, we expected that thinking focused on lower reputation or image of parent brand will produce negative extension evaluations regardless of similarity level. On the other hand, at the situation of moderate equity brand, our hypothesis is that similar extension will augment brand-focused thinking featured with parent brand's positive image which drives relatively positive extension evaluation, while dissimilar extension will pronounce product-focused thinking composed of doubt on extended product performance that leads to relatively negative extension evaluation. In order to verify our predictions, we executed a 3(parent brand's equity level: high/moderate/low) × 2(similarity level: similar/dissimilar) between subjects factorial design, and also two-way ANOVA supported above our all predictions. We broadened generalization of our results via two subsequent experiments, first is for automobile brands, second is for hotel brands. Finally we developed some contributions for understanding of cognitive processes of extension evaluation with the approach of thinking styl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both brand centric such as parent brand reputation or image related thoughts and product centric like extended product performance or function related association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이 메타인지, 비판적사고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식음료관련학과 음료실습과목을 중심으로

        신승훈 ( Seoung Hoon Shin ),권재일 ( Jae Il Kw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7

        본 연구는 직업전문대학에서 시행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음료실습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메타인지, 비판적사고, 문제해결과정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효과적이고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발견뿐만 아니라 교육방식이 가지는 다양한 영향력의 발견하여 미래 식음료관련 교과목의 교육방향에 대한 적용가능성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목의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개발관련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학생들의 기초지식, 교과목 목표고찰 및 학습방향성 설정, 수업계획서 및 문제의 생성, 적용 및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고 문제중심학습과 일반적 강의식의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전과 교육후의 각 결과변수에 대한 변화를 MANOVA로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학생들은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메타인지, 비판적사고, 문제해결과정에 있어 더 많은 증진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판적사고의 경우 일부 하위변수인 창의성, 개방성, 탐구성 부분에서 실험군의 학습전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음료실습관련과목에 있어 문제중심학습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적용에 대한 고려와 유사과 목에 대한 문제중심학습의 도입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 the effect of PBL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a bar operation class to generate possible suggestion on an adaption of PBL in similar subjects. For the development of PBL process, firstly literature review was done then carried reconsideration of the aim and the study process of the original class with the investigation of basic knowledge of the current student of the subject. The research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rough two different groups who had bar operation class in different colleges but studied identical major. Only experimental group took PBL during the semester, the other group took traditional lecturing class. After the data were collected, repeated measure MANOVA was employed to analysis the possible effects of PBL. Through the analysi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control group. There were, however, no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lso found in several lower value of critical thinking such as creativity, open-mindedness, and prudence.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PBL should be applied to other similar courses in near future for longer and regular terms for generating high quality of educational practice.

      •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의 영향

        이미지(Mi ji Lee),어주경(Joo Kyeong Eo) 해결중심치료학회 2017 해결중심치료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호남권에 위치한 병원, 복지관, 센터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만 12세 이하의 뇌성마비자녀를 둔 부모 100명이었다. 자료분석으로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각각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전문적 개입이 필요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였고, 부모는 보통 수준보다 더 많이 해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있었으며,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가족탄력성을 갖고 있었다. 둘째,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성은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가족탄력성이 해결중심사고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력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해결 중심적 사고를 많이 하고 가족탄력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family resilience 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a child having cerebral palsy. The subjects were 100 parents of a child having cerebral palsy under 12 years old who has rehabilitated at hospitals, welfare centers and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Honam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controlling socio-economic status. As a result, first,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a child having cerebral palsy was so high that professional intervention was needed, solution-focused thinking was slightly above average, and family resilience was also slightly above average. Second,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family resilience affected negatively on their parenting stress. Third, family resilience was more influential than solution-focused thinking 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a child having cerebral palsy. In conclusion, in order to lower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a child having cerebral palsy, interventions should b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increasing family resilience.

      • KCI등재

        비판적 사고 성향과 공정성 표준

        최용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3

        비판적 사고 기술을 자기중심적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이 속한 집단 위주로 사용하는 태도는 보통 부지불식간에 또는 집단의 이익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용인된다. 이처럼 논리적 사고 기술만 익힌다고 해서 훌륭한 비판적 사고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논리적 사고 기술 위주의 교육이 비판적 사고 교육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는 것도 아니다. 훌륭한 비판적 사고자란 비판적으로사고하려는 성향까지 겸비한 사람을 말한다. 이들의 주된 특징은 공정하게 사고하려는 마음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생각을 분석하고 평가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표준들을 공정성 표준에 일치시키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자는 기존에 간과되어 온 공정성 표준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2장).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청년들의 아르바이트에 대해서 있을 법한 생각들을 비판적 사고의 9표준에 적용해 보인 다음(3 장), 9표준과 공정성 표준이 서로 어떻게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보였다(4장). The attitude of using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 self-centered or group-oriented manner is usually accepted, either unknowingly or as something that cannot be helped for the benefit of the group. Just learning logical thinking skills like this does not mean you can become a great critical thinker, and education that focuses on logical thinking skills does not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 good critical thinker is someone who also has the inclination to think critically. Their main characteristic is their willingness to think fairly. They strive to align standards of critical thinking with standards of fairness as they analyze, evaluate, and improve ideas. In this respect, I argue that fairness standard, which have been previously overlook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hapter 2). To support this, we applied the 9 standards of critical thinking to young people’s thoughts about part-time jobs (Chapter 3) and then showed how fairness standard can be applied to each of the 9 standards (Chapter 4).

      •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인문고전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김미애 ( Kim Miae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인문고전 수업을 통해 중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인문고전 수업을 구안하였으며 각 차시마다 인문고전에 대한 이론 수업 후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프로그램 활동을 진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중학교 1학년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총 18차로 진행되었으며,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검사 1, 검사 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실시한 후,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획득된 연구 결과는 첫째, 전체 비판적 사고성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판적 사고 성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남녀 성별에 따라 비판적 사고 성향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 평균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은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요인 중 진실에 대한 가치지향, 사고의 개방성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사고의 신중성, 근거 확인 합리적 정확성 추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인문고전수업은 청소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through humanities classical clas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To this end, a humanities classical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devised, and program activiti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ere conducted after the theory class on humanities classical studies at each school. A total of 18 sessions were conducted for 30 men and wome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o find out the effect, the pre-test, test 1, and test 2 were condu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overall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according to gender, and the average of both men and women increased.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value orientation for truth, openness of thinking,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only prudence of thinking, evidence, and pursuit of rational accuracy. I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umanities classical clas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re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improving adolesc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