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중세 우도론(友道論)에 대한 고찰Ⅰ-우도론(友道論)의 사적(史的) 전개-

        강민구 ( Kang Min-gu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1

        고려 시대의 우도론은 조선시대와 차이를 보이는데, 李穀은 「義財記」에는 형제의 우정보다 친구 간의 의리를 더욱 중시하는 당시의 풍기가 반영되어 있다. 또 李穡의 「對客問」은 朋友有信이 五倫 중 가장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앞의 4가지 윤리가 이상적 수준에 도달하면 붕우유신은 따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성취할 수 있다는 극단적 논리를 반박한 글로, 고려 후기에는 우도 의식이 여타 윤리적 가치에 비해 느슨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李穡은 「送朴中書歸覲序」에서 친구 간의 사귐을 세력에 따라 맺어진 교제[勢合]와 진심으로 맺어진 교제[心合]로 구별하면서, 후자는 義에 토대한다고 하였다. 조선 개국기의 우도론은 卞季良의 「契盟文」과 같은 盟契文의 형태로 출현하였고 이후 丁克仁의 「泰仁鄕約契軸」와 같은 鄕約契軸으로 模擬되는데, 붕우간의 규약이 향촌 공동체의 규약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이후 士禍가 발생하면서 맹약문이나 경계 형식의 우도론은 자취를 감추고, 金安國의 「送文生歸南州序」와 같이 우도의 파괴와 속물적 교제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이 출현한다. 조선 후기에는 정쟁으로 인한 분당이 격화되면서 우도론이 이론화·구조화되었다. 柳夢寅의 「送權仲明盼宰江華序」은 東人의 南人·北人 분당, 北人의 大北·小北 분당, 骨北·肉北·中北으로의 분기 과정에서 야기된 허위적 교제를 비판한 글이다. 西人의 老少分黨은 조선 후기 지식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본격적 우도론의 출현을 추동하였다. 李之濂은 「朋友說」에서 친구가 중대 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절교하지 말아야 한다는 극단적 논리를 제시하였다. 「朋友說」은 노소 분당의 핵심 인물인 朴世采와 尹拯에게 보내졌고, 이 글을 두고 8년간 논쟁이 전개되었다. 李瀷은 경솔한 절교를 경계하였으니, 그는 義理라는 핵심 가치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중간에 친구와 절교하게 되는데, 이것은 인생의 낭비라고 하였다. 그는 또 친구 간에는 재물을 서로 융통하여 구제해 주는 도리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를 제시하였다. 安鼎福은 붕우 간의 윤리가 올바로 성립되지 않는다면 나머지 네 가지 윤리가 밝아질 수 없다고 하면서 교제를 面交·勢交·心交·情交·道義之交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당시의 사귐은 面交와 勢交에 불과하며, 心交나 情交는 기대하기 어렵기에 그보다 상위 수준의 道義之交는 바랄 수조차 없다고 한탄하였다. 鄭在?은 「交友論」에서 교제의 유형을 利交·勢交·面交·心交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는 이익과 권세의 유무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利交나 勢交, 면전에서 즉흥적 기분 맞추기만 추구하는 面交는 속세의 사귐에 불과하지만, 心交는 학문을 매개로 하며 내면의 본질을 추구하며 이상적 인간의 완성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목숨을 바칠 수도 있는 참된 교제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崔漢綺는 「朋友損益」에서 인간의 인지적 능력은 제한적이고 경험도 제약이 있기에, 타인의 견문과 경험을 제공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다만, 타인이 제공하는 정보와 경험을 선별하고 그것을 분석 종합 개괄할 수 있는 능력도 구비해야 한다고 하였다. The Theory of Friendship of the Goryeo Dynasty differed from the Joseon Dynasty. In Lee-Gok(李穀)`s 「Euijaegi(義財記)」, it was reflected the morality of the time that emphasized friendship more than friendship of brothers. In addition, Lee-Saek(李穡)`s 「Daegaekmun(對客問)」 was a refutation of extreme logic that Bungwooyusin(朋友有信) is located at the last position of the five moral disciplines[五倫], so that if the above four ethical values reached the ideal level, it could be accomplished without self effort. In the late Goryeo Dynasty, it could be seen that the consciousness of friendship was looser than other ethical values. In 「Songparkjungseogwigeunseo(送朴中書歸覲序)」, Lee-Saek(李穡)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riendship which is depending on the forces[勢合] and sincere friendship[交合], and he said that the latter was based on righteousness[義]. In founding period Joseon Dynasty, the theory of friendship emerged in the form of a Maenggyemun(盟契文) such as Byeon Gye-ryang(卞季良)`s 「Gye maengmun(契盟文)」. Then it has been simulated as Hyangyakgyechuk(鄕約契軸) like Jeong Geuk-in(丁克仁)`s 「Taeinhyangyakgyechuk(泰仁鄕約契軸)」, it was remarkable that the promise between friends has spread to the agreement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as the Sahwa(a massacre of scholars, 士禍) broke out, the pledge and vigilance type theory of friendship hid the trace, and there appeared a harsh criticism of the destruction of friendship and the bourgeois associations such as Kim Ahn-guk(金安國)`s 「Songmunsaenggwinamjuseo(送文生歸南州序)」.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olitical party due to the political dispute had intensified, and the theory of friendship was theorized and structured. Yu Mong-in(柳夢寅)`s 「Songkwonjungmyeong ban jaeganghwaseo(送權仲明 盼 宰江華序)」 was a criticism of false associations caused by dividing process like Dongin divided into Namin and Bukin, Bukin divided into Daebuk and Sobuk, or Golbuk, Yukbuk and Jungbuk.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老少分黨) of the Seoin gave a great shock to the intellectual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moted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friendship in earnest. In 「Bungwooseol(朋友說)」, Lee Ji-ryeom(李之濂) suggested the extreme logic that it should not break off relations, unless the friend commits a serious offence. 「Bungwooseol(朋友說)」 was sent to Park Se-chae(朴世采) and Yun-Jeung(尹拯) who were the key figures of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 and it had been debated for over eight years. Lee-Ik(李瀷) warned of breaking off relation rashly, he said that because the core value of righteousness lacks, so he break up with a friend in the middle, that is a waste of life. He also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duty to finance and save each other among friends. Ahn Jeong-bok(安鼎福) said that if the ethics were not properly established among friends, the remaining four ethics could not be brightened. Then he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ive types : face-friendship(面交)·power-friendship (勢交)·heart-friendship(心交)·affection-friendship(情交)·morality-friendship (道義之交). The friendship of the time were only face-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these were just a relationship to match your feeling in front of the face, and it was hard to expect heart-friendship and affection-friendship (情交), so he lamented that a higher level of morality-friendship could not even be expected. In 「Gyowooron(交友論)」, Jeong Jae-gyeong(鄭在?)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our types : interest-friendship(利交)·power-friendship(勢交)·facefriendship(面交)·heart-friendship(心交). He said that interest-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which are depending on the profits and authority or face-friendship that seeks only to make an impromptu feeling in one`s presence were only the friendship of the secular world. However, it was said that heart-friendship was a true friendship that mediates scholarship, seeks inner nature, contributes not only to the perfection of ideal humanity but also to the death of life. In 「Bungwoosonik(朋友損益)」, Choi Han-ki(崔漢綺) said that the cognitive ability of human beings was limited and experience was also restricted, so that human being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others. He also said that, however, they should have the ability to select information and experience provided by others and to analyze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 it.

      • KCI등재

        친족에서 정적까지 ― 『시경(詩經)』 ‘붕우(朋友)’의 성격

        이욱진 ( Lee Ukjin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8 No.-

        본고는 시경의 ‘朋友’ 관련 표현이 본래 동족 친척의 뜻이었음을 밝히고, 작품별 쓰임새를 분석하여 당시 군자 계층의 사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서주에서 춘추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문헌의 용례를 보면 붕우는 귀족의 일가 친족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붕우는 형제, 자손, 인척 등과 병칭되어 맥락에 따라 형제와 친척을 포괄한다. 시경에서 붕우 관련 칭호는 제례, 혼례, 군사 및 정치 갈등을 주제로 한 시에 쓰인다. 주대에 제사는 조상이 같은 후손들이 모여 복을 비는 의례였으므로 임금과 신하 간에도 종법 질서가 적용되었다. 따라서 붕우는 종실의 일족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제사를 마친 뒤에는 으레 연회가 벌어졌고, 이는 종족 구성원이 우의로써 화합하는 자리였다. 주대의 봉건제는 친족을 각지에 제후로 봉함으로써 왕실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막아내는 것이 주된 기능 중 하나였다. 험윤의 침입을 막아낸 공적을 칭송한 시에서 붕우를 대접하는 내용은 바로 왕실을 구해낸 친족을 위로한 것이다. 붕우는 혈연적으로 같은 종실의 친족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같은 임금을 모시는 동료 신하이기도 했다. 시경에는 우의가 두터워야 할 친족이 자신에게 일을 떠넘기며 심지어 모함하여 해치려 드는 세태를 원망하는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여러 작품에서 같은 시상 전개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붕우는 이미 뜻을 함께하는 동료가 아니라 시의 화자를 해치는 정적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a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noble class in Zhou dynasty by revealing that the expression related to ‘朋友’ in the poems originally meant relatives of the same clan. From the Western Zhou to the early Spring and Autumn Period, bronze inscriptions and traditional texts such as Zuo Tradition show the usage of ‘pengyou’ as the meaning of a family relative of a nobleman. ‘Pengyou’ included brothers and relative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text. In Shijing, ‘pengyou’ was used in poems about ancestral rites, weddings, military and political conflicts. In Zhou period, ancestral rites were a ceremony for descendants of the same ancestor to gather to pray for blessings, so the clan rules were applied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Therefore, it is more accurate to see ‘pengyou’ as a clan of the royal family rather than a servant of the court. After the ritual, a banquet was usually held, and it was a place where the members of the family united through bonding.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Zhou feudal system was to block military threats to the royal family by enclosing relatives as princes in various states. ‘Pengyou’ was a relative of the same clan, but politically, he was also a fellow subject of the same king. In Shijing, there are often stories of a relative who should have a strong friendship, but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and even trying to harm the speaker of the poem by slander. It can be seen that ‘pengyou’ is not a colleague who shares the same pursuit, but an enemy that harms the speaker of the poem.

      • KCI등재

        전통 법문화에서 信의 윤리와 현대적 의미

        金池洙(Kim, Jisu)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본고는 오륜의 끝 조목인 붕우유신을 중심으로 전통법문화에서 믿음의 윤리가 어떻게 펼쳐지고 발전하며, 근대법의 신의성실의 원칙과 어떻게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우선 역사 속에서 붕우유신의 윤리가 출현하는 사회배경을 더듬어 보고, ‘朋友’의 문자학적 어원과 ‘有信’의 필요성을 궁리해본다. 이어서 공자와 유가를 중심으로 믿음의 철학을 살펴본 뒤에, 믿음의 대표적 법규범의 하나로 당률상의 혼인절차 규정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붕우유신이 근대법의 신의성실의 원칙으로 부활한 과정과, 특히 ‘信’이 ‘信義’로 바뀌는 이유를 탐구해보고, 상거래의 신의에 대해서도 언급한 다음, 믿음의 원칙에 대한 예외를 밝혀보기 위하여 사정변경의 원칙과 결부해 ‘大信不約’을 소개한다. 인간의 사회현상과 정신현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상통하는 일반보편성이 강하다. 인민 상호간의 대등한 거래영역인 민상사 분야에서 사적 자치의 원리를 바탕으로 싹튼 믿음의 윤리가 점차 신의성실의 법원칙으로 확립된 역사발전의 자취도 동서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가정과 전제에서 전통법문화에서 믿음의 윤리규범을 크게 윤곽 짓는 定礎작업으로서 이루어졌다. 앞으로 뜻 있는 동학 및 후학 諸賢의 연구가 꾸준히 이어져 동서고금의 법문화에서 믿음과 신의성실의 기본원칙이 더욱 소상하고 체계적으로 밝혀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ter-friendly Confidence among Five Human-Relations Ethics in Ancient East Asia and its development in traditional & modern legal system. At first, this paper describes various social backgrounds of the appearance of Inter-friendly Confidence on the historical stage, and explains the etymological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of friend & the reason why the confidence is necessary between friends. Secondly, this paper studies the philosophy of the confidence around Confucius & Rujia(儒家) i.e. Confucianism, and introduces several representative legal norms of the confidence in marriage law of Tang-lu(唐律). Thirdly, this paper treats of the revival of Inter-friendly Confidence in the modern civil law and the reason why the confidence should be the just & right confidence, and mentions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in the commercial transactions. Lastly, this paper deals with a proposition that the great confidence never promises nor binds, which means an exception against a general rule of Inter-friendly Confidence similar to the principle of change of important conditions in the modern law. There are strong universal generality in human social & spiritual phenomena across the ages and countries of the world. So there may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stern & western historical development from ethics of confidence to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self-government in the branch of civil & commercial law which rule mutual transactions between equal partner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form the groundwork for sketching outlines of the ethics of Inter-friendly Confidence in traditional legal culture, and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 become a small priming water of pump which may induce interest of readers, so that the promising young may accomplish further more broad & deep study on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in eastern & western legal cultures.

      • 여성 계몽에 의한 일본 사회변혁의 비전: 하니 모토코와 전국붕우회

        타카미자와 에이꼬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1

        전국붕우회(全国友の会)는 1923년에 하니 모토코(羽仁もと子)가 일본에 창설한 크리스천 부인단체이다. 이 단체는 모토코가 출판한 「부인의 친구(婦人の友)」라는 잡지 구독자들의 모임에서 출발했는데, 회원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오늘날까지도 2만 여명의 회원 수를 확보하고 있다. 전국붕우회의 발전의 이유 중 첫 번째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수 있다. 당시 일본은 메이지 유신 시절로서, 사회가 다양한 방면에서 급격히 변혁하고 있었다. 서양의 정보가 물밀 듯 들어오고, 일본 여성들도 오랜 인습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여성상을 요구했다. 그 무렵 YWCA나 일본교풍회(日本矯風会) 등의 기타 여성 크리스천 단체도 창립되었다. 두 번째 이유는 하니 모토코의 개성 및 재능, 유소년 시절의 경험이 바탕이 되어, 여성으로서의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모토코가 청년기에 만난 기독교는 그녀가 추구한 것에 대한 확증과 방향성을 제공해 줬다. 세 번째 이유로 비전을 공유하는 남편, 하니 요시카즈(羽仁吉一)와의 만남을 들 수 있다. 그의 인생철학은 모토코와 하나가 되었고, 그의 조직력과 출판 능력을 통해 단체가 전국적 규모로 확대되었다. 네 번째로 조직 구조이다. 붕우회는 전국에 인근회(近寄り会), 방면회(方面会), 전국 붕우회를 개설하여, 각각의 모임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구조를 형성했다. 이것은 한 사람의 회원이 활성화됨으로써 집단의 힘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조직구조이다. 이에 따라 중간리더가 육성되었고, 모토코의 사망 이후에도 모임의 운영과 발전을 짊어지는 인재가 준비되었다. 이 단체는 전국으로 전개되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사회적 운동 양상을 띄었다. 전국대회에서는 여성생활 및 가정생활에 대한 치밀하고 실제적인 연구가 발표되어, 미디어의 주목까지 받을 정도였다. 그러나, 1975년을 계기로 회원 수가 감소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그 주요 이유는 일본사회의 경제 상황, 가정 환경, 여성의 역할 등이 크게 변화된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국붕우회의 향후의 발전을 위해서는 오늘의 사회 상황에 어느 정도의 상황화(Contextualization)를 이루는 지가 관건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s for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of the Zenkoku Tomo-no-Kai, a Christian women’s organization founded 100 years ago in Japan. The organization grew up to more than 30,000 memberships in its highest time, and 22,000 members are still active today. The finding shows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s follows. 1) The founder Motoko Hani’s creative and innovative visions on women’s roles were ushered by the flux of Western culture after Meiji restoration. Her personal characters as well as her upbring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er vision. Christianity she encountered provided her greater perspective on life and value of women, which attracted many women who had been oppressed in feudalistic society. Motoko’s keen focus on “life” as expression of faith helped women to accept her style of Christianity. 2) Motoko’s husband, Yoshikazu, helped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He began publishing women’s magazines to spread Motoko’s vision. The readers formed local groups, which became support groups for members to become more effective in family and society. 3) Later, the small groups formed middle size regional groups, which eventually formed the nationwide Tomo-no-Kai. The organic concentric structure of the groups provided strong ties among the members and greater significance of their contribution. 4) The nationwide campaigns of concrete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women to improve their family life were based on solid researches, and it became social phenomena of those days. Continuous publication of Motoko’s writings contributed to the preserving the original vision of the founder. 5) Gradual decrease of the members in recent years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change of women’s life in the age of consumerism when more and better materials are pursued. These findings suggests Japan mission to reflect on the cognitive Christianity, confessional conversion rather than life style conversion, and conversion focused church ministries rather than discipleship.

      • KCI등재

        붕우관계(朋友關係) 중언(重言)과 우언(寓言)

        김영 ( Kim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1

        人間은 關係論的 存在이다. 人間과 人間뿐만 아니라, 人間과 自然, 하늘과 땅을 비롯한 온 世上萬物이 서로 의지하고 있으며, 直間接的인 因緣을 맺고 있다. 사람이 우리와 같은 겨레붙이라면 自然萬物은 바로 우리의 이웃인 것이다. 筆者는 최근 이와 같이 人間과 人間, 人間과 社會, 人間과 自然의 올바른 關係를 探索해보려는 問題意識을 가지고 먼저 人間關係에 관한 先賢들의 知慧를 살펴보고 이를 文學的으로 形象化한 寓言作品을 檢討해보려는 試圖를 하고 있는데, 이 論文에서는 朋友關係에 관한 重言을 吟味하고 이를 寓言으로 표현한 古典文學作品 몇 편을 考察해보았다. 人間關係에 있어 가장 편한 關係가 朋友關係일 것이다. 君臣關係가 忠誠과 禮로 맺어지는 關係이고, 夫婦와 父子 關係가 倫理와 道德이 要求되는 關係라면 朋友關係는 自己의 자유로운 意志와 選擇에 의해 맺어지는 平等한 關係이기 때문이다. 筆者는 東洋의 先賢들이 朋友關係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東洋古典을 集大成한 《四庫全書》의 經ㆍ史ㆍ子ㆍ集部의 文獻資料를 檢索해 보았다. 그 結果 바람직한 朋友關係에 대해서 東洋의 先賢들의 글 속에는 먼저 信義가 있고 서로 尊敬하는 關係와 배우고 서로 影響을 주는 關係를 특히 强調하였음을 確認할 수 있었다. 李光庭의 <眞情한 親舊>는 바로 이런 점을 諷刺하는 寓言作品이다. 慶尙南道 居昌郡에 전해 내려오는 說話 <義理 있는 親舊>는 훈훈한 친구 사이의 友情을 일러주는 寓言이 있다. 가 그것이다. 그리고 朝鮮後期 朴趾源의 <馬?傳>은 周知하다시피 세 사람의 친구가 다리 위에서 友道에 대해 討論한 이야기이다. 이 作品은 當時의 君子의 交遊가 高尙한 것 같지만 事實은 權勢와 名譽와 利益을 追求하는 것이라고 諷刺하고, 그들이 벗 사귀는 方式도 權謀와 術數를 쓴다는 것을 寓意的으로 批判하고 있다. All living features are depend on each other. Human being depend on Earth, Earth depend on heaven. As like this, mankind are social being depending on with each other. This thesis deals with the allegory works and maxim related friendship of human relationship. Friendship is comfortable than king-servant relation, teacher-student relation, parent-child relation. Generally, in a comparison of personal relationships, friendship is considered to be closer than acquaintance. Although there is a range of degrees of intimacy in both friendships and acquaintances. Friendship and acquaintanceship can be thought of spanning across the same continuum. In traditional society of East Asia, the virtues of friendship are confidence, inter-respect, learning attitude. As a study of the allegory works of Lee Kwang-Jung, Park Ji-Won, and Korean folktale, I find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friendship in traditional society of East Asia, is confidence.

      • KCI등재

        蘇東坡의 朋友關係 硏究- 王定國ㆍ徐君猷ㆍ錢濟明을 중심으로-

        유미정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7

        본고는 왕정국과 서군유, 전제명을 중심으로 소동파의 詩와 詞, 簡札을 통해 소동파의 붕우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들은 소동파가 곤경에 처했을 때 節義를 지키며 교유한 知己들로 당대의 유교적인 관습 속에서 형성된 교유관계를 유지하였다. 刎頸之交나 金蘭之交, 布衣之交와 같은 전통적인 붕우관계를 보통의 사람들이 지켜가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소동파와 그의 붕우들은 역경 속에서도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면서 이러한 우정을 이어나갔다. 文字獄을 함께한 왕정국과 귀양지 황주에서 호의를 베푼 서군유, 그리고 소동파가 최후의 삶을 의탁한 전제명이 그들이다. 한편 소동파는 ‘나의 벗은 옥황상제에서 걸인까지’라고 호언했는데, 이는 그의 깊은 학문과 문학적 재능, 해학과 유불도의 자유로운 사고에서 우러나온 말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소동파의 붕우관계를 詩와 詞, 簡札을 통해 조명하면서 소동파의 삶과 문학의 一端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18세기 友道論의 문학·사회적 의미

        박수밀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한국고전연구 Vol.8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우도론의 형성 배경 및 우정론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우정론이 갖는 의의를 탐색해보고자 한 것이다. 조선 중기까지 붕우 문제는 주로 신분이나 처지가 엇비슷한 사람들 혹은 형제간의 붕우 등 가족주의에 바탕한 개인 우애 차원에서 다루어진다. 그러나 선조대 붕당정치의 형성 이후 생긴 집단적 동류의식, 속임과 아첨이 득실거리는 마장지술 속에서 뜻있는 지식인들은 타락한 현실 앞에서 참된 붕우도를 회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붕우 문제는 개인적, 윤리 문제를 넘어 문학적, 역사적 문제로 확산된다. 18세기 우도론의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붕우를 혈연 이상의 존재로 바라보는 非氣兄弟 의식이 강했다. 둘째, 지위 고하를 마다않고 교유를 맺는 交不擇人 태도를 지녔다. 셋째, 우정에 대해 자의식의 과잉으로까지 읽힐 정도의 독특한 정서를 드러냈다. 18세기 지식인들이 붕우를 목숨과도 같이 소중하게 인식한 배경에는 우도를 통해 타락한 세대를 일으켜 세우려는 절박한 현실 인식이 자리한다. 이 시기 우정 담론이 인물고하를 가리지 않고 존재했으며 나아가 여성에게까지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평등 사상을 지향하는 근대적 정신과 상통한다 하겠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the discussion about friendship, the aspects of the theory of friendship how to be revealed and developed, and the meaning of that during the second half year of Chosun period. The matter of friendship had been considered to be mainly personal till the middle of Chosun period, such as among the people with the same social status or the same situation and among family members. However, in the middle of the conditions full of the corrective sense of the same social class after the clique politics since the ancestor period, full of the machination, trickery and flattery, the intellectual tried to revive the doctrines of true friendship. So the matter of friendship was to be considered as a literary and historical matter rather than as a personal and ethical matter. The main aspects of the theory of friendship doctrines in the 18th century as follows; firstly, the friendship to be considered more than blood relationship! Secondly, to be kept companionship regardless of the social status. Thirdly, to be kept unique emotion realized as a excess of self-consciousness. The background that the intellectual of the 18th century considered the friendship very preciously like life itself was their realization of waking up the corrupted generation through the truth of friendship. The discussion of that times about friendship is congenial to the modern thought of equality in respect of that it was among all kinds of people regardless of social status, even among women.

      • KCI등재

        위재危齋 조상덕趙相悳의 「유례편해儒禮編解」 연구

        남재주(南在珠)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본 논문은 19세기 경북 상주尙州에 살았던 위재 조상덕의 「유례편해」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 주목한 이유는 ‘유례’라는 제목을 붙였다는 점과 오륜 중 ‘붕우유신’을 첫머리에 배치하였다는 점이다. ‘유례’라는 이름이 붙은 예서禮書는 이것이 유일하며, ‘붕우유신’을 오륜의 첫머리에 내세워 논의한 사례도 굉장히 특이하다. 뿐만 아니라 사족士族이 지켜야 할 규율과 가정 내에서의 규범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향당과 국가로까지 확장하여 윤리 또는 예禮의 일반원칙 및 변통의 사례까지 함께 거론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조선조 예학은 예를 통해서 자기 자신을 도덕적 개체로 규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가정의 규범을 올바로 세우고, 나아가 사회의 질서를 정립하며, 예를 통해 나라를 다스리는 예치禮治 또는 예교禮敎가 통하는 사회와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점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상풍패속傷風敗俗으로 치달아가는 상황을 직면하여 예의 문화를 중시하였던 조선의 미풍양속美風良俗을 만회 회복함으로써 예의 지방禮義之邦으로서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지켜내는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저자는 사회 지도층인 사족이 오륜에 입각한 예의범절을 솔선수범하고, 자연법칙의 운행에 순응하여 인간의 도덕규범을 규정하는 예를 부각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에서 이 글을 편찬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살던 19세기 조선의 현실에 적합한 규범과 예제를 재정립함과 동시에 문文(형식)과 질質(본질)의 균형이 무너져 ‘문’으로 기울어가던 당시의 풍속을 ‘오륜’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질’의 정신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Was made to study the You-rye phyun hae(儒禮編解) wee-Jae(危齋) Cho sang-dug(趙相悳) compile that lived in sang-joo(尙州) located in kyung sang buk do(慶尙北道). the reason which is attractive to this book two. For the first time, the unique title of You-rye. The moral pamphlet which is named You-rye phyun hae is the only one. The second time, as confucianism, recorded Faith should reign over the relation between friends(朋友有信) among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五倫), in best front describing courtesy in family and native village community and country. The Unique only one is Faith should reign over the relation between friends talked. In the aspect of inner story, the law and their own family is spread out of the expanded in native village community and national world general principle and the makeshift are together talked. Cho sang-dug is the social leader aborad study student is first acting politely well, the basic landscape is based upon the polite law, the natural law is as much as possible to the common law to the flow well. The of course, the moral law of an example is attempted to appear clearly. The thought to the easy yield, moral law is enquired to this separate thinking way, equally. As soon as this common normal law, The Chosun dynasty adequate example and law, reality and the again new-establishment, simultaneously, the word and the quality is falling down the recent time, the unbalance of these two revel,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theme, the recovering the mental equality. these eco is recovering through by the recoach. Through this, it was renewal of Chosun dynasty that taking a serious view manners that aimed finally.

      • KCI등재

        조선 시대 <오륜가>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인식과 그 양상

        한창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9 고전과 해석 Vol.7 No.-

        본 논문은 조선 시대 <오륜가> 중에서 주로 ‘朋友有信’과 관련되어 있는 작품에 주목하여, 거기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인식과 그 양상을 살핀 것이다. <오륜가>는 조선 시대에 지배 계층에 속하는 양반 관료들이 유교 도덕인 五倫으로써 피지배 계층인 일반 백성들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지어낸 일련의 연시조 이다. <오륜가>는 기본적으로 시적 대상이 되는 청자를 상정함과 아울러 ‘五倫’의 전달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목적 문학이다. ‘三綱五倫’은 동아시아의 중세 윤리관을 지배하는 윤리 체계였다. 이 五倫 가운데 ‘朋友有信’이 들어 있지만은 이것은 다른 4개의 종적 덕목에 비하여 거의 발달 할 수 없었던 가려진 덕목이었다. ‘朋友’는 상하존비가 있을 수 없는 평등의 윤리 관계이며, 부자관계처럼 숙명적으로 맺어지거나 군신관계처럼 인위적으로 맺어지는 관계가 아니다. 그것은 스스로 선택하게 되는 인간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이 평등원리로서 우정이 가지는 중요성은 오륜의 체계 속에서 전혀 부각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오륜가>를 포함한 훈민시조의 창작과 보급은 士林이라 불리는 이들의 향촌개혁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에 훈민시조는 사림파에 의해 제시된 향촌개혁운동이 재지사림에 의한 향촌지배로 완결됨에 따라, 17세기 중반부터는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된다. 16-17세기 士林에 의해 만들어진 <오륜가>는 그들의 이상이나 명제를 문학적으로 그린 것이 된다. ‘朋友有信’ 계열 작품 수가 다른것에 비해 현저히 적고, 그 작품 내용이 비교적 소박한 것도 이에 연유한다. 임병양란 이후 밀어 닥친 사회의 변화는 조선 후기 양반들의 ‘교유’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개혁적 성향의 실학파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주로 산문이라는 형태로 변화하는 ‘우정관’이 작품화된다고 볼 수 있다.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Oryungas written in the Chosun Dynasty is mostly related with ‘faith between friend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and pattern of ‘friendship.’ Oryunga is a series of sijos written by noble bureaucrats as the ruling class in order to edify common people as the ruled class with Oryun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which are Confucian moralities. Oryunga is basically purposed literature that has target listeners and the clear object of delivering ‘Oryun.’ ‘Samgangoryun’ is a moral system that ruled the ethics of the East Asia during the medieval ages. Although ‘faith between friends’ was included in Oryun, it was largely overlooked and made little progress compared with the other four rules. ‘Friendship’ is a moral relationship between two equal persons without a higher or lower position, and is not established fatefully as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or artificially as in the ruler-subject relationship. Although it is a human relation that the involved persons choose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s a principle of equality was not emphasized at all in the Oryun system. In general,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edificatory sijo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village reform movement by those called Sarim (Confucian literati). Thus, edificatory sijos were not published any longer from the mid 17th-century when the village reform movement initiated by the Sarim Party was concluded with landowning Confucian literati’s domination of villages. In Oryungas that they created in the 16th-17th centuries, Sarim described their ideals or propositions literarily. This is why the number of Oryungas related to ‘faith between friends’ is markedly small compared to those on other subjects, and their contents were relatively plain. Social changes since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Qing’s invasion in 1637 influenced ‘social relationships’ of aristocra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scholars belonging to the reformative Silhak (Practical Science) Party expressed their view of ‘friendship’ mainly in the form of prose.

      • 우정의 구조와 윤리 : 한ㆍ중 교우론에 대한 문학적 사유 literary thinking about the theory of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China

        박성순 동국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5 한국문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중국에 건너온 서양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교우관과 16~17세기 明末淸初 師友論의 양상 그리고 18세기 조선 北學派 지식인들의 交友論과 문학을 살피는 것을 주요한 내용을 한다. 수평적인 윤리체계로 받아들여지는 교우론의 중세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우론의 현재적 가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16~17세기 명ㆍ청 교체기에는 정치ㆍ사회상의 변모와 맞물려 五倫의 朋友觀과 師友에 관한 논의들이 집중적으로 생산된다. 王陽明을 비롯하여 王心齊, 王龍溪, 何心隱, 李卓吾 등 주로 陽明學派를 중심으로 전개된 사우론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講學運動을 통해 사우와 교우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한편, 義의 실천을 내용으로 하는 교우론을 통해 주자학적인 윤리관의 혁신을 모색하였다. 서양의 선교사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은 당시 이런 중국 지식인들의 교우론과도 통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이들의 교우론은 수직적 윤리관을 통섭하는 수평적 윤리관이다. 이 횡적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모든 종적 인간관계를 거부하고, 신분이나 민족이나 문화적 차이를 초월하는 인간관계의 윤리적 자각이다. 조선후기 사상사의 추이와 관련하여, 북학파를 중심으로 대두된 교우론은 문학론적으ㅗ는 진정성을 추구하는 주체의 모습으로 내면화된다. 우정의 윤리학과 진정성의 추구는 타자와의 상대론적인 관계를 중시하는 태도로, 기존의 윤리관과 문학관의 수정을 요구하거나 창조력을 부여한다. 우정의 윤리학을 작동시키는 글쓰기는 객관주의적인 상대성의 논리를 체득하고, 삶을 둘러싼 세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묻고 교섭하며, 그 변화 가능성을 노정한다. 우정의 윤리학은 그것의 속성상 본질로의 환원을 경계하는 까닭이기도 하겠지만, 이미 고정되고 물신화된 정전적 사유방식의 권위를 해체하여 새로운 교양을 발견하는 데 주력한다. 21세기의 윤리는 타자를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고 목적으로 생각하는 윤리적인 의무, 곧 책임에서 비롯한다. 자유로운 주체는 이런 윤리적 실천 속에서만 기거할 수 있는 것이다. 타자에 대한 인식으로서의 이러한 윤리는 16~18세기 동아시아의 교우론이 획득한 지평과 방불하다. 교우론의 윤리란 수평적인 대화의 윤리이자, 義를 중심으로 하는 책임의 윤리이기도 한 까닭이다. 공동체의 규범과 습속을 뛰어넘어 자발적이며, 진정한 대화와 타자에 대한 책임을 기반으로 하는 우정의 윤리야말로 동아시아의 연대와 자유로운 주체를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This paper primarily deals with a Western missionary Matteo Ricci's Gyowoogwan(交友觀), the appearance of Sahwooron(師友論) in China for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and Chosunes Bukkahkpa(北學派) intellectuals' Gyowooron(交友論) of the 18th century. During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e turning point of Ming to Ching the arguments on Boongwooron(朋友論) and Sahwoo(師友) of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were concentratedly produc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transfiguration. Sahwooron which centered upon primarily the Wang Yangming school, for instance, Wang Shimje, Wang Ryonggye, Ha Shimeun, Yi Takoh headed by Wang Yangming, comes under it. They reestablished importance of Shawoo and Gyowoo through the studious movement; they groped the reform of the view of ethics of the philosophy of Zhu Zi through Gyowooron containing the practice of relations. A Western missionary Matteo Ricci's「Gyowooron」communicates with Chinese intellectuals' Gyowooron of those days. their Gyowooron is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human relationship that denies all vertical human relationship and transcends differences in the station, the race, or the culture. Gyowooron, which was raised its head by Bukkahkpa, was internalized as the subject literarily pursuing authenticity with relation to the change of the history of the thought in the late Chosun. The ethics of friendship and the pursue of authenticity attach importance to the relative concern with the other; they demand th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views of ethics and literature or vest creative power. The ethics of friendship concentrates on finding new culture by breaking the authority of the canonical thinking method which was already fixed as well as guards against its restoration to essence from the viewpoint of its intrinsic attribute. The ethics of the 21st century begins with the ethical duty, i.e. responsibility, regards the other not as a means but as an end. This ethics as understanding of the other closely resembles in what East Asia's Gyowooron got during the 16th to 18th century. The ethics of friendship, which rises above the norm and the convention of a community, is spontaneous, and is based on true conversation and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enables us not only to link Asia but also to establish the fre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