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안과 일상성: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불안관을 중심으로

        김완종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3 No.-

        논자는 본 글에서 그리스도교의 불안의 의미를 확립하기 전에 철학에서 특히 현대철학의 거장 마르틴 하이데거의 작품에 나타난 불안(angst)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또한 이러한 불안의 개념을 통해 그가 주장하려고 했던 바가 무엇인지를 평균적 일상성(durchschnittliche Alltäg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das Man-selbst)로부터 본래적 자기(eigentlichen Selbst)로 이행하는 실존하는 인간 현존재의 탈근대적인 본래적 자기성을 탈은폐하는 것에 근거하여 주장한다. 이러한 불안은 하이데거를 따라 단순한 심리적 범주의 불안이 아니라 불안의 기능과 역할을 통해 존재론적 불안이라는 것을 모색하여 불안의 긍정성을 주장해 볼 것이다. 논자는 현존재의 비본래적 그들-자아로부터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로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불안인 본래적 불안과 학문의 토대와 그 학문의 토대를 숙고하는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본질적(wesenhafte) 불안 혹은 근원적(ursprüngliche) 불안을 구별하지 않고 불안이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 전체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주장하며 하이데거의 불안을 탐구한다. 불안은 공공성(Öffent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를 개별화 시키어 현존재의 자기성인 존재가능(Seinkönnen)이나 탈존적(ekstatische) 존재가능을 열어밝혀준다. 즉, 불안이 일상 속에 매몰되어 자기상실을 한 채 편안함(das Zuhause)을 추구하는 인간 현존재에게 가장 고유한 존재가능으로 향한 존재를 드러내준다. 그들-자아는 안정되고 편안한 평균적 일상성을 원한다. 불안은 일상인들에게 섬뜩함(집과 같지 않음, unheimlichkeit)과 불편함이다. 이런 이유로 일상성 속에 살아가는 그들-자아는 편안하지 않은 불안을 회피한다. 불안은 일상성 속에 빠져있음(Verfallen)에서 돌아서게 하며 일상적 친숙함을 무너뜨린다. 그래서 불안을 수용하려는 담대함(Tapferkeit)과 불안에 대한 용기가 절실하다. 집과 같지 않은 상태, 마음이 불편하고 편치 않은 상태와 같은 불안은 그 이유와 대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무이다. 무엇 때문에 무슨 이유인지 모르는 불안이 엄습한다. 그들-자아는 평균적 일상성 속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그들이기 때문에 본래적 자기를 상실한 채 살아간다. 그들-자아에서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래적 자기가 근대적 의미의 인간상은 아니다. 이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은 또 다시 근대적 주체로 회귀한 것 같지만 무세계적인 고립된 자아, 이성적 동물, 표상적 자아, 사유하는 자아 등으로 규정되거나 경계를 정할 수 있는 자아가 아니라 무규정적이며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가능을 성취해 나가는 단독적 자기(solus ipse)나 탈자적 자기(ecstatic self)이다. 자신이 주인이 되어 모든 것을 표상화시키는 표상적 자아나 모든 것을 자아 속으로 환원시키는 유아론(solipsism)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표상화를 통해 모든 것을 자신의 발아래 놓고 자신뿐만 아니라 자연과 세계 모두를 굴복시키는 근대적인 인간상을 비판한다. 이런 점에서 본래적 자기는 탈근대적이다. 인간은 불안하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섬뜩한 불안은 일상성을 무너뜨려 그들-자아에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를 탈은폐한다. 불안은 긍정이다. In this paper, I claim that what Heidegger intends to say with Angst(anxiety) through his works based on disclosedness of trans-modern authentic self of existing human Dasein that has to transit from the They-self that is falling in the average everydayness to authentic Selfhood. I examine this angst is not psychological angst but ontological angst in terms of functions and roles of angst. I argue that both authentic angst and primordial angst are the same in terms of unconcealment of human Dasein’s selfhood without distinguishing authentic angst, which discloses transition from inauthentic the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and primordial angst, which discloses ground of science and human Dasein’s selfhood that is reflecting that of science. Angst individualizes the they-self who is falling in publicity and discloses potentiality-of-Being or ecstatic possibility-to-be of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That is to say, Angst reveals Being toward ownmost potentiality-of-Being for human Dasein who pursues the Being-at-home(das Zuhause) with human Dasein falling in everyday life. They-self wants to desire stable, comfortable and average everydayness. Angst is unheimlichkeit(the not-Being-at home) or uncomfortability to being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y-self try to avoid this state of angst. Angst effects a break with the busy work and activity of everyday existence in which it is absorbed. This is why we should have a courage of angst. Angst like the not-Being-at home, the state of being uncanny is cannot be defined by object( wobor, in the face of something) and reason(worum, about something) of it-in other words it is Nothing(Nichts) because it suddenly appeared without reasons and object of it. That is, Angst is impossibility of determinateness of it. They-self lives without being authentic selfhood because she or he lives in such a way that no one is himself, everyone is the other. Thus, They-self has always been the They who lives in the average everydayness and yet They-self is has been no one. For this reason They-self needs transition from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But this authentic self is distinguished from modern subjective self. The transition to authentic self seems to be return to modern subjectivity, but this authentic self is not isolated ego, rational animal, subjective self, representational self, and self who is thinking, but rather undefined, unfixed solus ipse or ecstatic self who continues to fulfill potentiality-to-be. That is, this self does not mean representational self that represents objects as a whole and solipsism that reduces everything to self. In this sense, authentic self is trans(post)-self. According to Heidegger we criticizes modern self, who becomes self gathered together(Ge-stell) and gathers together unlimitedly through standing over and against as object(Ver-gegen-ständlichung) which masters. Human beings are anxious therefore they exist. Angst like being uncanny disturbs everyday life and discloses authentic self of human Dasein. Angst is affirmation.

      • KCI등재후보

        REBT와 Truth Therapy의 비교분석을 통한 불안감소 방안

        김찬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1 복음과 실천신학 Vol.24 No.-

        본 연구는 REBT와 Truth Therapy의 개관을 살펴보고, 불안 감소에 대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REBT는 기독교적인 배경 없이 발전된 상담기법이다. 이 REBT를 근간으로 기독교적인 입장으로 접목시킨 상담기법이 Truth Therapy이다. Truth Therapy에서 진리(Truth)는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 말씀과 그의 계시로 볼 수 있다. 특히 불안에 대한 주제를 다루므로 그 종류와 원인을 연구할 것이다. 불안은 그 종류 만큼이나 그 원인도 다양하다. 인성을 가진 인간이면 누구든지 불안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없다. 심지어 예수님도 겟세마네 동산에서 불안의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을 볼 때, 불안이라는 것이 인간에게 있어 보편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불안이 보편적이기는 하지만 인간이 근본적으로 죄성이 내재해 있고 불완전해서 불안을 극복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인간은 보편적인 불안 대신에, 파괴적인 불안을 표출함으로써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부정적인 결과는 대부분 인간의 편견과 오해와 잘못된 사고 방식에서 기인됨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므로 전적으로 불안을 느끼지 않고 사는 방법도 없고 모든 불안이 잘못된 것도 아니다. 그 불안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승화시키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REBT와 Truth Therapy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불안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룰 것인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REBT와 Truth Therapy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A Study on survey about REBT and Truth Therapy in a general outlook, will explore ways about anxiety diminution. REBT is developed counseling technique without Christian background. Counseling technique connected with Christian background based on this REBT is Truth Therapy. We will observe on Jesus Christ and Bible and His Revelation from Truth in Truth Therapy. Especially, In subject of anxiety, we will survey kinds and causes of anxiety. Anxiety has as various causes as kinds. If it has human nature, there is no somebody lives in without anxiety. Even though Jesus Christ shows at anxiety emotions on mount of Gethsemane. As it showed, anxiety is we can recognize as general concept. But it is universal concept, fundamentally human being indwelling in sin nature and imperfection is too difficult to overcome anxiety. Instead of expressing human being’s universal anxiety, to express destructive anxiety bring forth diverse negative results. Most negative results are originated in human’s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shall survey at faulted thinking methods. Therefore, there is no way live totally not fear, all anxiety isn’t faults. That is the point how to sublimate an anxiety into positive. Finally, we will study a comparative analytic of REBT and Truth Therapy and how to control an anxiety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is a purpose how to decrease anxie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tic of REBT and Truth Therapy.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과 대처방안 연구

        이지연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practice-related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in music therapists. 81 music therapists who are members of the National Korean Music Therapist Association,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st rating scores were found with relationship anxiety, followed by musical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As causing factors for each anxiety type, uncooperative behaviors and attitudes of clients were reported to highly affect interpersonal anxiety; improvising music during music therapy sessions for musical performance anxiety, and observations of music therapy sessions by staff and related professionals for performance anxiety. Regarding coping strategies used by the respondents, cognitively questioning anxiety issues was most frequently used to deal with performance anxiety; actively involving in behavior modification of clients for relationship anxiety, and practicing music skills for musical performance anxiety. The results provided descriptive information of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that music therapists experienced. Also, this study indicates how music therapists would deal with anxiety-inducing situations and develop their coping strategies for bette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과 대처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음악치료사협회의 음악치료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측 설문을 제외한 총 8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은 관계불안, 연주불안, 수행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관계불안에서는 내담자의 비협조적 반응과 태도, 연주불안에서는 즉흥적 음악 제공, 수행불안에서는 기관담당자의 세션 참관이 불안요인으로 나타났다. 임상불안 대처방안에서 수행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치료사 스스로 불안의 요인에 대하여 생각하기, 관계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내담자의 행동수정 요구하기, 연주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세션에 사용할 음악을 연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사가 경험하는 임상불안과 대처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사로서 성장하고 임상에서 직면하게 될 여러 과제들에 대하여 적응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며 치료적 임상을 수행하는데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안장애의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Agomelatine

        민정아,채정호 대한정신약물학회 2011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2 No.4

        Anxiety disorders are the most comm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frequently cause functional impairment. Although current pharmacological agents are recognized to be effective, partial or total resistance to drug treatment and distressing side effects have leaded to continued search of a new pharmacotherapy of anxiety disorders. Agomelatine is a novel agent with a melatonergic agonist at MT1 and MT2 receptors and an antagonist at 5HT2C receptors. Despite substantial evidence of its antidepressant properties, the anxiolytic properties of agomelatine have been underscored.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studies on anxiolytic properties of agomelatine. In several rat models, agomelatine actively reduces anxiety-related behaviors comparable to benzodiazepine. These anxiolytic properties seem to be mediated by both melatonergic and 5HT2C receptors.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s demonstrated that agomelatine 25-50 mg/day significantly reduced anxiety symptoms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 well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Recently, cases of panic disorder and social anxiety disorder successfully treated with agomelatine were reported. In addition, the tolerability of agomelatine seems broadly favorable, particularly in sexual dysfunction and discontinuation syndrome. Based on these sound efficacy and tolerability profiles, further studies on the use of agomelatine in anxiety disorders will be required for wider clinical application. 불안장애는 매우 흔하고 상당한 기능장애를 동반한 질환으로 다양한 약물들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와 부작용 측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요구가 있어왔다. agomelatine은 MT1 및 MT2의 작용제이며5-HT2C 수용체의 길항제라는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로, 임상연구들에서 항우울 효과가 입증된 데 비해서 항불안제로서의효과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agomelatine의항불안 효과에 대한 근거가 되는 약리학적 기전, 동물연구 및 임상연구에서의 항불안 효과, 내약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agomelatine은 다양한 불안 관련 동물모델에서 불안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항불안 효과에는 멜라토닌 수용체와5-HT2C 수용체가 모두 관여하였다. 임상연구에서는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된 불안증상 이외에도, 범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연구에서도 유의하게 주요 불안증상 및 동반된 신체불안, 불면을 호전시키고 일상생활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 외에 치료저항성 사회불안증 환자및 성기능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약물 비순응을 보이는 공황장애 환자들에서 유용한 대안으로 보고되었다. 항불안 효과에 있어 기존 치료제들과 동등하며 및 성기능장애와 중단증후군 증상을 비롯한 내약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우수하여,agomelatine은 불안장애에서 기존 약물의 문제점을 극복할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agomelatine의 항불안 효과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불안장애에서의 향후 더 많은 연구와 임상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간 치료 및 추적 연구를 통해 관해 및 재발방지 효과를 규명하고, 장, 단기 부작용에 대한 더 많은 자료가 필요 하겠다. 아울러 우울 및 불안과 관련된 감정 처리 과정의 변화와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된 신경가소성 감소를 개선시키는 등의 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항불안 효과와 관련된 심리학적 및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불안과 그 대상에 관한 연구

        홍준기 한국현상학회 200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7 No.-

        불안은 주체의 근원적 정서다. 프로이트는 불안을 위험 신호로 정의했으며, 라캉은 프로이트와 특히 키에르케고르적 실존철학 전통을 집대성해 불안에 관한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남겼다. 라캉에 따르면 불안은 욕망의 주체로의 성숙을 촉구하는 요청이며 인간 주체성의 환원할 수 없는 본원적 정서다. 라캉은 이러한 맥락에서 데카르트의 의식철학을 뒤집으며 ‘불안, 그것은 우리를 속이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의 불안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아 논의를 시작한다. 초기 불안 이론에서 후기 불안 이론으로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면서, 프로이트가 남긴 미해결의 문제를 다시 붙잡아 라캉의 불안 이론과 연결시킴으로써 논의를 심화한다. 또한 본 논문은 라캉의 불안 이론과 키에르케고르의 불안 개념을 비교 연구한다. 이를 통해 라캉에게 와서 정신분석학적 전통과 실존철학적 전통이 통합되었음을 보여주며, 정신분석학의 숨어 있는 선구자로서의 키에르케고르의 의의를 조명한다. 또한 본 논문은 심리 치료 사례 연구를 통해 실천적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학ㆍ철학의 불안 개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힌다.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도 및 불안 요인 분석

        안성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0 No.-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의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발음 불안의 하위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 발음 불안 척도를 활용하여 107명의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의 발음 불안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 불안 점수는 2.4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불안을 나타냈다. 분석을 통해 '시선 집중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그리고 '이해 실패 불안'이라는 네 가지 불안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중 '자기 효능감 불안'이 가장 높은 불안 수준을 보였으며, '부정적 평가 불안'은 가장 낮았다. 또한 발음 불안 척도의 항목과 구성 요인이 발음 불안과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시선 집중 불안’이 학습자들의 발음 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흥미로운 발견은 남성 학습자들이 '이해 실패 불안' 측면에서 여성 학습자들보다 더 불안해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발음 불안의 복잡한 요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한국어 발음 교육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안의 극복이 가능한가? - 하이데거의 불안개념을 중심으로 -

        이서규(Lee, Seu-kyou)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9 No.-

        불안현상에 대한 하이데거의 논의는 현존재분석론(Daseinsanalytik)의 특징을 잘 드러내준다. 하이데거는 전통철학과 달리 현존재의 현사실성(Faktizität)을 강조하면서 불안현상을 현존재의 존재를 드러내주는 사건으로 규정하는데, 이런 이유에서 불안을 단순한 심리현상으로 파악하는 것을 거부한다. 하이데거는 불안현상을 현존재의 구조전체성인 염려(Sorge)와 연결시키면서 불안의 실존론적-존재론적 역할을 부각시키는데, 여기에서 불안에 대한 논의는 현존재의 실존을 이해하기 위한 지평을 제공한다. 물론 현존재는 불안에 직면해서 우선 대개 내부세계적인 존재자에 사로잡히게 되고, 이것은 특정한 존재자에 대한 두려움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현존재가 불안이 우선적으로 가져오는 세계의 무의의성과 으스스함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본래성으로 향한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런 점에서 불안은 현존재의 존재를 드러내주는 탁월한 개시성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안은 현존재가 죽음으로 향한 존재(Sein zum Tode)라는 현사실성을 드러내주며 현존재로 하여금 무를 경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처럼 하이데거가 제시하는 불안의 역할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과연 현존재의 불안이 극복되어야 하는 것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왜냐하면 불안의 역할에 대한 하이데거의 언급을 받아들인다면 오히려 현존재가 불안할수록 더욱 더 자신의 본래성으로 향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현존재분석론에서 본래성뿐만 아니라 비본래성도 현존재의 존재를 개시한다는 점에서 불안의 극복문제는 다양한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존재와 시간』과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불안이 현존재의 현사실성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존재에게 드러나는 불안과 두려움의 특징과 관계를 고찰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함께 하이데거가 불안의 원인을 명확하게 제시하는지를 살펴볼 것인데, 여기에서는 무엇보다도 불안과 죽음 그리고 무와의 관계를 고찰하도록 한다. 끝으로 하이데거가 불안에 부여하는 실존론적-존재론적 역할을 고려할 때 불안을 극복하는 문제가 과연 가능한지의 문제를 살펴보도록 한다. Heidegger"s discussion of the anxiety phenomenon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Daseinsanalytik well. Unlike traditional philosophy, Heidegger, who emphasizes the factuality of Dasein (Faktizität), defines the anxiety phenomenon as an excellent openness that reveals the existence of Dasein. For this reason, he refuses to understand anxiety as a simple psychological phenomenon. Heidegger emphasizes the existential-ontological role of anxiety by linking this phenomenon with the structural wholeness of Dasein and Sorge, where the anxiety phenomenon is regarded as an event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existence of Dasein. Of course, in the face of anxiety, Dasein usually becomes caught up in the inner world being first and experiences the fear of a specific entity. However, according to Heidegger, Dasein faces its originality as it experiences the meaninglessness and eerieness of the world caused by anxiety, and in this regard, anxiety becomes an existential phenomenon that reveals the existence of Dasein. In addition, this anxiety is defined as an ontological event that reveals the reality that Dasein is being toward death (Sein zum Tode) and causes Dasein to experience nothingness. However, despite the role of anxiety suggested by Heidegger, we can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Dasein"s anxiety should be overcome. Considering Heidegger"s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anxiety phenomenon, the more anxious Dasein becomes, the more Dasein becomes because it seems that originality can be secured. In particular, since Heidegger says that not only originality but also non-originality reveals the existence of Dasein in Dasein analysis, the question of whether anxiety can be overcome or not is difficult to answer. In this thesis focusing on ‘Being and Time’ and ‘What is Metaphysics’, we examine how anxiety reveals the reality of Dasein, and examine the aspects of anxiety that are revealed to Dasein based on this. It also discusses the causes of anxiety. Here, we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death and nothingness. Lastly, I will examine what the existential-ontological role Heidegger gives to anxiety is and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it.

      • KCI등재

        중년 여성의 발달 트라우마를 회복하는 영적 글쓰기 교육

        고수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8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help middle aged women, who can overcome their anxiety. In this society, called the era of new anxiety,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anxiety disorder.” This is because social anxiety and personal anxiety occur simultaneously. The entire generation, not only for a specific age group, experiences anxiety, but even for adults, they are immature in dealing with it. The middle of adulthood can be said to be the time when anxiety appears. Developmental anxiety that appears in middle age, that is, anxiety about aging and death, causes existential anxiety. Moreover, changes in family relations in middle age and rapidly changing societies, especially fendemics, can cause “pan-anxiety disorders” by deepening social anxiety. Karl Gustaf Jung suggests that while it is disturbing because the opposite aspect of personality emerges in middle age, it is possible to move toward a complete personality when integrating the unconscious shadows of individuals and society. James Lauder, on the other hand, saw Jung’s proposal as religious, but not theological, and only self-transformation through Christ’s intervention was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However, he agreed that middle age, when the existential anxiety of aging and death emerges, is a time when religious and spiritual education is needed more than ever. Unconscious anxiety in middle age emerges through trauma. Therefore, if you reflect on the trauma that appears through physical signs and emotional upheaval, you can face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al and cultural shadows. This study proposes spiritual writing by integrating trauma with anxiety in middle-aged women and helping self-transformation. The important object relationship in spiritual writing education is Trinity God. And the ultimate purpose is to allow middle-aged women to overcome anxiety, to experience self-transformation and to go forward for whole personality by spiritual writing. This study takes such this issue into account based on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es.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weakness, it could encourage study how to develop ability which can control their anxiety, developmental trauma and how to transform their self for middle aged women in their faith. 새로운 불안의 시대라 불리는 현 사회에서 많은 이들이 ‘불안장애’를 겪고 있다. 사회적 불안과 개인의 불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정 연령대만이 아닌 전 세대가 불안의 정서를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성인이라 할지라도 불안을 다루는 데는 미숙하기 그지없다. 성인중기는불안이 출현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중년기에 출현하는 발달적 불안 곧노화와 죽음에 대한 불안은 실존적 불안을 유발한다. 더욱이 중년기의 가족 관계 변화와 급변하는 사회, 특히 펜데믹 현상은 사회적 불안을 심화시킴으로 ‘범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칼 구스타프 융(Karl Gustaff Jung) 은 중년기에는 인격의 대극적 측면이 출현하기 때문에 불안하지만, 개인과 사회의 무의식적 그림자를 통합할 때 온전한 인격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고 제안한다. 반면 제임스 로더(James Loder)는 융의 제안이 종교적이지만, 신학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면서 오직 그리스도의 중재를 통한 자아변형이 신학적 해석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노화와 죽음의 실존적 불안이 출현하는 중년기가 그 어느 때 보다 종교적, 영적 교육이 필요한 시기라는 데 동의한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불안이 트라우마(trauma)를 통하여출현한다고 해석하였다. 따라서 신체적 징후, 감정적 격변을 통하여 출현하는 트라우마를 성찰한다면 개인과 가족, 사회・문화적 그림자를 직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불안이 내재된 트라우마를 통합하고, 자아변형을 돕는 교육으로 영적인 글쓰기를 제안하고 싶다. 영적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대상관계는 삼위일체 하나님이다. 그리고 궁극적 목적은 중년 여성이 영적인 글쓰기로 불안을 극복하고, 자기변형을 경험하면서 온전성을 회복하게 하는 데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의 관계 고찰 : 신경생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홍영근(Young Keun Hong)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신체내부지각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부지각과 마음챙김을 병행하여 사회불안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신체내부지각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경감되고,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내부지각을 통해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을 수행했을 때, 불안이 증가한 이유는 첫째,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인지적 편향으로 인해 신체내부감각을 부정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폴트모드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인해 자기초점주의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같은 자기관련사고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앙집행네트워크와 디폴트모드네트워크 사이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오른쪽 전측 뇌섬엽의 기능상의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과 달리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내부지각으로 인해 불안이 높아지는 이유는 신체내부감각에 대한 부적응적 해석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지각을 이용하여 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한 결과 첫째, 일반인의 경우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불안이 감소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마음챙김 훈련 후 내부지각의 정확성을 증가시켰을 때,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내부지각의 생리학적 기체를 통해 사회불안의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신체내부지각을 기반으로 사회불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disorder and interoception, and examined th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disorder by combining interoception and mindfulnes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oception and social anxiety, it was found that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were reduced by interoception, and those with high social anxiety were increased by interoception.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anxiety when the people with high anxiety performed interoception wa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ias such a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people with social anxiety negatively interpreted the internal sense of the body. Second, the fear of self-focused attention or negative evaluation due to activation of the default mode network was confirm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self-referential though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of the right front insula, which acts as a switch between the central execution network and the default mode network, is a problem.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unlike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have increased social anxiety due to interoception because of maladaptive interpretation of body internal sens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thod to reduce anxiety by using interoception, first, anxiety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 people with low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case of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anxiety decreased when the accuracy of interoception increased after mindfulness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explain the cause of social anxiety more specifically with interoception,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social anxiety based on interoception. Finall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불안의 유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송관재,이재창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조직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조직불안의 유형을 분류하고, 조직불안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직불안 측정 문항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7개 요인과 3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1요인은 신뢰 및 공정성 부재로 인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이고, 2요인은 갈등적인 회사 분위기 때문에 불안한 경우, 3요인은 외부 위협으로 인해 회사의 미래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껴서 불안한 경우, 4요인은 회사의 경쟁력 부족에 대해 염려하는 경우, 그리고 5요인은 업무 스트레스가 심해서, 6요인은 종업원 자신의 회사의존도가 너무 커서, 7요인은 정보 부족으로 인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로 나타났다. 총 30개 문항으로 측정된 전체적인 조직불안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이직의도와는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조직불안의 유형을 조직환경 수준(외부위협, 경쟁력부족), 조직 수준(신뢰 및 공정성부재, 갈등적인 회사분위기), 개인 수준(업무스트레스, 회사의존도, 정보부족)의 세 가지 수준으로 재분류하여 직무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직환경 수준은 세 가지 종속변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조직 수준은 전체적인 조직불안과 마찬가지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는 부적인 관계를, 이직의도와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개인 수준 불안은 조직 수준과는 반대로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아지고, 이직의도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조직환경 수준 불안은 종속변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조직 수준 불안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조직불안의 세 가지 수준은 서로 다른 위계와 종속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조직불안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수준의 불안이 모두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