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雷挺(LEI TI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본고에서는 정상현(鄭尙玄)이 창작한 한문 희곡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이런 형식적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백상루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작자 규명, 체재 분석, 언어표현상의 특징, 김성탄(金聖嘆) 비평본(批評本) <서상기(西廂記)>와의 비교, 평비(評批)의 특징, 인물형상, 성(性)담론 등의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작품의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상루기>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曲牌)를 정리하여, 각각 북곡(北曲)이나 남곡(南曲)에 속하는지를 구분한다. 그리하여 중국 북곡에 속하는 곡패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나머지의 다른 곡패들 중에서 일부분의 이름은 중국 희곡 곡패의 이름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희곡 각 折의 마무리를 뜻하는 곡패인 【잠살미(賺煞尾)】, 【살미(煞尾)】, 【미(尾)】는 원잡극(元雜劇) 투곡(套曲)의 마무리 부분이고, 套曲에서의 제일 중요한 표시이기 때문에 더욱 <백상루기>의 음악은 중국 북곡에 따라 창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에 나타난 곡패를 비교하였다. <백상루기>와 <서상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곡문은 중국 희곡 곡패의 정격(正格)에 안 맞고, 물론 구수(句數)나 매구(每句)의 글자 수에도 큰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백상루기> 【금초엽(金蕉葉)】의 곡문은 [선려(仙呂)]【점강순(點絳脣)】의 정격과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도 <서상기>의 곡문과 <서상기>에서 사용되지 않고 북곡 곡패에서 찾을 수 있는 곡패인 【쌍원앙(雙鴛鴦)】에 관한 곡패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백상루기>에서 친자(襯字)도 거의 안 보인다. 그러므로 <백상루기> 곡패에 관한 곡문들을 통해 작가가 중국 희곡에서 사용하는 곡패에 대한 이해, 사용함 등에서 중국 희곡의 곡문을 창작하는 방법과 많이 다르다고 알 수 있다. 이러한 북곡 형식에 안 맞는 <백상루기> 곡문의 특성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뿐만 아니라 명· 청 전기의 문체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체를 모색하려고 시도한 흔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lyrics) of Beaksangrugi, an opera written in Chinese by Jung Sanghyun, and to verify the reason why such writing formal characteristics were formed. The studies on Beaksangrugi so far focused on writer investigation, format analysis,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ressions, comparison with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characteristics of the critique, character images, sexual discourse and etc. However, there hasn t been 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gokmun of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kpaes of Beaksangrugi were classified, to see whether they belong to Bukgok or Namgok.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gokpaes belonged to Bukgok of China, and some names of the remaining gokpaes we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opera gokpae. Also, the gokpaes 【Zhuanshawei(賺煞尾)】, 【Shawei(煞尾)】 and 【Wei(尾)】 which indicate the end of each act of the opera were the ending part of Yuan opera music and are als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whole set of music, so the music of Baeksangrugi was highly likely to be made according to Bokgok of China. Second, the gokpeas appeared in Beaksangrugi and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were compared. Gokmun which commonly appeared in both Beaksangrugi and Seosanggi didn t correspond to the 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 Also, the gokmun of Beaksangrugi 【Jinjiaoye(金蕉葉)】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of [Xianlv(仙呂)]【Dianjiangchun(點絳脣)】. Furthermore, gokpae related to 【Shuangyuanyang(雙鴛鴦)】, which can be found in Bukgok gokpae but didn t used in Seosanggi Gokmun and Seosanggi,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also found that gokmun of Beaksangrugi did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and also Chenzi(襯字) was almost not found in Beaksangrugi.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Gokmun of Beakssangruji gokpae that the Beaksangrugi author s understanding and the using of Chinese opera gokpae had many differences from the writing way of Chinese opera gokmun. Such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which does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is evidences of attempts to seek a new style while adopting literary styles of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addition to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 KCI등재

        『백상루기(百祥樓記)』평비(評批)의 특징 고찰

        윤지양 ( Ji Yang Yoon ) 한국한문학회 2012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0

        본고에서는 현존 유일의 評批本한문희곡『百祥樓記』의 評批가 갖는 특징을 고찰한다. 먼저, 보통의 評批本소설 및 희곡과는 달리『百祥樓記』 에 評批를 단 주체는 작자 본인이며, 『百祥樓記』에 부록의 형태로 실린 작품들이 모두 단일 작자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작자와 평자가 일치한다면 評批에서의 작품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민감한 문제가 된다.『百祥樓記』의 작자는 評批에서 자신의 작품에 대해 윤리적 측면에서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는데, 이는 독자들의 평가를 의식한 작자의 창작 전략 가운데 하나라 볼 수 있다. 또한, 『百祥樓記』의 評批가 갖는 특징을 살펴봄에 있어서 그것에 영향을 끼쳤던 金聖嘆評批本『西廂記』 와의 비교는 필수적이다. 먼저, 『百祥樓記』 의 評批형식을 살펴보면 그것이 金聖嘆評批本『西廂記』 의 모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百祥樓記』 의 評批에는 작품에 대한 극찬, 문장의 變幻에 대한 강조, 주관적 감상 토로, 독자를 의식한 교훈적 경계, 인물 묘사의 생동감 강조, 문장의 구성 강조 등 金聖嘆評批의 주요한 특질들이 고스란히 나타나있어, 金聖嘆評批本『西廂記』 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BaekSangnugi百祥樓記is one of the three dram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t is the only drama that contains commentaries. Thus it is important to study on the features derived from the fact that it contains commentaries. First of all, we have to establish who is the commentator as well as who is the author of the original story. Although on the preface of the first chapter, bemused by the beauty?艶and the total critic摠批of it, Pae-wija佩韋子seems to be the commentator of this book, by carefully reading the preface of the first chapter and comparing it with Jinshengtan金 聖嘆`s preface on Xixiangji西廂記,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author of BaekSangnugi himself was also the commentator of it. And it shows that the author accepted Xixiangji with Jinshengtan`s commentaries as a whole unified piece. In the commentaries of BaekSangnugi, there are many ethical assesment on the main character`s behavior, and they are all negative judgement. Considering that the author himself made the commentaries on his own story, it is very interesting aspect. It seems that to slander his own story was the one of the author`s writing strategy to block out other`s hard blame on him in advance. Lastly, we can find quite many elements in the commentaries of BaekSangnugi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features found in Jinshengtan`s commentaries on Xixiangji. In addition to imitating the format of the commentaries, the high praise on the works, the emphasis on the kaleidoscope of writing, frequent exposing of subjective appreciation, the instructive advice for the readers named "precious talented men all around the world普天下錦繡才子", the emphasis on the lifelike description of characters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y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commentaries of BaekSangnugi affected by Jinshengtan`s commentaries on Xixiangji. These features are obvious evidences that shows that the author of BaekSangnugi was greatly affected by Jinshengtan`s commentaries on Xixiangji.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한문극본(漢文劇本)의 필사체제(筆寫體制)와 장르 특성

        이창숙 ( Lee Chang-soo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조선의 漢文戱曲 3종 『東廂記』, 『北廂記』, 『百祥樓記』는 중국희곡의 체제에 조선의 인물과 사건을 담아 지었다. 중국희곡은 唱科白 3요소로 구성되며, 刊本과 寫本에는 부호를 사용하거나 글자 형태를 달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 삼자를 분명히 구분한다. 조선 한문극본의 사본도 창과백을 구분하기에 문제는 없으나 科와 白에는 非劇的인 색채가 다분하다. 묘사적이고 서술적인 科와 白은 소설이나 講唱의 기법으로서 연극예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조선의 문예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즉 무대에서 상연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초래된 현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백상루기』는 극의 본문인 唱科白과 그에 대한 評語가 섞여 있다. 이는 金聖歎의 『第六才子書西廂記』의 체제를 따른 것으로서, 일부 평어는 본문의 기능을 대신하여 극의 상황을 부연하여 전달한다. 또한 각 折 뒤 「總評」의 작자는 바로 『백상루기』의 작자이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백상루기』의 본문과 평어는 동일인이 작성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극작가가 해설자의 역할을 겸하여 극 작품의 안팎을 자유로이 드나들며 작품의 내용을 독자(관객)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조선 한문희곡은 모두 본질적으로는 무대 상연을 전제하는 희곡이지만, 실제로는 講唱이나 상연되지 않는 소설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 또한 『백상루기』는 작품의 본문과 평어가 잘 어울려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새로운 창작의 방식으로 자리를 매겨 줄 수도 있다. The three types of Choson's Classical Chinese Drama include, Dongsanggi, Buksanggi, and Baiksanglugi, which were adopted from the Chinese Drama formation. Chinese Drama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that are songs, movements, and dialogues. Such three elements are clearly distinguished by using signs or differentiated forms of letters, in the printed versions and the scripts. Also in the case of the scripts of Choson Classical Chinese Drama, it is unproblematic to distinguish among the three elements, however, its movements and dialogues are rich in non-dramatic colors. Descriptive and narrative motion directives and dialogues reflect the literary situation of Choson, where Drama Art was undeveloped. That is, it appears to be a phenomenon caused by the inability to stage the performance. In Baiksanglugi, there are critical remarks mixed in between the textual contexts of the drama. This follows the system of Diliucaizishu Xixiangji of Jin Shengtan, where some of the critical remarks replace the functions of the text and convey the situation of the drama instead. In addition, the author of the general review(總評), which follows after each act, is the also the author of Baiksanglugi. Considering such aspects, it can be assumed that Baiksanglugi's texts and general review are both written by the same author. Through combining its role also as a narrator, the playwright freely goes in and out of the drama and delivers contents of the work to the readers(audience). Therefore, all the Classical Chinese Drama of Choson are basically dramas that presuppose stage performance, but are those which also possess the character of a novel or a storytelling genre that are not staged in reality. Moreover, the harmony of text and critical remarks of the work can be settled in as a new method for creating a piece of work.

      • KCI등재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에 수렴된 하위주체의 욕망과 그 의미

        신상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3

        The Neo-Confucian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hought and life of the people of the time, and this situation worked in the direction of restraining and restricting various human desires. But human needs could not be shrunk in a state of restraint. This is because various desires for sex, power, and affection have been erupting steadi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records of the upper intellectuals did not reveal the lives and voices of these lower classes. In this regard, <Jeolhwagidam (折花奇談)>, <Pouigyojip (布衣交集)>, <Buksanggi (北廂記)>, <Baeksangrugi (百祥樓記)> requires special attention as the desires of sub-subjects are revealed in various ways. Above all, these works vividly portray the state of affection of the time, as the historical events that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rresponded to the time and space within the work, bringing out a more realistic sense. In addition, the sub-subjects who are the characters in the work awaken their reality through the desire for affection to raise certain problems in the irrational reality of life. In the proces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an affectionate setae novel that has completed a narrative composition that is not tied to the Juja-based view of literature. And the emergence of setae novels in which the desires of the sub-subjects converged or expressed in a more realistic sense means that there is a literary class that can represent them. In this regard, the emergence of the 19th century Setae novels could be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creative class of writers and helpers, and this narrative logic of the creative class affirms the desire of the sub-subject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itself as a narrative writer. I tried to confirm.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이념은 당대인들의 사고와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더구나 이런 상황은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고 제약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였다. 하지만 인간의 다양한 욕구는 억제된 상태로 위축되어 있을 수만은 없었다. 성(性)과 애정, 부(富)와 권력에 대한 욕망들은 조선시대에 걸쳐 꾸준히 분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사대부 계층의 기록에 수많은 하위주체들의 생활상과 목소리가 잘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이 점에서 조선후기인 19세기에 애정 관련 세태를 다룬 『절화기담(折花奇談)』, 『포의교집(布衣交集)』, 『북상기(北廂記)』, 『백상루기(百祥樓記)』에는 하위주체들의 욕망이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어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이들 작품은 조선후기의 실재했던 역사적 사건들이 작품 내적 시공간과 조응하여 보다 현실적인 감각을 살려내며 당대의 애정 세태를 실감나게 그려냈다. 뿐만 아니라 작중 인물인 하위주체들은 애정 욕망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각성함으로써 불합리한 생활 현실에 일정한 문제제기를 일으킨다. 본고는 그 과정에서 성리학적 문학관, 혹은 윤리적 관념과는 다른 서사적 구도를 구사한 애정 세태서사의 존재에 주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위주체의 욕망이 보다 현실적인 감각으로 수렴되거나 발현되었던 애정 세태서사의 출현은 이를 대변할 수 있었던 문학 담당층의 존재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 점에서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의 등장이 작가와 조력자라는 창작층의 존재로부터 가능할 수 있었으며, 이들 창작층의 서사적 논리가 하위주체의 욕망을 긍정함과 동시에 자신들 스스로를 서사 작가로 인식함으로써 성립하였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한문학에 있어 <불역쾌재(不亦快哉)>의 변용과 그 의미

        정우봉 ( Woo Bong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金聖嘆 評批本 『西廂記』가 조선후기 문학에 미친 영향 및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서, 김성탄의 <不亦快哉>가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에 의해 어떻게 변용되어 작품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용과정에서 드러난 수용주체의 의식 지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명하였다. 조선후기 문학에 있어 明淸시대의 각종 문헌과 문학작품의 수용과 영향을 다룰 때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의 하나는 타자로부터의 일방적·수동적 수용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주체 나름의 내적 동기, 의식지향, 시대배경의 차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일정한 변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점에 특히 주목하여, 김성탄의 <불역쾌재>를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이 어떻게 변용하여 작품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용과정에 보이는 수용주체의 의식 지향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산 정약용은 한시 형식으로의 변용을 통해 자기 내면의 고뇌와 번민을 강렬한 어조로 표출하였으며, 한문희곡 『백상루기』에서는 김성탄을 충실하게 모방하는 한편 저자 및 그 주변 독자들의 俗化된 미적 취향의 일단을 반영하고 있다. 이옥은 <不亦快哉>의 일부분을 부연하고 확대하는 방식으로 消閑과 遊戱로서의 문학창작의 동기를 밝히는 맥락에서, 그리고 문학의 흥미로운 주제 혹은 모티브로 활용하는 맥락에서 무료함, 권태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이처럼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은 김성탄의 <불역쾌재>를 단순히 모방하거나 답습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자신의 미적 취향과 창작 의도에 맞게 다채롭게 변용하여 작품화하였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ulturation and the meanings of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This paper is basically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Jin Sheng-tan and Korean writers in late Chosun dynasty. The works and writers which selected for comparison is Jeong Yakyong, Baeksangnugi and Lee Ok. I`ve done the comparison in terms of their aesthetic tastes. Jeong Yakyong tried to change prose genre into poetry. And he emphasized his mental agony and release. Baeksangnugi was similar to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But Baeksangnugi tended towards vulgar taste. This point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Baeksangnugi and Romance of the Western Bower. And Lee Ok borrowed the motive of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and put emphasis on hi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s the amusements.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acculturation and the meanings of Bullyeokkwaejae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the difference between writers in Ming-Ching and Chosun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iteratures.

      • KCI등재

        조선후기 한문학에 있어 <不亦快哉>의 변용과 그 의미

        정우봉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4 No.-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ulturation and the meanings of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This paper is basically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Jin Sheng-tan and Korean writers in late Chosun dynasty. The works and writers which selected for comparison is Jeong Yakyong, Baeksangnugi and Lee Ok. I've done the comparison in terms of their aesthetic tastes. Jeong Yakyong tried to change prose genre into poetry. And he emphasized his mental agony and release. Baeksangnugi was similar to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But Baeksangnugi tended towards vulgar taste. This point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Baeksangnugi and Romance of the Western Bower. And Lee Ok borrowed the motive of Bullyeokkwaejae written by Jin Sheng-tan and put emphasis on hi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s the amusements.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acculturation and the meanings of Bullyeokkwaejae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the difference between writers in Ming-Ching and Chosun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iteratures. 이 논문에서는 金聖嘆 評批本 『西廂記』가 조선후기 문학에 미친 영향 및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서, 김성탄의 <不亦快哉>가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에 의해 어떻게 변용되어 작품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용과정에서 드러난 수용주체의 의식 지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명하였다. 조선후기 문학에 있어 明淸시대의 각종 문헌과 문학작품의 수용과 영향을 다룰 때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의 하나는 타자로부터의 일방적 · 수동적 수용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주체 나름의 내적 동기, 의식지향, 시대배경의 차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일정한 변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점에 특히 주목하여, 김성탄의 <불역쾌재>를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이 어떻게 변용하여 작품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용과정에 보이는 수용주체의 의식 지향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산 정약용은 한시 형식으로의 변용을 통해 자기 내면의 고뇌와 번민을 강렬한 어조를 통해 표출하였으며, 한문희곡 『백상루기』에서는 김성탄을 충실하게 모방하는 한편 저자 및 그 주변 독자들의 俗化된 미적 취향의 일단을 반영하고 있다. 이옥은 <不亦快哉>의 일부분을 부연하고 확대하는 방식으로 消閑과 遊戱로서의 문학창작의 동기를 밝히는 맥락에서, 그리고 문학의 흥미로운 주제 혹은 모티브로 활용하는 맥락에서 무료함, 권태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이처럼 조선후기 문인지식인들은 김성탄의 <불역쾌재>를 단순히 모방하거나 답습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자신의 미적 취향과 창작 의도에 맞게 다채롭게 변용하여 작품화하였다.

      • KCI등재

        전근대 동아시아 敍事學의 지평과 한국 고전소설의 위상

        정출헌(Chung, Chul-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우리 고전소설이 중국소설과 부단한 소통과 교섭을 통해 발전·전개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 불가분의 관계는 지금까지 주로 모방 또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져왔다. 실제로 <<수이전>>·<<금오신화>>에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한․중 고전소설의 영향 관계는 전근대 동아시아 문학 창작의 실천에서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어 왔던 用事, 곧 현대적 용어로 바꾸면 패러디의 관점으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량한 중국소설의 문예적 성취를 때론 적실하게 차용하고, 때론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때론 전복적으로 변용하며 소설사를 개척해온 것이다. 그 점은 이른바 소설의 시대라 할 수 있는 17세기를 넘어서면서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명·청대에 창작된 四大奇書를 비롯하여 「西廂記」는 조선후기 소설 작가들에게 있어 하나의 모범적 典範이었고, 그것과 견줄만한 소설을 창작하고자 하는 유력한 動因으로 작용했다. 그리하여 조선후기 최고의 독서 안목을 갖추고 있던 兪晩柱가 “참으로 才情이 특이하고 首尾結搆가 갖추어져 있어 꼭 大作家가 쓴 것과 같은 작품도 많다.”고 증언하고 있듯, 중국소설의 답습이나 아류 수준을 훨씬 벗어날 수 있었다. 朴趾源의 말을 빌면, 法古創新의 경지에 다다랐다 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을 구가하던 그들과 경쟁하던 소설 작가들의 분투, 그리하여 그에 버금갈 만한 작품을 산출하던 우리 고전소설계의 실천은 그에 값하는 정당한 독법 및 객관적 평가의 시각을 확보하지 못했다. 여기에서는 그런 점을 반성적으로 되짚어가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한·중 고전소설의 소통과 교섭을 읽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Korean classic novels are developed and flourished through incessant communication with Chinese classic novels. This close connection is mostly examined in terms of imitation and influence until now. Suijeon and Keumosinhwa are the certain evidence of it. Howev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classic novels should be read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is in modern term, parody that has been considered significantly in the practice of premodern Asian creation of literature. Korean novels had developed through the history of novels by appropriating adequately the literary achievement of outstanding Chinese novels, by embracing critically and transforming subversively. Th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ctively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he so-called, the Age of Novels. Meanwhile Seosanggi including four great classical novels in the Ming, Qing period was single most ideal example among late Joseon writers and worked as influential driving force for Joseon writers to create comparable novels. Thus Yu Man-ju who had the most excellent discerning eye on reading in late Joseon period testified, "Truly it has unique wit and is consistent. There are many great novels like the ones written by masters." These novels broke free from following the old path of imitating Chinese novels. Park Ji-Won quoted that Korean novels emulated Chinese novels and furthermore created new level of novels. Nevertheless the practice of Korean classic novelists and their efforts to compete against world best Chinese novelists at the time and to produce comparable works did not receive objective and justified evalua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necessity to read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of Korean and Chinese novels from a new viewpoint reflecting these research.

      • KCI등재

        전근대 동아시아 敍事學의 지평과 한국 고전소설의 위상 - 韓․中 고전소설의 疏通과 交涉을 읽는 시각의 전환에 대한 제언 -

        정출헌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It is well known that Korean classic novels are developed and flourished through incessant communication with Chinese classic novels. This close connection is mostly examined in terms of imitation and influence until now. Suijeon and Keumosinhwa are the certain evidence of it. Howev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classic novels should be read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is in modern term, parody that has been considered significantly in the practice of premodern Asian creation of literature. Korean novels had developed through the history of novels by appropriating adequately the literary achievement of outstanding Chinese novels, by embracing critically and transforming subversively. Th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ctively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he so-called, the Age of Novels. Meanwhile Seosanggi including four great classical novels in the Ming, Qing period was single most ideal example among late Joseon writers and worked as influential driving force for Joseon writers to create comparable novels. Thus Yu Man-ju who had the most excellent discerning eye on reading in late Joseon period testified, "Truly it has unique wit and is consistent. There are many great novels like the ones written by masters." These novels broke free from following the old path of imitating Chinese novels. Park Ji-Won quoted that Korean novels emulated Chinese novels and furthermore created new level of novels. Nevertheless the practice of Korean classic novelists and their efforts to compete against world best Chinese novelists at the time and to produce comparable works did not receive objective and justified evalua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necessity to read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of Korean and Chinese novels from a new viewpoint reflecting these research. 우리 고전소설이 중국소설과 부단한 소통과 교섭을 통해 발전․전개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 불가분의 관계는 지금까지 주로 모방 또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져왔다. 실제로 <<수이전>>․<<금오신화>>에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한․중 고전소설의 영향 관계는 전근대 동아시아 문학 창작의 실천에서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어 왔던 用事, 곧 현대적 용어로 바꾸면 패러디의 관점으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량한 중국소설의 문예적 성취를 때론 적실하게 차용하고, 때론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때론 전복적으로 변용하며 소설사를 개척해온 것이다. 그 점은 이른바 소설의 시대라 할 수 있는 17세기를 넘어서면서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명․청대에 창작된 四大奇書를 비롯하여 「西廂記」는 조선후기 소설 작가들에게 있어 하나의 모범적 典範이었고, 그것과 견줄만한 소설을 창작하고자 하는 유력한 動因으로 작용했다. 그리하여 조선후기 최고의 독서 안목을 갖추고 있던 兪晩柱가 “참으로 才情이 특이하고 首尾結搆가 갖추어져 있어 꼭 大作家가 쓴 것과 같은 작품도 많다.”고 증언하고 있듯, 중국소설의 답습이나 아류 수준을 훨씬 벗어날 수 있었다. 朴趾源의 말을 빌면, 法古創新의 경지에 다다랐다 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을 구가하던 그들과 경쟁하던 소설 작가들의 분투, 그리하여 그에 버금갈 만한 작품을 산출하던 우리 고전소설계의 실천은 그에 값하는 정당한 독법 및 객관적 평가의 시각을 확보하지 못했다. 여기에서는 그런 점을 반성적으로 되짚어가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한․중 고전소설의 소통과 교섭을 읽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