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에 수렴된 하위주체의 욕망과 그 의미

        신상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3

        The Neo-Confucian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hought and life of the people of the time, and this situation worked in the direction of restraining and restricting various human desires. But human needs could not be shrunk in a state of restraint. This is because various desires for sex, power, and affection have been erupting steadi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records of the upper intellectuals did not reveal the lives and voices of these lower classes. In this regard, <Jeolhwagidam (折花奇談)>, <Pouigyojip (布衣交集)>, <Buksanggi (北廂記)>, <Baeksangrugi (百祥樓記)> requires special attention as the desires of sub-subjects are revealed in various ways. Above all, these works vividly portray the state of affection of the time, as the historical events that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rresponded to the time and space within the work, bringing out a more realistic sense. In addition, the sub-subjects who are the characters in the work awaken their reality through the desire for affection to raise certain problems in the irrational reality of life. In the proces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an affectionate setae novel that has completed a narrative composition that is not tied to the Juja-based view of literature. And the emergence of setae novels in which the desires of the sub-subjects converged or expressed in a more realistic sense means that there is a literary class that can represent them. In this regard, the emergence of the 19th century Setae novels could be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creative class of writers and helpers, and this narrative logic of the creative class affirms the desire of the sub-subject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itself as a narrative writer. I tried to confirm.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이념은 당대인들의 사고와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더구나 이런 상황은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고 제약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였다. 하지만 인간의 다양한 욕구는 억제된 상태로 위축되어 있을 수만은 없었다. 성(性)과 애정, 부(富)와 권력에 대한 욕망들은 조선시대에 걸쳐 꾸준히 분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사대부 계층의 기록에 수많은 하위주체들의 생활상과 목소리가 잘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이 점에서 조선후기인 19세기에 애정 관련 세태를 다룬 『절화기담(折花奇談)』, 『포의교집(布衣交集)』, 『북상기(北廂記)』, 『백상루기(百祥樓記)』에는 하위주체들의 욕망이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어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이들 작품은 조선후기의 실재했던 역사적 사건들이 작품 내적 시공간과 조응하여 보다 현실적인 감각을 살려내며 당대의 애정 세태를 실감나게 그려냈다. 뿐만 아니라 작중 인물인 하위주체들은 애정 욕망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각성함으로써 불합리한 생활 현실에 일정한 문제제기를 일으킨다. 본고는 그 과정에서 성리학적 문학관, 혹은 윤리적 관념과는 다른 서사적 구도를 구사한 애정 세태서사의 존재에 주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위주체의 욕망이 보다 현실적인 감각으로 수렴되거나 발현되었던 애정 세태서사의 출현은 이를 대변할 수 있었던 문학 담당층의 존재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 점에서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의 등장이 작가와 조력자라는 창작층의 존재로부터 가능할 수 있었으며, 이들 창작층의 서사적 논리가 하위주체의 욕망을 긍정함과 동시에 자신들 스스로를 서사 작가로 인식함으로써 성립하였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松溪 申季誠 가계의 밀양 정착과 후대의 추숭과정에 대한 일고찰

        신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1 No.-

        Songgye Shin Gye-seong is often referred to as the 'A respectable friend(畏友)' of the Nammyung Jo-sig. Songgye is a descendant of Chungbonggol, a loyalist of the Goryeo Dynasty, who is based in Pyeongsan, and was born in Sapori Milyang Province, and finished his life as a 64-year-old diary. However, Song 's work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history, or philosophy. However, in the field of history, it is only mentioned for a whil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academic field of the Young-nam area of ​​Joseon and mentioning the academic aspect of the Nammyung Jo-sig. In this regar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osition of Song-gye is not easily overlooked in academia because it is mentioned together with Nammyung, representing a part of Young-nam area. From the geographical viewpoint of society and culture, the area of ​​Miryang was already an agricultural area with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susanje(守山堤) along with Kimje's byeoggolje(碧骨堤) and Jecheon's uilimji(義林池) in the age of Samhan.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Nakdong river, Youngnam Roo, located at the base of Youngnam Highway(嶺南大路), proved to be one of the three major pavilion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uch a regional basis,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such as Songgye, who gains the grandeur of Sarim(士林) following Byeon Gye-lyang and Kim Jong-jig, seems natural at first glance.Nevertheless, the facial features and academic aspects of Songgye do not come to mind as easily as those of Chunjung and Jumphiljae. However, when referring to Dong-go Lee Jun-kyung, and Geum-gye Hwang Jun-lyang, who have been in the prime minister during the Myeongjong period, including Nammyong, I do not think so. It is in the point that Songgye was referred to Nam Myeong, Huang-kang Lee Hee-an, as Yongjungsanggo(嶺中三高).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Song-gye of the later generations from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he Song-gye family in Miryang and seeks to elucidate his status in the Yeongnam area. 松溪先生으로 알려진 申季誠(1499-1562)은 흔히 南冥 曺植의 ‘畏友’로 언급되고는 한다. 송계는 平山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 건국의 충신인 壯節公 申崇謙의 후예로 연산군 5년 밀양 후사포리에서 출생해 명종 17년에 향년 64세의 일기로 삶을 마친 인물이다. 하지만 송계 신계성의 행적은 문학이나 사학, 혹은 철학계에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한 분이다. 다만 사학계에서는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사림 학맥을 고찰하면서, 혹은 남명 조식의 학술적 면모를 언급하는 과정에 잠시 언급되고는 할 뿐이다. 하지만 송계가 영남 지역 사림의 한 부분을 대표하며 남명과 함께 언급된다는 점에서 학계가 간과할 수 없는 인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밀양이라는 지역은 이미 삼한시대에 김제의 벽골제, 제천의 의림지와 함께 수산제와 같은 수리 시설을 갖춘 농경 지역이었다. 또한 낙동강을 이용한 漕運倉의 운영은 물론 嶺南大路의 거점에 놓인 嶺南樓라는 조선3대 누각에 꼽히는 문화적 존재가 증명하듯 주변 지역과의 관계망을 갖춘 경제의 중심으로서 근대 전환의 시점까지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春亭 卞季良(1369-1430)과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뒤를 이어 사림의 중망을 얻은 송계와 같은 인물의 등장이 일견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송계 신계성의 면모와 학적 형상은 춘정과 점필재에 비해 그리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남명을 비롯해 명종 때 領相을 지낸 東皐 李浚慶, 錦溪 黃俊良 등의 언급을 볼 때 영남 사림의 한 부분인 송계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송계가 남명, 黃江 李希顔과 세상에서 嶺中三高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송계 가문의 밀양 정착 과정으로부터 후대인들의 송계 추숭 과정을 살펴 그의 영남지역에서의 위상을 엿보고자 한다.

      • KCI등재

        梧潭 權必稱의 삶과 학문 자세

        신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4 No.-

        The Salim faction’s academic genealogy and solidarity based on the theory of the Neo-Confucianism begins its historic move with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se, often referred to as "new generation," are the prelude to the history of Joseon study and politics, starting with Gil-jae, who succeeded Chung Mong-ju, and then linking Kim Sook-ja to her son Kim Jong-jik. Later, in the Yeongnam region, the name of Nammyeong(南冥), along with Toegye(退溪), was recognized as the height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ir activities, Gyeongsangbuk-do Province’s abdicatio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man-in-law are characterized by their claims of ‘仁’ and ‘義.’ If Toegye focused on the completion of etiquettes that embodied 仁 as an academic posture, Nammyeong Joesik has a strong practical aspect to restore courtesy through self-discipline. Such strong practicality was the predecessor of the junior scholars and was able to succeed in the academic world despite the success of the literary world, which gained a great deal of success, and the depression that led to the fall of King Jeongjo (1796).This paper wanted to confirm its academic origin through the life of the family of Ohdam Kwon Pil-ching, a member of the family Ahn Dong-kwon, a step which is understood to be a figure of the 18th century Nammyeongs. Since his family settled in marriage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his family has been able to secure a firm foothold in the region, as the fifth generation of his brothers, Kwon Pil-ching, passed the liberal arts department. However, the Andong Gwon famil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started to produce students who were not liberal arts in the 18th century, and Kwon Pil-ching is a case in point. However, he visited the pub when he was 34 years old, and went to see the pub when he was 52 years old and became a literary writer. In addition, when Kwon was 51 years old, he prepared a jjamppong in his hometown of Neptune and concentrated on nurturing his students by reading books and writing books. In particular, he worked hard to encourage the bereaved families of his former government employees to study abroad through a field of white paper. And he himself was devouring 『小學』, 『周易』, 『性理大全』 and 『中庸』, emphasizing 修身’s attitude of life, which focuses on ‘誠’ and ‘敬’. It is intensively described in his later work, 『The record of every thought in one’s mind(隨思輒錄)』.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cademic traces of the mental training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man-made farming are remaining in the family of Ahn Dong-kwon, an 18th-century local. 성리학을 사상적 토대로 삼은 사림파의 학문적 계보와 연대는 조선왕조의 건국과 함께 역사적 행보를 시작한다. 鄭夢周, 吉再로부터 江湖 金叔滋와 그 아들 佔畢齋 金宗直으로 이어지는 조선 유학사와 정치사의 서막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후 星湖 李瀷은 退溪와 함께 단연 南冥 曺植을 영남지역의 학자로 지목하며 문명의 극치를 이룬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두 학자의 활동 지역에 따라 上道의 퇴계와 下道의 남명은 각각 ‘仁’과 ‘義’를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이 드러난다. 퇴계가 학적 자세로서의 仁을 구현한 예악의 완성에 집중하였다면, 남명은 ‘敬以直內 義以方外’로 대표되는 克己復禮를 통한 ‘內聖外王’의 목표에 집중한 실천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남명의 강한 실천성은 후학들의 전범이 되었다. 來庵 鄭仁弘이 이룩한 학파의 흥성했던 시기는 물론이거니와 戊申亂(1728)을 거쳐 정조의 賜祭文(1796)이 내리기 이전까지의 침체기에도 학맥을 유지하던 원동력이 되었다. 본고는 18세기 남명학파의 인물로 이해되는 丹溪 지역 안동 권씨 가문의 梧潭 權必稱의 학파적 연원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의 집안은 15세기 중반 丹城縣에 혼인 관계로 정착한 이후 權潗·權濬 형제와 권필칭의 5세조 權濤가 문과에 합격해 ‘三權’으로 불리면서 지역적 기반을 확고하게 잡았다. 그런데 18세기 무렵부터 단계 지역 안동 권씨 가문은 문과가 아닌 무과급제자를 배출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특색을 지닌다. 그리고 권필칭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 그렇지만 그는 34세 때 櫟泉 宋明欽을 방문하였으며, 52세 때 渼湖 金元行을 찾아가 문인록에도 올랐을 정도로 학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권필칭은 51세 때 고향인 三嘉에 梧潭精舍를 마련해 독서와 講學의 터전을 삼아 후학 양성에 매진하였다. 특히 자신이 관직 생활을 하던 지역에서 유생들을 교육하고 백일장 등을 시행해 유학의 권면에 힘썼다. 그리고 그는 『소학』, 『주역』, 『성리대전』, 『중용』을 탐독하며 ‘誠’과 ‘敬’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실천 자세를 중시하는 修身의 생활 태도를 강조하였다. 이는 그의 만년 저작인 「隨思輒錄」에 집중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를 통해 남명 조식의 심적 수양과 실천적 면모의 학문적 흔적이 18세기 단계 지역 안동 권씨 가문에 잔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inuolinea capsularis (Myxosporea: Sinuolineidae) Isolated from Urinary Bladder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신상필,진창남,손한창,이제희 대한기생충학ㆍ열대의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Vol.57 No.2

        Sinuolinea capsularis Davis, 1917 is myxosporean that infect the urinary system of the host fish. Insufficient mor- 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of S. capsularis exits, and it is therefore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parasite. We tried a seri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o identify an myxosporean isolated from urinary blad- der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Jeju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Some of them were ob- 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nd SEM, and remain samples were used molecular and phylogenetic analysis. Mature spores were subspherical, measuring 13.9±0.6 μm in length and 13.8±0.8 μm in width. Two spherical polar capsules on opposite sides in the middle of the spore had a diameter range of 4.3±0.4 μ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spores a severely twisted the suture line. By the morphological comparison and analysis, it was identified as S. capsu- laris. In addition, we obtained the partial 18S rDNA of S. capsularis and first registered it in NCBI.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S. capsularis clustered with Zschokkella subclade infecting the urinary system of marine fish, and it supported the infection site tropism effect on phylogeny of marine myxosporeans as well as the origin of Sinuolinea is not monophyly.

      • KCI등재

        조선시대 중국 서사의 수용 양상과상인 애정관의 면모

        신상필 근역한문학회 201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4 No.-

        The tradition of Korean epic literature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eriod from the lately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rough the romance novel(傳奇小說). However, in the history of Korean epic literature, it is not easy to meet a work that expresses the merchant's appearance and voice. However,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erchant's image. This paper wants to look at the epic literature related to merchants scatte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especially the epic literature related to merchants, the relevant aspects of Chinese epic literature are identified. In this regard, it seeks to find the aspect and meaning of merchant figures housed in Korean epic literature, which is in the influence of Chinese epic literature.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the <Kumoshinhwa(金鰲新話)>'s <Quyububyeokjeonggi(醉遊浮碧亭記)>, which accommodates <Jundeongshinhwa (剪燈新話)>, will check the status of the company's ascending to Pyongyang and its narrative composition. In the mid-Joseon period, the epic literature represented by <Jangheunggajunghoejinjusam(蔣興哥重會珍珠衫)> by Feng Mong-ryong(馮夢龍) of China is compared with <Au Ya-dam(於于野談)>'s <Dae-yeong(大慾)>, which is an oral version. Through this process, it was able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merchant's pursuit of lust, which were accepted during the mid-Joseon period. He also looked at the understanding and positive aspects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women in a Chinese-language short novel(漢文短篇) about the process of accumulating wealth embodied in Yadam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Lastly, it sheds light on the changes in commercial perception in the aspects of merchants who were housed in epic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language short stories that translated “Jinjusam” again. 한국 서사문학의 전통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이르는 시기에 傳奇라는 양식을 통해 그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이후 전개된 한국 서사문학사에서는 상인의 모습과 목소리를 표출한 작품을 만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상인이 형상화된 작품이 전무한 것도 아니다. 본고는 조선시대에 산견되는 상인 관련 서사문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유독 상인 관련 서사문학은 중국 서사문학과의 관련 양상이 확인된다. 이 점에서 중국 서사문학과의 영향 관계에 있는 한국 서사문학에 수용된 상인 형상의 면모와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조선전기의 경우 <剪燈新話>를 수용한 <金鰲新話>의 「醉遊浮碧亭記」를 통해 개성상인의 상행위와 서사적 구성 양상을 확인할 것이다. 조선중기의 경우 중국 馮夢龍의 「蔣興哥重會珍珠衫」으로 대표되는 서사문학을 구전으로 수용한 <於于野談>의 「大慾」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利慾에 끌린 상인의 情慾 추구 과정이 조선중기 일상에서 용인되었던 사회경제적 면모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선후기 野談에 구현된 致富 과정을 다룬 漢文短篇을 통해 상업에 투신한 이들의 부부애, 그리고 상인들의 여성에 대한 이해와 긍정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다시 「진주삼」을 번안, 번역한 한문단편들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후기 서사문학에 수용된 상인의 면모에서 그 사이 변환된 상업 인식의 양상을 조명하였다.

      • KCI등재

        한국 한문고전서사 작품의 존재와 번역의 제문제

        신상필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grew by sharing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Kim Si-seup the 15th century university symbolize the dawn of a narrative open <Geumo Sinhwa> peaking at ‘Chuan-qi’(傳奇) form is a typical case. However, Han-documentary styles such as ‘mongyurok’(夢遊錄), ‘an unofficial version of historical tale’(野談), and ‘the novel of the bedchamber’(閨房小說), which began to appear afterwards, are themselves achievements made in our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However, as such epic literature is recorded in Chines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rite of passage called translation.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many issues to consider in the translation process as the way Han- documentary literature exists is different from ordinary literary works. First of all, there are a lot of e-books of individual works. Yvonne each has the same differences as misalignment, elimination, abbreviation, and extra pl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best version prior to the translation, and based on this, the process of regularizing through a communion needs to be carried out. The following is the question of how far to recognize the boundaries of epic literature. Yadam, which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case in point. This is because while Yadam has a collection of works that are highly epic, only some of them are recognized as epic. There is also the question of how to distinguish between works that tend to be novelized and those that exist on the boundary that are not. Lastly, there are many epic literature works that individual researchers and publishers have already translated. With regard to the essay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 quite a number of classical epic literature have been translated, and there are a lot of translated works in the interest of individual researchers. There are also cases where a piece has different styles and translations as it is repeatedly translated.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translating works of Korean Chinese classic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of Classical Translation is needed, among other If a central institution is established to translate the Chinese classics, we hope that the translation project with consistent policies and long-term prospects can proceed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aforementioned issues. 한국 고전서사문학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영향 아래 그 양식적 특징을 공유하며 성장하였다. 서사문학사의 서막을 열어 15세기 김시습의 金鰲新話 로 정점을 이룬 傳奇 양식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夢遊錄, 野談, 閨房小說과 같은 한문서사양식은 그 자체로 우리의 고유한 생활의식과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룬 성과이다. 그럼에도 이와 같은 서사문학들은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어 번역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칠 필요가 있다. 문제는 한문서사문학의 존재 양상이 일반 문집들과는 달라 번역 과정에 고려해야 할 사안들이 많다는 것이다. 먼저 개별 작품들의 이본이 많다는 점이다. 이본들은 저마다 오탈자, 탈락, 축약, 부연, 개작과 같은 상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번역에 앞서 善本을 선정해야만 하며, 이를 기준으로 삼은 교감과 정본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은 서사문학의 경계를 어디까지 인정하느냐의 문제이다. 조선후기 등장한 야담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야담에는 서사성이 강한 작품집이 있는 반면, 일부 작품에만 서사성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물전의 경우에도 燕巖 朴趾源의 ‘九傳’과 같이 소설화 경향이 강한 작품과 경향성이 약해 그 경계선에 존재하는 작품들을 어떻게 구분하느냐는 문제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 개별 연구자들과 출판사들이 번역한 한문고전서사 작품들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현재 대학 입학시험의 논술과 관련하여 수많은 고전서사문학이 번역 소개되었고, 개별 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번역된 작품들이 상당하다. 또한 하나의 작품이 반복적으로 번역되면서 서로 상이한 문체와 번역 내용을 갖는 경우들 역시 국가 차원의 번역사업에는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하고는 한다. 이와 같은 한국 한문고전서사 작품의 번역에 관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고전번역원과 같이 장기적인 기획 속에 번역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담당 기관이 필요하다. 한문고전서사를 번역하기 위한 중심 기관이 마련된다면 앞서 언급한 문제들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된 정책과 장기적 전망을 갖는 번역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Infection of Enteromyxum leei in cultured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신상필,이제희 한국수산과학회 2023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26 No.3

        Enteromyxum leei has been identified as the causative agent of emaciation disease in a wide range of marine fish host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arasitic infection of Enteromyxum species on starry flounder that were cultured in aquaculture farms of Jeju island in Korea. As the mort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ecause of E. leei infection increased, some fish farms on Jeju island attempted to culture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s an alternative. Myxosporeans with a developmental stage similar to E. leei were found in the intestines of cultured starry flounders. The partial 18S rDNA of myxosporeans showed 100% similarity with E. leei. To reveal the effect of E. leei infection on starry flounder, the intensity of E. leei infection measured using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the condition factor (CF) of fish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high-intensity E. leei inf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F of the starry flounder. However, the pathogenicity of E. leei to starry flounder is low, considering its mortality and clinical signs.

      • KCI등재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그 시대적 재편 양상--김동인의 『야담(野談)』을 중심으로-

        신상필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5 No.-

        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the genre of yadam (野談) holds a unique position. Having developed during the Joseon period, yadam was established as a literary form through works like Yongjaechonghwa(慵齋叢話), which expressed interest in the lower class, and Eouyadam(於于野談), which focused on human desires. As it gained momentum from popular folklore in the late Joseon era, yadam formed its own tradition. This tradition underwent a transition and reorganiz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era through the emergence of media and publishing companies in the 20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Kim Dong-in, who was both a writer and operator of the monthly yadam magazine called Wolgan Yadam, to explore the status of modern yadam that he envisioned. In particular, he planned and provided materials such as "So-hanrok"(消閒錄), "Saekjimyeon"(色紙面), and "Ilsa Pyeonpyeon"(逸史片片)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hobbies of general readers as part of his efforts to elevate yadam as a literary genre. This emphasis on 'authenticity' in yadam writing can be observe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created a learning space for literature within a specialized yadam magazine to foster readership and nurture literary education. For instance, in the issues 33 to 36 (May to August 1932) of Donggwang (東光), Kim Dong-in serialized The Rebirth of Nongae(論介의 還生), which aimed to satirize the society of that time by resurrecting Nongae, who embraced a Japanese general during the Imjin War and died. Although it couldn't be completed due to Japanese censorship, Kim Dong-in's activities as a yadam writer and editor reflect his attempt to establish his literary position amidst the tension with the colonial reality. Through the planning of the magazine Yadam, he sought to reconstruct traditional yadam from the previous era and lay the foundation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 서사문학사의 전통 속에서 야담(野談) 양식은 매우 독특한 지위를 갖는다. 조선전기에 형식을 완성한 필기(筆記) 문학이 이후 하층민에 대한 관심을 보인 용재총화(慵齋叢話) 와 인간 이욕에 주목한 어우야담(於于野談) 을 거쳐 조선후기에 이르러 민간의 서사로부터 동력을 확보함으로써 야담의 전통을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형성된 야담의 전통은 이후 20세기를 거치며 근대의 언론매체와 출판사를 통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한 전환과 재편을 시도하였다. 본고는 야담 전문잡지를 표방한 월간야담 과 야담 의 작가이자 운영자였던 김동인의 사례를 통해 그가 기획했던 근대 야담의 위상을 확인해 보았다. 그는 특히 잡지 야담 을 운영하면서 신문예로서의 야담에 대한 일반 독자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소한록(消閒錄)>, <색지면(色紙面)>, <일사편편(逸史片片)> 등을 기획해 독자들의 지식과 취미의 자료로 제공하였다. 이는 그가 야담의 저술에 ‘고증’을 특히 강조하고 있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야담을 통한 독자대중의 양성을 위해 문예의 학습장을 야담 전문잡지에 마련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광(東光) 33~36호(1932.5~8.)에 연재한 <논개(論介)의 환생(還生)>의 경우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끌어안고 죽음을 맞이한 논개를 일제 강점기에 환생시켜 당대 사회를 풍자하고자 했던 경우가 그러하다. 일제의 검열로 인해 비록 완결하지는 못하였으나 김동인의 야담 작가와 편집자로서의 행보는 식민지 현실과의 긴장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위치를 잡고자 한 듯하다. 식민지시기의 김동인은 그 자신이 탐미주의와 예술지상주의를 선택했던 작가적 한계와 함께 한편으론 잡지 야담 을 통해 전통시기 야담을 근대에 재편하는 기획을 통해 근대 한국 문학의 기초를 마련하려던 노력도 기울였던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20세기 전반 근대 야담의 존재는 그 양적 존재만큼이나 다양한 스펙트럼과 위상의 차이가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기에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의 현실 속에서 하층민들의 의식과 삶을 문학적으로 정착시킨 민중의 역사로서의 야담이 근대 언론매체로의 전환과 정착 과정에서 어떠하였는지가 ‘야담의 근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어야 함을 새삼 제기해 본 것이다.

      • KCI등재

        15, 16세기 필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내면과 자의식

        신상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ay more attention to female characters among the characters of Pilgi and Yadam that many previous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ubject will be focused on the handwriting of Joseon Dynasty, and will limit the discussion with 「eouyadam(於于野談)」, who announced the beginning of the stor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ere socioeconomic conditions developed, Pilgi and Yadam are fascinating in that they provide various types of figures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of narrative. However, it is to be noted that the vivid characters of women can be identified in the Pilgi and Yada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the center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writer is interested in his colleagues through the stylistic frame of literature in that he basically records the interest of the bureaucrats and the bureaucrats, the swordsmen of the monks.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note the fact that they have captured the unique characters around them. At this time, though it is rare, human groups of various orders reveal their faces and voices, and the presence of women, one of the strata that have not been noticed in society, sometimes appears as if they are rubbed. And when we look at the stylistic frame of writing, these women's aspects show the voices of self awareness and practical behavior as the lower layer of the oil society, and we will pay attention to the sub–subject. Of course, these female subordinate subjects have come to the record to ring the men and women of Confucian society. Nevertheless, on the other side of the record, the voice of "affirmation for human lust" of female subordinate subjects is intact. In fact, the issue of lust is shared by men and women, but differences in degree are subject to social sanctions, and especially emphasized by women. But we have a duty to cherish our voices to survive in such emphasis, coercion, and the social structure of our exaltation. In the aftermath of this social wave, I would like to discover the logic and voice of the interesting transformational ideas of female sub-subjects. 본고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였던 필기의 인물들 가운데 15, 16세기의 여성 인물에 다시 관심을 가져보고자 한다. 조선전기의 필기집을 중심으로 살피면서, 야담의 서막을 열었으나 아직 필기적 성향이 강한 『어우야담』을 대상으로 논의를 한정할 것이다. 사회경제적 조건이 발달한 조선후기의 경우 필기와 야담은 서사성의 강화와 함께 다양한 인물유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혹적이다. 하지만 15, 16세기가 중심인 조선전기의 필기 양식에서도 생생한 여성 인물들의 모습과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특기하고자 한다. 필기는 기본적으로 사대부라는 문인지식층이자 관료들의 관심사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그 양식적 프레임을 통해 자신의 동료들에 주목하였다. 이는 남성의 시각과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때 그들 주변의 독특한 인물들을 포착한 사실에 유의하려 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다양한 인물들이 얼굴과 목소리를 드러내며,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던 여성의 존재도 등장하기 때문이다. 다만 필기의 양식적 프레임을 걷어내고 볼 때, 유가 사회의 하층이었던 여성의 목소리와 행동이 비로소 드러난다. 물론 이들 여성 하위주체들은 유교 사회의 남녀에게 경종을 울리고자 기록에 오른 것이다. 그럼에도 그 기록의 한편에는 여성 하위주체들의 ‘인간 정욕에 대한 긍정’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사실 정욕의 문제는 남녀가 공유하는 것이고, 다만 정도의 차이가 사회의 제재를 받는 것이며 하필 여성에게 특별하게 강조되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그러한 강조와 강압, 그리고 회유의 사회적 구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그만 목소리와 모습들을 소중하게 보듬어 갈무리할 의무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울어진 사회적 구조 속에서 하위주체였던 여성들이 흥미로운 전환적 발상의 논리와 목소리를 통해 상층 필기 양식에 틈입하여 균열을 내는 장면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