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광장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동서양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 중심으로-

        황건화,임선희,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공공공간과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이 때, 공공성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해석이 다르므로 광장의 공공적 특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더욱 포괄적인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동서양의 공공성에 대한 관점을 종합하여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서양의 공공성 개념 및 공간구성 방법론과 광장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 동서양 공공성의 철학적 개념과 동서양의 공간구성 방법론을 분석해 동서양 광장의 공공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을 대상으로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별 점수를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의 공공성 적합도는 강함~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공성 평가항목별 적합도는 공간인지에서 매우강함~강함, 공간구성에서 강함, 공간사용에서 강함~보통, 공간참여에서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공성 평가 세부항목별 적합도는 맥락성에서 매우강함~강함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편리성에서 보통 수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별 종합점수의 순위를 살펴보았을 때 B(공간인지) > C(공간구성) > D(공간사용) > A(공간참여)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가 제시하는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은 공간참여, 공간인지, 공간구성, 공간사용 총 4가지 항목이며, 세부항목은 참여성, 개방성, 맥락성, 정체성, 접근성, 연계성, 가변성, 편리성, 쾌적성, 점유성 총 10가지 항목이다. 광장 조성 시 공공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의지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참여 보장과 의식 고취 등의 방법으로 시민의 공간참여를 강화해야 하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공간 설계 및 필수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향후 광장의 공공성 평가지표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 사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과 관련된 연구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 LCA 기법을 적용할 제품의 우선순위 선정 방법론

        신동희,권은선,문승식,김만영,정종연,허진호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04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정한 논리적 절차를 거쳐서 객관적인 전과정평가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론의 개발이다. 우선 전과정평가 대상이 되는 제품(산업군)의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해서 제품의 환경성과 관련된 환경규제, 국내외 전과정평가 수행사례, 유해물질 등을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평가항목들에 대한 자료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세분화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으며, 또한 학계 및 산업계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전과정평가 전문가 및 산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평가항목 및 세부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부여하였고, 각 평가항목별로 점수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은 우선순위를 비교해야하는 제품(산업군)들이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설정해놓은 해당 점수를 부여받게 된다. 부여받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들을 모두 합산하면 평가대상이 되는 제품(산업군)에 대해 하나의 우선순위 평가 점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방법론이 구축되었으며, 사례연구를 통하여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우선순위 평가점수를 평가하고자하는 제품(산업군)들과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갖는 제품(산업군)이 전과정평가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method to decide the priority of LCA application through a logical procedure. First of all, evaluation categories were developed to decide priority of subject products(industrial groups). The evaluation categories consist of environment regulations related to subject product, LCA case studies, hazardous substances, etc. The subdivided database was constructed through research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evaluation categorie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opinions from academic and industrial circl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each evaluation category and sub-evaluation category were weighed differently, and certain points were assigned to them. According to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omparing industrial groups or products for prioriting will have its total score that is a sum of points assigned to each evaluation category. This results that an industrial group or product having higher score than the others becomes the subject to apply LCA.

      • KCI등재

        온톨로지 품질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추출에 관한 연구

        김성훈,오삼균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2

        The focus of traditional evaluations of ontologies is largely performance-based. A comparison of a new ontology with well-established ones, testing of ontologies in different applications, as well as any judgment of an ontology’s appropriateness and relatedness to source data heavily rely on what results that ontology seems to manifest.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s an attempt to evaluate the quality of a particular ontology as manifested by its structure, representation, and interoperability. To that end, major categories of quality evaluations were first identified through an extensive survey of literature. Evaluation questions were formulated from these categories using the Delphi method and were validated by ontology experts. The entire process produced a set of 53 evaluation questions, which was then employed to test the quality of a newly-developed smartphone ontology. 온톨로지의 평가는 잘 구축된 기존 온톨로지와 비교하는 방법, 활용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보는 방법, 원천데이터와의 적합성․관련성을 판단해보는 방법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온톨로지를 통해 얻게 된 결과에 치중되어 온톨로지의 체계, 의미표현, 상호운용성과 같은 내재적인 영역의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온톨로지 전문가를 통해 온톨로지 품질평가를 위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온톨로지의 내재적 평가를 위한 범주를 추출하였고, 각 범주에 대한 평가항목을 델파이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에게 수집한 뒤, 수집된 평가항목을 재검증하였다. 그 결과, 처음 수집된 70개의 평가 항목에서 최종적으로 53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수집된 평가항목을 온톨로지 평가에 활용하여 봄으로써 평가항목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 KCI등재

        환경영향평가서 내 건강영향 항목 추가 · 평가의 방법론적 현황과 개선

        하종식 ( Jongsik H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6

        환경영향평가서 내 건강영향 항목 추가·평가는 특정 개발사업에 한하여 위생·공중보건 항목에 작성되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2011년 건강영향 항목 추가·평가 관련한 평가 매뉴얼이 발간된 이후에 부분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법론의 구체화 및 개선방안 마련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기술논문은 평가 매뉴얼의 방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협의의견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개선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그간 연구내용을 고찰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제시하였다. 개선요구 사항으로는 저감방안, 사후관리, 영향예측, 평가, 현황조사 순서로 관련한 내용들이 전체 개발사업의 평가서에서 각각 93%, 85%, 80%, 74%, 67% 빈도로 제시되었다. 특히 저감방안 관련한 세부적인 개선 요구 사항은 저감방안의 수립방향 설정과 금회 개발사업의 관리방안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현행 평가 매뉴얼 및 개선 요구사항의 빈도를 고려하여 위생·공중보건 항목의 구분별 주요 방법론에 대한 구체화 또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현행 평가 매뉴얼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사업시행여부 관련한 종합적인 평가 방법론도 제안하였다. The addition and evaluation of health impact item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cument are written in hygiene and public health items only for specific development projects and are being reviewed. Howeve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valuation manual on the addition and evaluation of health impact items in 2011, there is a demand for continuous methodology and improvement plans despite partial improve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pose a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manual, this technical paper identified detailed improvement requirements based on the consultation opinions on hygiene and public health items, and investigated and suggested ways to solve this problem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so far. As for the improvement requirements, the contents related to mitigation plan, post management, effect prediction, assessment, and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were presente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cuments for the entire development project at a frequency of 93%, 85%, 80%, 74%, and 67%, respectively. Particularly, the detailed improvement requirements related to mitigation plan consisted of an establishment direction and a management of development project. Considering the current evaluation manual and the frequency of improvement requirements, this paper proposed concrete methods or improvement plans for major methodologies for each classification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items. Furthermore, a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ology related to whether a project is implemented was proposed, which is not provided in the current assessment manual.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평가방법과 실태 연구

        김병길 ( Byoung Gill Kim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이 글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평가의 의미와 그 측정 대상으로서 글쓰기 능력에 관한 이해를 첫 번째 논의 과제로 다루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현재 대학 글쓰기 강좌의 평가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평가방법의 개발과정에 참조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글쓰기 관련 강좌들의 강의계획서 평가 항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평가범주 혹은 평가항목이 파편적으로 나열되어 있어 평가방법으로서의 유기적인 연결성과 일관성이 부족하다. 둘째, 글쓰기 과목으로서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평가 기준이 부재하다. 셋째, 평가 기준이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 학습자가 평가 기준을 인지하기 쉽지 않다. 넷째, 평가방법과 평가방식의 구분이 모호하다. 다섯째, 평가 결과가 이후 학습에 어떻게 피드백되고 활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가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평가 대상으로서 대학 글쓰기 능력에 요구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우선적으로 전제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의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과 평가방식을 도출해내야 할 것이다. As a first task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blem of assessment meaning and writing abilit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help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assessment related with courses in Korean college writing. By using this result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references for developing advanced assessment methods. That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categories or items for assessment were not presented logically, socoherence and connectivity among them were not noticed as a assessment method. Second, there were not standards reflecting sufficiently the qualities of a writing subject. Third,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assessment standards which are extremely abstract. Forth, the distinction between method and test for assessment is vague. Fifth, it is almost impossible for students to understand how assessment results are fed into following study. To improve this assessment situation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needed preferentially to research what writing abilities are and the assessment methods and tests which can estimate exactly them should be deduced from it.

      • KCI등재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야생동물이동통로의 기능개선을 위한 평가항목 분석

        이진영 ( Jin Young Lee ),노백호 ( Paik Ho Rho ),이장원 ( Jang W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서식지 파편화로 발생하는 야생동물과 차량과의 충돌사고(이하 `로드킬`)를 방지하기 위해 2000년대 후반부터 야생 동물이동통로가 활발하게 설치되었으나 로드킬 발생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있어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실효성 분석이 필요하며, 설치 이후 단편화된 유지관리로 인해 야생동물이동통로에 대한 평가 및 기능개선을 위한 관리기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방향 및 관리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설치·운영되고 있는 367개 이동통로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항목과 항목별 중요도를 AHP 기법에 의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평가항목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총 l0개 평가항목이 도출되었다.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을 목표(Level 1)로 시설인자, 환경인자, 동물인자, 관리인자로 구성된 Level 2의 중요도 분석에서는 환경인자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Level 3에서는 구조 적합성(시설인자), 주변지형과의 조화(환경인자), 야생동물 이용빈도(동물인자), 모니터링 기기 운영여부(관리인자)가 중요 평가항목으로 조사되었다. 즉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주변지형과의 조화와 야생동물 이용빈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야생동물이동통로의 유지관리 방향 및 각 이동통로의 정비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평가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rapid increase of wildlife passage installation since the late 2000s was aimed to reduce roadkill caused by habitat fragmentation and losses related to road construction, but wildlife-vehicle collisions are now still occurred even near the wildlife passage area. This is the reason that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 passage have not been evaluated in combination with absence of monitoring data and management strategy of the wildlife passage. The AHP method are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evaluati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367 wildlife passages in a mitigation measures to reduce road effects on wildlife species. Ten evaluation factors are derived from third levels in the AHP analysis. Priority setting to identify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in first level is selected among four second levels on facility, environment, wildlife species and management tool. The AHP analysis suggested that neighboring environm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at the second level, and passage structure, harmony with natural surroundings, wildlife occurrence and monitoring of the passage are also important factors at the third levels. In summary, effective measurements of wildlife passage management is based on managing the passage with neighboring topography and natural surrounding. This is useful to establish wildlife passage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roads on wildlife species.

      • KCI등재

        항만물류 구성요소의 평가에 관한 연구

        여기태(Gitae Yeo),정현재(Hyunjae Jung),김재영(Jaeyoung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경우 중국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몰동량 처리실적에서 순위를 내주면서 항만물류 경쟁력 자체에 심각한 우려를 받고 있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마련이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항만물류의 내부 및 외부 요구 항목들을 파악하고 이들 항목의 중요도 가중치 및 순위를 파악하여 개선의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항만물류를 좀 더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물류를 구성하는 내·외부 요구항목들의 중요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내부 구성요소들 중에서는 보관 및 하역시스템(0.288)의 중요도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항만물류정보시스템(0.210), 내륙연계시스템(0.189), 선박 입출항 시스템(0.184), 선박 접이안 시스템(0.129)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부 요구 항목들 중에서는 물류관련비용(0.366)의 중요도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비스여건(0.128), 지역적 연계성(0.1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2007년과 2011년에 항만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가중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연도별 가중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부 구성요소의 경우 2007년에는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부 요구항목의 경우 물류관련비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지역적 중심성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2007년과 2011년에 항만물류의 환경이 변화됨에 따른 결과라 판단된다. Recently, the rankings of Korean container ports in terms of container handling cargo volume were plunged down due to the emerging Chinese ports. The efficient container ports strategies which increase container port competitiveness were requested. In this respect, it is urgently required to draw out constituent factors for Port Logistics, weigh these factors, and finally focus on improving the suggested fact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weight and priority values for ‘inner consisted factors’ and ‘outer requested factors’ of port logistics by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s for the analysis regarding the inner consisted factors,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a storage and handling system (0.288) as the first rank; an information system of port logistics (0.210) as the second rank: an inland intermodal system (0.189) as the third rank: a ship’s entering and departuring system (0.184) as the fourth rank, and a ship’s berthing system (0.129) as the fifth rank. In terms of analysis regarding outer requested factor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a logistics cost (0.360) as the first rank; a port service (0.128) as the second rank; a connectivity (0.118) as the third rank: a hinterland condition (O,116) as the fourth rank; an convenience (0. 106) as the fifth rank: a regional center (0.095) as the sixth rank, and an availability (0,077) as the seventh rank. For analyzing the priorities changes in constituent factors, the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year 2007 and the year 2011 was done. As the results,. among inner consisted factors. ‘information system of port logistics’ was ranked first in the year 2007 while ‘a storage and handling system’ becam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year 2011. Among the inner consisted factors. however, the logistics cost was the important factor in 2007 and 2011, respectively.

      • KCI등재

        일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항목의 변화 연구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오기노신사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3 국어교육연구 Vol.51 No.-

        This study explores change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in learning items i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by comparing the number, and method of suggestion and explanation of elementary level’s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wo types of Korean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umber of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included in the latest textbooks have decreased owing to the simplification of learning items; relatedly, these newer textbooks suggest one or few parts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or suggest a postpositinal particle that has its own meaning and function by priority. In addition, postpositional particles that native Japanese learners can learn through the knowledge of Japanese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seldom explained in detail, forcing learners to self-learn the character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to become bigger. However, explanations for grammatic error prevention have increased and diversified. 이 연구는 최근에 채택 수가 가장 많은 한국어 교재와 2000년대 초반에 채택 수가 가장 많았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초급 수준의 조사를 중심으로 항목 수, 제시 및 설명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일본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항목의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비교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조사 항목 수가 평균 20개에서 18개로 2개 줄어들었으며, 특히 ‘하고’, ‘께서’, ‘에게서’, ‘한테서’의 제시 여부와 크게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하나의 조사에 두 가지 이상 의미·기능이 존재할 때 다른 조사와 의미·기능이 중복 제시되지 않도록 조사마다 의미·기능을 뚜렷이 구분하여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히 ‘(으)로’와 ‘에’가 방향의 의미·기능을 공유하는데 해당 의미·기능으로 ‘에’만 제시되는 양상에 뚜렷이 보였다. 다음으로 설명 방법과 관련하여 첫째, 문법 기능보다 의미가 중요한 보조사를 중심으로 조사의 품사를 밝히지 않고 하나의 표현으로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본인 학습자가 모어인 일본어 조사의 지식을 통해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조사를 중심으로 설명을 대폭 생략하여 조사 학습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의 간소화와 반대로 일본인 학습자가 범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류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고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방언조사방법론의 어제와 오늘

        임석규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토박이말은 현재 수없는 오염인자 속에 노출되어 있다. 상황이 어려울수록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다. 조사방법에 따라 연구의 성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방언조사방법론을 더듬어 보면서 몇 가지를 재차 강조한다. 첫째, 방언학의 어떤 하위 주제든 조사항목의 선정이 보다 정밀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대가 바뀐 만큼 70대 제보자에게서도 뚜렷한 방언적 특징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건강하면서도 연령대가 보다 높은 제보자를 찾아야 한다. 셋째, 방언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이른바 억양에 대한 조사방법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