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聲調 方言의 非語頭 長音에 관한 問題 -만두소:(LLR), 그래:도(LRH) ; 아랫마:(LLF), 바래:고(LFL) 유형-

        임석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Generally, an intonation existing in the eastern parts of Korea such as Geongsang, Hangyung and Yeongdong provinces plays an important role. However, many researchers think that length also has a meaningful function in tonal dialect. In this paper, I insi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gth in Gyeongbuk dialect and Seoul dialect should be different. So far, there have been no particular opinions about the falling pitch after the second syllable such as LFL(caphigo) and LLFL(namurɛgo). However, the questionnaire items on the rising tone of the second syllable and the third syllable have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As a result, the rising tone in everyday conversation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and third syllables that the rising tone did not seem to appea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length of non-initial syllable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onal dialect through kƜrɛdo(LRH), Noh Mu-hyeon(LRH), Moon Jae-in(LRH), ʧalgara(LRH), kaʤimalgo(LLRH), t'ǝnabwado(LLRH), etc. This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onal types that appear in other dialects. Also,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phase of Korean tone while showing 7 tonal types for 2 syllable words and 11 tonal types for 3 syllable words (breath-group). 임석규, 2019, 성조 방언의 비어두 장음에 관한 문제, 어문연구, 181 : 7~25 경상남북도, 함경도, 강원도 영동 지역의 말은 성조가 유의미한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도 성조 외에 음장도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연구자가 많다. 이 글에서는 성조 방언의 장음과 음장 방언의 장음은 그 성격이 명백히 다르다는 것을 밝힌다. 그동안 하강조(LFL 바래:고, LLFL 나무래:고)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지만 비어두의 상승조에 대해서는 조사 항목조차 제대로 꾸리지 못했다. 그러니 자연 발화에서 비어두에서 상승조가 나타나더라도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까지 보였다. 그 결과 성조 방언의 상승조를 음장 방언의 장음과 동일시하게 되었고, 급기야 이 상승조는 비어두에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이해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북 영주의 만두소:(LLR), 그래:도(LRH), 잘가:라(LRH), 노무:현(LRH), 문재:인(LRH), 가지마:고(LLRH), 떠나봐:도(LLRH) 등을 통해 비어두의 상승조를 성조 방언의 또 다른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다른 방언권에서 실현되는 성조 현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이다. 아울러 한 기식군을 이루는 성조형의 경우, 2음절은 7개 유형, 3음절은 11개 유형을 제시하면서 한국어의 성조 언어로서의 지위도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음운탈락과 관련된 몇 문제

        임석규 국어학회 2002 국어학 Vol.40 No.-

        동음탈락의 경우 어간말모음과 어미초모음 중 어느 모음이 탈락하는가는 성조변동을 고찰하면서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용언 활용형 '간다'와 '갇따'의 표면성조는 모두 'LL'임에 반해 부정부사 '안(H)'과 활용형 '간다, 갇따'가 통합한 형태의 표면성조는 'LHL(안간다), HLL(안갇따)'로 달리 나타난다. 활용형 '갇따'의 첫 음절 모음 '아'는 다름 아닌 어미 '아X'의 '아'가 실현된 것이기 때문에 '안'과 통합한 형태의 성조가 '-LL'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쌓(積)-'과 어미 '-아도'가 통합하여 '싸:도'를 도출하기 위해서나, '하ㄾ(지)-'과 어미 '-는'이 통합하여 '할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탈락은 일련의 음운과정에서 연속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탈락제약을 마련해야 한다. 적용 환경마다 특정규칙이 관여한다면 전자의 경우는 동음이 탈락된 형태(^*싸도)를, 후자의 경우는 유음이 탈락된 형태(^*하는)를 도출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탈락제약과 관련하여 매개모음어미의 기저형을 '으X'dhk 'X' 둘로 설정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some issues on deletion in Korean Phonology, considering haplology, deletion constraint, and the underlying forms of suffix, -ini, -imy??n. Firstly, The deleted vowel in haplology is not the one in suffix but in stem. The tone in dialect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explain this issue. Comparing an(H)+kanda(LL)→an-kanda(LHL, don't go) with an(H)+katt'a(LL)→an-katt'a(HLL, didn't go), I discover that the second syllables have different tones made by different ways; whereas the high tone of an-kanda(LHL) is come from the stem vowel, the low tone of an-katt's(HLL) is from the suffix vowel. Secondly, deletion rule cannot be applied more than once in series of phonological process. Because a well-formed hallin(from the underlying form, halt(to suck)+nin) cannot be derived through /r/-deletion followed by cluster simplification, there must be the general constraint on deletion rule. On the ground of this deletion constraint, I suggest that the suffixes, -ini, -imy??n have two types of underlying forms: X and iX.

      • KCI등재후보

        동남방언 음운론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

        임석규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성조방언의 연구에서 성조는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성조에 대한 인식 없이는 한 방언의 실체가 제대로 드러날 수 없다. 모음목록을 제시할 때에도 성조를 고려한 최소대립쌍이 설정되어야 한다. 최소대립쌍이 제대로 설정될 때 해당방언의 모음체계는 비로소 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아울러 복수기저형을 인정한다면 성조방언에서는 성조까지도 고려한 복수기저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강조가 몇 음절인가 하는 문제는 분절음운론의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 동안 하강조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그 성조가 유지된다고 하여 두 음절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몇몇 근거를 통해 하강조를 상승조와 동일하게 단음절(單音節)로 파악한다. 또한 환경을 곡용과 활용에만 한정하지 않고 단어내부는 물론 단어경계에까지 폭넓게 관찰하게 되면 몇 가지 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곡용어간말 'ㄹ' 뒤에서의 경음화도 일반화가 가능하다. 둘째, 활음첨가 또한 형태론적 제약 없이 기술될 수 있다. 셋째, 2음절 이하에서도 상승조가 나타나는 몇몇 성조형 LRH, LLRH 등이 보고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some issues on Dong-Nam Dialect. The recognition on tone plays a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phonological issues, because there exists tone in this dialect. The tone of minimal pairs must be always considered in establishing vowel inventory. And the number of muti-underlying representation can be increased, when tone is considered, When data is observed in word boundary, more significant generalization can be established. / t/, / i\ / and / 7c/ following / /-final stem acquire tensinity in declension or word boundary. And the number of tonal pattern is increased, if it is obserbed in word boundary. The glide insertion in vowel sequences can be described as not morphological constaints but phonological constraints. (1) V1jV2 : When either V1 or V2 is [-back], /j/ is insered (2) V1wV2 : When both of V1 and V2 is [+back], /w/ is insered

      • KCI등재

        방언조사방법론의 어제와 오늘

        임석규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토박이말은 현재 수없는 오염인자 속에 노출되어 있다. 상황이 어려울수록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다. 조사방법에 따라 연구의 성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방언조사방법론을 더듬어 보면서 몇 가지를 재차 강조한다. 첫째, 방언학의 어떤 하위 주제든 조사항목의 선정이 보다 정밀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대가 바뀐 만큼 70대 제보자에게서도 뚜렷한 방언적 특징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건강하면서도 연령대가 보다 높은 제보자를 찾아야 한다. 셋째, 방언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이른바 억양에 대한 조사방법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된다.

      • KCI등재

        경상도 서부 지역 방언의 율동제약과 관련 등어선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7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metrical constraint and its isogloss of Kyeongsang-dialect. T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alectal division. Tonal metrical constraints of Kyeongsang-dialect can be classified two patterns. It is dominant in tonal pattern that the high tone on penultimate syllable as L1HL and LH1L is located. L1HL; Western dialect of Kyeongbuk(Munkyeong, Sangju, Gimcheon, Gumi sub-dialect) LH1L; Western dialect of Kyeongnam(Geochang, Hamyang, Sancheong, Hadong, Jinju, Sacheon, Namhae sub-dialect) The isogloss dividing western dialect of Kyeongbuk and estern dialect of Kyeongbuk is related with L1HL of metrical constraint. And the isogloss dividing western dialect of Kyeongnam and estern dialect of Kyeongnam is related with LH1L of metrical constraint. The L1HL of metrical constraint is very important in dialectal division 그동안의 방언구획론에서는 성조 현상에 관한 항목들이 본격적으로 언급되지 못했다. 억양이 중요함을 고려한다면 성조 현상을 등어선 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상도 서부 지역 방언에는 저조로 시작하는 어형인 경우 율동제약이 두 가지 존재한다. 그 하나는 경북 서부에서의 L1HL 율동제약이고 다른 하나는 경남 서부에서의 LH1L 율동제약이다. 전자는 ‘껍디기부터라도(LLLLLHL)’처럼 끝에서 둘째 음절에 고조가 놓이는 것이고 후자는 ‘껍디기부터라도(LHHHHHL)’처럼 끝에서 둘째 음절까지 고조가 놓이는 것이다. 저조로 시작하는 어형이 많음을 고려할 때 이들과 관련된 등어선은 방언구획론에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경북의 문경, 상주, 김천, 구미 지역어에는 L1HL 율동제약이 존재하여 그 동부 지역어와 철저하게 구분되며, 경남의 거창, 함양, 산청, 하동, 진주, 사천, 남해 지역어에는 LH1L 율동제약이 존재하여 그 동쪽 지역어들과 구분된다. 여러 언어적 사실에 근거할 때 두 율동제약 중 전자와 관련된 등어선에 보다 큰 점수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 국어 교과서에서의 유음 탈락 기술 검토

        임석규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6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on liquid deletion that are describ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Furthermore, the correct way of describing will be proposed for liquid dele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Such problems are caused by following Hangul Spelling Regulations in 1933 uncritically. On the other hand, liquids deletion had not received the limelight even in the early 1980s,unlike the synchronic assimilation phenomenons and diachronic phenomenons. Liquids deletion should be described into three aspects as follows;(1) Liquids deletion by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s'ɨl+nɨn→s'ɨnɨn s'ɨl+nik'a→s'ɨnik'a (2) Liquids deletion by morphem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s'ɨl+o→s'ɨo s'ɨl+ma→s'ɨma (3) Liquids deletion by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s'ɨl+mnida→s'ɨmnida, s'ɨl+n→s'ɨn

      • KCI등재후보

        최소대립어에 기초한 모음목록 설정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10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methodology of Establishing vowel inventories in korean dialects. Vowel inventories must be thoroughl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inimal pairs. And suspicious oppositions must be explained sufficiently. Resorting to field-worker's observation, the results cannot be unbelievable. the vowel inventories of any sub-dialect also be reported out of six vowels to nine vowels by field-worker. This could be also based on difference of research spot and of age. Only it is a question that minimal pairs are not present. This study proposes many minimal pairs of ǝ/ɨ, e/ɛ, ǝ/o, and ɨ/u that are made the most of in dialectal study. Reorganization of these pairs for each sub-dialect can be done flexibly. 본 논의에서는 여러 최소대립어에 근거하여 음소목록을 확정하고, 변별성이 의심스러운 모음에 한해서는 밀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현지조사자의 관찰에만 의지한다면 바람직한 결론이 도출되기 어렵다. 특정지역어의 모음목록은 논자에 따라 6모음에서 9모음으로 보고되기도 한다. 이는 조사지점의 차이 혹은 제보자의 연령차에 의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다만 최소대립어가 제시되지 않으니 문제가 될 뿐이다. ‘이/으’, ‘아/애’ 등에 대한 최소대립어는 하나로 족할 수 있다. 다만 지역어에 따라 변별성이 의심되는 몇몇 모음의 경우에는 적어도 3∼5개 정도의 대립어가 제시되어야 비로소 의미를 지닐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방언연구에 긴요하게 쓰일 ‘으/어’, ‘에/애’, ‘으/우’, ‘어/오’에 대한 최소대립어를 가능한 한 많이 제시하려 하였다. 이들은 각 하위방언권별로 탄력 있게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用言 ‘가(去)-’類의 불규칙적 성조 실현과 化石形 -경북방언에서의 先語末語尾 ‘-오/우-’ 對應形을 중심으로-

        임석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There remains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in Dongnam-Dialect.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usage in middle korean. When the intention of syntactic unit functioning as subject can be expressed in some sentences, the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can be uttered by rising tone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ka-’. The rising tone in kallɛ(RH), kallana(RHL), kama(RH), kallik'yə(RHL), kallandoŋ(RHL) etc. can be described in phonological environment. Irregular tonal pattern of verb stem ‘ka-’ enables me to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underlying form. This is well shown at kago(HL), kamǝn(HL), kagɨra(LHL), kals'urok(LHL), kanda(HH), and kasinda(HHL). Therefore, I establish three underlying form; ‘ka(H1)-’, ‘ka(H2)-’ and ‘ka(R)-’. In this study, the rising tone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ka-’ is explained the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in middle korean. But these fossils are not remained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tha-’ which had uttered by high tone in middle korean ; thallɛ(HH), thama(HH), thago(HH), thanda(HH), etc. 현대 경북방언에서는 先語末語尾 ‘-오/우-’와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된다. 경북방언에서는 가마(RH), 갈래(RH), 갈라나(RHL), 갈란동(RHL), 갈리껴(RHL), 갈따(RH) 등과 같이 語幹 ‘가(去)-’류가 上昇調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共時的인 音韻論的 環境으로 도저히 설명될 수 없다. 또한 用言 ‘가-’는 가고(HL), 가그라(LHL)에서처럼 可變的 高調로 실현되기도 하고, ‘가는(HH)’, ‘가도(HH)’에서처럼 不變的 高調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에 用言 ‘가-’류의 基底聲調는 ‘R’, ‘H₁’, ‘H₂’ 셋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가마(RH), 갈래(RH), 갈리껴(RHL) 등에서처럼 語幹이 上昇調로 실현되는 경우를 先語末語尾 ‘-오/우-’의 化石形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어간 ‘가-’류는 約束이나 意圖를 나타내는 語尾와 통합할 때 上昇調로 실현되는데, 2인칭, 3인칭 주어와 통합하는 경우에도 상승조는 실현된다.

      • KCI등재

        복수기저형과 그 패러다임의 강한 압박 -‘보-(見)’, ‘주-(與)’ 성조 패턴과 관련하여-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f verb paradigms such as po-(see), tu-(put) and ka-(go) in the local dialects of northern Kyeongsangbuk-do. These verbs have three tonal patterns, either monosyllable verbs or two syllable verbs. It is divided into three classes according to endings; high pitch, low pitch, and rising pitch. Especially, the lower pitch appears when the pre-final ending is joined or the endings beginning with vowel is combined. And the rising pitch appears in a expression that signifies intention. In that process,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nclud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are examined. It is a well-known fact that compensatory lengthening is observed after glide formation, but they are understood to be due to strong pressure of analogical leveling in relation to the basic verb paradigm. Especially, since there are many basic verbs in these patterns, the significance related to the frequency can be examined. 이 글은 경북 북부 지역 말에서 확인되는 ‘보-(見)’, ‘주-(與)’ 용언의 음운론적 현상에 대해 고찰하고 그것을 토대로 패러다임의 강력한 압박을 언어능력과 관련지어 보려 한다. ‘보-’, ‘주-’ 용언은 단음절 어간이든 다음절 어간이든 세 가지 성조 패턴을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유형의 복수기저형을 검토해 보고 특정 패턴의 강력한 압박은 관련 용언 유형의 패러다임을 통일시키는 것으로 파악한다. 특히 ‘봐ˇ도’와 같이 활음화에 이은 보상적 현상은 수의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수의성은 특정 성조 패턴의 강한 압박에 의한 것이다. ‘보-’, ‘주-’ 패러다임은 ‘가-(去)’, ‘오-(來)’ 패러다임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변화하거나 변동한다는 관점이다. 이들 동사들은 빈도수에서 다른 용언에 비해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바, 특히 기본 동사가 많다는 점에서도 빈도수와 관련된 의의를 확보할 수 있다. 복수기저형 그것으로도 화자의 언어능력을 어느 정도 설명해 낼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지워진 복수기저형에 대한 부담은 패러다임의 강력한 압박으로 다소나마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차용어의 성조패턴 L1HL에 대하여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3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onal pattern of loanwords. When is accepted a loanword, many constraints of korean phonology are activated not only on segmental level but also on supra-segmental level. Because of initial-constraint in korean, “strike” is pronounced as “스트라이크”. Falling diphthong like “ay” is recognized as two syllables. The very syllable that high tone is located is important. When is accepted a loanword, high tone on penultimate syllable is located is dominant in tonal pattern. In certain dialects, the tonal pattern of L1HL is most often realized. I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position in the syllable. This metrical constraint is related to tonal patterns of the Middle Korean and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onal rule in Kyeongsang-dialect. 차용어를 받아들일 때 분절음 층위에서도 해당 언어의 제약이 작용하듯이, 초분절음 층위에서도 특정 성조패턴이 관여한다. strike의 경우 한국어의 음절구조제약으로 인해 모음 ‘으’를 첨가하여 첫 두 음절을 발음하고, 하향이중모음 ay 또한 두 음절로 발음해야 한다. 그렇게 형성된 5음절어 ‘스트라이크’를 성조 방언 화자들은 어떤 성조패턴으로 발음하는가가 본고의 관심사이다. 차용어의 경우 ‘끝에서 둘째 음절 위치에 고조가 놓이는 것(L1HL)’이 지배적인바, 이는 해당 방언에서 가장 강력한 성조패턴으로 작용한다. 이는 성조변동규칙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율동제약으로 이해될 성질의 것이다. 이 제약은 중세국어 성조패턴과도 관련되며, 방언에서의 성조변동규칙과도 밀접히 관련될 정도로 그 의의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