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반성적 교사교육이 전통적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반성적 교사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반성적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Schn의 반성론을 고찰하고, 둘째 전통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대두된 반성적 교사교육이 지향하는 교사교육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를 고찰하고, 셋째 최근 반성적 교사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반성의 역설에 대한 고찰

        박은주(Park Eun Ju) 한독교육학회 2018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3 No.1

        이 연구는 전통적 교사관의 기술적 합리성(technical rationality)에 대한 대안으로 부상하였던 반성적 교사관의 반성개념이 오늘날 교사들이 습득해야 할 또 하나의 기술로 전락한 반성의 역설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나로 대두되었던 반성개념이 교사들이 습득해야 할 기술로 되었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로 프로네시스(실천적 지식)가 테크네(기술적 지식)로 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인을 고찰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반성적 교사관과 그것의 문제의식, 그리고 한계를 개관함으로써 오늘날 반성개념이 직면한 역설이 무엇인지를 개관한다. 이와 같은 반성의 역설은 프로네시스가 테크네로 변한 것에 있다는 진단 하에, 3장에서는 반성개념이 기초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을 면밀히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개념적 구분에 기대어 4장에서는 반성의 역설이 초래된 원인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대응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프로네시스는 공동체의 선을 지향하는 가치지향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천가의 내면의 덕과 관련된다. 따라서 반성이 테크네가 아닌 프로네시스로 되려면, 이 두 가지 가치지향성의 원천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교사의 실천을 단지 문제해결의 틀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과 결부되고, 다른 한편으로 교사의 내면이 가치로운 것을 지향하는 덕의 상태를 갖출 때, 교사의 반성이 교육적인 것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 반성담론이 배제하였던, 혹은 간과하였던 이론적 지식을 통한 세계와의 연결가능성과 함께, 현장에서의 경험과 실천을 통한 덕스러운 소양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causes a teacher’s reflection to be treated as another technic to be learned. It means that the reflection turns out to be a technē rather than phronēsi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n overview of the paradox of teacher’s reflection in chapter II. In this chapter, I explore the concept of technical rationality which reflective teachers have criticized, the teacher’s reflec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he discourse of reflective teaching, and its difficulties, so-called, ‘the paradox of reflection’. Next, I trace the origin of reflection in the concept of Aristotle’s phronēsis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technē in the Nichomachean Ethics. Drawing upon this conceptual framework, I analyse the cause of the paradox of teacher’s reflection. From this discussion, I suggest that phronēsis is related to the value-oriented praxis. Therefore, in order for reflection to be phronēsis not technē, it is necessary to restore two sources of value-orientation. On the one hand, teachers need to access their practice in light of larger context, for example, whether it is ‘educational’ or not for the whole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inner virtues of the teacher because it is the core basis of phronēsis. Only by doing this, the meaning of the phronēsis can be restored.

      • KCI등재

        헤겔철학에서 규정적 반성의 논리적 구조와 체계적 위상

        조종화 ( Cho Chong-hwa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3

        헤겔의 논리학에서 본질논리학은 직접성과 매개의 본질적이고 스스로를 정립하는 통일에 관해 논구한다. 이 통일은 반성 개념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는데, 이것은 자기 내로의 반성과 타자로의 반성의 내재적인 반성을 자신의 본성으로 지닌다. 헤겔은 이러한 반성과 직접성 사이의 다양한 관계방식들을 범형적으로 정립적 반성, 외적 반성 그리고 규정적 반성으로 나누어 서술한다. 이하에서는 그 중 하나의 반성형식인 규정적 반성이 고찰될 것이다. 그것은 이 규정적 반성이 헤겔에 따르자면 정립적 반성과 외적 반성의 통일로 정의되고, 완전한 반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규정적 반성은 자기 외부에 도달한 반성으로 정의되고, 반성규정들을 정립하는데, 이 반성규정들의 고유한 특성과 그것들의 체계 구성이 고찰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헤겔의 논리학에서 규정적 반성의 논리적인 구조와 체계적인 위상이 논의될 것이다. Die Wesenslogik in Hegelslogik handelt die wesentliche sich setzende Einheit der Unmittelbarkeit und der Vermittlung ab. Indem diese Einheit vom Begriffe der Reflexion verstanden wird, hat dieser Begriff zu seiner Natur die immanente Reflexion der Reflexion in sich und Reflexion in anderes. Hegel stellt die verschiedenen Beziehungsweisen von Reflexion und Unmittelbarkeit exemplarisch durch einen Unterschied von setzender, äußerer und bestimmender Reflexion dar. Eine von diesen Reflexionsformen, d. h. die bestimmende Reflexion wird unten untersucht. Denn sie ist, wie Hegel sagt, als die Einheit der setzenden und der äußeren Reflexion definiert und die vollendete Reflexion genannt. Indem sie auch nach Hegel als die außer sich gekommene Reflexion definiert ist und die Reflexionsbestimmungen setzt, werden die Eigentümlichkeit und die Systematisierung dieser Reflexionsbestimmungen gleichfalls untersucht. Dadurch wird die logische Struktur und der systematische Stellenwert der bestimmenden Reflexion in Hegelslogik erörtert.

      • KCI등재후보

        반성적 사고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권정숙(Kwon JungSook),최석란(Choi SukR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과정과 반성적 사고 과정 시 문제 상황을 인식하는 단서와 단서의 해석 시 사용하는 지식을 밝히고자 5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4가지의 반성적 사고경험(저널쓰기, 자기-반성적 사고, 동료장학에 의한 반성적 사고, 개별 장학)을 제공한 후 그 과저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은 단서인식하기, 시도하기 보완하기의 과정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교수활동에 교육학적 지식을 통합시키려는 변화와 관점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의 시선과 반응'을 단서로 반성적 사고를 하였고,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더 많은 단서로 반성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단서를 해석하는데 사용한 지식은 교사 자신과 유아, 교육학적 지식, 교육내용, 사회적 맥락에 대한 지식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2. Were there some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us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3. What kind of knowledge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 use in interpreting the reflective information as sources? Five kindergarten teachers were participated. They were asked to write journals, self-reflective thinking about their teaching. And they were supervised about their teaching using the video tapes with the supervisor and colleagu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recogniz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trying to practice the decision, and fixing the action the during the reflective experienc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us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Experienced teachers seemed to use more reflective informations than others. The teacher used their knowledge about self, children, pedagogy, curriculum in class and social context in interpreting the reflective information as sources.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반성 활동 지도 방안

        김정은,류희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반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반성 활동을 유형화한 뒤 반성 활동에 대한 지도 방안을 고안·적용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 수준이 상, 중인 초등학생 각각 3명 총 6명의 반성 활동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과서 분석, 영재아의 반성 활동 분석, 그리고 사전 실태 조사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반성 활동의 세 가지 지도 방안 중 해답의 타당성 확인하기에 대해서만 문제 해결, 반성 전략 이해, 반성 전략 선택, 반성 전략 실행의 4단계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6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지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반성 활동에 있어 학업 성취도가 상위인 A그룹보다는 중위인 B그룹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둘째, 연구자가 제시한 반성 전략은 학생들의 수학적 오류 발견과 수정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셋째, 상위 그룹의 학생들은 의지 영역과 융통성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반성 영역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 보였으며, 가치 영역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Since reflection is important in problem solv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structional plans for appropriate reflection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current reflection activities and change in these activities aft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answers as an instructional plan for reflection activities, to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show that, first, the change was more apparent in the group with medium level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an the group with a higher level scholastic achievement in that subject, second, reflection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students to discover and correct mathematical errors, and third, although reflec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y did not positively affect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KCI등재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황혜정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reflective thinking as a tool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s

        이진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3

        수업개선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수업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의 반성적 사고의 의미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수업의 개념, 반성적 사고수준, 반성적 수업모형,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방법 등이며, 이를 기초로 수업개선을 위한 반성적 수업 프로그램 개발의 당위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기반한 실과 수업 방안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4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reflective Instruction skills for teachers, and investigate the acknowledge why reflective thinking is essential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has been proposed as effici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ing activities can be said as highly complicated but dynamic profession. What matters mos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lies on the reflective thinking or reflective practice with which instructional designers or field practitioners can diversely understand problem situations and explore possible solutions to meet fields learning needs.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in terms of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s and drew out some implications of five major learning principles and a feasible circular instructional designing process(exploring ill-structured problematic situation, visualizing problems, express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implementing keen observation and finally recursive revising). Teacher should be used their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ir various classroom situations and offered several strategies to promote the ways of reflective thinking for high professionaliz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박성덕(Park, Sung-Duck),김은정(Kim, Eun-Jung),김경철(Kim, Kyung-Ch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반성적 모의수업을 개발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을 한 학기 동안 가르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로, 1차적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2차적으로는 연구자의 교육실천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68명과 함께 반성적 모의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행과정 속에서 연구자와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동영상, 면담 일지, 연구 일지 등을 수집하고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성적 모의수업의 실행과정은 첫째 계획 단계로 기존의 모의수업에 대한 반성과 수정을 거쳐 재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졌다. 둘째는 실행 단계로, 수업 준비, 수업 및 촬영, 평가 및 피드백, 자기반성, 수정 및 재수업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셋째는 관찰 단계로 반성적 모의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분석이 이루어졌다. 넷째는 반성 단계로 실행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반성적 모의수업의 수정과 재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반성적 모의수업은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수업전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실행연구 과정은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에게도 자기반성을 통해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action study of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in an effort to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this researcher"s own educational practic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velop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research its process and outcome after teach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t during a semester.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and 68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at a college. The reflective journals of this researcher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deo clips of the instruction, interview data and research daily were all gathered during the process of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and then an inductive analysis was made. The first stage of the reflective stimulated instruction was planning, where an instructional plan was mapped out after reflecting on exist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by modifying it. The second was a stage of acting out, which consisted of preparing lesson plans, producing teaching aids and materials, videotaping the instruction, evaluating/feedback, self-reflection, modification and re-instruction. The third was a stage of observation, whe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ed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analyzed. The fourth was a stage of reflection, where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modified and a new plan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for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to boost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So Young Lee),오정준(Jeong Joon Oh)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수준에 있는 네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교수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교수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교수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different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Four pre-service teachers in the same level were selected through the first simulated instruction, Then, different reflective methods were given them to carry out the reflection. Afterwards, they carried out their second simulated instruction. The change of averag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was analyzed through the peer reviews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first peer review score were compared with second peer review, average score of all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But, pre-service teachers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a specialist had the widest variation in the increase level of average score comparing to those without reflection or reflective journal writing. Seco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rough self-reflection led to their reflective thinking, but it did not induce them to reflective practice. Finally, pre-service teacher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experienced teachers go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PCK through the T-test. In particular, it had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 in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contextual section could be improved by self-reflection or repetitive class practices, while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needed consulting by assis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