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명에 대한 논의와 사상적 전개

        이은경(Yi, Eu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8

        20세기 러시아 문학과 문화에는 사회와 역사적 발전에서 파생된 부정적 요소들이 자주 대두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문제의식이 정치적, 사회적 영역을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일찌감치 러시아 문학과 문화는 정치적 이슈와 사회적 문제 속에서 인류의 발전이 가져다준 폐해들에 눈을 돌리고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문명의 진화가 인간의 정신적 영역을 급속도로 퇴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베르댜예프 Н. Бердяев는 문명에 노예화된 인간과 그 끝에 대한 사고를 예견했으며, 마마르다시빌리 М. Мамардашвили 역시 의식의 확장과 심화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진화가 아닌 퇴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에서의 인간 정신의 발전과 퇴보를 다루기 위해, 러시아 사상에서의 문명 논의에 주목하였다. 역사적 관점에서 러시아문화에 대한 논쟁들, 보다 자세히는 문명의 발전이 인간을 순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정신적 퇴화로 이끌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먼저 유럽과 러시아 내에서 벌어진 문화와 문명에 대한 정의와 지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문명은 한 시대의 끝을 의미하는 문화적 현상이며 진보의 개념을 내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진화에 대한 의식과 진정한 발전의 지향을, 그리고 제4장에서는 현대문명이 야기시킨 의식의 퇴화를 다루었다. 본 논문은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 대한 심각한 경고와 현대 문학 연구의 지평을 넓혀준 마마르다시빌리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In the twentieth-century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negative elements deriving from social and historical advancement have often stood out. It is noteworthy to point out that this problem-consciousness is not only dealing with problems within political and social domains, but also with the problems of universal humanity. From early on, within the arena of political issues and social problems,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have keenly eyed the harmful effects brought on by the advancement of humanity. One among these is that evolution of civilization has degenerated the territory of human minds. Berdyaev predicted about the humans" enslavement by the civilization and offered his thoughts on that end; likewise, Mamardashvili insisted that unless expansion and deepening of consciousness are set as prerequisites, then it will mean degeneration and not evolution. In order to explore the advancement and degeneration of human minds within the modern socie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ivilization argument within the Russian thoughts.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I wante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disputes over Russian culture - more specifically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 has not led the humanity towards the right direction but has led them to the degradation of human minds instead. Moreover, this thesis issues a stern warning to the post-modern society and provides an interesting research about Mamardashvili, who has widened the horiz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20세기 러시아 문학과 문화에는 사회와 역사적 발전에서 파생된 부정적 요소들이 자주 대두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문제의식이 정치적, 사회적 영역을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일찌감치 러시아 문학과 문화는 정치적 이슈와 사회적 문제 속에서 인류의 발전이 가져다준 폐해들에 눈을 돌리고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문명의 진화가 인간의 정신적 영역을 급속도로 퇴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베르댜예프 Н. Бердяев는 문명에 노예화된 인간과 그 끝에 대한 사고를 예견했으며, 마마르다시빌리 М. Мамардашвили 역시 의식의 확장과 심화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진화가 아닌 퇴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에서의 인간 정신의 발전과 퇴보를 다루기 위해, 러시아 사상에서의 문명 논의에 주목하였다. 역사적 관점에서 러시아문화에 대한 논쟁들, 보다 자세히는 문명의 발전이 인간을 순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정신적 퇴화로 이끌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먼저 유럽과 러시아 내에서 벌어진 문화와 문명에 대한 정의와 지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문명은 한 시대의 끝을 의미하는 문화적 현상이며 진보의 개념을 내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진화에 대한 의식과 진정한 발전의 지향을, 그리고 제4장에서는 현대문명이 야기시킨 의식의 퇴화를 다루었다. 본 논문은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 대한 심각한 경고와 현대 문학 연구의 지평을 넓혀준 마마르다시빌리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In the twentieth-century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negative elements deriving from social and historical advancement have often stood out. It is noteworthy to point out that this problem-consciousness is not only dealing with problems within political and social domains, but also with the problems of universal humanity. From early on, within the arena of political issues and social problems,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have keenly eyed the harmful effects brought on by the advancement of humanity. One among these is that evolution of civilization has degenerated the territory of human minds. Berdyaev predicted about the humans" enslavement by the civilization and offered his thoughts on that end; likewise, Mamardashvili insisted that unless expansion and deepening of consciousness are set as prerequisites, then it will mean degeneration and not evolution. In order to explore the advancement and degeneration of human minds within the modern socie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ivilization argument within the Russian thoughts.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I wante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disputes over Russian culture - more specifically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 has not led the humanity towards the right direction but has led them to the degradation of human minds instead. Moreover, this thesis issues a stern warning to the post-modern society and provides an interesting research about Mamardashvili, who has widened the horiz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 KCI등재

        주겸지(朱謙之)문화 철학의 현대 문명 담론적 현재성 -서구패권적 문명패러다임에 대한 동양의 대안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전홍석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8 No.-

        본 논문은 대표적인 현대 문명 담론으로 일컬어지는 문명패러다임의 서구 중심적 패권주의 성향 극복과 그에 따른 참된 문명관의 모색을 위한 동양의 문화 철학적 차원의 시도이다. 현대 문명 담론의 최대 관건은 단일 문명론과 복수 문명론의 화해와 회통에 있다. 현재 학계의 대체적인 견해는 현재와 미래의 세계는 단일의 보편 문명과 고유한 특징을 지닌 복수의 개별 문명들이 중층적으로 공존한다고 보고 `문명 다원주의를 그 전제로 한보편 문명에의 지향`으로 귀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주겸지의 문화 철학은 그 안에 내장된 문화의 복수론적 다원주의 유형과 그 표현 형식으로서의 역사 진화 법칙, 그리고 미래의 보편 문명으로 구상된 예술 문화의 치밀한 운용에 속에서 문명 다원주의와 보편 문명론 간의 상충점을 회통시킴으로써 양자의 긍정적인 면을 동시에 구현시키는 논리 구조를 갖추고 있다. 나아가 단·복수론에 기초한 후쿠야마의 단일 중심적 문명 전파론이나 헌팅턴의 복수 중심적 문명 충돌론의 서구 패권적 성향 역시 예술 문화의 구도속에서 극복될 수 있다. 또한 각 문화 유형의 유기적인 조합 관계나 예술문화의 특성과 그 작용으로 볼 때 주겸지의 문화 철학은 문명 간의 생태적 관계를 존중하는 생명 중심의 문화 생태학적 원리를 함유하고 있다. 더욱이 문화의 이상향으로 제시된 예술 문화는 생명성, 예술성, 전체성, 조화성, 평화성, 대동성 등으로 특징되며 그것은 세계 각 문화 유형의 보편적 이념 속에서 편재하여 생명소로 작용하고 향유된다. 이런 의미에서 주겸지의 문화철학은 문명패러다임의 대안 담론으로서 범인류 중심의 유기체적인 세계주의 문명관 즉 `문화생태주의패러다임`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각 문명의 본질적·역사적 유형을 분석해내고 문명 간의 상호 교호 법칙들을 통찰해내는 `문명 유형 철학` 내지 `문명 교류 철학`으로 자리매김하는 현대 문명 담론으로서의 현재성을 지닌다. 本論文作爲具有代表性的關于現代文明的談論, 試圖克服以西歐文明爲中心的覇權主義的文明範式, 從東洋文化哲學的角度摸索眞正的文明觀. 現代文明硏究的最大課題就是戰一文明論和多元文明論的融和和貫通. 當今學術界的多數見解認爲, 現在和未來的時問內戰一的普遍文明和一些特征鮮明 的個?文明將共同存在, 以文明多元主義爲前提的普遍文明是未來的趨劾. 與此緊密關聯的朱謙之的文化哲學, 是在文化多元論和作爲其表現形式的歷史 進化法則以及未來的普遍文明的基礎上構想的藝術文化, 他的理論結構融會了文化多元主義和普遍文明論的特点, 幷同時體現了兩者之長. 福山的以戰一文明論爲基礎的文明傳播論和亨廷頓的以多元文明論爲基礎的文明沖突論兩者都帶有西歐覇權主義的傾向, 這충傾向也可以通過藝術文化加以克服. 從文化類型的有机調和以及藝術文化的特性和作用來看, 朱謙之的文化哲旣尊 重不同文明之問的生態關系, 幷同時包含了以生命爲中心的文化生態學原理. 朱謙之認爲, 應當把文化當作具有生命的有机體來看待, 其自身具備了創造和進化的屬性. 他提出藝術文化作爲文化的理想境界具備了生命藝術全面調和和平大同等特性, 事實上這些特性也存在于世界各種文化類型當中. 從這種意義出發, 我門可以把朱謙之的文化哲學看做是一種具有克服文明範式的代案論述, 他是一種泛人類的世界主義文明觀, 完全可以稱之爲文化生態主義範式; 進一步可以發現, 其文化哲學分析了各文明的本質和歷史特性, 幷硏究了文明之問的相互作用和影響, 因此稱之爲文明類型哲學甚至文明交流 哲學也不爲過, 這使得朱謙之對于現代文明的談論具有了强烈的現實意義.

      • KCI등재

        1920년대 문명·문화 개념의 교차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ceived understanding that civilization was more or less synonymous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modern Western world showed signs of faltering during the 1920s. The ravages of World War Ⅰ had prompted many to doubt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progress towards civilization, and demanded a reconsideration of human nature and a reappraisal of what constitutes true civilization. The increasing pressure for social reforms and the burgeoning cultural movement led to the concept of ‘culture’ emerging as the core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The conceptual interconnections and semantic changes of the terms ‘civilization’ and ‘culture’ during this period provide an interesting and significant subject for historical semantics. Gaebyeok, the bulletin of Cheondogyo, is very useful in this context: it offers a variety of discourses by different individuals who had examin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were seeking new directions for modernity. The various combinations of historical conception, subjects and objects of discourse, and methodologies allow recogni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speech and conceptu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analysis emphasizes the semantic intersection of two conceptual frames: material-civilization vs. mental-culture. The boundary between these was still vaguely defined in the 1920s, and the frame of universal civilization and particular cultures gradually crystallized during this period. As the authority of universal civilization waned,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nation could emerge. A succession of books appeared on various themes, describing the distinctive traits of Joseon history and culture. Now that civilization was no longer seen as universal,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oseon culture were concomitantly more evident, and Joseon’s national identity and singular cultural were perceived by contrast with those of other places. Writing about cultural history was more than the rectification of distortions imposed by Japan upon Joseon history: it was also a positive project on the part of the subject against colonialism. The reinvention of Joseon’s national culture, which was founded on a moral and ethical perspective, reflected the subject’s aspiration for recovery, which had been repressed by material civilization. 서구 근대의 성취를 보편으로 한 문명론은 1920년대에 들어서 흔들렸다. 세계대전의 참화는 역사의 진보와 문명의 발달에 대한 회의와 반성을 가져왔고, 인간의본질에 대한 자각과 문명의 향방에 대한 각성을 요청했다. 사회개조론의 유행과문화운동의 확산 속에 문화 개념이 문명 담론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이 시기 문명과 문화 개념의 상호 연관과 의미망의 변화는 역사의미론 탐구의 소재로 충분하다. 천도교 기관지인 『개벽』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성찰과 함께 근대 전환의 방향을 모색하는 상이한 주체의 다양한 담론을 살펴보기에 유용한 자료다. 문명·문화를 중심으로 한 역사 인식과 그것을 추진하는 주체와 대상 및 방법이 일정하지않다는 사실에서 발화 주체와 개념의 수행성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물질-문명, 정신-문화의 개념틀이 직조되는 과정과 개념의 의미망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했다. 정신을 근본으로 하는 문명·문화 담론에서 두 개념의 경계는 여전히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한편 문명의 보편성과 문화의 특수성구도가 구체화한 것도 이 시기 개념 운동의 중요한 특징이다. 보편문명의 권위가해체되면서 민족 저마다의 역사와 문화가 들어설 자리가 마련되었다. 조선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주체의 시선으로 연구하여 고유한 특성을 기술한 다종의 문화사 출판이 연달았다. 문명의 보편성은 점차 형체를 잃어 갔으나 조선문화의 특수성은 보편성과 대비하여 구체화되었다. 조선의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적 특수성은타자와의 대비를 통해 발현될 수 있었다. 문화사 서술은 일제에 의한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과제만이 아니라, 식민주의에 맞서는 주체 기획과도 맞물려 있다. 도덕, 윤리를 본위로 하는 민족문화의 재발명은 물질문명에 빼앗긴 주체의 회복을 염원했다.

      • KCI등재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에 관한 고찰

        전홍석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주쳰즈, 문화학, 문화유형론, 문화지리학, 세계문화 3원론, 복수문명론, 문명다원주의.mechanism and academic survey which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the future world. Till the age of imperialism when the Europe ruled the world, there had been only a Christian civilization as the singular civilization in the world. Then O. Spengler and A. Toynbee, the critics on civilization, admitted and enlarged the meaning of plural civilizations against the theory of singular civilization that had been the ruling ideology in the Western world. The theory of world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can be a response to the history of this mentality. When discussing, his idea of three world cultures was conceived from the type and trait of knowledge culture, the whole lifeline of culturology. So to speak, there are religious culture, philosophical culture, and scientific culture in his idea. First, when metaphysically understanding this theoretical system through cultural geography of G. W. F. Hegel, the highlands culture is India as a religious culture, the plains culture is China as a philosophical culture, and the ocean culture is the Western world as a scientific culture, each in the view of geographic traits. This theory of three geographic cultures has a cultural pattern of historic people embodying the axial spirits, advocated by Karl Jaspers. It is also confirmed by cultural areas in the human history, that is to say, three areas of cultural unit according to the traits of knowledge culture. In addition, Zhu qianzhi standardizes its present identity i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by accepting three directions of cultures of Liang shuming and three types of knowledge of M. Scheler. These days where there is a clear plural civilization system, his idea of world cultural typology can be a significant model as a cultural pluralism with polycentrism to prospect the whole aspects in the world histo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heory of Samuel P. Huntington, who led the theory of alternative moder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chauvinism from the western culture covered with pluralism, it is more significant to review the Eastern Asia cultural typology as the pluralism in the present aspect. 21세기 ‘문명’이 현실상황을 진단하고 미래세계를 조망하는 본원적 기제와 학문적 탐구로 안착하기까지는 지난한 문명사적 투쟁이 자리한다. 유럽이 세계를 석권한 제국주의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오직 하나의 세계문명이라는 단수로서의 기독교문명만이 존재했다. 그런 차원에서 문명비평가 슈펭글러와 토인비 등은 서구의 지배이념이었던 단일문명론에 맞서 문명의 복수적 의미를 인정하고 확대했다.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은 이러한 지성사적 반향이라고 할 수 있다. 논구컨대 그의 ‘세계문화 3원론’은 문화학의 전체 생명선인 지식문화의 유형과 특질로부터 착상된 것이다. 이를테면 종교문화, 철학문화, 과학문화가 그것이다. 먼저 이 이론체계는 헤겔의 문화지리학의 형이상학적 이해를 통해 고원문화는 ‘인도’로서 지리적 특성상 종교적 문화를, 평원문화는 ‘중국’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철학적 문화를, 해양문화는 ‘서양’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과학적 문화를 각각 형성한다. 이 지리적 3원론은 야스퍼스가 주창하는 기축정신을 체현한 역사민족의 문화패턴으로서 재차 인류역사시대의 문화구역, 즉 지식문화의 특질에 따른 세 영역의 문화단위로 확정된다. 주쳰즈는 여기에 더하여 량수밍의 ‘문화의 3방향설’과 막스 셸러의 ‘지식의 3형식’을 원용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문화 3원론’의 현재적 정체성을 정형화한다. 문명의 다극화체제가 확실시되는 오늘날 주쳰즈가 구도한 세계문화유형론은 세계사 전체상을 조망하는 ‘다중심적 문명다원주의’의 중요한 모델이 될 수 있다. 더군다나 현대 문명대안론을 주도한 헌팅턴의 이론이 다원주의의 옷을 걸친 서구문화쇼비니즘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그의 ‘동아시아 문화유형론’이 갖는 다원주의적 현재성은 더욱 각별하다.

      • KCI등재

        渤海 유역의 역사문화와 동아시아 세계의 이해 - ‘터(場, field)이론’의 적용을 통해서 -

        尹明喆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동아시아의 역사공간의 네트워크는 전체이면서 부분인 터(field)와 또 부분이면서 전체이기도 한 3개의 中核과 주변의 몇몇 行星들, 그들을 싸고도는 衛星들이 있고(multi-core), 중첩적인 線(line)들로 이어졌다. 선이란 교통로를 말한다. 3핵은 첫째, 중국공간 혹은 中華文明이다. 둘째, 北方遊牧文明이다. 셋째는 한반도와 만주일대에서 성장한 東方文明이다. 행성들은 각 중핵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지역들이다. 위성들은 각각의 행성 내부에 있는 소규모의 국가 내지 문화권이다. 線(line)은 핵들과 핵들을 이어 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 자체도 독립성을 지녔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역사공간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 부분이 해양이다. 필자는 이 공간을 東亞地中海라고 명명하면서 성격을 규명하고 각각 지역 종족 문명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동아지중해는 수천 년 동안 지정학적으로 협력과 경쟁, 갈등과 정복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역사활동권을 이루어왔다. 한편 농경의 定着性(stability) 문화와 유목 해양의 移動性(mobility) 문화가 만나 상호보완되면서 독특한 성격을 탄생시켰다. 특히 발해의 역사공간은 대륙과 해양을 공히 활용하며, 동아지중해의 中核(core)에 위치하고 있다. 몇몇 지역과 국가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海陸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발해유역의 자연환경은 바다와 대륙과 반도가 만나는 곳이다. 만주지역의 삼림문화 동몽골과 북방의 유목문화, 요동반도의 농경문화, 그리고 황해의 해양문화가 모이는 곳이었다. 이렇게 변화된 지리, 기후 등 자연환경 속에서 생태계와 문화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했다. 그와 함께 수십 혹은 수백 개에 달하는 다양한 종족과 언어권,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생성되어 있었다. 발해유역은 하나의 지역 안에 색다른 자연환경, 이질적인 문화가 공존하면서 복합적인 역사공간으로 되었다. 발해는 6000년 전부터 ‘內海’, ‘灣’, ‘小地中海’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면적이 적당하고 해양교통에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풍요롭다. 고대사회에서는 문명이 발전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8000년 전에 높은 수준의 신석기 문화가 태동했다. 5000년 전후해서는 紅山문화가 발전했다. 이어 夏家店下層문화, 뒤를 이은 夏家店上層문화가 발전했다. 요동반도의 동쪽에는 해양문화를 비롯하여 고인돌(dolmen) 문화가 발전했다. 고조선과 관계가 깊은 문화이다. 이렇게 발해유역은 東方문명, 北方문명, 中華문명이 교차하고 재생산하는 據點(i.c, heart)의 역할도 하였다. 중국은 발해유역의 문화를 ‘遼河文明論’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 논리는 중국중심적이며, 육지중심적이다. 필자는 ‘渤海文明論’을 제창하고, 동아시아 문명의 성격을 규명하며, 아울러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다. The network in the historical region of East Asia consists of three cores which can be either the whole or the field, few planets, and satellites that go around all of these. There are also reiteratedlines which indicate the routes. Such frames of analysis are ‘field and multi core theory’. Those three cores are the Chinese civilization, the north nomadic civilization, and the east civilization that grew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nchuria region. The planets refer to regions around these three nucleuses. The satellites refer to countries or cultural areas in each of these regions planets. The lines connect those cores together and also have their own independence. And the ocean takes the important part in East Asia's historical space. The author names the space as East Asian- Mediterranean-sea,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each regional culture. East Asian-Mediterranean-sea has made up a field of historical actions through interactions such as cooperation, competition, conflicts, conquests, and etc for thousands years. One hand, both stability of agriculture and mobility of nomadic culture met and completed a unique characteristic. Especially, Palhae-sea's historical space use the land and the sea practically and is located in the core of East Asian-Mediterranean-sea, where has an ability to connect the yellow sea. and that she has the ocean network, connecting the regions and the countries over all. Palhae-sea basin had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formed articulated connections between the ocean, the peninsula, and the land with the core at the center. It was a concentrated area that the forest culture of Manchuri, the nomad culture of East-Mongolia and the north, the agri-culture of the Liaodung peninsula area, and the ocean culture from Yellow-sea. The movements of residents were frequent which caused serious conflicts and the economical formation were various because it was the area where meadow, forests, ocean, hill were intercepted. Various typ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e importantly affected to changes of social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Palhae-sea period became the space of history that various natural environment and different cultures co-existed within the area of region. Palhae-sea from before 6000 have the character of `inland-sea' `gulf' ‘small -mediterranean sea'. The area is suitable and Is convenient to an oceanic traffic, is abundant economically. The New stonework culture of high phase advanced before 8000. The Hongsan culture developed before 5000. Continued and the Hagajum upper level culture advanced a Hagajum lower stratum culture and after next. To east of the Liao-river insurgent including an oceanic culture and the dolmen culture advanced. With proto-Chosun is a culture where the relationship is deep. The Palhae-sea basin the Chinese civilization, the north nomadic civilization, and the east civilization intersects like this, took charge of the strong hold role which reproduces. China as Liaohua-civilization theory calls the ‘a Palhae-civilization theory'. It China is central, is a logic in the land center. The author asserts ‘a Palhae-civilization theory', examines closely seeks character of East asia-civilization, the identity of our culture.

      • 발해연안 고대신석기 문명과 한민족과의 관계

        양대언(Yang Dae Eon)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1

        이 글은 중국 발해만 연안의 신석기문명과 한민족과의 관계를 논한 것이다. 요하(Liao He) 및 대능하(Da Neang He)유역의 요동과 요서지방의 신석기문화는 내몽골지역의 적봉(赤峰)과 요동의 심양(審陽)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시기는 BC 7000년으로 추산 된다. 중국은 고대문명탐험공정(古代文明探原工程)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우수한 문명을 가진 국가로 부각 시키려 하고 있다. BC4500년의 홍산문화(紅山文化-Hong Shan culture)는 초기국가 단계에 진입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우하량(牛河梁 -Niuheliang)에서 발굴된 거대한 제단(祭壇) 여신묘(女神廟) 적석총(蹟石塚)은 초기 문명사회 진입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원래 동이족(東夷)이 이룩한 문화로 인정 되어왔다. 그러나 중원 문화보다 2000여년이나 앞서면서도 정교 하고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 이 문명을 중국은 중국의 원류 문화로 편입시키고 그리고 동이족을 황제(黃帝)의 후예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소위 요하 문명을 이룩한 장본인들은 동이제족이며 한민족의 조상인 예맥(濊貊)의 후예들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더구나 이 문명의 일부인 소하연문화(小河沿)나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지역은 단군조선이 위치했던 지역이라고 하는 학계의 정설이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요하문명의 핵심문화인 홍산 문화를 최초 발견하는데는 1906 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조사가 되고 연구되었다. 여기에 이 문명의 주류의 후예인 한국은 이 문명과 멀어지고 있다. 따라서 환단고기(桓檀古記)를 통하여 연관성을 찾아내어 이 문명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발해만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발해만을 통하여 교류와 전파가 이루어진 발해만 문명은 당연히 발해만 연안 문명이라 이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olithic civilization on the Bohai wan coast and Korans.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Liaodong( 遼東 )and Liaoxi area( 遼西 地方 )along the Liao He( 遼河 )and Dae Neang He( 大凌河 )basins was formed mainly around the Chih-feng( 赤峰 )of the inner Mongolia and the Shenyang( 沈陽 ) of the Liaodong area. It is estimated to the be about 7,000years BC. Chia has tried to show that it is the best civilized country in the world with the Ancient Civilization Exploration Project(gu dai wen ming tan yuan gong cheng- 古代文明探源工程 ). The Hongshan culture( 紅山文化 )of about 4,500 BC is entering the early stage of the nation. It is seen as a beginning civilization by the huge sanctuary( 祭壇 ), the tomb of the goddess( 女神墓 ),and the stone mound tomb( 積石塚 )found in the Niuheliang yiji( 牛河 梁 ). The area has been originaly recognized as a culture of Dongyizu( 東夷族 ) However, China has embraced the Hongshan Culture, which achieved a sophisticated and brillant 2,000 years ahead of the Zhongyuan Culture( 中原文化 ), as China’s culture of origin. Also the Dongyizu became the descendants of the emperor. But it is Dongyizu and the descendants of Yemaekzu( 濊貊族 )that is the ancestors of the Koreans( 韓民族 )who led the LiaoHe Civilization( 遼河文明 ). In addition, it is the orthodoxy of academia that the area of the Xiaoheyan culture( 小河沿文化 )and Xiajiadian xia ceng wen hua culture( 夏家店下層 文化 )which was part of the Liao he civilization was indeed where Dangunjoseon( 檀君朝 鮮 ) was established. This Hongshan culture was investigated and studied by the Japanese in 1906 and has been studied exclusively by China since 1945. Even though it was the mainstream of the Hongshan culture, Korea has become lncreasingly distant from the culture. Therefore, a new understanding of the Liao he culture, which is carried out through Handangogi( 桓檀古記 ), should be established. It seems only reasonable that the Bohai Wan Civilizatio, which took place around Bohai Wan and was exchanged and spread through the Bohai Wan, is named as Bohai Wan Coastal Civilization.

      • KCI등재

        요하(遼河) 문명론(文明論)과 홍산문화(紅山文化)의 고찰(考察)

        량대언 ( Dae Eon Y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本稿는 現在中國에서 着實히 進行하여온 國家的인 歷史再正立計劃인 "古代文明探源工程의 結果이다. 기원전 약 7000여년으로 推算되는 新石器文明의 遺物과 遺跡들이 중국의 동북지방과 中原을 가르는 遼河를 중심으로 遼西, 遼東지방에 속하는 현재 중국 내몽고자치구의 赤峰, 요녕성의 朝陽, 凌原, 建平地域을 포함하여 遼東의 沈陽, 遼陽, 阜新지역에 걸쳐 存在하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신석기문화의 眞髓를 접할수가 있어 중국으로서는 역사 고고학 분야의 모든 분들이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계속 쉴 사이 없이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원전 약 4500년으로 추산되는 홍산문화는 신석기후기문화로서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의 동남부 일대와 요녕성 서부지역의 접경지대인 赤峰朝陽, 凌源, 建平, 喀喇沁左旗등을 중심으로 광활한 지역에 분포 되어 있다. 그 중 능원시와 건평현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牛河梁지역에서 발견된 유적은 거대한 제단, 여신묘, 적석총을 두루 갖춘 상당히 발전된 유적 유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초기국가 단계에 진입된 문화를 紅山문화라 명명하였을 뿐만아니라 초급문명 사회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다. 그래서 중국학계에서는 일찍부터 이 지역을 중국의 본류문화와 동떨어진 소위 미개민족으로 취급하던 東夷族이 이룩한 문화 지역으로 여기가 바로 중원의 문화를 시기적으로 1000여년 앞섰던 곳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그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유적과 유물이 중원의 그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교하고 찬연하다. 이로 인해 현재의 중국영토 내에서 일어났던 그 문화를 중국은 얼마 전까지 주장하던 그대로 放觀할 수가 없고 새로운 역사편성 작업인 古代文明探原工程을 완성함으로써 遼河地域에서의 문명을 중국의 원류 문명으로 編入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중국 中華族의 신화적 존재로서 始祖로 여기는 黃帝를 등장시켜 이 지역에서 요하문명을 이룩한 사람들인 東夷族을 黃帝의 後裔로 보는 견해가 지금의 중국의 입장이다. 따라서 동이족 역시 고대로부터 중화민족의 一員이었다는 것이 현재 중국의 다민족 국가 건설에 타당한 입장으로서 새로운 歷史解釋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일련의 문제들을 주변의 관련 국가들과 어떻게 이 문제들을 마찰 없이 해결하고 세계 最古의 문명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이 요하문명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이 지역 문명 중 가장 오래된 小西河문화로서 기원전 7000여년이다. 이 문화를 이어발전시켜 紅山文化晩期에 나타난 牛河梁유적에서 보이고 있는 거대한 祭壇, 女神廟, 정교한 績石塚등은 신석기문화의 진수이다. 그렇다면 이 지역의 문명을 이룩한 사람들이 과연 누구였을까 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을 동이족으로 보고 있으며 그 주류가 우리 韓民族의 祖上인 濊貊이라 데는 별로 異說이 없다, 그리고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시기적으로는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檀君朝鮮이 자리 잡고 있던 지역이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요하문명의 핵심문화인 홍산 문화를 최초발견하는데 있어 1906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조사가 되었고 일부 프랑스인 선교사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또한 1931년 만주사변이후 만주국의 영토가 되었을 때 일본인들이 독점적으로 발굴하는 등 활발하게 연구를 했지만 체계적인 연구발표가 없었고 1945년 이후 중국에 의하여 연구가 시작되고 1970년대 이후 본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로 엄청난 문화의 偉容을 맞게 되었다. 그러면 이 오래되고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 사람들을 중국에서는 오랜 기간 야만족으로 취급하면서 중국의 중원문화의 영향을 받은 방계 문명으로 인정되고 있다가 하루아침에 중국에서 종전의 주장을 접고 요하문명을 중국문명의 起源으로 등장 시키는 문제는 간단하지가 않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지역과 관련된 역사를 갖고 있는 국가나 민족 모두가 지나친 민족주의를 떠나 서로 각자 나름대로 역사의 始原으로 서로를 인정해 주면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21세기 동북아 시대를 맞아 주변 각국의 새로운 세대들에게 <어디는 우리 땅이다><언제 우리 땅이었다>식의 폐쇄된 공간을 전제로 한 역사(國史)교육은 좀 문제가 있다. 과거에 집착하고 주변의 남을 배척하는 닫힌 민족주의(國粹主義)를 버리고 서로 협력하면 모든 면에서 협력을 이룩하여 서로의 획기적인 발전은 물론 인류공영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으며 번영하는 동북아 시대를 열어 가는데 공헌할 것으로 본다. 目前在中國正紮紮實實地推進中的屬於國家級歷史重新定位計劃之壹"古代文明探源工程",其年代約爲公元前7000年,據推測,屬於新石器時代的文物和遺跡在中國的東北與中原以壹江之隔的遼河爲核心,包括雖屬遼西、遼東地區,但從行政上屬於中國內蒙古自治區的赤峰以及遼寧省的朝陽、凌源、建平地區,還有遼東的沈陽、遼陽和阜新等廣闊區域裏可以發掘到新石器文化的精髓。由此而引起了中國資深歷史考古學家們的極大興趣,更使他們無法掩飾內心的喜悅。目前正處於夜以繼日地發掘之中。而其中,公元前約4500年的紅山文化亦屬於新石器後期文化,分布在位於中國內蒙古自治區的東南部壹帶與遼寧省西部地區的交界地帶--赤峰、朝陽、凌源、建平和喀喇沁左旗爲中心的廣闊區域。在位於凌源市和建平縣之間的牛河梁地區發現的遺跡裏發現的巨大的祭壇、女神廟、積石塚等相當發達的遺物上來看,不僅將已經進入初期國家階段的文化稱之爲紅山文化,而且,將其視作初級文明社會的傾向比 較濃厚。在中國學界□早以前就將這壹地區視爲遠離中國主流文化的所謂未開化民族--東夷族建成的文化區域,然而,正是這裏的文化從年代上來講比中原文化整整提前了1000年!而在這裏出土的遺跡和遺物,其精致與燦爛的程度則與中原地區出土的簡直無法相比!然而,至今在中國歷來主張的所謂中國文化源自中原文化的理論顯然不能持續下去了。隨著重新編撰歷史的巨大工程"古代文明探源工程"的完成,爲把遼河區域的文明編入中國文明的淵源,時至今日,突然把傳說中的中華民族的始祖黃帝登臺亮相,將建成遼河文化的東夷族視作黃帝的後裔,這就是中國的立場。所謂東夷族自古以來就屬於中華民族的壹員壹說,已被中國視爲建設多民族國家的觀點和立場而成爲新的歷史解釋。這壹系列的問題,如何才能不與周邊國家産生摩擦而能得到確認爲世界最古老的文明□?關於遼河文明,從至今人們所掌握的資料上來看,在這壹地區的文明中最古老的當屬公元前7000多年的小西河文化,將這壹文化繼承和發展的紅山文化晩期出現的牛河梁遺跡發掘出的祭壇、女神廟和精致的積石塚等均爲新石器文化的精髓。那□,實現這壹地區的文明的人到底是誰□?這無疑是壹個巨大的問號。世世代代在這裏繁衍生息的民族稱之爲東夷族,然而,其主流便是我們韓民族的祖先--穢貊這壹說□沒有什□異議。此外,更需要關註的是,從時間上來講,盡管有相當大的差距,但我認爲這裏可能就是檀君朝鮮曾經的所在。可是在這壹地區,最初發現遼河文明的核心--紅山文化始自1906年以後,壹些日本人開始進行了調査,還有壹些法國傳敎士也關心起來了。到了1931年,滿洲事變以後,成了滿洲國的領土,日本人便開始單獨發掘,展開了相當活躍的硏究,然而,□未能發表系統的硏究成果。1945年以後,才開始由中國進行了考察,1970年代以後才有了正式的硏究成果,才展露出了他巨大的古文明的偉岸!然而,曾經在這裏創建了如此悠久而又如此燦爛文化的人們,曾幾何時,壹直被中國認爲是野蠻民族,稱該地區爲曾經受到了中國的中原文化影響的旁系文明的地區。可是,突然壹夜間,中國□不得不收起從前的主張,將遼河文明作爲中國文明的起源來改寫歷史,恐□不是那□太容易的事情!但是,與這壹地區有關的國家或民族,理應超越過分的民族主義,相互確認各自歷史的發源地而共享歷史才是正確的歷史觀。然而,如果向已經進入21世紀東北亞時代的周邊各國的後代繼續灌輸所謂《``□裏``是我們的領土》,《曾經是我們的領土》這種封閉式的空間爲前提的國史敎育方式顯然是有問題的。我們應該抛棄那些執著於過去曾經的歷史,排斥別人的閉關鎖國的國粹主義,互相協作,就能在各個領域達成合作,不僅可以獲得劃時代的發展,還可以爲人類的共同繁榮,爲開創繁榮强盛的東北亞時代的到來,做出自己的貢獻!

      • KCI등재

        문화와 문명개념 비교연구: 루소의 사상을 중심으로

        오수웅(Sue Woong Ohrr)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7 동서연구 Vol.19 No.2

        이글의 목적은 루소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와 문명의 언어적 기원과 의미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양 개념의 유사 성과 차이성을 드러내었으며, 이전의 많은 사상가들은 문화를 영혼에 관한 어떤 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했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문화와 문명 개념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개념구분은 독일철학에서 비롯되 었음을 주장하면서, 그러한 독일철학 특히 칸트에게 있어서 문화와 문명의 구분에 영향을 준 것은 문명인(peuples poliçés)에 대한 루소의 비판이라는 사실을 주장하였 다. 루소는 문명인을 비판하면서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분리를 지적하고, 내적인 것을 문화로 외적인 것을 문명에 연계 시키고 있다. 이런 그의 구분이 독일사상가 들에게 수용되었던 것이다. 루소에게 있어서 문화는 “영혼의 어떤 능 력들의 형성과 그 결과 된 상태들”이라는 인간의 내적인 조건들을 지칭하며, 문명은 “한 사회에 있어서 사람들의 영혼에 있는 어떤 능력 또는 힘이 물질적으로 외재화된 것이나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문명이 외적이고 물질적인 것이라면, 문화는 내적이고 정신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와 문명에 대한 루소의 구분과 비판은 양자가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이론들에서 문화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으나, 루소의 개념과는 다르다. 루소의 문화개념은 이런 이론들을 재검토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될 것이며, 문화 활동과 교육이 가지는 정치적ㆍ도덕적 함의를 이해하고 나아가 오늘 날의 문명사회 전반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concept of culture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In doing so, I utilize a linguistic method in order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from ancient times to Rousseau’s days. Although there had been confusions and complications in using the concep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many thinkers of pre-Rousseau period equated the concept of culture with soul-education. Immanuel Kant being the first, German philosophers began to use the concept of culture differently. Rousseau had influenced Kant and his German successors, and his critics on peuples poliçés (civilized people) became guiding light for them. According to Rousseau, peuples poliçés indicates the person whose “outwardness” is separated from “inwardness,” civilization is related to outwardness, and culture is related to inwardness. Building on Rousseau, I conceptualize culture as indicating “cultivation of some faculties or powers, and the state of soul resulted from such cultivation” as Cicero used. Thus, culture in Rousseau’s works is strongly related to education and has effects on moeurs (mores) because faculties or powers are the elements forming ideas and sentiments. Civilization means material externalization or embodiment of the faculties or powers of people’s souls in a given society. For Rousseau, civilization was about outwardness while culture was about inwardness; and civilization was something material while culture being something spiritual. These days, the concept of culture is often used very differently from Rousseau’s usage. Yet, his concept and insights on it ma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we revisit contemporary theories. Furthermore, Rousseau’s concept of culture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moral implications of cultural activities and education.

      • KCI등재

        문화,비교철학 :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에 관한 고찰 -세계문화 3원론을 중심으로

        전홍석 ( Hong Seok J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21세기 ‘문명’이 현실상황을 진단하고 미래세계를 조망하는 본원적 기제와 학문적 탐구로 안착하기까지는 지난한 문명사적 투쟁이 자리한다. 유럽이 세계를 석권한 제국주의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오직 하나의 세계문명이라는 단수로서의 기독교문명만이 존재했다. 그런 차원에서 문명비평가 슈펭글러와 토인비 등은 서구의 지배이념이었던 단일문명론에 맞서 문명의 복수적 의미를 인정하고 확대했다. 주쳰즈의 ‘세계문화유형론’은 이러한 지성사적 반향이라고 할 수 있다. 논구컨대 그의 ‘세계문화 3원론’은 문화학의 전체 생명선인 지식문화의 유형과 특질로부터 착상된것이다. 이를테면 종교문화, 철학문화, 과학문화가 그것이다. 먼저 이 이론체계는 헤겔의 문화지리학의 형이상학적 이해를 통해 고원문화는 ‘인도’로서 지리적 특성상 종교적 문화를, 평원문화는 ‘중국’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철학적 문화를, 해양문화는 ‘서양’으로서 지리적 특성상 과학적 문화를 각각 형성한다. 이 지리적 3원론은 야스퍼스가 주창하는 기축정신을 체현한 역사민족의 문화패턴으로서 재차 인류역사시대의 문화구역, 즉 지식문화의 특질에 따른 세 영역의 문화단위로 확정된다. 주쳰즈는 여기에 더하여 량수밍의 ‘문화의 3방향설’과 막스 셸러의 ‘지식의 3형식’을 원용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문화 3원론’의 현재적 정체성을 정형화한다. 문명의 다극화체제가 확실시되는 오늘날 주쳰즈가 구도한 세계문화유형론은 세계사 전체상을 조망하는 ‘다중심적 문명다원주의’의 중요한 모델이 될 수있다. 더군다나 현대 문명대안론을 주도한 헌팅턴의 이론이 다원주의의 옷을 걸친 서구문화쇼비니즘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그의 ‘동아시아 문화유형론’이 갖는 다원주의적 현재성은 더욱 각별하다. There have been hard struggles for the 21C Culture to settle as an original mechanism and academic survey which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the future world. Till the age of imperialism when the Europe ruled the world, there had been only a Christian civilization as the singular civilization in the world. Then O. Spengler and A. Toynbee, the critics on civilization, admitted and enlarged the meaning of plural civilizations against the theory of singular civilization that had been the ruling ideology in the Western world. The theory of world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can be a response to the history of this mentality. When discussing, his idea of three world cultures was conceived from the type and trait of knowledge culture, the whole lifeline of culturology. So to speak, there are religious culture, philosophical culture, and scientific culture in his idea. First, when metaphysically understanding this theoretical system through cultural geography of G. W. F. Hegel, the highlands culture is India as a religious culture, the plains culture is China as a philosophical culture, and the ocean culture is the Western world as a scientific culture, each in the view of geographic traits. This theory of three geographic cultures has a cultural pattern of historic people embodying the axial spirits, advocated by Karl Jaspers. It is also confirmed by cultural areas in the human history, that is to say, three areas of cultural unit according to the traits of knowledge culture. In addition, Zhu qianzhi standardizes its present identity i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by accepting three directions of cultures of Liang shuming and three types of knowledge of M. Scheler. These days where there is a clear plural civilization system, his idea of world cultural typology can be a significant model as a cultural pluralism with polycentrism to prospect the whole aspects in the world histo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heory of Samuel P. Huntington, who led the theory of alternative moder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chauvinism from the western culture covered with pluralism, it is more significant to review the Eastern Asia cultural typology as the pluralism in the present aspect.

      • 对中国现代化过程中出现的文化建设思想的理论分析

        ?本?(Cho Bong-L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江原人文論叢 Vol.17 No.-

        1978년 중국공산당의 제11기 3중전회 이후 중국은 개혁개방을 추진하며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이라는 새로운 역사시기에 접어들었다. 29년이 지난 지금 중국은 사회생산력에 있어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고 그에 따라 사회문화 현상 역시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이 새로운 문화를 건설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했다. 중국공산당 중앙은 1986년 제12기 6중전회에서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에 대한 결의를 통과시켰다. '정신문명'이란 개념은 鄧小平이 창조해 낸 새로운 개념이다. 이는 마르크스철학에서 정립한 문명관을 다시 한 번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으로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정립된 것이다. 그러나 이 양자는 서로 대립하고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정신문명은 크게 '지식·문화'와 '사상·도덕'이라는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화와 '문화건설'에 대해 고찰하였다.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 이론은 등소평이 추진했던 개혁개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정신문명의 발전은 문화대혁명을 중심으로 한 과거에 대한 반성과 고찰과 더불어 중국의 경제체제 개혁의 심화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1980년부터 시작된 중국의 '문화열(文化熱)' 현상은 바로 개혁개방의 시대에 필연적으로 출현할 수밖에 없는 과거 극좌 문화사조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문화건설의 절박한 요구에 대한 결과였다. 그 후 1990년대에 개혁개방이 더욱 심화되면서 문화생활의 '다양화'와 '상품화'라는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여러 나라의 사례에서도 잘 나타나듯 한 나라 국민의 문화적 소양은 그 나라의 사회생산력을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국민의 문화적 소양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교육이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따라서 사회주의 문화 건설은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다시 이를 통해 사회생산력의 발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다시 말해 이는 중국이 현재 추구하고 있는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의 필요조건이며 이는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이 서로 변증법적으로 통일되어 있음을 증명해 준다. The 3rd Session of the 11th Plenary Conferenc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eld in 1978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historical era dubbed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modernization," indicative of its paradigm shift to Chinese Economic Reform. For the last twenty nine years since then, China has been seeing remarkable growth in terms of social production capacity as well as noticeable changes in sociocultural phenomena. These changes have been offering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formation of a new culture in the country. In he 6th Session of the 12th Plenary Conference of the CPC in 1986,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passed a resolution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Spiritual civilization" is a new term coined by Deng Xiaoping. This notion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demarcating Marxist views of civilization into material civilization and spiritual civilization, which, however, are not antagonistic to or expulsive against each other but closely and dialectically related. Spiritual civilization may be broken down into two major streams: 'knowledge and culture,' and 'ideology and morality.' This study largely focused on culture and 'cultural development.' The theory of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Reform pursued by Deng,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ivilization in China share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self reflection on the country's past centering around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as well as the furtherance of reformation of the Chinese economic system. The "Cultural Fever" phenomenon appearing since 1980 has been a response to the self examination on the ultra leftist cultural trend in the past as well as the desperat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e, which may be seen inevitable in the age of the economic reform. As the economic reform progressed throughout 1990's, unforeseen features emerged: the divers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life. As exhibited in the cases with a number of other countries, cultural grounding of a people has a decisive role in developing the country's social production capacity. Education plays a decisive role in enhancing the cultural grounding of the public. The development of a socialist culture, therefore, serves to train the talent through education and thereby develop social production capacity. In other words, thi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modernization as currently pursued by China, which in turn demonstrates the dialectic integration between spiritual and material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