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太白眞訓’에 반영된 東北亞上古邑落社會人의 世界觀과 生活相의 片貌

        朴善植(Park, Seon-sik)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자는 논고에서 ‘太白眞訓’의 기조로 읽히는 몇 가지 주된 思想性과 저자 이암의 특별한 意識的 傾向性을 언급했다. 그리하여 행촌 이암이 ‘耕織에 연관된 富와 貧, 强과 弱의 관계성 그리고 사회와 국가의 善循環에 관한 소망’을 지니고 있었고, ‘실천적 실용주의 지향성과 《太白眞訓》 속 내용의 비범성’을 언급했으며, ‘이암의 내면에 자리했던 개혁지향의 사유세계와 正義共同體의 견지 그리고 문화적 자부심’을 거론했다. 이어 본격적으로 ‘《太白眞訓》에 반영된 東北亞上古邑落社會人의 世界觀과 生活相의 片貌’를 살펴보았는데, 그 가운데 흔히 알고 있는 바, 자부선생이 헌원에게 건네준 ‘삼황내문’이 실상 치우에 의한 의도적인 전달이었음을 《太白續經》의 해당 문장을 적시함으로써 언급했다. 또한 환웅의 治世境域 안에서 펼쳐졌던 것으로 이해되는 桓道의 실체상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환웅과 웅후의 혼인과 연관되는 음양적 세계관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논조로 거론하였다. 또한 桓道에 관한 부가적인 접근의 일환으로 본 연구자가 일찍이 발표한 경기도 파주 심학산의 竝置巨石物이 지닌 陰陽 的 생식숭배의식과 연관하여 환도의 기본적 사유세계의 맥락성을 거론했고, 더불어 지금껏 전해오는 한옥의 木部材 結構方式의 내용과 관련하여서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두들겨 풍속을 격동시켰고, 노래를 불러 덕을 찬양했던(皷以風動歌以讚德) 동북아상고읍락사회의 樂舞文化’의 부분에서는 그동안 수습되거나 발굴된 동북아의 선사시기에 해당하는 여러 악기 유물과 유적을 거론했고, 그에 따라 단군을 중심으로 펼쳐졌을 동북아상고사회에서의 축제적 상황을 김시습이 전한 시구와 도교 관련 문예자료 속의 시구내용을 비교하며 언급했다. 한편 환웅이 겨레의 사람들에게 정의로운 관점에서 훈계한 내용과 단군왕검이 不咸之山에서 몸소 농사를 지었다는 내용 등을 언급하면서 桓道가 사실상 사람들에게 “날마다 쓰는 물질의 부류(日用 事物之類)”를 개선하는 적극적이고 실용주의적 태도와 연관되는 점에 유의할 필요를 제기하고자 한다. 결국 모두 10개 항목에 걸쳐 ‘《太白眞訓》에 반영된 東北亞上古邑落社會人의 世界觀 과 生活相의 片貌’를 살펴보았는데, 《太白眞訓》에 언급된 사항에 부가적으로 고고학적 정보나 역사 및 사회발전상식에 따른 의미 부여와 문화적 속성의 부수적 비교를 시도한 셈이다. This paper deals with some of the main ideas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the Taebaekjinhoon and the specific trends of thought of its author, Yi Am. This study shows that Yi Am (honorific name: Haengchon) contempl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luence and poverty, and strength and weakness in association with Gyeongjik; cherished the hope towards the virtuous cycle of a society and a nation; his tendency towards practicality and pragmatism, and the extraordinariness of the contents of the Taebaekjinhoon; his inner reform-oriented world of thought, his adherence to the just community, and his cultural pride. Then comes the main part of this article, “A Survey of the World View and the Aspects of Life on the People of Ancient Town Society in Northeast Asia as Reflected in the Taebaekjinhoon,” which reveals, with related passages from the Taebaeksokgyeong, that the Samhwangnaegyeong Master Jabu conferred upon Xuanyuan, the Yellow Emperor, was, in fact, of an act of intentional transmission by Chiu. Furthermore, regarding the identity of Hwando, or the way of radiance, that is understood to have been implemented across the governing territory of Hwanung, this paper explains that it would not be unrelated with the yin-yang world view,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arriage of Heavenly Emperor Hwanung and Bear Clan Empress. And,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basic thought of Hwando in relation to the yin-yang rituals of genital worship as seen in the large parallel stone structure in Simhak Mountain, Paju County, Gyeonggi Province, on which this author had earlier submitted a paper as an additional approach to Hwando. In the section, “Ritualistic Music and Culture of the Ancient Town Society in Northeastern Asia - The upliftment of life through striking and the extolment of virtue through singing,” this article shows various historical sites and the remains of musical instruments that belong to the prehistoric period of Northeastern Asia that have been adjusted or unearthed up until then, and, thereupon, explains the festive atmosphere of the ancient society of Northeastern Asia-that seems to have been centered on Dangun- in regard to the contents of poem by Kim Si-seup and the poem included in the Daoist-related literature materials. Meanwhile, explaining that Hwanung instructed people of the 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eousness, and Dangun himself did farming in Bulham Mountai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Hwando is, in fact, related to positive and pragmatic attitude like “improving the items of daily use” for people. In conclusion, the world view and the aspects of life on the people of ancient town society in Northeast Asia as reflected in the Taebaekjinhoon has been reviewed over all 10 points. Thu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make a comparison analysis upon the contents mentioned in the Taebaekjinhoon in terms of archeological information or meaning-giving according to the common sense of historic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 운초 계연수의 생애, 사상 및 업적

        윤창열(Yoo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20 세계환단학회지 Vol.7 No.1

        운초 계연수는 1864년 宣川에서 태어나 조실부모하고 修鍊을 하면서 桓檀의 古書와 神敎 哲學書를 널리 수집하였다. 1898년 『태백진훈』 『단군세기』를 간행하고 1899년 『참전계경』 『태백일사』 『천부경요해』를 간행하였으며, 1911년 암함노의 『삼성기』, 원동중의 『삼성기』, 이암의 『단군세기』, 범세동의 『북부여기』, 이맥의 『태백일사』를 합편하여 『환단고기』를 간행하였다. 스승인 李沂가 단학회를 창립하고, 1909년 絶食自盡하자 운초는 단학회를 발전시키고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1918년 겨울 단학회 본부를 관전현 紅石拉子로 옮겨 단학회관을 짓고 倍達義塾을 열었으며 단학회보를 간행하였다. 1898년 무술년에 광개토태왕비를 탁본하고 1912년 다시 탁본을 뜬 이후 무술등본에 의거하여 그 사이에 마멸된 138자를 복원하여 ‘聖陵碑文缺字徵實’을 발표하여 광개토태왕비의 진면목이 후세에 알렸다. 1916년 9월 9일 묘향산 석벽에서 천부경을 탁본하여 이것을 1917년 1월 단군교교당으로 보냈다. 이것이 1920년 『정신철학통편』과 1921년 단군교 기관지인 『檀鐸』에 게재되면서 천부경이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때 운초는 글자가 모호했던 탁본과 함께 천부경 필사본을 함께 보냈는데, 단군교에 보낸 천부경의 필사본이 『태백일사』본이라고 사료 된다. 1919년 4월 이상룡의 西路軍政署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1920년 8월 15일 韓奸 甘永極에게 체포되어 被殺 당하였다. 운초 계연수는 조선시대 말기와 일제강점기 시대를 살면서 우리 민족의 9천년 역사를 밝히는 桓檀의 古史를 수집하여 간행하였고, 한민족의 道學心法을 밝히는 서적을 연구하여 간행하였다. 그는 위대한 역사가이고 훌륭한 철학자이며 불굴의 독립운동가였으며, 겨레의 큰 스승이었다. 그러나 선생은 국가로부터 어떠한 포상도 받지 못하였고, 그의 사상과 업적은 제대로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운초 계연수의 功勞와 업적이 정당한 평가를 받기를 기대한다. Gye Yeon-su (Honorific name: Uncho) was born in Seoncheon in 1864. Upon his parents’ early passing in his childhood, he devoted himself to self-cultivation, widely collecting ancient texts and philosophical books on the Teachings of Spirit (Singyo). He compiled and published a series of such books as Taebaekjinhun (the Genuine Instruction of the Great Resplendence) and Dangunsegi (the Chronological Annals of Dangun) in 1898, and Chamjeongyegyeong (the Revelation on the Ultimate Goal of Human Perfection), Taebaekilsa (the Hidden History of the Great Resplendence), and Cheonbugyeong yohae (the Exposition on the Heavenly Emblem Scripture) in 1899. Afterwards, he compiled Samseonggi 1 (the Records of the Three Sacred Realms I) by Ahnhamro, Samseonggi 2 (the Records of the Three Sacred Realms II) by Won Dong-jung, Dangun segi (the Chronological Annals of Dangun) by Yi Am, Bukbuyeogi (the Records of the Northern Buyeo) by Beom Se-dong, and Taebaekilsa (the Hidden History of the Great Resplendence) by Yi Maek into one single volume, and published it with the title “Hwandangogi (the Ancient Records of Hwandan)” in 1911. Yi Gi, the teacher of Gye Yeon-su, founded the Association of the Divine Radiance Studies (Danhakhoe), but, shortly afterwards, he ended his life by undertaking a fast to death upon the Japan’s Annexation of Korea. Then Gye Yeon-su took charge of the organization for its further advancement, actively engaging i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winter of 1918, he shift the headquarters to Hongshi-lazi of Guandian county, a village in southern Manchuria, where he carried out some major undertaking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Assembly Hall of the Divine Radiance Studies (Danhak hoeguan),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College of Baedal (Baedaleuisuk), the launching of the Journal of the Divine Radiance Studies (Danhakhoebo). In 1898, he rubbed a copy from the inscriptions of the Gwanggaeto Stele. In 1912, he conducted another round of copy-rubbing there, and discovered a discrepancy between the two versions of copy. Then he reconstructed 138 worn-out characters, and revealed to the generations to come the mishap which took place at the tombstone by publishing a book entitled the Truth on the Lost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s of the Holy Stele (Seongleungbimun-gyeolja-jingshil). On September 9th, 1916, he happened to rub a copy from an inscription on the wall of a cave in Myohyang mountain, and next year dispatched it to the main office of Dangunism (Dangungyo). Then, this copy was posted on the book “A Compendium of Spiritual Philosophy (Jeongsin cheolhak tongpyeon)” in 1920, and on the official journal of Dangunism “The Messenger of the Divine Radiance (Dantak)” in 1921, and this is how the Heavenly Emblem Scripture (Cheonbugyeong) was introduced to the world. On that occasion, Gye Yeon-su enclosed his own hand-written transcript in addition to the original rubbed copy, for it contained some characters too vague to decipher. It is this transcript that is presumed to be the Heavenly Emblem Scripture (Cheonbugyeong) which was used in the compilation of the Hidden History of the Great Resplendence (Taebaekilsa). In the April of 1919, he served in the Western Route Army Headquarters (Seorogunjeongseo), attaining meritorious deeds, but unfortunately, on August 15th, 1920, he was arrested by a Korean collaborator named Gam Yeong-geuk and was brutally murdered. Uncho Gye Yeon-su, with his life spanning the final stage of Joseon dynasty and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ook credit for accumulation,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significant books that elucidate the Korean nation’s 9,000 year history, the philosophy of Dao, and the cultivation of mind. He was an erudite historian, an excellent philosopher, an indomitable independence activist, and a great teacher of the people.

      • 주류강단사학자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원홍(Cho Won Hong)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1

        일제의 압박으로부터 광복된지 7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한국의 주류 강단사학계에서는 일제 <조선사편수회>가 축소. 왜곡, 날조한 한국사의 내용을 그대로 교육하고 있다. 반면에 중공은 1983년 이후 우리 선조들이 이룩해낸 ‘홍산문화’를 본격적으로 발굴작업에 착수했다. 홍산문화(문명)는 세계4대문명의 하나인 황하문명보다 무려 1000여년이나 앞선 인류 최초의 문명임이 밝혀졌다. 이로 말미암아 중국인들의 문화적 우월감은 손상을 입게 됐던 것이다. 또 2000년 초 세계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져 중공의 공산체제가 위협을 당하자, 이 틈을 타 중공은 자국내 55개 소수민족들이 분리독립운동을 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속지주의’와 ‘신중화주의’ 사관에 의해 중공내 소수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말살, 전부 중국화하는 역사만행을 저지르고, 중국의 새 政體(polity) 론인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정립해 갔다. 이로 말미암아 20세기말부터 동북아 에서는 중국, 한국, 일본 3국간에 역사전쟁이 첨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차대한 역사전쟁의 시점에서 국내의 주류사학자들은 중공의 한국 상고사 훼손과 왜곡을 지탄하고 우리 역사를 지켜내야 마땅하거늘, 그러기는커녕 여전히 구태의연한 일제 식민사관과 慕華사관에 젖어 있다. 특히 그들은 국내 재야사학자들이 ‘국사찾기협의회’. ‘대한史郞’, ‘한배달’, ‘세계환단학회’, ‘역사의병대’, ‘한사모’(=‘한뿌리사랑세계모임’) 및 ‘미사협’(=‘미래로 가는 바른역사협의회’) 등의 역사연구 카르텔을 형성하여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를 배격하고, 중공의 동북공정과 요하문명 론의 허구를 비판하는 역사연구태도를 비난하고 있고, 심지어 땅덩어리만 크면 최고냐?, 과거의 위대한 조선의 환상에 사로잡혀 뭐하자는거냐?, 하고 비아냥거리면서 재야사학자들을 ‘사이비’ 역사학자나 ‘파시스트’ 역사학자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런 기성 강당시학자들의 옹졸하고 그릇된 역사연구태도를 비판하고, 중국과 일본의 한국상고~고대사 말살에 맞서 한국의 올바른 역사정립을 위해, 한국의 대륙사관의 실증적 사료들을 담고 있는 중국 문헌들과 한국의「환단고기」에 입각하여 본 논의를 전개해 보려 한다. However, such fears are utterly groundless. We historians, both the academic professors and the private researchers out of universities alike ought to meet together at the aca- demic seminars or conferences so that we may redress the historical errors transferred from the wicked Japanese col- onial historians, and that we may erect the objective and rightful Korean National History to satisfy the Korean pe- oples’ requirements. In order to attain such an object we have to interchange our different opinions and useful data concerning the problematic historical issues and finally we ought to make our consensus so as to provide a good Korea History Text for our promising younger generations.

      • 『천부경』과 노장철학

        원정근(Jeong Geun Won)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2

        이 글은 『천부경』과 노장철학의 세계관과 인간관이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천부경』과 노장철학은 모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제각기 독자적 자유를 맘껏 누리면서도 다른 것들과 통일적 조화를 이루는 전일적 세계를 꿈꾸고, 인간이 전일적 세계를 구현할 수 있는 창조적 주체로 보는 측면에서 동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천부경』과 노장철학은 세계와 인간의 관계를 구현하려는 방법론의 측면에서 는 시각의 차이를 드러낸다. 『천부경』은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셋의 관계를 하나로 융합할 수 있는 전일적 주체로 부각시킨다. 반면에 노장철학은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여 세계와 인간의 전일적 관계를 구현해야만 개인의 독자적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강조한다. What 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cripture of Heavenly Code (SHC) and Lao-zhuang's Philosophy (LZP)? Both are basically organic philosophi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is emphasized by SHC and LZP. This is the main similarity. There are differences, however. In the case of SHC, Man's creative capability in the context of organic world is emphasized. In contrast, Man's adaptation to natural process is emphasized in LZP. This is the main difference.

      •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과 대학의 이념

        허철부(Hur, Chul-Boo)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주요대학 국사학계의 고대사연구에 중세적 인식론인 사대주의와 일본제 국주의의 유산인 식민사관의 그늘이 짙게 깔려있다. 이 같은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시정하기 위한 본고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역사교육과 연구의 중심점에 있는 국사학계가 재야사학계와 대학의 인접학문분야 연구사들의 혹독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사학도 인류공통의 현대문명의 소산이자 그 한 측면을 기록하며 과거기록을 재조명하고 인류 현대문명의 창조자의 중요한 몫을 하는 ‘학문적 지식’이자 지식’의 이론, 즉 지식론이며 현대철학의 중요한 부분인 ‘인식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지난 삼세기에 걸친 지식론인 인식론의 큰 변화를 바로 파악할 알 필요가 있다. ‘강단 국사학계’가 표방하는 인식 론은 실증철학이다. 논리 실증주의란 19세기의 과학철학이며 과학철학은 자연과 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한다. 1930년대까지 세계의 대표적 지성계인 유럽학 계의 과학철학이었다. 19세기와 20세기는 특히 미국 학계가 2류에서 세계 일류로 도약하면서 영국 과학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20세기와 21세기의 물리학의 발전에 따른 과학철학의 발전의 영향을 입어 인식론의 발전이 이루어진 바 이의 이해를위한 문제도 약술도 하고자 한다. 한국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연구방법론이 표면상 19세기의 과학철학이자 인식론인 논리 실증주의를 표방하가 있지만 사실상 후기 조선후반기를 독점하면서 우암 송시열의 유지에 고착되어 근본주의에 빠져들게 된 노론의 인식론과 유사한 바 이도 부연하려 한다. 이 중세적 인식론의 악폐를 청산하기 위하여서도 지식론이자 현대철학의 중요한 분야인 한국적 인식론의 문제를 제대로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 바탕위에서 우리 강단국사학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2) 인식론과 이에 관련되는 그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현대문명의 큰조류를 이루는 큰 줄기인 ㄱ. 세계 지성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세계 지성사의 이해를 위하여 지식의 역사학자와 지식의 사회사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약술하려 한다. ㄴ. ‘학문적 지식’인 올바른 인식론과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국사 학’을 연구하고 교육을 행하며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대학의 이념과 이를 올바르게 시행하기 위한 한국대학의 좌표를 논하고자 한다. (3) 결론부분에서 서구문명의 세계화 속에서 우리대학이 그 것을 충분히 섭렵하고난 뒤 강단국사학계가 우리의 독창적 세계적 수준의 ‘학문적 지식’의 성과를 내어 세계학계에 기여하는 것도 한국대학의 걸머져야 할 사명이 아닌가 한다. The study of the Korean history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is deeply shadowed by colonialism, under the shadow of toadyism the heritage of medieval epistemology and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article, an attempt is made to heal and correct this pathology. (1) The established university Korean history scholars are at the center of history education and research. And yet, they are subject to harsh criticism from the researchers in the fields and also from the university adjunct area scholarship in the Korean universities.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is a part of the common academic knowledge and the source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shared commonly by all humankind, and it also becomes the subject of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And they too have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great change of epistemology, the knowledge theory over the past three centuries. The epistemology manifested by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academia is logical positivism, the science philosophy of the nineteenth century. Science philoso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science. Until the 1930s, it was the scientific philosophy of the European academic world, the world s leading intellectual spher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the British and American academia took the world academic leadership including the area of epistemology centering on their scientific philosophy, empiricism.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theory of epistemology / research methodology claimed by the Korean history researchers from the key academia is expressed as the logical positivism which is the scientific philosophy, the epistemology of the nineteenth century on the surface, in fact, it is similar to the medieval No Ron epistem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medieval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problem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ians epistemology which is an important field of knowledge and modern philosophy. On this basis, we should seek a new course of Korean national history research method. (2)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epistemology and its contex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ig tide of modern civilization, 1)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world intellectual history. 2) Based on the ideal of the university and on the correct epistemolog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societal diffusion and the correct course of action for the Korean university is proposed. (3) In the conclusion, correct epistemology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scholars is proposed for the purpose of globalization of the Korean universities.

      • 삼국시대의 장식대도와 일본

        구자봉(Koo, Ja-Bong)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1

        장식대도는 삼국시대의 분묘에서 출토되는 부장유물 가운데 피장자의 지배적인 상징성을 나타내는 위세품 가운데 하나에 속한다. 장식대도는 환두대도, 원두대도, 방두대도, 규두대도 등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장식대도는 출토자료가 많고 형태가 매우 다양하며, 발생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은 한국에서 영향을 받은 관계로 장식대도의 출토자료가 풍부하고, 정형화된 형식에서 발전하여 퇴화된 형식의 장식대도가 많이 출토되는 등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장식대도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상호관계에서 살펴보면 중국은 장식대도와 관련된 유물은 매우 제한적이며, 한국은 출토유물이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도상이나 제작기술이 매우 우수하여 일본의 장식대도의 발생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typological aspects of Ornamental Swords found as grave goods in tombs used as status symbols of the ruling clas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Ornamental Swords excavated in the tombs of the Three Kingdoms had ‘personality’, a kind of symbolic sword, which carried the meaning of societal prestige of the buried.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bout the periodic and technical inspection of Ornamental Swords discovered in Korea and Japan up until now. It also considers the symbolic meaning of Ornamental Swords in relief through the method of pattern recognition and chronological dating of the Ornamental Swords through type classification. In as much as for the Ornamental Swords themselves, China has many sites at which they were found, and it is possible to trace them to its origin there, whereas Korea’s are of various forms and are found in abundance, while Japan’s are most varied due to the influence imparted from ancient Korea.

      • 위상수학을 활용한 慶興府 고지도 분석

        정택선(Tacksun Jung),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0 세계환단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조선조 경흥부의 고지도를 위상 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경흥부의 고지도와 북한의 현 두만강 하류 지역인 경흥 부근의 구글 지도와 먼저 비교하여 고지도가 북한 경흥 근방의 위상도가 아님을 밝힌다. 경흥부 고지도에서 적지赤池, 서수라西水羅, 묘도卯島, 적도赤島, 녹둔도鹿屯島, 악양곶, 2개의 호수, 슬해瑟海에 대응되는 지역을 구글지도에서 찾아본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경흥이 현재 북한 두만강 하류에 위치한 것이라고 믿고 있고 의심조차 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은 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경흥의 실제 위치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을 갖게 될 것이다. We analysed the old map of Kyungheung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d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Kyungheung.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Kyungheungbu was not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Kyungheung. By the analyses of the map we tried to fi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Many Koreans have learned and recognized that Kyungheungbu of Chosun is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Kyungheung. However, this article may lead to change their old recognitions.

      • 위상수학을 활용한 온성부와 종성부 고지도 분석

        정택선(Tacksun Jung),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조선조 온성부와 종성부의 고지도를 위상 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온성부와 종성부의 고지도와 북한의 현 두만강 유역 온성과 종성 부근의 구글 지도와 먼저 비교하여 고지도가 북한 온성과 종성 근방의 위상도가 아님을 밝혔다. 온성부 고지도에서 온성 부위, 황척파, 유원, 의전, 유달, 분계강에 대응되는 지역을 구글지도에서 찾아본다. 온성은 해림시 영고탑까지 6일정이다. 북한 온성에서 영고탑까지 정상적인 도보 속도로 6일에 도달하지 못한다. 종성부 고지도에 대응되는 지역도 구글지도에서 찾아본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온성과 종성이 현재 북한 두만강 유역에 위치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온성과 종성의 실제 위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고지도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기대한다. In chapter 2, we analysed the old map of Onseong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Onseongbu is not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By the analysis of the map we fou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that the old map of Onseongbu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China Dongnyung. In chapter 3, we analysed the old map of Jongseong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Jongseongbu.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Jongseongbu is not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Jongseongbu. By the analysis of the map we fou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Many Koreans have learned and recognized that Onseongbu and Jongseongbu of Chosun is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Onseong and Jongseong, respectively. However, this article would revise their old recognitions.

      • 위상수학을 활용한 삼수부 고지도 분석

        정택선,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2 세계환단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조선조 삼수부의 고지도를 위상 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삼수부의 고지도와 중국의 현 혼강(옛 압록강) 지역 백산 부근의 구글 지도와 먼저 비교하여 고지도가 가리키는 곳이 백산시 혼강(옛 압록강) 근방의 위상도임을 밝힌다. 삼수 부위의 위치를 찾아보고 박홍도의 위치를 찾아본다. 삼수부 고지도에 나타난 보堡와 진鎭의 위치를 찾아본다: 인차외보, 라난보, 소농보, 신가을파지, 어면보, 구가을파지, 자작보, 강구보, 신방보, 묘파보, 별해진, 장진책의 위치를 찾아본다.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삼수가 현재 북한 압록강 유역 삼수(김정숙군) 근방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본 논문을 통해서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삼수의 실제 위치에 대한 새로운 지견을 갖게 될 것이다. We analyse the old map of Samsu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Saeksansi of China. We conclude that the old map of Samsubu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Baeksansi of China. We also find the real place of Parkhongdo in the old map of Samsubu of Chosun. By the analyse of the map we fi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Many Koreans have learned and recognized that Samsubu of Chosun is not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Samsu. But, after reading this paper they change their old recognitions.

      • 위상수학을 활용한 의주부·삭주부·창성·벽동·이산·위원군 고지도 분석

        정택선(Tacksun Jung),최규흥(Q-Heung Choi)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조선조 의주부 고지도, 삭주부 창성, 벽동, 이산, 위원군 고지도를 위상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그 지도의 내용을 설명하고 대응되는 위치를 구글지도에서 찾아보았다. (1) 義州府, 삭주, 창성, 벽동의 고지도들은 북한 압록강 유역의 義州, 삭주, 창성, 벽동 지역을 그린 것임을 밝힌다. (2)이산, 위원 고지도들은 북한의 이산, 위원 지역을 그린 것이 아님을 밝히고 고지도에 대응하는 지역을 찾는다. 많은 사람들은 조선 시대 이산(초산), 위원과 현재의 이산(초산), 위원이 같은 지역인지 아닌지 의심하지 않는다. 고지도를 분석하면 이 두 곳은 일제가 조선의 반도사관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바꾸어 놓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We analysed the old historical map of Euijubu of Chosun by topological and/or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Euiju in the google map by using 1-1 correspondence method.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Euijubu is a good topological representation map of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Euiju. Similarly, we analysed the historical map of Sakjubu, Changseong and Byukdong of Chosun and concluded that they were good representative topological maps of the neighborhoods of Sakjubu, Changseong and Byukdong of North Korea, respectively. We revealed that the locations of Lisan, Wiwon and Ganggeibu of Chosun were not the present locations of Lisan, Wiwon and Ganggei of North Korea. We found the corresponding places of Lisan and Wiwon of Chosun in the historical maps.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ps by topological and/or geometrical method with 1-1 correspondence method is considered to be very powerful tool to reveal whether a historical old map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present places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