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 파악을 위한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의 반응특성 차이 연구

        김미현,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에 따른 모자화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 모자화가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등에 있는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또래관계수준 파악을 위해 우정지각척도(FFIYC)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점수의 상, 하위 집단을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요인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수준에 따른 모자화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에서는 모형태, 모크기, 자 얼굴표현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PDI에서는 자연령, 모자행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하위요인에 따른 반응 차이는 긍정요인인 자기표현, 인정, 도움에 따른 모자화 그림 반응특성은 모의 형태, 모자 표정, 모자 얼굴표현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긍정요인의 PDI에서는 자의 연령, 모자행위, 친밀감을 느끼는 대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래관계 부정요인인 배타성, 갈등에 따른 모자화 그림 반응특성의 차이는 모 얼굴표현, 자 크기 등 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요인의 PDI의 반응특성이 나타난 항목은 자 연령, 생각하고 있는 것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자화가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according to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ther-and-child drawings as indicators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300 friends of adolesc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conducted Friendship Perception Scale(FFIYC) to identify the level of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 For the data analysis, the score and the subgroup were express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crossover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the episodes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in accordance with the peer relationship level of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 type, size of mother, etc. Post Drawing Inquiry(P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age, mother-and-child behavio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sponse according to positiv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are mother shape, mother-and-child expression, etc. The Post Drawing Inquiry(PDI) response characteristics showed the child age, mother-and-child behavior, etc.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sponse according to negativ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are number of mother face expression, child size, etc. The Post Drawing Inquiry(PDI) response characteristics showed the child age, etc.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other-and-child drawings can be used as a tool to grasp the degree of peer relations in adolescents.

      • KCI등재

        여성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측정방법과 디자인 개발 연구

        김차현(Cha Hyun Kim),안영실(Young Sill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성장하고 있는 모자산업에 발맞추어 한국 성인여성의 착용감이 좋은 모자패턴 및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함에 목적에 있다. 모자 기본원형 제작의 기초가 되는 머리둘레는 모자 형태나 쓰는 방법의 변화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류된 각 대표 모자의 기본원형을 3D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모자 4가지를 제작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에서 정의한 각 머리둘레는 모자 쓰는 위치와 디자인에 따라 모자둘레와 차별을 두어 사용하여야 하며, 두상의 앞면에서는 이마시작점, 이마중간점, 눈살점이, 옆면에서는 귀바퀴위점, 뒷면에서는 뒤통수돌출점, 뒤통수점이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주요한 계측점으로 지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1차적인 머리 두께 및 너비길이에 근거한 머리둘레의 Master Oval Pattern 제작에 비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제작방법이 보다 더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대량생산 모자의 패턴제작에 있어서는 3D 계측방법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제작된 모자 디자인에 따라 정확한 머리둘레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넷째, 모자 형태의 분류에 따라 반구형, 원기둥형, 원반형, 무 크라운 모자의 기본원형을 제시하여 다양한 디자인 전개에 활용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growing millinery industry of Korea with basic patterns and design for Korean women`s hats. We begin with the idea that measurement and shape of head circumference is dependent upon hat design and ways of wearing hats. Accordingly, we categorize hat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shapes. Then we present basic patterns for selected hats from each category based on 3D scan data of head block models. We also made four sample hats using the basic patterns we developed. Main results are: First, principal measurement points should include glabella, the mid point of forehead, and crinion in the frontal head, occiput and inion at the back of the head, euryon on the side. Second, 3D scan data provides easier and more exact measurement and shape than the head circumference based on the uni-dimensional measurements of head length and head width for making the master oval pattern. We suggest that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should be used widely for pattern-making, especially in mass production of hats. Third, the richer and more flexible set of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resulted in a better fit of hats with different designs. Forth, our four basic hat patterns(domed, cylinder, discus, and non-crown) served wel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hat plans and designs.

      • 1950년대 모자원(모자원)의 설립과 서울의 모자원 구성원의 생활양상

        노윤주(Roh, Yooju) 서울민속학회 2020 서울민속학 Vol.- No.7

        본 연구는 1950년대 부녀복지정책의 하나로 세워진 모자(母子) 가구의 수용시설인 모자원(母子院)의 설립과 운영을 살펴보고 서울지역의 모자원 공간 내에서의 생활양상을 통해 서울민속의 일환으로 전후(戰後) 변화된 생활상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950년대 부녀복지정책은 부녀계몽, 노동여성보호, 부녀보호를 위한 정책이 실시되었다. 이중 부녀보호를 위한 일환으로 모자원은 구호대책으로 세워졌다. 1950년대 서울지역의 모자원은 최대 27여 곳이 세워졌으며, 설립주체에 따라 국공립이나 종교, 개인 등 민간기관에서 세워졌다. 1954년에 제정된 「모자원직제」에 따라 갈 곳 없는 모자(母子)를 수용하고 직업보도를 권장하듯이 모자원에 수용된 여성들을 취약한 사회계층으로 인식하고 이들을 수용하여 경제자립을 할 수 있도록 직업보도에 힘썼다. 정부 또는 UNKRA와 같은 구호단체를 통해 재봉틀, 기계 등을 제공받으며 직업훈련소인 수산장(授産場)를 통해 각종 편직물, 인형 등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점은 일회성에 그치는 무조건적인 원조가 아닌 지속적인 직업교육을 통해서 여성의 직접적인 경제적 활동에 참여하여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러한 점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촉진 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감리교에서 설립한 서울 성광모자원의 입주서약서 사례를 통해서 모자원에서의 공동체 생활을 강조하고 있으며, 실제 모자원의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을 나누어 공간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일반 가정과는 다른 집단생활 공간에서 살며 직업 보도를 통해 여성들은 재사회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집단 거주시설은 오늘날 지명에도 영향을 끼쳐 "모자원고개", "과부촌"과 같은 지명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전쟁 후 가장 취약했던 계층인 여성과 아이를 구제하기 세워진 모자원은 이들을 수용하고 보호하였다. 모자원 내에서의 직업 보도로 양봉, 재봉, 미용 등의 기술을 배우며 여성가장으로서 생계를 꾸려나가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는 모습은 정부에서 문화영화나 대한뉴스 등 매체를 통해 서울 국립모자원의 활동과 성과를 홍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쟁 후 모자원은 모든 모자가구를 수용할 수 없는 수가 적은 시설에 불과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으로 인해 기존의 가족이 해체되고 모자가구만 모여 사는 집단 주거지로서의 주거생활의 변화는 전후(戰後) 민속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ojawon(母子院, a Care Center Mother and Children), which was established as part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in the 1950s, and to consider the changed lifestyle as part of the postwar Seoul folklore through the living space and lifestyle of the Mojawon in Seoul. In the 1950s, women"s welfare policies were implemented to enlighten women, protect working women, and protect women. Among them, one of the women"s protection policies. During this period, up to 27"s the Mojawon were established in Seoul, and private institution such as state-run, religious, and individual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founding body. The mother and children-related legislationn, establish in 1954, protected mothers and children with nowhere to go and encouraged professional reporting. The government made efforts to report the women who were housed in the Mojawon to recognize them as vulnerable social classes and to accommodate them and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It can be said that it encourages women"s direct economic activities and encourages social advancement through vocational education, not unconditional aid. In addition, through the example of a pledge to move in Seoul"s Seonggwang Mojawon, women lived in a different life from ordinary households and experienced re-socialization by dividing the actual private and public spaces of the Mojawon. These collective residential facilities have also influenced today"s geographical names, such as "Mojawon hill" and "Gwabuchon(a widowed village)" I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fact that she made a living as a breadwinner and accelerated women"s social participation by learning skills such as beekeeping, sewing, and beauty through job reports within the mother and child.

      • KCI등재

        보로노이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일상 모자 개발 연구 - 3D 프린팅 활용을 중심으로 -

        김혜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3D 프린팅은 제3의 산업혁명을 예고하며, 제조업의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패션에서는 프린터 크기, 속도, 소재의 문제로 패션 소품 개발이 주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D 프린팅의 가능성 확대와 상품화를 위해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 착용 가능한 모자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의 요소로는 조형미와 더불어 프린팅 시간 절약과 견고성을 지녀 3D 프린팅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은 보로노이 다이아그램(Voronoi Diagram)을 이용하였다.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모자, 보로노이 디자인 제품을 분석하여, 보로노이 패턴의 조형성, 실용성, 조화, 공극의 활용, 입체 구현, 맞춤화의 특성을 디자인에 이용하였다. 대중적인 프린터 방식인 FDM 프린터를 사용하여 모자의 부분 또는 장식을 프린트 해, 니트 비니 1점, 스냅백 1점, 페도라 1점의 총 3점을 제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으로 모자의 곡선과 보로노이 패턴의 곡선은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었다. 둘째, 패턴의 공극은 다른 소재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출력물의 가벼운 중량과 견고함은 모자의 부분 또는 장식에 모두 적합하였다. 넷째, 프린트의 단단한 소재와 일반 모자 형태와의 결합은 편안한 착용감과 동시에 모자의 입체감과 형태를 살리기에 적합하였다. 다섯째, 컴퓨터 CAD 파일의 변형만으로 디자인의 변형이 용이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3D 프린터 개발 상황에서 3D 프린팅 기법과 보로노이 패턴은 기존의 모자 소재와 함께 형태를 잡아주고, 또한 착용감을 높이고 제작 시간 절감함으로써, 실용화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론 연구와 모자 제작을 통해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법과 보로노이 패턴을 기존의 모자 형태에 접목하여 착용감, 시간, 형태를 보강하는 유용한 방법을 보여 줌으로써, 3D 프린팅 모자 제품의 상용화, 대중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3D print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and a revolution in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size and speed of printing along with current printing materials, fashion accessories are mainly developed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research proposes an innovative millinery design in order to widen the possibility of usage, popularisation and commercialisation of 3D printing. The Voronoi diagram, a geometrical pattern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set points, is used as design inspiration to achieve practicality, aesthetics, and balance, as well as optimise the position of holes, make a 3D model and customise it. A FDM printer is used to achieve these above. Further, 3D printed millinery products using Voronoi patterns are analysed in order to assist designing. In this way, two fedora hats, one hand-knitted beanie, three snapbacks are made,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curve of the hat and the Voronoi pattern are well connected; secondly, the holes in the pattern make other materials connect easily through stitching; thirdly, the lightweight but firmness of 3D printing are suitable for being used in both the body and the decoration of the hat; fourthly, the combination of hard material and wool is good for making a three-dimensional hat shape. Lastly, changes in the design are made easier by changing the CAD file instead of making a new mould. Voronoi pattern 3D printed hats are light but strong and comfortable, requiring shorter production times. They are suitable for commercialisation at the current development stage of 3D printing.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6 milliner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sation and popularisation of 3D printing products.

      • KCI등재

        삼국시대 모자도의 성격과 나주지역 모자도

        이건용 ( Yi Gun Ryoung )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3 No.-

        최근 발굴 조사된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 소환두도는 신촌리 9호분 을관에서 출토된 삼엽환두대도와 함께 칼집에 작은 칼인 자도(子刀)가 부착된 모자도(母子刀)이다. 모자도는 삼국시대 백제와 가야가 아닌 신라에서 유행한 장식도로, 이 2건의 사례를 제외하고 지금까지 호남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 신촌리 9호분 을관 장식도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함께 제작지, 부장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목적을 위해 우선 기존연구에 상세하게 검토되지 않았던 삼국시대 모자도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성과 변천양상을 먼저 검토하였다. 삼국시대 모자도는 56개 유구에서 81점이 확인되었다. 모자도는 환두 유무에 따라 A유형, B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A유형 모자도는 신라의 경주지역 대릉원 일대의 고분을 중심으로 부장되었고, 대구, 경산, 의성지역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나머지 비 신라 지역은 대구, 경산, 의성 등지의 영향을 받아 부장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그러나 B유형의 모자도는 공주 수촌리 Ⅱ지점 4호 석실에서도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A유형 모자도와 달리 그 중심지를 신라로만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A유형 모자도는 피장자의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관(冠), 식리(飾履), 대장식구(帶裝飾具)가 동반되는 확률을 보았을 때 장식도 중 상품(上品)으로 유추하였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석실과 신촌리 9호분 을관 장식도는 6세기 전후한 시점에 부장된 A유형 모자도이며, 금동관과 금동식리와 함께 나주지역의 호사로운 장례풍습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나주지역의 출토품들은 신라의 전형적인 모자도와 차이를 보고 있고, 백제와 가야지역에서는 A유형 모자도의 부장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촌고분 1호 석실과 신촌리 을관의 모자도는 부장을 목적으로 현지 유력자의 의도에 따라 신라 모자도 양식을 모방하여 제작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Decorated swords excavated from Naju Bogam-ri Jeongchon(NBJ) and Ul-coffin of Shinchon-ri(NS) tombs No.9 were Mojado that small blade which is called ‘Jado’was attached. Mojado was prevalent types of decorated swords of Shilla. It has been identified in the Honam area only two cas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Mojado data in three kingdom period, its locality and transition were analyzed for understanding types, production place and background of burial of Mojado excavated from NBJ, NS9U. As a result of analyzing, Mojado are classified into Type A and B depending on existence of Hwandu. Type A is concentrically used in Gyeongju Daereungwonarea as grave goods and this burial ritual affected Daegu, Gyeongsan, and Uiseong areas. It is assumed that the outside of Shilla area was affected by Daegu, Gyeongsan, Uiseong area etc. However, unlike Type A Mojado, the center of the type B cannot be seen only by Silla. In addition, type A Mojado is also Gilt-bronze crowns(冠), Gilt-bronze Shoes(飾履), belt ornament(帶裝飾具) were decorated with high-grade inferred even when viewed from the probability that accompanied. A type Mojado of NBJ No.1 and NS9 Ul-coffin is estimated to be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e luxurious funeral customs of Naju along with Gilt-bronze crownsand Gilt-bronze Shoes in the 6th century. However, the Mojado of the Naju region show differences in the typical Mojado of Silla, and in the Baekje and Gaya region,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the production or the aspect of the A type Mojado. Therefore, the paper NBJ No.1 and NS9 Ul-coffin of Mojado was determied to be produced by imitationing the Silla`s Mojado according to the local potentate intended for the purpose of the manager.

      • KCI등재

        대학생의 모자 착용실태 및 선호 디자인 조사

        장정아 ( Jang Jeong-ah ),김주애 ( Kim Ju-a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7 No.-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모자의 착용실태 및 선호 디자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모자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모자를 용도에 따라 스포츠레저용과 타운용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구매실태, 소유실태, 착용실태, 사이즈 인지도, 선호디자인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매실태 분석 결과 스포츠레저 모자의 경우 남녀 학생 모두 브랜드 의류매장에서 가장 많이 구입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자 구매의 선택기준으로는 스포츠 레저모자의 경우 기능성과 실용성을, 타운 모자의 경우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소유실태 분석 결과 남녀 모두 용도별 모자를 1~2개를 가지고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스포츠 레저 모자에 비해 타운 모자를 더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하고 있는 모자의 색상은 스포츠 레저모자의 경우 검정색과 흰색이 가장 많았고 타운 모자의 경우 남학생은 검정색, 흰색, 베이지색 순으로, 여학생은 흰색, 검정색, 핑크, 베이지 순으로 그 차이를 나타냈다. 착용실태 분석 결과 착용 빈도는 스포츠레저용 모자의 경우 남학생은 주 1~3회, 여학생의 경우 주 0~1회로 남학생의 착용빈도가 많았으며, 사이즈 인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자신의 모자 사이즈 인지에 대해서 여학생의 55.4%가 잘 모른다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의 경우 구체적인 사이즈 인지를 하고 있어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비교적 사이즈 인지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디자인 분석 결과 선호하는 스포츠레저 모자는 남녀모두 베이스볼 캡, 햇, 선 바이저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타운 모자는 남학생의 경우 베이스볼 캡, 워치 캡, 케피, 스타킹 캡, 티롤리안 해트 순으로 여학생의 경우 여학생의 경우 베이스볼 캡, 스타킹 캡, 베레, 티롤리안 해트, 카플린 순으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collegians to wear caps and hats. For the study, this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who are in colleges located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survey, the researcher classified caps and hats into two kinds, or those for sports, leisure and town and, for each of the kinds, asked collegians how they were purchasing, what they were possessing, what and when they were wearing, what sizes they were perceiving and what designs they were preferring to. Data from the survey were to be used.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Responses to each question item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n processed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llegians` preferences for cap or hat designs were examined to find that in case of caps or hats for sports and leisure, those students, whether male or female, were most preferring to baseball cap in design, followed by Hat and Sun visor in order and that in case of those for town, male college students were most preferring to baseball cap in design, followed by Watch cap , Kepi and Stocking cap, Tyrolean hat in order, and female ones, baseball cap, followed by Beret, Tyrolean hat and Capeline in order.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한중 방한모자의 비교

        장경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Scholars regarded being in full dress as an etiquette in Joseon period, showing a touch of style with white robe and a black Gat (a traditional Korean top hat). This study addressed the type of hats worn by scholars, and reviewed how the winter cap evolved characteristically in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ed with that in Chinese Qing period. The outlin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wider variety of types and shapes in Joseon period than in Chinese Qing period. Only two types of hat, including Taepyeonggeon and Malaeg, were used in everyday cloths in Qing period, whereas ten types of hat, including Manggeon, Tanggeon, Gat, Jeongjagwan, Jujagwan, Hyeomgyegwan, Dongpagwan, Chungjeonggwan and Banggwan, were used in Joseon period. Although hats were named after the renowned Chinese scholars, the materials, shapes and skills were localized in Joseon. The style acquired new and unique tastes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skills. As hats evolved toward the scholar's aesthetic taste, the hat craftsmanship was commercially specialized in the style (Manggeonjang, Tanggeonjang, Yangtaejang and Ipjajang). Second, the winter caps were available in wider variety of types and shapes in Joseon period than in Chinese Qing period. A winter cap was limited to an ear cover (Itu and Ieui), Pungmo (a modified hat) and Chomo (a fur hat) in Qing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ear cover variously evolved into Bolki, Aegeom, Hoaeg, Hohang, Pungcha, Hangpungcha, Sopungcha, Pigyeon, Samcheongeon and Yangjeongeon in Joseon period. A winter cap was developed on the ground that Gat was vulnerable in cold weather during the winter. In Qing period, Taepyeonggeon and Malaeg were still used as a winter cap, though the materials were changed into fur. For the winter cap in Joseon period, not only the materials, but the types and shapes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an ordinary hat Gat. The winter caps were mainly worn by men till 18th century, and were in fashion among women and children since 19th century when the use of wig was banned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The winter caps became more colorful and used more decorative objects. However, an opening on the top to let a topknot stand out was traditionally remained in a men's winter cap. Third, a variety of winter caps was developed in Joseon period, because Gat, a symbol of scholars, was vulnerable to the cold weather. The winter caps were mostly dark, and has an opening on the top to let a topknot stand out. As men tied a topknot, wore Mangeon around the head across the forehead, and then wore Tanggeon before wearing Gat in Joseon period, a winter cap was worn on top of Tanggeon. Gat was made of bamboo and horsehair to maintain a neat and proper shape, whereas a winter cap was made of fabric and wool to be foldable. Hats also had come into fashion among women and children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본고는 조선후기 조선과 청나라에서 착용한 방한용 모자의 종별과 형식적 특징을 비교하여, 조선 모자의 종류가 많고 조선만의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유교를 국시로 삼았던 조선은 衣冠을 갖추어 예의를 지키고자 하였기에, 항상 모자를 착용하여 종류가 많았다. 중국의 모자는 太平巾과 抹額 뿐이었지만, 조선의 모자는 網巾․탕건․笠[갓]을 비롯하여 程子冠․朱子冠․濂溪冠․東坡冠․沖正冠․方冠 등 10여 가지로 다양하였다. 이러한 모자는 선비들의 미적 취향으로 발전된 것이면서, 그것을 만드는 장인의 제작기술은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우리의 고유문화가 되었다. 조선의 방한모자 또한 중국의 것보다 종류가 풍부하였다. 중국의 방한모자는 耳套․耳衣, 태평모에서 개선된 風帽, 抹額에서 발전한 臥兎兒, 氈笠形이나 鉢笠形으로 제작한 貂帽 등 비교적 한정되었으나, 조선의 것은 耳掩을 비롯하여 볼끼 및 額掩[아얌]․護額․護項․風遮(項風遮․小風遮․披肩․三山巾․陽轉巾) 등 다양하였다. 특히 조선 선비의 상징인 갓을 비롯한 관모들은 추위에 약하여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검은색에, 상투를 세울 수 있도록 위가 트인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남자들의 방한모자가 점차 여자용과 어린이용으로 확산되면서도, 그 색과 형태는 여전히 유지되어 한국 방한모자의 특징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조양규의 작품을 관통하는 또 하나의 축 -모자(母子) 이미지에 관한 시론(試論)-

        정현아 ( Jeong Hyeon-a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조양규가 13년 간 일본에서 제작했던 일련의 작품은, 1945년 8월 이후 한국이 해방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일본이 제국주의적 식민지 확장대신에 어떻게 근대자본주의를 이용해 그들의 이익 편승을 도모해 나갔는가에 대한 근대 일본사회의 단면을, 최하층민의 관점에서 보다 세련된 은유와 직관적 모티브들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일관되게 구현한 것이다. 「창고 씨리즈」, 「맨홀 씨리즈」는 물론, 일정한 모티브를 가지고 다양한 조형 형태를 보여주는, 「소 모티브」, 「모자모티브」, 「노동자 모티브」 등은 조양규의 사상적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조양규 작품에 대한 사상적 시각은, 도일(渡日)이전 좌익 활동이력과 그로 인해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 밀항선을 타면서 시작된 화가로서 그의 삶을, 13년간 일본에서 제작한 작품의 사상적 주제와 모티브로 연결시켜 본 연구결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시론은 해방기 한국에서 좌익사상과 그와 연관된 이력만으로 조명되었던 조양규의 정치적 행보라는 시각과는 달리,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에서의 행적과 습작과정에서 발견되는 모자 이미지에 주목한다. 해방기 한국의 부산시절에 포착되는 모자 이미지의 시작과 모자 이미지의 근원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조양규의 남다른 가정사와 함께 사범학교 학생시절에 심취했던 케테콜비츠와 그녀의 주요 모티브인 모자 모티브는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이후 모자 이미지가 나타나는 일본에서의 작품 활동과 그와 관련된 시기에 보이는 다른 작가들과의 교류 속에서 지속적으로 모색되는 모자 이미지의 흔적을 추적한다. 조양규의 일본에서의 작품 활동 가운데 발견되는 모자 이미지는 많지 않지만, 조국(모)과 나(자)의 관계의미를 표현한 작품과 실제 모자 이미지를 조형 속에 재현한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이 두 형태의 모자 이미지가 조양규의 13년간 일본 활동 가운데 지속적으로 확인된다는 점이다. 게다가 다른 작가와의 교류에서 발견되는 모자 이미지와의 관련성은 작가의 의도 속에 여전히 모자이미지의 추구가 엿보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양규의 모자 이미지는 해방기 한국에서부터 개인적 가정사와 정치운동과 함께 시작된 운명적 이미지였고, 일본의 작품 활동에서 다른 사상적 모티브와 함께 추구되었던 일상적 이미지였으며, 많은 작품 속에서 구현되지는 않았지만, 꾸준한 작품과 교류 활동 속에서 계속해서 모색되었던 지속적 이미지였던 것이다. Cho Yang-gyu’s series of work created in Japan for 13 years is a consistent embodiment of his thoughts, via more refined metaphor and intuitive mo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a bottom feeder, on how Japan had sought profit-making using modern capitalism instead of expanding imperial colonies this time after August 1945, while Korea was going through the liberation period and Korean war. Not only < Warehouse series > and < Manhole series > but also < Little motive > < Mother-child motive > and < Laborer motive >, showing diverse forms of molding under a certain motive, are a good example to believe that Cho Yang-gyu’s thinking motives were expressed persistently in his work. Such a philosophical perspective found in Cho Yang-gyu’s work is closely related to his new life as an artist, who had had a career of leftism until this involved him in political events and forced him to board a smuggler to Japan. The existing studies connected his past in Korea to the philosophical themes and motifs of the work he created in Japan for 13 years. So Cho Yang-gyu has been chiefly illuminated by his political movement of leftist thinking in Korean liberation period and his related activity. However, this essay takes notice of his record of performances in Korea which has been unknown so far and the mother and child image found in his course of study. His mother-child image was initiated in his life in Busan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s considered due to Cho Yang-gyu’s unusual family history. This image is also deeply related to Kather Kollwitz by which he was fascinated when attending a teachers’ college and her major motif mother and child. This article, then, traces the mother-child image he continually sought in his activity as an artist in Japan and interaction with other authors in the relevant period of time. There are not many mother and child images found in Cho Yang-gyu’s work in Japan but, looking by division into work of expressing relational meaning between his mother country (Mother) and him (Child) and reproduction of actual mother and child image in molding, these two types of mother-child image are continually confirmed in his 13 years of activity in Japan. Moreover, relation to mother-child image discovered in interaction with other authors still proves his intentional pursuit of a mother-child image. To conclude, Cho Yang-gyu’s mother and child image was a fateful image which began in Korea’s liberation period with his personal family history and political movement, routine image sought in performing in Japan along with other philosophical motifs, and continual image sought constantly in performing work and social interaction, although not embodied in many works of his.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 수준 파악을 위한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의 활용가능성 연구

        최진숙,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회피, 애착-불안에 따른 모자화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모자화가 대학생의 애착 회피와 불안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A시, B시, C시 등 3개시에 있는 2년제 이상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친밀한 관계 경험 척도(ECRS)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차원과 모자화 각 지표 간 상관관계에서 애착-회피는 표정, 얼굴표현 수와 정적상관이 있고, 애착-불안은 모자상의 크기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회피 차원의 상·하위 집단 간의 모자화 반응특성에서는 어머니상의 표정, 아이상의 표정, 눈맞춤, 모자행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 차원의 상·하위 집단 간의 모자화 반응특성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아이상의 크기 비율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모자화가 대학생의 애착-회피, 애착-불안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nd use them as tools to identify college student's avoidance and anxiety dimensions of attachment. Participants were 340 col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three areas of Gyeonggi-do.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cale (ECRS) and Mother-and-Child Drawing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ttachment dimens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showed that avoidance-attachmen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cial expression and number of facial parts and anxiety-attach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ize of mother and child figures. Second, high and low score groups of the avoidance-attachment dimension in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eye contact and actions of mother and child. Third, high and low score groups of the anxiety-attachment dimension in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revealed difference only in size ratio of child figure to mother’s. This research suggests the Mother-and-Child Drawing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avoidance-anxiety dimensions of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교우관계 선별을 위한 모자화(Mother-and-child drawings) 타당화 연구

        김미현(Kim, Mi-Hyun),이근매(Lee, Keun-Mae)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선별하는 도구로서 모자화의 타당화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등에 있는 청소년 699명을 대상으로 모자화와 교우관계 선별을 위해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모자화 검사에 대해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일치도, 반분신뢰도, 내적 일치도를 구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모자화 검사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와 모자화에서 추출된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첫째, 청소년 대상 모자화 점수지표에 의한 신뢰도는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신뢰도, 반분신뢰도, 내적 일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예비연구의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일치도는 매우 높은 신뢰로운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분신뢰도 값과 내적 일치도는 적정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모자화 채점지표 대한 채점자내 및 채점자간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반분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는 예비조사보다 높은 신뢰도 값을 나타내며 적정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청소년 대상 모자화 채점지표에 의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는 모자화 채점지표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하위요인은 2개의 요인이다. 모자화의 요인 1은 크기, 형태이며, 요인 2는 모자상 종류, 표정, 신체접촉, 눈맞춤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를 위해 아동․청소년 교우관계검사와 추출된 2개의 요인분석 결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자화 채점지표가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선별해 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s a tool for selecting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For this study, 699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tested using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 (KIPR) to assess how they select mother-and-child drawings and their friendships. SPS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the inter-rater agreement, intra-rater agreement,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determined for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In order to verify validity,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and the correlation was obtained with factors extracted from the KIPR and the mother-and-child drawings test.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score index for adolescents was verified through inter-rater-agreement, intra-rater-agreement,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Second,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of the score index for adolescents resulted in two factors being extract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in the drawings was size and shape, and the second factor was shapes, facial expressions, physical contact, and eye contact depicted in the mother-and-chil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the concurrent validity, the results of the two factor analysis and the KIP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