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뉴 뮤지올로지 개념을 적용한 서부산 지역 문화자원 활성화 방안

        조선경 ( Jo Seon-gyeong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6

        오늘날 도시의 패러다임은 성장 위주의 개발 정책에서 문화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물리적인 환경 정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지역문화의 근원인 문화자원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사례로 선정한 서부산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강 문화권으로 지역민들의 독특한 삶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역사·자연·산업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 주도의 대규모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문화자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이루어지기도 전에 문화자원이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으로 주목 받는 ‘뉴 뮤지올로지(New Museology)’ 개념을 서부산 지역에 적용하여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지역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oday's urban paradigm is shifting from growth-oriented development polici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takes into account cultur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ideration for cultural resources, the source of regional culture, with focus on physical environment maintenance. West Busan, selected as the research case, is a river culture area located at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hat maintains the unique lifestyle of the local people and is full of historical, natural, and industrial resources. However, due to the recent government-le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ultural resources are being destroyed bef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is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serv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and seek ways to revitalize the reg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New museology’,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to the West Busan.

      • KCI등재후보

        보라국(保羅國)과 문화량현(蚊火良縣) 위치(位置) 시고(試考)

        심봉근 ( Sim Bong-geun ) 동아문화재단 2021 文物硏究 Vol.- No.39

        『삼국유사』 물계자전 포상팔국 기사에서 보라국, 고자국, 사물국이 함께 가라와의 전쟁에 참가하였다 하고, 같은 책 지명 주석에 보라국을 나주(羅州)로 비정하였다. 그리고 문화량현은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고성군 영현(領縣)이나 위치미상이라 하였다. 그런데 김정호(金正浩)는 『대동지지(大東地志)』와 지도에서 고성군 상리면 오산(奧山)에 문화(文和)와 함께 표시하고 있다. 양설 모두 큰 반론 없이 통설처럼 현재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기존의 위치 비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고 관계문헌과 고고학 자료를 통한 새로운 시론(試論)을 제시하게 되었다. 먼저 보라국은 삼한시대 사천 늑도에서 시작되었다. 늑도의 배경에는 청동기 시대 과거 삼천포시 권역과 오늘날 고성군의 하일·하이면에 집중해서 분포하는 지석묘 사용집단이었다고 생각된다. 보라국이라는 명칭은 고려사에 나타나는 구라도를 참고하면 모라도(동음의 보라도)에서 연유되었을 것이 예상된다. 3세기 후반경에 편찬된 『삼국지』에 보이는 변진구야국이나 변진고자미동국을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는 가락국, 가라, 고자국 등으로 명칭한 것을 고려하면 보라국도 삼한시대에는 동음의 모라국이었다고 생각된다. 즉, 보라국은 원래 모라도에서 비롯되어 뒷날 모라국으로, 모라국은 다시 동음의 보라국으로 기록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삼한시대 보라국은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지역의 대소 국가를 상대하는 국제무역국으로서 기원 전후 1세기를 중심으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는 것은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서 이미 검증된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게 번성하던 보라국이 2세기 말엽에서 3세기 초반경에 갑자기 늑도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파악된다. 3세기 이후에 해당하는 유적이 늑도에서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목되는 것은 3세기 전반은 문헌자료에 나타나는 포상팔국의 전쟁시기이다. 이와 때를 같이 하여 행방이 묘연하게 된 셈이다. 혹시 가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보라국은 국제교역권을 상실하고 농경지 부근으로 이동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보다 후대의 일이지만 인접한 사등동(毛羅嶝)과 향촌동에서 6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 주거지와 고분 그리고 산성 등 관계유적이 확인되어 주목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3세기 정도 공백기가 인정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기한 유적들이 모라등 또는 모라골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삼국유사』에는 분명히 보라국으로 등재하고 있으나 이동된 곳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동음운의 모라라는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며 『일본서기』의 문모라(汶慕羅)와도 상통하여 보라국의 이동으로 파악해도 무리하지 않는다고 하겠다. 다음 문화량현이다. 신라는 가야지역 병합과 삼국통일 전쟁을 완성한 이후 지방군현을 개편한다. 소가야지역에 위치했던 보라국은 문화량현으로 편제되고 치소가 고성 사곡리(모라실)로 다시 이동한다. 문화량현이라는 명칭은 전대의 모라와 보라에서 차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동된 곳도 역시 모라실이다. 따라서 삼한시대 늑도에서 시작한 보라국이 삼국시대 사천 사등동(사등산성)에 위치하였다가 신라시대 문화량현으로 개편되면서 고성 사곡리(사곡산성)로 이동되었다고 하겠다. 그리고 보라와 모라라는 지명은 삼한이나 삼국시대부터 신라시대까지 함께 사용되고 고려시대에는 보령과 모라, 조선시대에는 모라로 통일해서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문화량은 모라의 동의운(同意韻)을 차용해서 경덕왕 이후 신라시대에 한때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며 치소는 고성군 하이면 사곡리이다. There is a story of Posangpalguk, the biographies of Mulgyeja in 『Samgukyusa』. It was said in the story that Boraguk, Gojaguk, and Samulguk had engaged in war against Gara. In annotations on place name of the same book, Boraguk was designated as Naju. Munhwaryanghyeon was marked a Yeong-hyeon of Goseong-gun in 『Samguksagi Jiriji』. But, it was written that the place was unidentified. By the way, Kim Jeong-ho marked it with Munhwa in Osan, Sangri-myeon, Goseong-gun on 『Daedongjiji』 and a map. Both theories are now cited as common view without much objection. However, I have thought that designation of location was wrong. Therefore, using related documents and archaelogical data, I came to present an essay. First of all, Boraguk began in Sacheon Neuk-do in the period of the Three Hans. It is believed that the background of Neuk-do was on the area of Samcheonpo-si in the past of the Bronze Age and a group using dolmens that concentrate on the Ha-il-myeon and Hai-myeon in Goseong-gun today. It might be assumed that Boraguk was been derived from Morado(Borado of the same sound), referring to Gurado, which appears in history of Goryeo. Byeonjinguyaguk or Byeonjingojami dongguk were written in Samgukji compiled around the late 3rd century. They were named Garakguk, Gara, Gojaguk, and etc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In light of this, it is thought that Boraguk also was Moraguk of the same sound in the Three Hans period. In other words, Boraguk originated from Morado and later was recorded as Moraguk, and Moraguk was recorded as the Boraguk of the same sound. Archaeological data have proved that it enjoyed a golden age in the time of the 1st B.C. and A.D. centuries. It was a trading nation dealing with large and small countries in Northeast Asia such as China and Japan. Even if it had flourished so, it is considered that it suddenly disappeared from Neuk-do around the late 2nd and early 3rd centuries. In other words, the remains that have been dated at the 3rd century have not been identified in Neuk-do.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was the time of war Posangpalguk, which appears in literature data. At this time, the whereabouts were unknown. Perhaps Boraguk lost the war against Gara, it was deprived of trade power and moved near farmland. Although it was of later generations, related relics such as residential areas, tombs, and fortresses, which are dated at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have been identified in the adjacent Sadeung-dong and Hyangchon-dong and are being noted. Currently, it is true that a three-century hiatus is recognized, but the historic remains are located in Moradeung or Moragol. Although it is clearly listed as Boraguk in 『Samgukyusa』, the place where it was moved has been named Mora of the same sound from the past until now. It is also in line with Munmora of 『Nihonshoki』, so it is not too much to identify it as the movement of the Boraguk. Next is Munhwaryanghyeon. Silla reorganized the local Gun and Hyun after the annexation of Gaya and the war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oraguk located in the Sogaya area was organized into Munhwaryanghyeon and Chiso was moved back to Sagok-ri(Morasil) in Goseong. The name of Munhwaryanghyeon is believed to have been borrowed from the former Mora and Bora, and the place where it was moved is also Morasil. Therefore, Boraguk, which started from Neuk-do in the Three Hans period, was located in Sacheon Sadeung-dong (Sadeung Mountain Fortres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was reorganized into Munhwaryanghyeon during the Silla period and moved to Goseong Sagokli(Sagok Mountain Fortress). And the place names of Bora and Mora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together from the Three Hans or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Silla Period, and Boryeong and Mora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Mor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end, it is assumed that the Munhwaryang was once used during the Silla Period since King Gyeongdeok by borrowing Mora of the same meaning and rhyme, and Chiso is Sagok-ri, Hi-myeon, Goseong-gun.

      • KCI등재후보

        사천 매향 유적의 역사관광자원 활용방안

        최연주 ( Choi Yeon-ju ) 동아문화재단 2021 文物硏究 Vol.- No.39

        경남 사천시에는 곤양면 흥사리 매향비와 향촌동 매향암각이 있다. 고려말 조선초 사천 지역 실상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사천은 남해 연해안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연근해 해상교통의 거점이며, 서부 경남일대의 조세를 모아 개경으로 운반하던 물류 중심지이기도 하다. 교통 요충지로서 국가 재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천 지역은 고려말 왜구의 주된 노략질 대상지가 되었다. 당시 민심은 크게 흔들렸다. 당시 埋香 활동은 지역 사람들이 새로운 분위기를 도모하려는 발원이었다. 매향을 통해 지역공동체 정신을 결속시켜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기원한 행위로 인식되었다. 흥사리 매향비의 매향 목적을 고려 국왕의 안녕과 나라의 안정, 백성의 평안이라 보기도 한다. 고려시대 사천은 제왕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顯宗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아버지 安宗과 함께 살았던 곳이 사천이기 때문이다. 한편 13세기 중엽 강화경판『고려대장경』(이하 『고려대장경』으로 줄여 부름) 彫成事業 당시 경남 진주, 남해 등지에 분사도감이 설치 운영되었다. 사천은 진주와 접해 있고 남해와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다. 국가를 수호하려는 의지 및 왕을 정점으로 하는 국가 주도의 조성사업과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었을 것이다. 흥사리 매향비에 새겨진 國泰民安의 기원 의미는 지역 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오던 의식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사천의 매향 유적이 갖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결코 가벼이 볼 수 없다. 관광콘텐츠로서 활용 가치는 크다. 흥사리 매향비와 향촌동 매향암각의 내용은 원천자료로서 다양한 창작활동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매향 유적의 대중성 확보는 관광콘텐츠로 활용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물론 전문인력을 양성해 역사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 웰빙 등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매향비와 매향암각 간 사이클 경주 대회, 단축마라톤, 걷기 등과 같은 지역축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매향 유적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역사관광콘텐츠 개발에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There are Gyeongnam(慶南) Sacheon Maehyang tombstone and Maehyang Petroglyphs. These are valuable cultural records that realize the change process of the Sacheon are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Sacheon was a center of the logistics to carry taxation of West Gyeongnam region to Gaegyeong(開京). And also it was a center of maritime transportatio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outhern coast in Korea. Considering all these conditions, Sacheon would have been the main target of Waegu(倭寇). After public order had deteriorated, and it caused Maehyang to turn the tide of the local community. By Maehyang, the local community united each other and recognized activity as a peace of the public and stabilization of the state. The purpose of Maehyang at Sacheon Heungsari Maehyang tombstone is seen as a peace of the public and stabilization of the state. Sacheon was a hometown of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Hyeonjong King(顯宗) had lived Sacheon with his father Anjong King(安宗) ahead of being the king. And Bunsadogam(分司都監) had been constructed for carving Tripitaka Koreana near Gyeongnam Jinju(晉州) and Namhae(南海). Jinju is beside Sacheon, Namhae has Sacheon across the sea. Maehyang has a background for protecting the nation, and so it is a national ceremony for the king. The ritual meaning carved in Sacheon Maehyang tombstone considers as a kind of ritual had maintained continuously in the local community. Maehyang heritages in Sacheon must never be seen simply as a jus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Further, it is worth using as tourism content. The extension of popularity for Maehyang heritages should be based on tourism content. Considering the recent high interest in well-being, local fairs such as cycling, marathon, walking between Maehyang tombstone and Maehyang Petroglyphs should be developed. The local government of Sacheon needs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tourism content utilizes various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Maehyang heritages.

      • KCI등재후보

        세조 때 밀양(密陽) 만어사(萬魚寺)에서 조성된 불교기록유산의 역사·문화적인 성격

        최영호 ( Choy Young-ho ) 동아문화재단 2021 文物硏究 Vol.- No.39

        이 글에서는 세조 12·14년 밀양 만어사에서 판각된 六經合部·二經合部에 각각 새겨진 원천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정리한 다음, 당대 해당 경판의 조성불사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처음으로 밝혔다. 우선, 이들 원천정보는 현존 관찬 사서·지리지 및 개인 문집에 누락된 세조 때 밀양지역사회와 만어사의 역사·문화적인 실체를 풍부하게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다음으로, 이들 원천정보는 세조 때 만어사에서 조성된 불교기록유산의 역사·문화적인 실체를 밝히는 동시에, 당시 만어사가 밀양지역 사회에서 불교기록유산을 선도적으로 간행·유통하는 공간으로 기능한 사례를 진단하는 핵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만어사는 세조 때 밀양지역사회의 사원들 가운데 불교기록유산을 선도적으로 판각·유통한 공간으로 역할하였으며, 성종 때에는 시문집의 책판을 보관하는 장소로도 기능하는 등 15세기 후기 지역사회에서 기록유산의 판각·유통·보관을 분담하는 핵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만어사는 인적·물적 기반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확보·운영하였으므로, 조성불사를 선도할 수 있었다. 조직체계는 正心·金祖林의 각수와 함께 시주질도 승려·세속인으로 구성된 敎·俗 이원적인 협조체계로 운영하였으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긴밀한 연계망을 맺고 있었다. 만어사는 당대 다양한 출신성분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불교경전과 기원의식을 조성불사에 반영하여,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에 조성불사에 참여한 구성원들은 사회적인 계층과 함께 사상적 경향도 다양하였다. 더구나 성리학적 학문을 실천하던 孫肇瑞의 집안까지도 시주질로 참여하였다. 이로써 세조 12·14년 만어사는 지역사회에서 사회·계층적 통합과 儒·佛의 사상적 조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사원 자체의 위상과 역할을 새롭게 모색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Buddhist Heritage that the Maneo―Temple was created in the King―Sejo's reign of the th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Heritage is the Yukgyeonghapbu(六經合部) & the Igyeonghapbu(二經合部) that it was created in the 12th(1466) & 14th(1468) year of King―Sejo's reign. the Yukgyeonghapbu has been combined six kinds :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the Avalokiteśvara―Yemun(觀世音菩薩禮文), the Śūraṃgama ―dhāraṇī―Sutra(大佛頂首楞嚴神呪), the Sukhavati―Vyuha-Sutra(佛說阿彌陀經), the Avalokiteśvara―vikurvạna―nirdeśaḥ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妙法蓮華經觀丗音菩薩普門品). and the Igyeonghapbu has been combined two kinds : the Bulseol―jangsu―myeolje―hojedongja ―dhāraṇī―Sutra(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the Sakyamuni's teaching ―Sutra on parental love(佛說大報父母恩重經).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these Buddhist Heritage for the first time. in this process of analysis, the existed studies have been reviewed, and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that these woodblocks―Printing have been existing. First, the source information can supplement the historical & cultural reality of the Miryang(密陽)'s community & the Maneo―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Sejo. in addi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as key data that the Maneo―Temple was initiatively created the Buddhist Heritage in the Miryang's community. the Miryang's woodblocks have been engraved by a Buddhist monk named the Jeongsim(正心) & a secular Kim―Jorim(金祖林), have been enshrined together by monks and secular people participated as a donation, etc.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is Buddhist project have been operated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had a network of human connections with various members of the Miryang's community. especially, the Son―Joseo(孫肇瑞) has also participated in this Buddhist project, he was versed in a knowledge of Neo―Confucianism(性理學). the participated members of this Buddhist project have varied in social class and ideological trends. as a result, the Maneo―Temple was able to promote a social integration and ideological harmony in the community, was able to newly look for the status of its Temple.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생업연구 -제주도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최종혁 ( Choi Jong-hyuk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우리나라 신석기 연구에 있어 초창기 설정의 문제는 아직 의문점으로 남아있다. 물론 제주도 고산리 유적의 발견과 조사로 인해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초창기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 왔지만, 동북아시아의 초창기와는 절대연대의 문제와 문화양상과는 이질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초창기 연구가 대부분 그 계통과 편년에 연구가 치중되어 더욱더 그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초창기와 조기)의 삶, 즉 생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창기 유적이 아직 제주도에서 한정되어 확인되고 있어 한반도와 비교연구에는 자료가 부족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리고 생업문화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하는 동식물 유체, 즉 자연유물의 출토 예가 없어 생업문화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적의 입지와 도구조성 등을 중심으로 이른 시기의 생업문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창기에는 수렵과 채집에 있어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반면, 어로활동의 흔적은 확인할 수 없었다. 조기에는 양지역 모두 어로활동이 확인되며 남부지역에서는 중심적인 생업활동을 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로 인해 남부지역의 조기의 대표적인 토기인 융기문토기가 제주도에서도 확인되며 양 지역의 교류활동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초창기 유적에서 출토하는 석기의 석재에 있어 한반도 산 석재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제주도와 남부지역과의 교류 등을 엿볼 수 있었지만 어로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점과 한반도 남부지역에 초창기 유적이 없는 점 등으로 보아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들에 대해서는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 해결하고자 한다. Subtle inquiries regarding time setting of early Neolithic Period in Korea are still underpinned in the academic world. Given the results found from Gosanri sites in Jeju Island, there are certain progresses of this research area while showing disparate tendency and absolute age differences compared to early stage of North-East Asia. Most of Korean researches on this certain period seem to focus on the systems and formalities which drains this kind of difference. Therefore, this work mainly sheds light on the everyday life, rehabilitation of early Neolithic Period. It is also certain that most of early stage sites are limited to Jeju Island, which means rather shortages of Neolithic sites in the peninsula. Natural resources of flora and fauna fluid that is crucial evidence of identifying rehabilitation of prehistoric times are hardly discovered which makes the relevant researches fragmentarily achieved. Based on the research about the location of sites and used implements, it seems that early people actively engaged with gathering and hunting while no certain evidence of fishing. Slightly later, both Jeju Island and Southern areas showed fishing activities and especially heavily engaged in the Southern areas. Earthenware bowl with raised pattern that is typical southern pottery of this period is also found in Jeju Island which proved rigorous interaction between two locals. Stone implements and resources, in the meantime, from peninsula of early stage Neolithic period are uncovered from Jeju Island which are clear proof of both areas. However, it seems there is no fishing evidence and no fishing sites in the Southern area which means inquiries are not yet answered enough. More substantial clue would be appear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구포왜성에 나타나는 임진왜란기 유물에 대하여

        이동주 ( Lee Dong-ju ) 동아문화재단 2018 文物硏究 Vol.- No.34

        임진왜란은 조선시대의 문화뿐만 아니라 근세사의 획기적 전환점을 제공한 대사변이었다. 시기 구분에 있어서도 이를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될 뿐 아니라, 군사체제와 전술적 변화에 따른 성곽 구조와 무기를 비롯하여 복식과 기물, 장제(무덤) 등 고고학적으로 나타나는 물질문화의 전반적인 구조의 변화가 수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큰 변혁을 불러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남겨진 왜성과 관련하여 고고학적으로 이를 다루는 연구자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특히 이 당시 문화사적으로 획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유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지만 대부분 왜성의 구조와 축조수법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이유는 왜성에 대한 조사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겠지만, 단순히 발굴이나 지표 채집에 의하여 이를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구포왜성에서는 조사과정에서 조선시대의 주거지 3동이 확인된 바 있으며, 이주거지는 구포왜성의 지성부가 축조되면서 폐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검토를 통해 임진왜란 당시 사용되었던 유물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기와와 도기, 분청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Imjinwaeran was the Major event that provided not only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epochal turning point of modern history in Korea. In addition to the division of times, it wa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terial culture of archeology such as costume, objects and tombs as well as castle structures and weapons due to military system and tactical changes. However, despite this great transformation, there are not many archaeologists who deal with the Waeseong left behind.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 breakthrough i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ics at that time, but most of them consist mainly of Waeseong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reason for this is probably not because there are not many investigations on Waeseong, but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it simply by excavation or surface collection. However, in Gupo Waeseong, three settlements in the Joseon Dynasty were confirmed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it was judged that this dwelling was abandon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Gupo Waeseo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cs that were u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rough the review of the settlements and excavated artifacts.

      • KCI등재후보

        고분 축조기법을 통해 본 창녕 영산고분군의 성격

        정인태 ( Jung In-tae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6

        5~6세기 창녕 일대의 주요 고분군인 계성고분군, 영산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모두 100여 기 이상의 봉토분이 조성되어, 당시 이 지역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창녕지역 세 고분군의 축조기법을 비교해보면 축조공정, 하부 봉토 성토, 호석ㆍ주구, 묘제, 벽석 축조, 두향 등에서 영산고분군과 계성고분군의 상호 유사성이 높고, 매장공간, 복개 등은 영산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이 유사성을 띠고 있다. 5세기 중엽 이후부터 축조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이는 영산고분군 축조집단은 묘제, 두향, 매장주체부 축조기법 및 공통의 토기문화를 공유하는 점에서 계성고분군 축조집단과 동일한 정치체로 볼 수 있으며, 봉토와 매장주체부의 규모, 봉토 성토기법, 부장품 등을 통해 계성고분군 축조집단 내 유력 세력에 의해 조성된 고분군으로 볼 수 있다. 또 계성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은 5세기 대에 축조기법 상 관련성이거의 보이지 않는 반면에 영산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의 수혈식석곽묘는 유사성이 보여 연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6세기 이후에는 교동과 송현동고분군과 계성고분군의 최상위 계층의 봉토분인 횡구식석실분에서 구조와 축조기법의 유사성이 보이고 있어 이 시기 두 축조집단 간의 관계도 주목된다. 따라서 5~6세기 창녕지역 세 고분군을 조성한 세력은 축조기법과 출토유물로 볼 때 지역 내 위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were Gyesung tombs, Yeongsan tombs,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which were major ancient tombs in Changnyeong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se tombs made more than 100 tombs. Therefore, Changnyeong's status was very high at the time. A comparison was made of the method of building a mound tomb in the three tombs. Yeongsan tombs has a lower ranking of tomb, scale of mound tomb, the soil-building technique, and burial goods than Gyeseong tombs. The construction group of Yeongsan tombs were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group of Gyeseong tombs. In addition, Yeongsan tombs had a similar burial space and stone building technique to the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Meanwhile, in the 6th centur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in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and Gyesung tombs similar.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hree groups shared the information of the techniques and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tombs.

      • KCI등재후보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장판타날기와의 출현시기 검토

        차순철 ( Cha Soon-chul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 장판타날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라는 문제는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이 도입된 것보다는 기존에 국가의 직접 관리 아래에 있던 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공통된 제작기술을 유지하던 기와생산체제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인 모습이다. 중판타날기와라는 통일된 기준을 가지고 기와가 생산되던 신라사회에서 중앙관사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왕경 외곽 또는 지방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가 생산되면서 건물에 사용하는 기와의 기준이 변화된 모습이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가 시작된 시기는 분명한 연대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없지만 경주 외곽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여러 기와가마 출토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신라왕경에 기와를 공급했던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시대 후기까지도 내성(內省)에 속한 와기전(瓦器典)의 관리감독아래에서 중판타날기와를 생산했다고 보여지며, 신라왕경 외곽에 위치한 기와가마들은 이러한 와기전의 관리감독을 벗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원인은 당시 정치혼란과 호족세력의 출현과 발전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경주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 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 생산이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며, 그 출현시기는 다른 지방의 장판타날기와의 출토사례와 제작시기 그리고 경주 방내리 생활유적 내 기와가마의 연대측정결과를 고려할 때 신라 헌덕왕 14년(822) 이후로 추정된다. The question of when the use of the roof tile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had begun in Gyeongju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is a matter of the change in the roof tile production which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at the roof tile production system that maintained a common production technology at the time changed for some reason. Silla us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However, when the central control grew weak, new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were produced mostly in the outskirts of the royal capital and rural areas, which brought changes to the standards for the roof tile. This change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chronological data, howev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a variety of roof tile kilns that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The roof tile kilns that supplied roof tiles to the royal capital of Silla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produc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Roof Tile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Interior, but it is quite likely that the roof tile kilns located in the outskirts were outside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hority. This is related with the political disorder and the emergence of powerful clan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the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began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which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14th year in the reign of King Heondeok of Silla (822) considering the excavations in rural areas and the dating of the remains of the dwellings in Bangnae-ri, Gyeongju.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에 대하여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5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 중 수중목책은 해변에 설치된 1차 외곽시설이다. 수중목책 사용 시기는 대체로 중종 5년 삼포왜변 이후부터 19세기 전후에 해당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해자는 입지와 방어도에 따라 해자 형태가 다르며 연해 읍성 해자와 달리 물을 채운 해자보다는 건호인 황이 더 많다. 대부분의 영진보성은 성 정면과 가장 넓은 방어전면에 해당하는 방향은 바다 및 내륙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음에도 해자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후 구릉 사면에도 해자를 설치하여 방어력을 보완하고 있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중 체성부에서 해자 사이 이격거리가 경상좌수영 관할 영진보성이 경상우수영 관할 영진보성 보다 더 길게 확인된다. 이것은 대마도를 비롯한 일본에서 침입시 가장 먼저 침공로에 해당하는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한다. 체성부에서 해자 사이 거리는 10m전후로 축조가 이루어졌고 치성, 옹성 등 부대시설 전면에 설치된 해자는 체성부 전면에 설치된 해자에 비하여 이격거리가 반으로 감해서 축조되고 있다. 이것은 연해읍성 해자 축조수법에서도 확인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해자 폭은 대체적으로 2m~5m이다. 특히 경상좌수영 관할 영진보성 해자는 대체로 동일한 규격으로 축조되었다. 영진보성 해자높이는 초축 시기에 해당하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에 비하여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점차 낮아지며 이후 대체로 붕괴 훼손된 상태로 방치되었다. 해자 호안석축 역시 잔존 1-2m 내외로 연해읍성과 비슷한 양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최근까지 조사된 영진보성 대부분의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木杙)이 확인되지 않고 연해읍성과 내상성 등과 비교하면 미설치 및 소략화 등이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이것은 해자 내부에 목익 설치가 지형적인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에 기인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서는 수중목책, 해자와 더불어 또 다른 외곽시설인 품방(品防)이 설치되었다. 『선조실록』에서 얼음을 뚫어 굴혈을 만드는 것과 얼음을 떠서 쌓아 놓는 것이 품방이라 하나 품방은 계절에 상관없이 축조되었고 거마목(拒馬木)이라 불리는 이동식 차단물과 함께 외곽시설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품방은 강진병영성에서는 대나무를 촘촘하게 꽂아 놓았는데 모원의 『무비지』의 “함마갱(陷馬坑)과 동일한 형태라 할 수 있다. 품방은 여진기병에 대응하여 북방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물로 설치되었다가 조선 전 지역에 걸쳐 영진보성 외부에 설치된 것이라 하겠다. 품방은 중국 송나라 때인 1044년 편찬된 『무경총요』를 참고하면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에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고, 16세기 후반에는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서도 설치가 일반화된 외곽시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약용의 『민보의』보원지제에서도 언급되고 있어 19세기 초반에도 설치되고 있었다 하겠다. Among the Yeongjin Boseong defense facilities in the southern coast, the underwater goal is the first defense facility installed on Yeongjin Boseong Beach where the moa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ampo Japanese. The underwater goal is generally from the 5th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early 19th century. Yeongjin-Boseong moat in the southern coast differs depending on its location and defense, and unlike Haehae-eup moat, which has a higher average elevation, there are more dried pollacks than moats. Most of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is equipped with moats even though its dire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front and largest defenses of the castle,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sea meets or the inland stream. In addition, almost a moa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omb to complement the defense. Among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Yeongjin Bo-seong's moat in Gyeongsangnam-do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Yeongjin and Cheseong-bu can be confirmed longer than Gyeongsang-woo-yeong. This is due to geographical speciality, which is the first path of invasion in Japan, including DaemaIsland. In addition,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and Haejai Range were built around 10 meters, and the moat installed in front of the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Cheesung and Ongseong were cut in half. This is also found in the Yeonhae-eup Seaweed System. The width of the moat at Yeongjin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s generally between 2m and 5m, and the moat under the current left-handling jurisdiction is usually constructed to the same standard. The height of the moat of Yeongjin Boseong Fortr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end of th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which is the period of the first axis, to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urthermore, since the 17th century, the moat was left largely destroyed. Haeja Hoan axis is also found to be similar to Yeonhae-eup within 1 to 2m of the remaining area, and is often used to excavate and use the underlying rocks. Since most of the moats were not identified inside Yeongjin Fortress, which was investigated until recently, it was not installed or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astal towns and the inner cities. This is due to the flexible installation of the magnets inside the moa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situation.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constructed with underwater goal and a defense system along with a moat.It is said that drilling through ice in "Seonjo Sillok" and depositing ice in a stack. However, foot and mouth were built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were essential to defending the defenses along with mobile barriers called barges. In Gangjin-Byeongseong, the chamber is tightly planted with bamboo, and in the shape of Mubiji, "Hammagang is similar to that of the middle deer rholes, and the cisterns. Thus, the chamber is called the Hammagang. It was installed as a protective facility for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northern region in response to the aftershocks, and installed outside Yeongjin Boseong Fortress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of such an embankment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Naman, as it was also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Goryeo, as it was compiled in 1044. Also, the storeroom was being installed until the late 18th century, as it was also mentioned in the "private security" system for Jeong Yak-yong.

      • KCI등재후보

        사경(寫經) 명칭(名稱)의 용어(用語) 문제

        박광헌 ( Park Gwang-hun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5

        현재는 사경을 칭할 때 “종이의 색+필사재료+서명”의 방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공식화 되어 있다. 사경 명칭 중 서명 앞의 수식어에 대한 역사적 용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짙은 청색의 寫經紙를 지칭하는 전통적인 용어는 ‘紺紙’가 아니라 ‘鴉靑紙’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색상의 표현은 ‘藍色’이 흔히 사용되었다. ‘橡紙’는 1980년도 즈음에 새롭게 정립된 용어로 판단되며, 그 이전에는 ‘茶紙’, ‘褐紙’, ‘茶褐紙’, ‘紅紙’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橡紙’는 실제 도토리나무 수액이나 도토리 열매를 통해 염색하였는지 기록이나 과학적 검증 없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紫紙’의 경우는 자색의 寫經紙를 뜻하나 ‘橡紙’의 변색으로 보는 시각도 있어 ‘橡紙’와 함께 과학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필사의 재료를 뜻하는 ‘金泥’와 ‘銀泥’는 현재 통용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사경을 표현할 때는 ‘金字’와 ‘銀字’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Currently, it is official to write the name of the Buddhist Manuscript of “paper's color + type of ink + book name.” This study analyzes on the words that are modelled in front of the Buddhist Manuscript’s name The traditional term for paper of the Buddhist Manuscript was used most commonly ‘鴉靑紙(Achungji)’, not ‘紺紙(Gamji)’ and the expression of colors was ‘藍色(Gamsaek)’. ‘橡紙(Sangji)’ is a newly coined term around 1980. And Various terms were used before. The problem with the term "橡紙(Sangji)" is that it is not known whether it is actually dyed with acorn trees. There is no record or scientific verification associated with such dyeing. ‘紫紙(Jaji)’ means that the color of purple paper of Buddhist Manuscript, but there are some views that ‘橡紙(Sangji)’ is discolored. So ‘紫紙(Jaji)’ and ‘橡紙(Sangji)’ need scientific comparative analysis. ‘金泥(Geumni)’ and ‘銀泥(eunni)’ are now commonly used to mean the kind of ink written in the Buddhist Manuscript, but the traditional terms are ‘金字(Geumja)’ and ‘金字(eumj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