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음조화(母音調和)의 붕괴와 모음체계(母音體系) 재정립(再定立)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硏究)

        한영균 ( Han Young-g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3

        이 글의 목적은 母音調和의 붕괴 과정을 音韻史的으로 해석함과 동시에, 母音體系의 재정립 과정의 動因을 밝히는 데에 있다. 모음조화의 붕괴 과정에 대한 기존의 通說과 文獻에 반영된 모음조화 붕괴의 실상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특히 모음조화의 붕괴는 ①制約의 擴大, ②規則의 隨意化, ③異形態의 單一化라는 誘因이 작용하여 本格化되는데, 格助詞 및 語尾의 내부 음절 구조, 母音 사이의 대립관계가 모음조화 붕괴의 擴散에 영향을 미친다. 單母音體系의 재정립은 이른바 中性 母音 /i/ 및 半母音 /j/의 조음상의 견인력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단순히 ‘、’의 非音韻化에 이어 일어난 前舌母音系列의 성립이라는 목록의 변화를 통해서 설명되기보다는 斜線的 대립체계에서 垂直的 대립체계로의 변화라는 對立軸의 변화로 설명되어야 한다. 이는 모음조화의 붕괴와 모음체계 재정립을 가져온 音韻史的 誘因이 동일한 것임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edness between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in Korean. The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seems to have three reasons, at least ; ① Expansion of contraints on the environments of rule application ②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he rule, which means that the vowel harmonic rule was an obligaroy one originally but becomes an optional one ③ Morphological levelling, which means that the allomorph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hich showes alterna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vowel harmonic rule tends not to show altern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especially the phonemization of the front vowels such as /ㅐ/ /ㅔ/ /ㅚ/ should be interpreted as results of backward assimilation of front high vowel /i/ and jod. If we accept this observations,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have the same phon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

        유소연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를 반영한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구어를 반영한 자료로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단모음 체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훈민정음(해례본)≫과 ≪저정서≫를 통해 15세기와 18 세기 단모음의 특성과 단모음 체계의 변화 방향을 파악하여, 현대 한국어단모음체계로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19세기 말 서천 지역 단모음 체계가 보이는 특징을 살펴 보았다.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ㆍ >ㅡ’의 변화를 겪은 어형들이 확인된다. ‘ㆍ ’의 음가가 15세기의 중설 중모음에서 18세기의 후설 중모음으로 이동되며 모음 ‘ㅡ’와 점차적으로 고저자질에서 대립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지어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에 영향을 받아 ‘ㆍ >ㅡ’의 변화가 실현된 것으로 볼 수있다. ‘ㆍ ’가1단계 변화를 겪은 이후에는‘ㆍ→ㅏ ’의 예들이 확인되는데, [+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 주로 확인돼, 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됨을 알 수 있다.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은 ‘ㅣ , ㅔ , ㅐ , ㅟ, ㅚ, ㅡ, ㅓ , ㆍ , ㅏ , ㅜ, ㅗ’로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ㅟ, ㅚ’는 ‘ㅔ , ㅐ ’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확고하지 않으며, 특히 ‘ㅟ’가 상대적으로 후대에 단모음체계에 편입되었을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ㆍ ’는 음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어, 다른 후설 모음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불안정하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 과정과 관련해 모음 ‘ㅗ’와 ‘ㅜ’의 음성적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움을 추정할수 있었는데, 이는 고모음화와 ‘ㅣ ’ 모음 역행 동화,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동남아시아 언어의 모음체계 보편성 연구 -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를 대상으로 -

        허용 ( Heo 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동남아시아 언어들은 모음체계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자연언어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7개의 동남아시아 국어 또는 공식어 중 우선적으로 그 체계가 비교적 단순한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의 3개 언어를 대상으로 모음체계의 보편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모음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209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SPAP(Stanford Phonology Archive Project)나 451개 언어의 분절음을 구축한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와 같은 대규모 말뭉치를 이용하여 모음체계의 보편성을 논의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연구들에 제시된 6가지의 보편성 분석 기준을 위 세 언어의 모음체계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6가지 기준은 유형적 보편성에 속하는 ① 모음 수(또는 모음 목록 크기)와 ②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의 두 가지, 그리고 음성적 보편성이라 할 수 있는 ③ 저설성 ④ 균형성과 대칭성 ⑤ 전설성 ⑥ 원순성의 네 가지이다. 그리고 위의 세 언어에 이 6가지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보편성을 판별하는 또 다른 기준인 기술적 보편성과 분석적 보편성의 두 가지 관점 모두에서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 분석적 보편성의 관점에서는 세 언어 모두 6가지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지만 기술적 보편성에서는 타갈로그 어는 모음 수와 단계성에 따른 모음 구성, 그리고 저설성에서 상대적으로 보편성이 낮으며, 타이어는 균형성은 다른 두 언어와 마찬가지로 높은 보편성을 보이지만 대칭성에 있어서는 `보통`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말레이어는 모든 기준에서 `높음` 단계의 보편성을 보이는 매우 안정적인 모음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Southeast Asian languages are famous for having a large number of vowel sound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20 vowel sounds in this certain language family. In addition, there are approximately 1,500 languages in this area,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20% of total language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vowel systems of Southeast Asian languages should be explor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vowel structures of human natural languages. In this study, we analyze vowel systems of three languages, Tagalog, Malay and Thai, that have only primary or normal vowels and thus are relatively simple structures based on descriptive and analytic universals. We would also like to confirm if the six criteria of the tentative evaluation model taken from several previous literature is appropriate in applying analysis of vowel system universals under the method of the Greenbergian Universals or statistic universals. What we have found from this research are (i) the three languages have high level of universals with some exceptional cases such as three-vowel system of Tagalog, and (ii) some of the six criteria, together with some cases of analytic universals, are not quite suitable for understanding language-specific universal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languag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하영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owel system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For this purpose, along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southwestern regions and eastern regions of Jeonnam diale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 living in Yeonggwang (the northwestern part of Jeonn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Jeonnam dialect, the vowel system varies according to generation, rather than region. The younger generation has seven vowel system (/ㅣ, E, ㅡ, ㅓ, ㅏ, ㅜ, ㅗ/), while the older generation has tentative seven vowel system because /ㅟ/, /ㅚ/ remains a monophthongs even though they are weak. And unlike other Jeonnam province, older people of Gurye that is a border area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have a 8 vowel system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Meanwhile, the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is changing its place of articulation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The phenomenon that /ㅜ/, /ㅡ/ moved toward front and /ㅗ/ moved toward high occurred in the young generation only. And /ㅓ/ also showed signs of moving to the rearward position and the low vowel position when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 Only a group of elderly women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have been observed to change /ㅓ/ in a similar way to the younger generation.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the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monophthongs in Jeonnam dialect started from /ㅓ/. The reason why /ㅓ/ was the first subject of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in Jeonnam province was attribute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owel space. 본고는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양상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서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단모음 실현 양상과 음가를 살펴보았으며, 유사방식으로 연구된 전남 서남부, 동부 지역의 결과를 함께 종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남 지역의 단모음 체계는 하위 방언권보다는 세대를 중심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층은 /ㅟ/, /ㅚ/가 단모음 체계에서 완전히 이탈한 7모음 체계인 데 비해노년층은 두 모음이 단모음 체계에 한정적으로 남아 있는 잠정적 7모음 체계였다. 다만 전남⋅경남 접경지대인 구례의 노년층은 예외적으로 /ㅔ/, /ㅐ/를 변별 산출하는잠정적 8모음 체계를 보였다. 단모음의 음가 역시 세대를 중심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노년층의 /ㅓ/는 전남 방언 연구의 전통적 가정대로 /ㅡ/에 가깝게 실현되었으나 청소년층은 /ㅓ/가 후설저모음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노년층과 달리 청소년층의 단모음 음가는 ‘/ㅓ/의 후설저모음화’를 포함하여 ‘/ㅗ/의 고모음화, /ㅜ/와 /ㅡ/의전설화’로도 나타났다. 단모음 음가 변화는 일부 노년층의 /ㅓ/에도 나타났는데, 이를통해 노년층도 단모음 음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전체 단모음 음가 변화와 관련하여 /ㅓ/가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국어 모음체계의 조음음성학적 검토

        송기중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대략 1930년대부터 우리나라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체계를 다니엘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 모형으로 파악하였고, 개별 모음의 특성을 모음4각도의 분류기준인 혀의 전-후-고-저 위치로 이해하고, 그것을 ‘전설고모음’·‘후설모음’ 등과 같이 모음의 명칭으로 삼아 왔다. 그런데, 국어 모음을 스스로 발성·관찰하여 기존 명칭의 의미에 부합하는 혀의 전-후-고-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발성할 때 혀의 위치를 확인할 경우 대개는 자연스러운 발성이 아니라, 혀의 동작을 용어의 의미에 맞게 의도적으로 과장 조작 하여 합리화한다. 우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인정해 온 모음의 조음적 특징을 실제 발성시에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는 모음4각도의 체계가 국어의 모음체계를 이해하는데 적절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 국어의 모어자들이 용이하고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음적 특징으로 모음 체계를 설명하려고 의도하였다. 2장에서는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와 기존의 설명들을 소개하며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 현대국어 중부지방어(표준어) 모음의 조음작용을 설명하고 그 조음작용을 기준으로 분류한 모음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국어의 모음은 ‘입(열기)’·‘혀’·‘입술’, 3부위(部位)의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섯 가지 단순 조음작용(調音作用)으로 조음된다. (2) 여섯 가지 조음작용은: 광구(廣口 입을 넓게 열기), 협구(狹口 입을 좁게 열기), 설승(舌昇 혀 올리기), 원순(圓盾 입술 동그랗게 만들기), 설퇴(舌退 혀 뒤로 빼기), 설진(舌進 혀 앞으로 내밀기)이다. (3) 모음체계는 기본(단)모음 3종, 단모음 5종, 2중모음 12종으로 구성되었다. 기본모음은 조음작용 의 단순 작용에 의하여 조음되고, 단모음은 ①②작용 기반에 조음작용으로 조음되고, 2중모음은 단모음에 조음작용이 추가되어 조음된다. (4) 모음들은 광구기반 모음과 협구기반 모음으로 분류된다.

      • KCI등재후보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언어계보적인 면에서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루마니아어는 오늘날 세 가지의 구별자질(diacritics)과 더불어 완벽한 로마문자로 표기되고 있으며 음성·음운론적이나 형태·통사론적인 면에서도 라틴어 및 여타 로망스어들과 상당한 공통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발칸 로망스어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가 발칸 라틴어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음운 변화 과정을 겪게 된 것을 제외하곤 대부분 라틴어의 음운구조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현대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와Î 는 동일한 음가(/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ã/ə/, ã=Î/i/, e/e, i/i/ o/o/ u/u/)을 지니고 있다.루마니아어의 모음들 중에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는 두 개의 중설 모음들CaJ d/. a=피)이 존재하고 있다. 이 두 모음소들의 유래나 도입 시기 등에 관하여 아직도 루마니아의 언어학자들 간에도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 중의 하나인 트라코-다키아어의 영향에 기인한다는 학설과 상층어인 슬라브어의 영향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주장 등으로 의견이 분분하다. 루마니아어의 â/ə 모음은 대개 라틴어 강세음절의 어중모음 a 가 비자음 (m, n) 앞에서나(예: 라틴 어 juramêntum > 루어 jurãmânt), 비 강세음절의 어말음일 경우에(예: 라틴어 casa> 루어 casâ) 나타나며, 어두음일 경우엔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구어체에서(예: ãsta. ãla 등)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 중에 특히 모음소 /ə/는 루마니아어 외에도 소위 발칸 언어 연합(the Balkan linguistic union) 에 속해 있는 알바니아어 및 불가리아어에서도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서 이 두 음소들이 지니고 있는 음운론적인 기능 및 진화 과정 등을 고려해 보면, 루마니아어의 ald/ 모음은 이 지역의 기층어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 ea 및 oa 가 출현했던 6 세기 이후로 추측된다. 루마니아어의 중설 고모음 â=î/i/은 라틴어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음들(m , n) 앞에 위치할 경우에 나타나고 있으며(예: 라틴어 lana( 양모) > 루어 lana). a 모음이 어두에서는, 즉 개음절일 경우엔 비자음들 앞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예: 라틴어 annus( 해,년) > 루어 an). 반면에 루마니아어에서 이보다 후에 슬라브어나 기타 비 라틴계 언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에선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 음들 앞에서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예: 고대슬라브어 rana> 루어 rana) 따라서 루마니아어의 /i/ 모음소가 도입된 시기는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들과 접촉하여 그들로부터 언어적인 영향을 받기 이전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으며 루마니아어에만 유독 존재하고 있는 이 두 모음들의 경로는 발칸 및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로부터 기인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그 도입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인 oa 와 ea 등이 출현한 6세기 이후에서 루마니아어에 슬라브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8세기 사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diachronic study of the vowel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stream of Vulgar Latin. Classical Latin had a comparatively large number of vowels due to the maintenance of vowel quantity(a, ã. ê, é. î. í. õ, ô. u. û). while in Vulgar Latin collapsed the quantitative vowel system of Classical Latin. In other words. the vowel length contrast (long vowel vs. short vowel) did not exist in Vulgar Latin and thus the timbre. namely. the differences of quality (openness of vowels e.g., e vs. β Q vs. 0)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ulgar Latin. The Vowel System of Western Romance Languages is derived from that of Vulgar Latin in which the Classical Latin’s short u became closed Q, while in Balkan Latin it became u. For example, the Classical Latin word fûrea became forea in Vulgar Latin from which are derived Italian forea, Spanish horea, Portuguese forea etc. By contrast. the same vowel u became u in Balkan Latin from which becomes furea in Romanian. Modern Romanian has 8 vowels(a, ã, â, e. i. î, o, u). However, the vowels a and i are pronounced equally as Iii so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ã/ə/, ã=î/i/, e/e/. I/i/. o/o/, u/u/) . As stated above. in Romanian exist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â/ə/ and â=Î/i/, which were not in Latin. The time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are still controversial in the field of Romanian Linguistics. Above all, regarding the phoneme /d/, I speculate that it w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raco-Dakish, the substratum of the south eastern part of Europe. The reason for this speculation is that the phoneme also exists in the so-called the Balkan linguistic union, namely, Albanian(ë) and Bulgarian(0). Thus, it may be argued that it is inherited from the common language spoken by the ancestors of the peoples who speak these languages at present. The phoneme a/d/ usually appears as a unstressed variant of the Latin a/a/(e.g., Lat. casa > Rm. casa) but also appears in stressed syllables closed by nasals(e.g., Lat. juramentum> Rm. juramant). With regard to the Romanian high vowel a=i/i/, the Latin a/a/ appears as â=î/i/ in closed syllables immediately followed by nasals(m, n) in Romanian. For example, Latin a in lana becomes a (e.g., lana) and the Latin word campus becomes camp in Romanian. However, in the loan words from Slavonic Languages a remains as a as in rana. In conclusion, Romanian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Romance languages, except for some phonological features produced under the geographical influence of Balkan Latin.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vowel symbols, namely ã/ə/ and a=î/i/,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It should be viewed that these two phoneme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from the Balkan Substratum. In addition, the dating of their appearance in Romanian would be in the period between AD 6 when the Romanian diphthongs oa and ea are formed and AD. 8 when Slavonic languages have an influence on Old Romanian.

      • KCI우수등재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변화 -함흥 지역어를 중심으로-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7

        이 글에서는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통시적 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0세기 초엽의 함남 방언 자료와 20세기 중엽 이후의 함흥 지역어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모음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과정 및 진행 중인 변화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시간의 관점에서, 20세기 초엽의 함남 방언은 대체로 /ㅚ, ㅟ/(=/ö, ü/)를 포함한 10모음 체계였으나 점차 /ㅚ, ㅟ/가 비음운화됨에 따라 8모음 체계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20세기 중엽 이후에는 /ㅡ/(=/ɨ/)의 조음역이 점차 /ㅜ/(=/u/)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음 체계상 /ㅡ/>/ㅜ/의 합류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음성적으로는 /ㅗ/(=/o/)가 저설화되고 /ㅓ/(=/ə/)가 고설화되는 변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ㅔ/(=/e/)와 /ㅐ/(=/ε/)는 비교적 안정적인 대립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50년대 이후 북한에서 이러한 모음 체계의 변화가 급속히 전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ㅡ/>/ㅜ/의 합류가 완료되면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는 /ㅣ(i), ㅔ(e), ㅐ(ε), ㅓ(ə), ㅏ(a), ㅜ(u), ㅗ(ɔ)/의 7모음 체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vowel system of the South Hamgyeong dialect and its diachronic change. It examined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in the vowel system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in progress by comparing the South Hamgyeong dialect data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Hamheung subdialect data from the mid-20th century. The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pparent time perspective, it is supposed that the South Hamgyeong dialect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generally a 10-vowel system, including /ㅚ, ㅟ/(=/ö, ü/), but it gradually changed to an 8-vowel system as /ㅚ, ㅟ/ dephonologized. Secon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region of articulation of /ㅡ/(=/ɨ/) has gradually moved toward /ㅜ/(=/u/), which seems to have led to /ㅡ/>/ㅜ/ merging in the vowel system. Phonetically, /ㅗ/(=/o/) has been lowered and /ㅓ/(=/ə/) has been raised, while /ㅔ/(=/e/) and /ㅐ/(=/ε/) maintain a relatively stable opposition.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such changes in the vowel system have developed rapidly in North Korea since the 1950s. Third, upon completion of merging /ㅡ/>/ㅜ/, it is predicted that the vowel system of the South Hamgyeong dialect will be the 7-vowel system of /ㅣ(i), ㅔ(e), ㅐ(ε), ㅏ(a), ㅜ(u), and ㅗ(ɔ)/.

      • KCI등재

        전남 진도 지역어의 단모음 실현 양상

        하영우 ( Ha Young-woo ),신우봉 ( Shin Woo-b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9 No.-

        이 연구는 전남 진도 지역어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명의 진도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단모음 음성 자료를 구축하여 성별, 세대에 따른 단모음의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전남 서남부에 위치한 진도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는 /ㅣ, E, ㅡ, ㅓ, ㅏ, ㅜ, ㅗ/의 7모음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전남 방언은 대개 /ㅚ/, /ㅟ/를 단모음으로 보았으나, 진도 지역 장년층은 두 모음을 대부분 이중모음으로 조음하였다. 또한, 청년층은 모두 두 모음을 완벽하게 이중모음으로 실현하였다. 한편, 진도 지역어의 단모음 조음 위치를 분석한 결과 세대간 차이가 관찰되었다. 진도 지역 장년층 화자와 달리 청년층 화자는 /ㅡ/의 전방화, /ㅜ/의 전방화, /ㅗ/의 고모음화, /ㅓ/의 후설 저모음화로 이어지는 후설 고·중모음의 연쇄적인 조음 위치 변화가 나타났다. 청년층의 단모음 음가 변화는 진도 지역은 물론 여타의 방언권에서도 나타나는 표준어 수렴 현상의 하나이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진도 지역 화자는 세대에 따른 단모음 체계에 차이는 없지만 개별 단모음의 음성 실현 양상에는 차이가 있다. 본고는 기존 연구와 달리 음성 자료의 직접적 분석을 바탕으로 진도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를 구명한 점과 세대에 따른 조음 위치적 변화를 포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ophthongs in the Jeonnam-Jindo dialect.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data was gathered from Jindo dialect speakers in their 10s and 5,60s.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generation, gender. The result of production experiment was that Jindo dialect speakers have same vowel system between generations: 7 vowel system (/i, E, a, □, i, u, o/). The older generation of Jindo speakers mostly pronounce /ㅚ/ and /ㅟ/ as monophthong irrespective of sex and the young generation of Jindo speakers entirely pronounce /ㅚ/ and /ㅟ/ as monophthong. Also, we found that /Щ/, /u/ moved toward front and /o/ moved toward high in the vowel space from the Jindo speakers in their older to those in their young. And /Λ/ showed a shift in the vowel space from the back to the open vowel. The results revealed a chain-like shift in the high and mid back vowels. It is assumable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ppearing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n vowel is quite high in the Jindo dialect. Previous studies discussed the Jindo vowel system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s made by the researchers. The current study, on the other h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sound changes in vowel production throughout the vowel system and confirmed the articulation place of vowel using phonetic methods.

      • KCI등재

        충북 진천 방언 화자의 세대 간 모음 조음 공간 차이 연구 - 20대와 50대의 낭독발화를 중심으로 -

        이혜영,안미애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충북 진천 방언의 20대와 50대 화자의 단모음 조음 공간 차이를 실험 음성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다른 지역의 단모음 조음 공간과 비교하여 진천 방언의 단모음체계의 변화 방향을 논의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진천 방언 화자 20대와 50대 여성의 낭독 발화 단모음 음성 자료를 수집하여 Praat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역별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천 방언 20대와 50대의 모음체계는 /ㅔ/와 /ㅐ/, /ㅗ/와 /ㅜ/를 비변별한 /ㅏ, E, ㅓ, ㅗ/ㅜ, ㅡ, ㅣ/의 6개 단모음이다. 둘째, /ㅔ/와 /ㅐ/의 모음 간 조음 거리로 세대간 비교ᄅᆖᆯ 진행하였을 때 20대에서 두 모음의 합류 양상이 더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대별 모음 조음 공간 비교 시, 20대의 모음 조음 공간이 50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세대가 낮을수록 조음 공간을 더 크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북 진천 방언 화자의 /ㅗ/의 모음 상승의 정도가 타 지역보다 더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tinctions in short vowel articulatory space among Jincheon dialect speakers in their 20s and 50s from Chungcheongbuk-do, utilizing experimental phonetics. The primary objective is to discern the trajectory of change in the Jincheon dialect’s short vowel system in comparison to the vowel articulatory space in other regions. Short vowel speech data were gathered from female Jincheon dialect speakers from both age groups and subsequently analyzed using Praat. The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1)The short vowel system of Jincheon dialect speakers, both in their 20s and 50s, comprises six distinct vowels. However, there is no discernable distinction between /ㅔ/ and /ㅐ/. (2)A generational comparison of the intervocalic articulatory distance between /ㅔ/ and /ㅐ/ reveals a more evident convergence of the two vowels among the speakers in their 20s. (3) The vowel articulation space for the younger generation (20s) is notably larger than that of the older cohort (50s), signifying an expansive articulation space in younger generations. (4)Among speakers of the Jincheon dialect in Chungcheongbuk-do, the vowel rising of /ㅜ/ is more pronounced than in other regions.

      • KCI등재

        모음 [ɨ]에 대하여: 음소인가 변이음인가?

        이성민(Lee, Sung M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음운 ? 음성학적, 그리고 음소학적인 근거로 러시아어 모음 체계에서 /?/는 독립적인 음소라는 주장을 지지한다. 러시아어 모음 체계에서 변이음 관계인, 즉 상보적 분포 관계를 갖고 있는 모음들은 음성적인 면에서 많은 유사성을 나타낸다. 혀의 약간의 상승과 전진이 발생할 뿐, 기타 조음 방법 및 위치는 거의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고위 전설 모음 [i]와 고위 중설 모음 [?]는 음성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혀의 높낮이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현저한 전후 자질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모음 쌍들이 보여주는 대칭 관계에서는 기본 음소가 [+back] 모음인 반면 음소 /i/만을 인정한다면 [i] - [?] 관계에서만 [-back] 모음이 기본 음소가 됨으로써 모음 체계의 더 큰 대칭성이 파괴된다는 사실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의 음소 /i/만을 주장하는 연구들은 자음의 연자음성/경자음성이 기저적으로 결정되어 있고, 자음의 그러한 성질이 모음에 전파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동일 형태소의 자음의 자질이 후행 모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back]이라는 자질이 기저적으로 자음의 자질이 아니라 후행 모음의 자질이 전파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을 입증해 준다. 또한 기저 /?/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모든 선행자음의 [back] 자질을 명시해야 하며, 어떤 파생 단계에서는 기저자음의 [back] 자질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음소로서의 기저 /?/를 인정함으로써 자음의 [back] 자질은 미명시로 남아있게 되고 음소 /?/를 지지하는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많은 음운 도출이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음과 모음의 연결점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i/ and /?/ must be distinct underlying phonemes within a derivational analysis of modern Russian from the view of the phonological, phonetical and phonemical considerations. In general /i/ occurs after palatalized [-back] consonants and word-initially in Russian and /?/ appears after nonpalatalized [+back] consonants. Superficially, postulating an allophonic alternation in high unrounded vowels seems appropriate. However, careful analysis of details of Russian phonology shows that this is not warranted. Evidence from velar and surface palatalization indicates that both /i/ and /?/ exist underlyingly in modern Russian. And in fact, several phonetical and phonemical paradoxes occur if one attempts to derive all high unrounded vowels form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