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과교육학 정립을 위한 일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도덕교육을 도덕교과를 통해 학교에서 실시할 때 그에 대한 좋은 평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바탕은 도덕교과교육학에 대한 관심과 그 발전에 대한 노력에서 시작 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교과 교육학의 정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도덕교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직접적 통로로 도덕교과교육에 대한 시각전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의 분류에 있어서 철학이나 논리학 등과 다른 도덕교과영역의 차별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덕교과교육학이 발전하기 위해 견지해야 할 방향과 그에 따른 연구 분야의 확대에 관련된 요소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과에 대한 분류를 살펴보면 ‘윤리’ 혹은 ‘도덕’이라는 영역은 다른 영역에서 연구하기 힘든 독립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즉, 철학이나 논리학 등 다른 학문분야의 연구방법으로는 탐구할 수 없는 고유한 자리를 가지고 있다. 한편, 교과교육학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 중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서 보면 교과교육학의 학적정립의 가능성은 매우 적어지게 된다. 도덕교과의 모학문이 철학 등과 같은 특정학문임을 주장하면서 그것의 배타적 위치를 도덕교과에 선점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 매몰되어 나오는 주장에 불과하다. 도덕과 교과교육학은 내용과 연구방법의 학제성을 더욱 강조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른 학문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도덕과 교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일 것이다. To get concerns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progress Moral education in schools as well as moral education in general. The critical poin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is the verification of the Moral as a school-subject in terms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school-subject classification, the realm of 'moral', which is different from 'logics' or 'philosophy', is surely existing. To progress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should not accept 'the narrow perspective of the school-subject study,' but take a new perspective of that which is willingly including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To identify moral as a school-subject and to take a new perspective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a basis of the firm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 KCI등재

        도덕교과 교육지식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이글은 도덕교과와 관련된 지식을 도덕교과 배경학문 지식, 도덕교과 지식, 도덕교과 학교교육 지식으로 나누어 체계화 하고 도덕교과 지식 중 하나인 도덕교과 교육지식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덕교과지식은 도덕교과 내용지식과 도덕교과 교육지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도덕교과 교육지식은 도덕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도덕교과의 내용지식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역할을 한다. 도덕교과 교육지식의 구조는 도덕교육의 본질에 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도덕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도덕교사에 대한 지식, 도덕교육의 대상인 학생 및 교육맥락에 대한 지식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있다. 도덕교과 교육지식의 내용은 도덕교육 및 도덕교과가 성립되기 위한 핵심지식과 그러한 핵심지식이 적용될 때 필요한 적용지식으로 크게 나누어 제시될 수 있다. 도덕교과 교육지식의 발전방향은 구조와 내용면에서 제시될 수 있는데 먼저, 그 구조에 있어서는 도덕교과 내용지식과 도덕교과 교육지식이 상호 연관관계가 밝혀져 체계화 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그 내용에 있어서는 일반적 도덕교육의 이론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들을 토대로 도덕교과의 성격과 목표를 명확화, 다양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이 가장 먼저 제안될 수 있다. The related knowledge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cludes background academic knowledge of moral subject, knowledge of moral subject, and school knowledge of moral subject. And knowledge of moral subject is divided into two lower knowledg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subject and content knowledge of moral subject.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subject, thus is interested in inquir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it. Th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subject has its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moral subject education and providing the standard to select and 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On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subject, there are four sub-knowledge such as the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nature, the knowledge of moral curriculum, the knowledge of moral teacher, and the knowledge of students. O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subject can be suggested by two criteria: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the applied knowledge.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 분석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본 연구는 독일의 윤리교육의 성격과 위상, 실시 상황, 목표, 유형(내용) 등을 분석하고, 독일 초등학교 『윤리』교과서와 중등I단계 『사람으로 사는 과정의 모험』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가 우리나라 도덕과교 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의 윤리교육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는 역사적으로 종교교과 의 대체과목으로 출발하여, 현재 몇몇 주에서 선택의무교과 또는 필수의무교과로서 종교교과와 동등한 위상을 얻고 있다. 2) 독일의 윤리교과의 명칭은 ‘윤리’, ‘철학’, ‘삶의 설계-윤리-종교’, ‘가치와 규범’ 등으로 상이하지만, 윤리교과는 독일의 모든 주에서 실시되고 있다. 3) 독일 윤리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책임 있고 윤리적 가치의식에 토대를 둔 도덕 판단 능력과 행위 실 천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4) 독일의 윤리교육은 실천철학으로서의 윤리교육, 삶의 지침으로서 의 윤리교육, 도덕적 교화 내지 가치교육으로서의 윤리교육, 윤리적 성찰로서의 윤리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독일의 윤리교육은 전체적으로 도덕적 판단,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독일의 윤리교과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가치 관계 확장 또는 생활 영역 확장에 따라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2)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및 토론 등을 강조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윤리교육의 현황, 한계, 변화에 대한 분석과 윤리교과서 분석은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1)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현재와 같이 필수의무교과 로 설정, 유지될 필요가 있다. 2)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주요 가치와 덕목을 토대로 공동의 교 육과정을 수립하고, 각 교과서는 이를 기준으로 자율성과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3) 향후 우 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각 교과서의 분량과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한다. 4)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가치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가치중립성의 원칙을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도덕적 사유,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등을 강조하는 내용 구성의 적절성과 교육적 효과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 status, situation, goal, contents of ethics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namely Ethik in elementary school(Grundschule) and Abenteuer Mensch sein in middle school(Sekundarstufe I).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The analysis of ethics educ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haracterized as alternative subject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quasi-compulsory subject or compulsory subject. Today, ethics education in Germany become a equal status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2) Although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called differently(e.g. Ethik, Philosophie, Lebensgestaltung-Ethik-Religion etc), ethics education is taught in all states of Germany. 3) The goal of ethics education is to foster moral competence(e.g. moral judgment, moral practice etc). 4)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lassified as practical philosophy(Praktische Philosophie), guidelines of life(Lebenshilfe), moral education(Moralerziehung) and moral reflection(Moralische Reflexion). In short,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etc are emphasized in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Textbooks are written based on the principle of value relationship. 2)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asoning, discussion etc a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are as follows. 1)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a compulsory subject. 2) A common curriculum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formed based on core values and virtues. Based on this common curriculum, we can pursue autonomy and diversity of textbooks. 3)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amount and contents of textbooks. 4) We should recognize a diversity of values and observ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when we write textbooks. 5)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emphasis on moral thinking,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moral reasoning in relation to textbook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선정 평가기준 연구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도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덕·윤리 교사의 교과서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질은 교실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교실학습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검정심사에 합격하여 저작자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선정 평가과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과 교과서 발행이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도덕과 교육에서 사용될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교사들이 개발한 타 교과 평가기준 분석,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과서 평가기준, 전문가회의를 거친 평가기준을 기초로 도덕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과서의 적합성, 타당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교육, 현직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textbook evaluation tool with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And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ograms which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moral teacher in textbooks evaluation. Evaluation on Textbook is defined as an action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xtbooks, which promotes the quality of textbook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and revising the disadvantages. In order to evaluate textbooks, a textbook evaluation tool should be firstly developed. A textbook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cales. Out of the three elements,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eveloped not only by analyzing textbook authorization standards in a government level and teacher-developed evaluation standards in a school level, but also by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include both the internal areas of textbook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and the external areas of graphic layout (design and presentation), orthography, and durability.

      • KCI등재

        도덕적 교양교육에서 교과 이미지 구성과 상상력의 기능에 관한 연구

        홍경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The liberal education of morality does not directly teach or instruct learners on specific moral rules or values, but indirectly helps them experience the meanings of human sufferings or doings through various courses of liberal study. This may be termed as a ‘moral’ liberal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moral liberal education is just to form an image of the course under study by connecting it to the situations of particular human lives, and encourage learners to have an aspiration or motivation of studying it. The necessity of forming the study course image could be made through the reasoning of analogy with respect to moral theories to the moral images of world. The moral image of world is critical in building moral theories or cultivating morality because morals to be applied should be consistent with it. Similarly, with the moral liberal education, the formation of a moral image of the course under study becomes extremely critical as it is the extension of moral cultivation. If the liberal education does not separate from particular human lives but mirrors them, the images of world being its home or background should be first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thereof. That is, the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to various aspects of lives while mirroring them well. The required connecting or mirroring is possibly made by repeatedly watching and discussing the relations among the study courses, and the relevant practical life conditions. For example, with the subjects of literature or arts, such relations are known by the aesthetic experiences exerted through reading or appreciating literary or artful contex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ral image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moral theories, and analogically, also in the morally-oriented education. The essential function of imagination in forming the required moral images is illuminated, while finding the way of cultivating it. 교양교육으로서 도덕 교육은 특정한 도덕 규칙이나 가치를 가르치거나 전수하는 일이 아니라, 다양한 교양 교과를 통하여 인간으로서 겪거나 행해야만 하는 것들의 의미를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도덕적’ 교양교육이라는 말로 칭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도덕적 교양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교육과 구체적인 인간 삶을 연결해줌으로써 여러 교과들에 대한 학습 의욕 내지는 열망을 키워줄 있는 교과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교과 이미지 형성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도덕 이론과 ‘도덕적 세계상’의 관계를 유비로 하여 알아볼 수 있다. 도덕 이론의 구축 내지는 도덕성 함양에서 도덕적 세계상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덕은 적어도 그것이 적용되는 세계상과 일관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덕 이론의 정초 및 그 적용에서 전제되거나 귀결되는 세계상의 형성이 중요한 것이라면, 그 확장이라고 볼 수 있는 도덕적 교육에서도 교과 이미지 형성은 극히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교육이 삶과 유리된 것이 아니라 삶을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려면, 삶의 터전인 세계의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교육에 자리하고 있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도덕적인 교육은 삶을 가장 잘 반영하면서 다양한 삶의 측면과 관계를 맺는 교육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취지의 교과 이미지 형성은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 이는 끊임없이 교과와 삶이 맺고 있는 관계, 교과와 교과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강조와 논의가 되풀이하여 이뤄지는 방식일 수밖에 없다. 특히 문학이나 예술이 주제가 되는 교과에서는 교육일반과 인간 삶이 맺고 있는 관계를 문학이나 예술 텍스트가 자아낼 수 있는 심미적 경험의 정수에 기초하여 드러낼 수 있어야만 한다. 요컨대 도덕 이론에서 세계상의 의미를 확인하고 그에 기초하여 도덕적 교육에서 교과 이미지 형성의 중요성을 논증하며, 이런 이미지 형성을 가능케 하는 상상력의 기능을 함께 조명한다.

      • KCI등재

        도덕 교과와 철학,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 : 홍윤기의「도덕?윤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도덕교육론적 응답

        박병기(Pak Byung-kee)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4

        우리의 도덕 교과는 전통교육과 근대화 사이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는 통로로 출범한 이후 한편으로 지속적인 정착의 과정을 거쳐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비판과 도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국 철학계는 도덕 교과가 국민윤리 교과로 정착하는 과정부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그 이후에도 대학 국민윤리 강의를 상당한 정도로 분담하면서도 동시에 비판에도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 왔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철학계는 도덕 교과가 안고 있는 문제들 중에서 특히 그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배경 학문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보였고, 본고의 주된 비판 대상인 홍윤기의 논문『도덕·윤리교육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은 철학이고, 따라서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도 철학 안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이 정당화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교과와 그 배경 학문에 관한 이해가 앞서야 하고, 그 이후에 과연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이 철학일 수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홍윤기는 이 과정을 도덕·윤리, 윤리학은 당연히 철학의 한 영역이라는 명제 하나로 대신하고 있는데, 이는 배경 학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단계와 경험 세계를 중심에 두고 구성되는 도덕 교과에 대한 일면적 이해에 불과하다. 또한 도덕 교과의 주요 배경학문으로 윤리학을 설정한다는 전제를 할 경우에도 윤리학이 끊임없이 그 외연과 학제성을 강화해 가는 과정에 있고 동양적 전통 속에서 윤리를 찾아가기 위한 차후의 과정으로 철학적 사유 또는 철학함을 강조해 왔다는 점, 도덕 교과에는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파악할 수 있는 사회과학적 성격의 도덕심리학도 주요 배경 학문으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반드시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 또는 모학문으로 철학을 설정해야 한다는 홍윤기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도덕교육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만남을 전제로 해서 삶의 어느 국면에서든 마주치게 되거나 마주쳐야만 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화두(話頭)로 삼아 보다 치열한 삶을 추구하는 지난한 노력이다. 이 과정에서 철학이 상당 부분 도움을 줄 수 있고 또 그런 점에서 배경 학문의 하나로 설정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철학적 사유를 배제하지 않는 윤리학만으로도 일정한 완결성을 지닌다. It has been a disputable issue that what is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subject at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recently. This problem is connected with the issues of objects of moral education, that is, universal object or special object.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subject has taken a interdisciplinary domains, and its cores has been ethics and politics. But 2007's revisional version of moral subject has intensified ethical background and its result has strengthened philosophical background. Dr. & professor Hong's assertion is that the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is to be a philosophy. But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has to be considerate the students at each moral developmental stage, and its background is moral psychology. Additionally, the traditional forms of moral education at Korea were focused on ethics, not philosophy. So the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is to be focused on ethics and moral psychology.

      • KCI등재후보

        근대 수신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도덕과 교육’의 연속성 : 『윤리학 교과서』와 『고등 소학수신서』를 중심으로

        김민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근대 개화기의 수신(修身) 교과와 현대의 ‘도덕과(道德科) 교육’의 연속성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교육 체제에서 도덕과 교육으로 대표되는 도덕교육은 해결해야 할 수많은 쟁점들을 안고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개화기 이전 유가(儒家)와 불교(佛敎)로 대표되는 우리의 전통을 현대의 도덕교육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전통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와 같은 논의는 상당히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일정 이상의 성과까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런 맥락에는 불연속적인 부분이 엿보이는데, 그것은 바로 근대 개화기의 수신 교과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수신과 수양이 공부의 목적이자 곧 공부 자체였던 시기가 지나가고 개화기로 넘어오면서 학제 개편이 이루어질 때, 저런 내용들은 수신 과목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그런데 어떠한 변화를 겪으면서 수신 과목이 하나의 교과로서 위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또 그 수신 과목은 현대의 도덕과 교육과 어떠한 연속선상에 있는지는 아직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불연속성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은 다름 아닌 현재 도덕과의 교육문서들인데, 이런 문서들에는 개화기의 수신 교과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본고에서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먼저 1894년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된 후 1910년 ‘한일병합조약’까지의 기간 동안 수신 교과가 관․공․사립학교에서 어떻게 운영 되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당시 수신 교과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두 종의 근대 수신 교과서를 선택하여 그 내용 특징을 연구하고, 이것을 근거로 하여 당시의 수신 교과가 현대의 도덕과 교육과 어떠한 점에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910년에서 1945년까지의 식민지 기간 동안에도 수신 교과는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총 4회에 걸친 일본의 ‘조선교육령’이 발동되었으며, 그 목적이 대한제국 국민의 철저한 황국 신민화에 있었음은 여러 문서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1894년에서 1910년까지의 수신 교과 양상은 다르다. 관․공립학교든지 사립학교든지 처한 상황은 매우 좋지 않았다. 따라서 수신 교과 역시 제대로 진행되기 힘든 경우가 많았으며, 하나의 교과로서 갖추어야 할 이론적인 부분도 많이 모자랐다. 하지만 현대의 도덕과 교육과 비교한다면 이론적․실제적으로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할지라도, 근대의 수신 교과는 현대의 도덕과 교육과 그 연속성을 논할 만큼의 충분한 위상과 내용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바로 이 연속의 접합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 the problem of continuity between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moral education of today. Upon the end of the period that the object of education was self-cultivation and training, the era of enlightenment categorized them as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a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system. Through certain type of change,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eventually carried some sense of significance as one whole course of study. Despite the fact, any research on how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has been connected to the moral education of today has never been conducted.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lity of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of the time by going over how the course has been treated at national schools, public schools, and private schools, from the first establishment of HakmuAhmun in 1894 to Japan-Korea Treat of 1910. Afterwards, by selecting two modern textbooks of the self-cultivation, the study looked into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m in order to seek ways to connect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of the past with the moral education of today. The enlightenment era was not a good time for all of the schools. There were more occasions when the course of study including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was not properly performed and the course was actually lack of theoretical basis. However, regardless of its relatively weak theory and practicality compared to the moral education of today, the self-cultivation curriculum of the time has status and content good enough to be discussed over regard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moral education of today. The study will prove the fact from three aspects, which are first, the method of living territory expansion and the value-added relation extension, second,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hird, the aspect of awareness and integration toward cognitive domain·affective domain·behavioral domain.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owadays we have developed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s we know very well, the textbooks play the decisive role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 if we really want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in schools and bring up desirable character-virtues in our children, we must know the textbooks accurately and strive to use them very effectively. S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introduce and give some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 inquired and suggested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moral teaching-learning that are practiced in using the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es. Also, I explained the differenc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between 3-4 grade and 5-6 grade. And finally, I suggested some things that we have to considerate when we use the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ㆍ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 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 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 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 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 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