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해외 원조의 의무’ 분석과 제언 -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1차적으로 해외 원조의 의무의 윤리적 근거를 논구하고, 이와 연동하여 해외 원조의 주체와 대상, 수준과 방법 등에 대해서도 일정 부분 논의함으로써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윤리적 논쟁의 지형도를 그리는 것이다. 롤스의 ‘정의론’이 출간된 이후 지구적 수준의 빈곤과 기아, 불평등의 문제는 정의의 원칙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구적 정의 논쟁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구적 평등주의 자와의 논쟁 이후, 롤스는 ‘만민법’에서 고통을 겪는 사회에 대한 원조의 의무를 정의의 원칙이 아닌 인도주의 원칙에 의해 도덕적으로 정당화하고, 원조의 수준이나 목표에 대해서는 일종의 최소주의 접근을 시도한다. 이러한 롤스의 견해는 지구적 정의와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모델을 양산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롤스의 ‘만민법’ 이후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윤리적 논쟁은 해외 원조의 의무의 윤리적 근거, 수준과 목표 내지 범위 등의 쟁점을 둘러싸고 최소주의 접근, 지구적 평등주의 접근, 싱어의 공리주의 접근 등으로 나뉘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논구를 토대로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도덕교육을 위해 두 가지 사항을 제언한다. 우선, 도덕과 교육과정과 도덕(생활과 윤리) 교과서는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윤리적 논쟁의 핵심 쟁점인 윤리적 근거, 수준과 목표 내지 범위 등을 충분하고도 일목요연하게 다루어야 한다. 다음으로,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그 의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면, 해외 원조의 의무에 관한 다양한 입장을 이분법적 논리로 접근하기보다는 교육적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 ethical debate on the duty of foreign aid. By doing so, I have investigated moral foundations, purpose and scope of the duty of foreign aid from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John Rawls’s A Theory of Justice greatly stimulated thinking about global justice. The early Rawlsian cosmopolitans have argued both with and against Rawls that difference principle should be extended to a global context. In his work The Law of Peoples, Rawls has acknowledged the duty of foreign aid not as a duty of justice but as a humanitarian duty. In particular, he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imposing ‘cut-off point’ on foreign aid, claiming that the purpose of foreign aid should be to help burdened societies to become autonomous among other states. Rawls’s view greatly stimulated thinking about models of global justice and the duty of foreign aid. In other words, Rawls’s view greatly stimulated an ethical debate between his defenders and critics(i.e. global egalitarians, P. Singer etc) concerning moral foundations, purpose and scope of foreign aid. Based on this review, I have firstly suggested that moral foundations, purpose and scope of foreign aid, which are the central issues of ethical debate on the duty of foreign aid, should be sufficiently discussed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ly, I have suggested that various positions on the duty of foreign aid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 주제발표 : 현대윤리학에서 동기화 논쟁과 도덕과교육의 과제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본고는 현대윤리학의 동기화 논쟁에서 도덕적 행위 동기화 이론의 약한 내재주의의 학문적 정당성과 실효성을 논구하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도덕적 앎과 실천, 도덕의 규범성과 실천성을 연계함으로써 도덕 판단 능력과 도덕적 실천 능력을 겸비한 도덕적 인간을 육성하려는 도덕과교육의 학문적 정당성과 현실 적합성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고는 현대윤리학의 동기화 논쟁에서 도덕적 행위 동기화 이론의 내재주의와 외재주의를 비교·분석하였다. 도덕적 행위 동기화 이론의 약한 내재주의는 일상의 도덕 현상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고, ``도덕적 앎과 실천을 연계하려는`` 윤리학의 본질을 적절한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적 행위 동기화 이론의 약한 내재주의는 학생들을 도덕 판단 능력, 도덕적 실천 능력, 도덕적 반성 능력을 갖춘 도덕적 인간으로 육성하려는 도덕과교육의 목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한 내재주의는 지난 20여 년 동안 동기화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덕과에 대한 비판을 불식시킬 수 있는 대응 방안이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academic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a weak version of internalism of moral motivation theory in recent moral philosophy.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cademic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moral subject education. That is to say, this paper aims to ascertain if a target of moral subject education can be achieved, which is to foster the morality of student by linking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normativity and practical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internalism and externalism of moral motivation theory. By this analysis, this papar suggests that a weak version of internalism explains properly moral experience of everyday life and the nature of ethics, which aims to link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Thus, a weak version of internalism can be the ethical foundat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which will foster moral judgment, moral practice skills, moral reflection capability of students. Finally, a weak version of internalism can make sure that the criticism of moral subject education can`t be justified.

      • KCI등재

        특집 논문 : 식물윤리와 원예활동 ; 식물윤리학의 원리 -식물윤리학의 근거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1 환경철학 Vol.0 No.12

        본고는 식물을 도덕적 논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윤리학적 근거``와 ``생물학적 근거``를 밝힘으로써 인간의 식물에 대한 도덕적 태도 및 행위 원리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윤리학의 윤리학적 근거는 인간의 도덕성과 존엄성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약한 인간중심주의``와 자연 전체를 질서정연한 좋은 세상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면서 인간의 공작용을 강조하는 ``전일주의``에 의해 정립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식물윤리학의 생물학적 근거는 개별 식물이 생물학적 종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상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최적의 생명 활동의 상태로서 ``번성`` 개념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이러한 식물윤리학의 윤리학적 근거와 생물학적 근거를 토대로 식물윤리학의세 가지 원리로서 ``정의의 원리``, ``악행 금지의 원리``, ``선행의 원리``를 제안하였다. (1) 정의의 원리: 각 식물이 정상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최적의 생명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식물의 생물학적 종의 특성에 부합하게 대우해야 한다. (2) 악행 금지의 원리: 인간은 최소한 자신의 사소한 이익을 위해식물의 정상적인 생명 활동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3) 선행의 원리: 우리는 적극적 의미에서 개별 식물이 그 생물학적 종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상적이고 생명력 넘치는 최적의 생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inciples of ethics of plants by investigating an ethical and biological basis, in which plants can be discussed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An ethical basis of ethics of plants can be justified by ``weak anthropocentrism`` and ``holism``. A biological basis can be established by the concept ``flourishing``, which means an optimal state of biological activity in accordance with a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each plant. Based on these bases of ethics of plants, I have suggested three principles of ethics of plants, namely ``principle of justic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and ``principle of benevolence``. (1) principle of justice: We should treat each plant in accordance with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 in order to keep its optimal biological state. (2) principle of nonmaleficence: We should not interfere with a normal biological activity of each plant for our small profit. (3) principle of benevolence: We should promote a normal biological activity of each plant in accordance with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

      • KCI등재

        일반 논문 :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자연스러움" -자연, 자연스러움, 그리고 자연주의적 오류-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본고는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학문의 영역에서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자연스러움이라는 개념의 일상적 의미와 철학적 한계를 논하였다. 일상적 의미의 자연스러움 개념은 대부분 가치중립적인 순수-기술적 개념이기 때문에, 자연 속에서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는 도덕규범의 근거가 될 수 없다. 그리고 본고는 형이상학적 자연관과 자연과학적 자연관의 자연스러움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구하였다. 형이상학적 자연관은 자연을 내재적 가치를 지닌 형이상학적 실재로 파악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는 인간의 도덕 판단과 도덕적 행위 동기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연과학적 자연관과 인간중심주의에서 자연은 자연과학적으로 파악되는 대상이고, 인간의 욕구충족을 위한 도구적 가치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도덕 판단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다. 본고는 생활세계적 자연관의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자연 속에서 인간의 적절한 행위규범을 근거지울 수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도덕적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질서정연한 좋은 세계``의 구성 요소로서 자연스러움이라는 (역사적으로 구성된) 가치-개념은 자연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어떤 행위가 ``질서정연한 좋은 세계``의 실현에 기여하는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는 행위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본고는 이와 같은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자연의 도덕화``(형이상학적 윤리학) 또는 ``도덕의 자연화``(자연주의적 오류)라는 비판에 직면하지 않음을 논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question "Can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be a criterion of moral judgment?" For this purpose, I have discussed the meaning of naturalness in general use and its philosophical limits. Because the concept ``naturalness`` in general use is value-free and descriptive, it can`t be a moral norm or a criterion of moral judgment. And I have criticized the concept ``naturalness`` in a metaphysical view of nature and in a scientific view of nature. The former can`t play a role for our moral judgment and moral motivation, because the nature could be regarded as a metaphysical reality, which includes inherent value and could be considered to be the perfect place. The latter can`t play a important role for our moral judgment, because the nature in a scientific view of nature is a value-free and descriptive object of natural science. I have argued that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can be a moral foundation for our moral judgments and obligations in the nature, and that we can define a mo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beings and the nature with the help of such a concept. This is to say: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as one of important values of a well-ordered good world can be a criterion, by which the present state of nature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And an action (x) can be evaluated as proper or not for the realization of a well-ordered good world based on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And lastly, I have argued that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doesn`t meet with the criticism of the moralization of the nature (metaphysical ethics) or of the naturalization of moral norms (naturalistic fallacy).

      • KCI등재

        현대윤리학에서 심리주의와 반심리주의 논쟁

        김남준(Kim, Nam-Joo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본고는 현대윤리학에서 도덕 심리주의와 반심리주의 논쟁의 이론적 지형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덕 반심리주의가 그 이론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논구하고자 한다. 도덕 심리주의는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가 신념과 욕구와 같은 행위 주체의 심리적 상태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도덕 반심리주의는 이를 부정한다. 도덕 심리주의의 전거로 여겨지는 흄의 동기화 이론은 “(ⅰ) 행위 동기화의 근거는 욕구와 신념으로 구성되며, (ⅱ) 이 두 가지 요소는 욕구에 우선성이 주어지는 비대칭적 구조를 이룬다.”라고 요약된다. 그런데 지난 3∼40여 년간 이루어진 도덕적 행위 동기화 논쟁에서 흄의 신념-욕구-모델은 여러 관점에서 비판을 받게 된다. 우선, 도덕 심리주의는 흄의 동기화 이론에 대한 비판을 통해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지배적인 근거를 욕구가 아닌 신념에서 찾게 된다. 네이글은 ‘동기화된 욕구’ 개념을 통해 흄의 비대칭성 테제를 비판하면서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로서 신념을 강조한다. 그리고 댄시, 스캔런, 라즈 등은 행위 주체의 신념을 도덕적행위 동기화의 지배적이고 유일한 요소라고 주장함으로써 순수인지주의로 나아간다. 이와 달리, 도덕 반심리주의는 “행위 주체의 신념과 욕구와 같은 심리적 상태에 의존적이지 않은 도덕의 규범적 근거가 도덕적 행위 동기화 근거를 구성한다.”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도덕 반심리주의는 행위 주체의 신념과 욕구로부터 독립적인 도덕의 규범적 근거가 도덕적 행위를 동기 유발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도덕의 규범성과 실천성의 관계를 해명해야 하고 강한 의미의 내재주의와의 연관에 대한 의혹을 풀어야 하는 과제를 지니게 된다. 그래서 도덕 반심리주의는 ‘약한 의미의 도덕실재론’과 ‘온건한 내재주의’와 연계를 맺음으로써 그 이론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opography of a debate on moral motivation between moral psychologism and moral antipsychologism in the contemporary ethic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find the way to justify moral antipsychologism. Moral psychologism insists that moral motives are composed of the psychological state, namely agent’s belief and desire. Moral antipsychologism denies this supposition. Hume’s motivation theory, which is regarded as locus classicus of moral psychologism, is as follows: (i) a motive is composed of belief and desire, (ii) belief and desire are in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in favor of desire. However, Hume’s belief-desire-model is criticized over the last three or four decad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Moral psychologism in the contemporary ethics criticizes Hume’s motivation theory and suggests that the main component of moral motivation is not desire but belief. First of all, Nagel criticizes Hume’s asymmetry-these based on the concept ‘motivated desire’. And that, Dancy, Scanlon, Raz etc suggest that belief is the only component of moral motivation, so namely pure-cognitivism. Unlike moral psychologism, moral antipsychologism insists that normative reasons or justifying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the psychological state(agent’s belief and desire), play a role ipso facto as moral motives. Moral antipsychologism sh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tivity and practicality, and clarify doubt about a theoretical linkage with a extreme version of internalism, because it supposes that moral motives are independent of agent’s belief and desire. Moral antipsychologism can defend its theoretical validity by linking a weak version of moral realism and a mild form of internalism.

      • KCI등재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본 연구는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을 통해 도덕·윤리과 학문 공동체가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및 “왜 통합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 해 숙의해야 하고,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고려해야 하며,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교과 간 경쟁주의’의 적절한 유지와 활용, ‘교육과정의 정치학적 요인’의 통제 문제에 대해서도 숙의해야 함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통합사 회’ 과목이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과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하여 염두 에 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 세 가지 제언을 드린다. 첫째, ‘통합사회’ 과목이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내용 이해와 교수 능력을 실질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청되고, 장기적으로는 사범대학을 비롯한 교 원양성기관에서 ‘통합사회’ 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 째, ‘통합사회’ 과목이 본래 개설 취지를 살리면서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대학수 학능력시험 대상 과목으로 지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도덕·윤리과 학문공동체는 ‘통합사회’ 과목의 도입과 적용을 계기로 도덕·윤리과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 는 방안에 대해 숙의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ts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is reflection, I discuss three important issues to be prepare for the nex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1) We should deliberate the principl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primary question “Why be integrated?” (2) We should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3) We should find the ways how to deal with competition among subjects and how to control curriculum politics. Based on this discussion, I give the three suggestions to be prep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nex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1)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ervice &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understanding conten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enhancing teaching capacities. (2) ‘Integrated Social Studies’ ought not to be part of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o fulfill its original objective. (3) We should find the ways how to maintain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matter.

      • KCI등재

        공동체주의의 인간학적, 윤리학적 근거 논쟁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의 목적은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자유주의에 비교대응되는 공동체주 의의 인간학적, 윤리학적 근거를 밝히는 것이다.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의 무연고적 자아, 원자화된 인간상 등을 비판하면서, 사회적으로 구성된 자아개념을 제안한다. 즉, 인간은 자기 해석하는 존재로서 강한 의미의 가치평가와 역사문화적 공동체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한다. 테일러는 개인의 권리가 도덕적 선(좋음)에 앞선다는 자유주의의 윤리개념을 비판하면서, 도덕규범은 사회적으로 공유된 도덕적 선과 가치, 역사문화적으로 각인된 도덕적 맥락을 요청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최근의 이론적 접근이 보여주듯이, 공동체주의는 단순히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론으로서 자리매김 될 것이 아니라, 자유주의의 수정·보완이론으로 생각될 수 있다. 요컨대, 자유주의가 추구하는 가치들, 특히 정의는 사회의 도덕적 질서와 좋은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자유주의윤리학 또는 도덕적 보편주의는 도덕규범의 형성에 있어서 도덕적 선과 가치의 배제, 역사문화적 공동체의 도덕적 중성화에 따른 도덕적 동기화의 난해함이라는 윤리학적 측면의 문제점과 강한 의미의 가치평가 과정의 결여와 그에 따른 자아정체성 형성의 난해함이라는 인간학적 측면의 문제점을 내포한다. 도덕적 특수주의로서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윤리학 또는 도덕적 보편주의의 문제점 또는 결여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hropological and moral grounds of the communitarism in Charles Taylor, which is compared to the liberalism. The communitarism criticizes the liberal concept of a person as unencumbered self or the atomism, and it proposes the social concept of a person. That is to say: A person as self-interpreting animals makes his identity by help of strong evalu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Taylor criticizes the liberal concept of the priority of ``right`` to ``good``, and he maintains that moral norms need certainly the socially shared understanding of good, moral values and moral spac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However, the communitarism is not designated as a radical alternative of the liberalism, but rather as a complementary counterpart or as a modification of the liberalism. In a word: The liberal values, above all justice can be a constitutive part of the moral order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and our good life. One of basic problems of the liberalism or the moral universalism is lack of moral motivation, because it doesn`t take the role of the concept of good and moral values for moral norms into consideration, and because it neutralizes moral spac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And because of lack of strong evaluation it is very difficult that a person makes his identity in the liberal society. The communitarism as moral particularism contributes to the correction of such problems of the liberalism.

      • KCI등재

        현대윤리학에서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6 No.1

        본 논문은 현대윤리학에서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을 논구함으로써 "아크라시아는 실제로 존재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윤리학의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에서 헤어는 보편적 규정주의를 기반으로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논제를 지지하고, 데이비슨은 온건한 내재주의를 기반으로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제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헤어와 데이비슨이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지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헤어는 행위 주체를 보편적 규정주의자로 간주하는 반면, 데이비슨은 행위 주체를 인식론적 차원의 한계만이 아니라 행위론적 차원의 한계를 지닌 존재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어는 진실한 도덕 판단과 행위 동기 간의 필연적 상관성을 전제로 강한 내재주의를 지지하는 반면, 데이비슨은 평가적 판단(도덕 판단)과 행위 동기 간의 믿을만한 수준의 상관성을 전제로 온건한 내재주의를 지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헤어와 데이비슨은 도덕적 사유 내지 평가적 판단(도덕 판단)을 두 수준으로 구분한다는 형식적 유사성뿐만 아니라, 비판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와 완전한 판단에서는 아크라시아가 발생하지 않지만 직관적 수준의 도덕적 사유와 조건부 판단에서는 도덕적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적 유사성을 공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어와 데이비슨이 각각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논제와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제를 지지하는 이유는 아크라시아의 개념적 조건에서 요구하는 앎(도덕적 사유, 도덕판단, 평가적 판단 등)의 수준이 다르고, 데이비슨은 헤어와 달리 ``아크라시아``라는 주제를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차원의 문제라기보다는 실천적 비합리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실천적 문제로 파악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맥락에서,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논제는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차원에서 정당화될 수 있지만, 아크라시아는 현실의 도덕에서 실천적 비합리성과 결부된 실천적 문제로 남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 question "Is akrasia(weakness of the will) possible?" by analyzing a debate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in the contemporary ethics. According to R. M. Hare, it is impossible for a person to do one thing if he genuinely and in the fullest sense holds that he ought instead to do something else. In contrast with Hare`s position, D. Davidson tries to vindicate the possibility of akrasia, or weak-willed action as free, intentional action contrary to the agent`s better judgment. The reasons why there is difference between Hare`s position and Davidson`s position are as follows. Davidson regards an agent as incontinent person who makes a certain prima facie judgment, whereas Hare regards an agent as universal prescriptivist. In addition, Davidson states a mild form of internalism, whereas Hare states a extreme version of internalism.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y have some similar opinions. They insist that moral thinking or evaluative judgment(moral judgment) can be divided into two levels. According to them, we can`t experience akrasia in the critical level of moral thinking or unconditional judgment, whereas we can experience moral failures in the intuitive level of moral thinking or conditional judgment(prima facie judgment). Hare takes such moral failures only as quasi-akrasia phenomenon, whereas Davidson takes such moral failures as akrasia. The reasons are as follows. Hare insists that an agent has to make genuine moral judgment to meet the strict conditions of akrasia. In contrast with Hare`s position, Davidson insists that an agent`s all-things considered judgment can meet the conditions of akrasia. Moreover, Davidson understands the theme ``akrasia`` not only as theoretical problem but also as practical problem, whereas Hare understands the theme ``akrasia`` as theoretical problem. In this respect, we will be wrestling with the issue ``akrasia`` as practical problem, although the impossibility of akrasia can be justified in the theoretical and logical field.

      • KCI등재

        의지의 나약과 아크라시아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의지의 나약을 행위자의 더 나은 판단이 아닌 행위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행위로 규정하면서 의지의 나약과 아크라시아를 구분하는 수정주의 해석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이다. 수정주의 해석은 전통적인 해석과는 달리 의지의 나약을 행위자가 자신의 의도를 그 반대의 욕구나 경향성으로 인해 합당한 이유 없이 변경하거나 포기하는 실천적 실패 또는 도덕적 실패로 규정한다. 수정주의 해석은 이러한 규정을 바탕으로 의지의 나약과 아크라시아는 구분될 수 있고, 아크라시아가 없는 의지의 나약과 의지의 나약이 없는 아크라시아가 성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주의 해석에 대해서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대다수 일반인들이 의지의 나약을 행위자의 더 나은 판단에 어긋나는 자제력 없는 행위로 본다는 점에서, 수정주의 해석은 그 해석의 전제로서 의지의 나약에 대한 일상적 관념을 잘못 설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수정주의 해석이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제시한 여러 사례들은 오히려 의지의 나약의 발생 여부가 행위자의 의도가 아니라 행위자의 더 나은 판단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의지의 나약과 아크라시아를 개념적으로 서로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할 수도 있다는 함의를 지닌다. 셋째, 행위자의 판단이 일반적으로 행위자의 의도를 형성하고 행위의 실천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행위자의 의도를 행위자의 판단과 독립적인 별개의 능력으로 보는 수정주의 해석의 전제가 의문시되고, 그에 따라 의지의 나약을 행위자의 더 나은 판단이 아닌 행위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행위로 규정하면서 의지의 나약과 아크라시아를 구분하는 수정주의 해석의 주장도 의문시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자는 전통적인 해석이 수정주의 해석보다 의지의 나약에 대한 일상적 관념에 잘 부합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 타당성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ccording to a revisionist’s account of weakness of will, the idea that the central cases of weakness of will are best characterized not as cases in which people act against their better judgment, but as cases in which they fail to act on their intentions. If weakness of will arises when an agent is too ready to revise her contray inclination defeating intention, weakness of will is distinct from akrasia which is best characterized as free intentional action contray to an agent’s better judgment. If so, there are cases of weakness of will without akrasia, and there are cases of akrasia without weakness of will. However, there are three possible objections to the revisionist’s account of weakness of will. (1) The revisionists do not give an account of our ordinary notion of weakness of will even though it is their basic premise. The empirical studies indicate that the traditional account of akratic action is more congruent with our ordinary notion of weakness of will than the revisionist’s account is. (2) The revisionists present several cases in which an agent seems to display weakness of will who does not act contrary to her better judgment but does act contrary to her intention. However, these cases are actually counter-examples of what the revisionists claim. In other words, these cases show that we can use weakness of will interchangeably with akrasia because weakness of will is best characterized as akratic action. (3) A rational agent who judges that there is compelling reason to perform a certain action normally forms the intention to do that action, her judgment then serving as sufficient explanation of both the intention and the action which is intended. If so, weakness of will can be best characterized as free intentional action contrary to an agent’s better judgment because an agent’s intention is actually dependent of an agent’s better judgment which guides a certain action. Finally, I claim that the traditional account of akratic action is considerably better than the revisionist’s account of weakness of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